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108 [투자전략] 위안화 환율 절하와 향후 금융시장 전망

Page 1

이슈 코멘트 2016.1.8

위안화 환율 절하와 향후 금융시장 전망

[담당업종]

연말까지 '원- 위안' 동반 약세 예상, 연말 위안/달러 6.90위안, 원/달러 1,260원 전망

한요섭 02-768-4183 yoseop.han@dwsec.com

중국 증시는 정부개입으로 급락세 진정 가능, 그러나 높은 변동성은 피하기 어려울 듯, 상 해종합지수 3,100 ~3,400p 밴드 전망

서대일 02-768-3069 Daeil.suh@dwsec.com

2015년 중국 쇼크 발생으로 기록한 국내 증시의 밸류에이션 저점 고려 시, KOSPI 1차 지 지선은 1,885p

최홍매 02-768-3439 hongmei.cui@dwsec.com

그러나 미국 금리인상 지속과 글로벌 한계기업들의 연쇄부도로 시스템 리스크 발생 시, 지 난 2011년 남유럽 국가 재정위기와 미국의 국가신용등급 강등 당시 기록한 밸류에이션 저 점 수준인 1,700p까지도 하락할 가능성 배제할 수 없어

과거 위안화 절하 시, 업황호전 업종이 시장 수익률 상회. 화학과 전기차 관련주, 건강관 리, 화장품 등 업황호전과 함께 향후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업종 중심으로 종목 압축 필요

고승희 02-768-4071 seunghee.ko@dwsec.com

표 1. 향후 전망 요약 향후 전망

환율

-

중국 경기둔화세 지속과 자본유출로 위안화 약세 장기화 불가피 중국의 추가적인 금융완화 정책은 위안화 약세 기대 높일 전망 한국 경제는 저성장 지속과 수출 부진으로 경기 하강위험 증가 원화는 위안화 약세에 동조화될 전망 2016 년말 위안/달러 6.90 위안, 원/달러 1,260 원 전망

중국 증시

- 중국 증시는 위안화 절하, 실물지표 둔화, 대주주 매각제한 해제 우려, 서킷 브레이커 실행 등으로 하락 - 서킷 브레이커 제도는 기존의 증시 제도와 상충되면서 폭락세를 부추김 - 증감회는 대주주 지분 매각을 부분적으로 제한. 또한 유동성 공급과 서킷 브레이커 재검토 등 개입을 시작 - 정부 개입으로 중국 증시의 단기 급락세는 진정 가능. 하지만 변동성 확대는 지속될 전망 - 상해종합지수의 PER 는 최근 증시 하락으로 역사적 평균 하회. 추가 하락보다는 기술적인 반등 예상 - 중국 증시의 향후 예상 밴드는 3,100~3,400p

한국 증시

- 연말과 연초 글로벌 경기상황은 지난해 8 월 중국 쇼크 발생 당시보다 악화되는 모습 - 미국과 유로존, 중국의 소비지출 호조에도 불구하고 재고과잉으로 제조업 경기회복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고리가 작동하지 않고 있는 것이 문제 - 미국 제조업 경기도 최근 수축국면으로 진입 - 글로벌 복합위기 이후 대외변수 쇼크 발생으로 KOSPI 가 크게 하락한 2011 년과 2015 년의 밸류에이션 저점을 고려 시, KOSPI 는 각각 1,700p 와 1,885p 까지 하락 가능 - 단기적인 1 차 지지선으로는 현재와 동일한 이슈인 위안화 절하와 중국 증시 급락, 중국 경기 둔화 우려로 급락했던 2015 년 당시의 밸류에이션 저점 수준을 고려한 1,885p 제시 - 그러나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과정 속에서 글로벌 공급과잉 지속과 경기둔화, 이로 인한 전세계 한계기업들의 연쇄 부도 리스크 점증과 글로벌 금융시장 경색 가능성을 고려할 때, 올해 내 1,700p 까지도 하락할 수 있다는 기존 시각 유지 - 과거 위안화 절하 시, 업황호전 업종이 시장 수익률 상회. 화학과 전기차 관련주, 건강관리, 화장품 등 업황호전과 함께 향후 성장 기대감이 높은 업종 중심으로 종목 압축 필요

자료: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