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분석 위안화의 SDR 편입이 바꾸는 세상
2015.11.25
[거시경제]
오는 11월 30일 전후 위안화의 IMF SDR 편입 가능성은 기정사실화
허재환 02-768-3054 jaehwan.huh@dwsec.com
SDR의 전세계 준비자산 비중이 낮아 단기적인 경제 및 금융시장 미치는 영향은 미미
그러나 미국 달러 중심의 금융시스템 변화 가능성과 중국 개혁 가속화라는 의미에서 중요
80년대 일본 사례를 보면 초기 자본시장 개방 과정에서는 자금 유출 우위, 선진국 부동산/ 증권투자가 가파르게 늘어날 전망, 중장기적으로 자산가격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
위안화의 SDR 편입 이슈 나무보다 숲을 보아야 한다는 격언이 있다. 그런데 너무 큰(?) 그림은 의미가 없을 때도 있다.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이벤트가 그렇다. 위안화의 SDR 편입 가능성이 그 러한 사례가 아닐까 싶다. 장기적으로 위안화의 SDR 편입 결정의 의미는 엄청나 다. 그러나 단기적 영향은 매우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SDR은 기축통화가 아닌 일종의 준비 자산 SDR(Special Drawing Right)은 기축통화가 아니다. 말 그대로 특별인출권을 의미 한다. SDR은 IMF회원국 가운데 일부 국가들이 달러 유동성이 부족한 경우 꺼내 쓸 수 있는 준비자산이다. 이를 테면 월급쟁이들의 (-) 통장과 같다. SDR은 1969년 2차 세계대전 이후 지속된 브레튼우즈 체제, 즉 금/달러 금융 시 스템이 미국 경상적자 확대 때문에 불안해지자 그 대안으로 만들어졌다. 초기 SDR은 30억 규모의 미국 달러로 시작했다. 이후 영국 파운드, 독일 마르크, 프랑 스 프랑, 이탈리아 리라로 대상이 확대되었다. 1980년에는 일본 엔이 포함되었다. 99년에 유로화가 등장하면서 SDR은 미국 달러(45%), 유로(29%), 영국 파운드 (15%), 일본 엔(11%)으로 구성되었다(그림1). 그림 1. 미국달러와 유로로 구성되어 있는 IMF SDR
그림 2. GDP 비중에 비해 IMF에서 영향력이 낮은 중국 (%)
(%, IMF SDR 구성)
50
2011~15
20
2006~10
IMF 투표권 세계 GDP 비중 (PPP)
40
15
30 10
20 5
10 0 미 국
0 미국달러
유로
자료: IMF,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영국파운드
일본엔
일 본
독 일
프 랑 스
영 국
중 국
이 탈 리 아
사 우 디
캐 나 다
러 시 아
인 도
주: 2014년 PPP 기준,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본 조사분석자료는 당사의 리서치센터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은 것이나, 당사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종목 선택이나 투자시기에 대한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 니다. 따라서 본 조사분석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조사분석자료의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있으므로 당사의 허락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