20151109 [투자전략] 높아진 美 금리인상 가능성

Page 1

시황전망 높아진

2015.11.9

금리인상 가능성

[투자전략]

10월 10월 美 고용지표 발표 이후, 이후, 12월 12월 美 금리인상 가능성 68%로 68%로 급등

한요섭 02-768-4183 yoseop.han@dwsec.com

04년 04년 6월 美 첫 번째 금리인상 당시와 당시와 가장 큰 차이점은 현재는 EM 성장 둔화세가 둔화세가 진행 중이라는 점 보수적 시각 견지하는 가운데, 가운데, 수출주< 수출주<내수주 시각 유지

12월

금리인상 가능성 68%로 급등

12월 FOMC 회의를 앞두고 초미의 관심사항이었던 확인됨에 따라 급등하는 등 10월

고용시장에서 추가 개선이

연방기금 선물시장에 반영된 12월 금리인상 가능성이 68%로 금리인상 가능성이 한층 높아지게 되었다.

비농업 취업자수는 예상치를 상회하는 27.1만명 증가했다. 서비스 부문의

신규고용이 증가를 주도했는데, 특히 전문직/비즈니스(7.8만명)와 교육/건강(5.7만 명), 소매(4.4만명), 레져/접대(4.1만명)에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반면, 제조업 부 문의 취업자수 증가는 없었고, 광산은 4만명이 줄었다. 시간당 평균임금도 전년동월비 2.5% 상승하며, 09년 7월 이후 가장 높게 나왔다. 이로 인해 달러화 지수는 연중 최고치에 근접하게 상승했고,

2년 만기 국채금

리는 0.89%로 상승하며 10년 5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10년 및 30년 만기 국채 금리도 각각 2.33%와 3.09%로 상승했다. 그림 1. 美 취업자수 증가세 이어져 (%) 11

미국 금리인상 시기 미국 실업률 (L) 미국 비농업취업자수 (R)

그림 2. 美 시간당 평균 임금도 전년동월비 2.5% 상승 (백만명)

미국 시간당 평균 임금(전체) 미국 시간당 평균 임금(생산 및 비감독직)

(YoY,%) 4

145

10

140

생산 및 비감독직은

9

135

전체 고용자의 82%

8

3

130

7

125

6

120

5 4

115

3

110 105

2 90 92 94 96 98 00 02 04 06 08 10 12 14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2

1 08

09

10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1

12

13

14

15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