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217 [투자전략] fomc 이후 투자전략

Page 1

FOMC 이후 투자전략 업종별로 차별적 접근 시각 유지 타겟 금리 범위, 범위, 기존 0~0.25%에서 0~0.25%에서 0.25~0.5%로 0.25~0.5%로 인상. 인상. 또한 향후 완만한 금리인상 밝혀 Issue Comment 2015.12.17

[투자전략] 한요섭 02-768-4183 yoseop.han@dwsec.com 고승희 02-768-4071 seunghee.ko@dwsec.com

연방기금금리 수준의 정상화가 잘 진행될 때까지 만기 채권 재투자 유지 결정 16년 16년 경제전망 관련 중간값은 GDP 성장률 9월 2.3%에서 2.3%에서 2.4%로 2.4%로, 실업률 4.8%에서 4.8%에서 4.7%로 4.7%로, PCE 물가 1.7%에서 1.7%에서 1.6%로 1.6%로 수정. 수정. 성장률과 실업률은 낙관적으로, 낙관적으로, 물가는 보수 적으로 전망 16년과 16년과 17년 17년 타겟 금리 중간값은 9월과 동일한 1.375%와 1.375%와 2.375%로 2.375%로 연준 위원들 내년 4 차례 금리인상 예상 Dollar index는 index는 소폭 상승, 상승, 美 금리 상승, 상승, 美 주가 상승폭 키우며 마감 불확실성 해소로 인한 주가 반등, 반등, 기존 박스권 내 반등으로 접근 필요 업종별 주가 차별화 심화될 전망 금리인상에 따른 긍정적 영향 및 업황 호전이 기대되는 업종 중심으로 접근 필요

[Summary] 9년 반 만에 시작된

통화정책 정상화

06년 6월 이후 9년 반 만에 Fed가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Fed의 통화정책 정상화(Policy

Normalization) 과정은 금리만 인상하는 것이 아니다. 08년부터 14년까지 진행된 양적완화(QE) 를 통해 Fed가 보유하고 있는 채권 중에서 만기 채권 재투자 중단을 통한 유동성 회수를 동반할 것이라는 점에서 결코 가볍게 볼 사안이 아니다. 다행스럽게도 이번 회의에서는 연방기금금리 수 준의 정상화가 잘 진행될 때까지 만기 채권 재투자를 유지한다고 밝혔지만, 앞으로 FOMC 회의 때마다 중단 시기에 대한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될 전망이다.

과거

금리인상 시기에 비해 글로벌 경제상황 좋지 못해

경기 호전과 인플레 압력 상승으로 미국이 금리를 올렸던 과거 사례와 달리, 현재는 글로벌 경기 상황이 좋지 않다. 글로벌 공급과잉 문제로 국제 원자재 가격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공급과 잉의 주범인 중국은 물론이고 원자재 수출비중이 높은 신흥국 경제는 한치 앞도 내다보기 어렵 다. 신용 스프레드 상승은 미국의 에너지 기업뿐만 아니라, 전세계 한계기업들의 숨통을 조여오고 있다. 한계기업들의 구조조정은 글로벌 공급과잉 문제를 해소시켜 장기적인 시각에서 볼 때 세계 경제에 긍정적이지만, 그 과정 속에서 금융시장은 요동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불확실성 해소로 인한 주가 반등, 기존 박스권 내 반등으로 접근 필요 FOMC 회의를 앞두고 불안심리 증폭으로 잔뜩 움츠려 들었던 주식시장은

금리인상 불확실성

해소와 향후 Fed의 완만한 금리인상 천명으로 단기 급반등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통화정

책 정상화 과정이 이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과도한 낙관론보다는 박스권 내에서의 반등의 성격 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