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ETF Biweekly(요약) 2015.12.9
ETF 투자전략, WEB
[글로벌 투자전략]
일본, 유럽중소형, 베트남, 러시아 및 중국 헬스케어, 글로벌 목재, 미국 소비재 ETF 추천
박진수 02-768-4173 jinsoo.park@dwsec.com
ETF 포트폴리오 성과는 벤치마크(MSCI AC World 및 동일비중) 성과를 소폭 상회
유가하락發 이머징 시장 리스크 확대대비 보수적 자산과 통화배분의 ETF 포트폴리오 유지
김해영 02-768-3631 haeyoung.kim@dwsec.com 박철환 02-768-4104 chulhwan.park@dwsec.com
본 자료 World ETF Biweekly는 지난 호에서 글로벌 ETF 투자전략을 기회자산 포트폴리오 및 기회자산 + 안전자산 포트폴리오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투자자는 자산간 분산투자를 통해 자산가격 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동시에 역외 ETF 투자가 수반하는 선진국 통화분산 효과로 인한 위험저감 효과를 함께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금번호에서는 ETF 포트폴리오를 리뷰하고 포트폴리오의 성과를 점검하고자 한다.
WEB ETF 포트폴리오 리뷰 아래와 같이 기회자산 ETF 포트폴리오를 제시하며 지난호 대비 ETF 편출입 없 이 이를 유지한다. 표 1. 기회자산 추천 ETF 리스트 투자자산
기회자산으로써 일본 index, 러시아 index, 유럽중소형주, 베트남 index 중국 헬스케어 테마, 글로벌 목재 테마, 미국 소비재 테마 ETF를 제시
일본 Index 러시아 Index 유럽 중소형주 베트남 Index 중국 헬스케어 테마 글로벌 목재 테마
미국 소비재 테마
투자 포인트 • 일본은행(BoJ) 목표 하회하는 물가 수준으로 확장적 통화정책 지속 예상. 3 분기 마이너스 GDP 성장률 4 분기 회복 기대. 글로벌 금융상황 악화시 상대적 안전성 부각 • 기업이익 개선과 아베노믹스 2.0 의 산업구조개혁으로 증시 리레이팅 가능. 기업이 유보한 이익을 투자로 유인하는 정책기대 • 한계수준까지 하락한 유가의 하방 경직성과 낮은 밸류에이션에 따른 가격 매력 존재 • 내년 3 월 서방의 제재 완화 가능성과 원유 가격 상승 시 Upside Potential 기대 • 유럽중앙은행(ECB)의 12 월 통화정책회의 결과가 시장 예상을 하회했으나, ECB 총재의 추가 양적완화 가능성 재차 강조로 유로 약세 및 위험자산 선호도 확대 전망 • 중소형주의 올해와 내년 평균 실적 개선폭은 대형주보다 클 것으로 예상 • TPP 수혜와 함께 제조업 기지로서 중국을 대체할 국가로 베트남이 부상하면서 국가 성장의 원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 • 외국인 주식 투자 한도 폐지에 따른 자본시장 성장 기회와 안정적인 경제 성장률, 낮은 가격이 부각. TPP 수혜의 현실화는 2017 년 예상. 장기적 관점에서 매력적 • 중국 헬스케어 지출은 2013 년 기준 GDP 대비 5.6%에 불과. 이는 1 인당 GDP 규모가 비슷한 브라질의 9.7%를 크게 하회 • 중국 고령화 속도와 소득 향상, 사회보장 수준 확대로 헬스케어 지출의 빠른 증가 예상. 다만 높은 밸류에이션은 부담 • 미국 주택경기 호조로 북미 목재수요 증가. 북미 목재 벌목 단가는 하락 중으로 목재 가공업에는 호재 • 이머징 시장 고급 목재 수요 증가로 Hard Wood 가공업 수혜. 브라질 등 상위업체는 달러 강세로 경쟁력 강화 • 미국 시간당 임금 증가하는 가운데, 유가 하락과 모기지 금리 안정으로 가처분소득 증가 전망 • 전미소매업협회(NRF), 올해 연말 소비 시즌 매출액 증가율 3.7%로 전망하며 소비시즌 기대감 고조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대표 ETF 티커 DXJ(미국)
RSX(미국) EUSC (미국)
VNM(미국)
83132(홍콩)
CUT(미국)
XLY(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