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코닉스
(053450)
달리는 차에 올라타자
매출액 예상치 상회 vs. 영업이익 예상치 하회
전자부품
세코닉스는 1Q16 매출액 784억원(+28% YoY, +18% QoQ), 영업이익 58억원(+36% Results Comment 2016.5.11
YoY, +1,829% QoQ, 영업이익률 7.4%)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당사 예상치 및 컨센서스를 상회했다. 2015년 4분기에 이어 또 한번 금형에서 큰 폭의 일회성 매출이 발생했다. 특이한 점은 동사의 금형 일회성 매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향후 이러한 추세가
매수
(Maintain)
지속된다면 이는 일회성이 아닌 동사의 주요 사업 중 하나로 감안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목표주가(원,12M)
22,000
기존 주요 사업에서는 스마트폰 렌즈 출하 증가가 전체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 동사는 삼성
현재주가(16/05/10,원)
17,600
효과가 가장 컸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출시 이후 삼성전자 갤럭시S7의 실제 판매량이
25%
상승여력
전자와 LG전자에 스마트폰 카메라 렌즈를 납품 중이다. 우선 고객사들의 신제품 조기 출시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LG전자 G5의 듀얼 카메라 채택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1Q16 매출액은 서프라이즈를 보였으나 영업이익률은 당사의 기존 예상(7.9%) 보다 저조했
영업이익(16F,십억원) Consensus 영업이익(16F,십억원)
21 24
EPS 성장률(16F,%) MKT EPS 성장률(16F,%) P/E(16F,x) MKT P/E(16F,x) KOSDAQ
69.5 16.5 11.8 10.7 700.23
시가총액(십억원) 발행주식수(백만주) 유동주식비율(%) 외국인 보유비중(%) 베타(12M) 일간수익률 52주 최저가(원) 52주 최고가(원)
185 11 75.9 6.2 0.65 11,981 18,050
주가상승률(%) 주가상승률(%) 절대주가 상대주가 160
1개월 10.0 9.5
6개월 32.4 24.1
세코닉스
12개월 12개월 27.2 23.8
KOSDAQ
다. 가장 주요한 원인은 차량용 카메라 매출 성장으로 판단된다. 1Q16 차량용 카메라 매출 비중은 28% 수준에 달한다. 그러나 차량용 카메라는 아직 스마트폰 렌즈 대비 수량이 많지 않다. 또한 고객사별, 모델별로 사양이 다양해 생산 자동화가 쉽지 않다. 즉 ‘아직은’ 규모의 경제가 확보되지 않아 차량용 매출이 증가하면 전체 이익률은 감소하는 구조이다.
장기 성장 동력은 여전히 차량용 카메라 동사의 단기적인 모멘텀은 듀얼 카메라이다. 2016년 하반기 애플이 일부 프리미엄 모델에 듀얼 카메라를 채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 또한 듀얼 카메라를 준비 중이다. 이미 중국의 Huawei 등도 듀얼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다. 듀얼 카메라가 큰 트렌드가 된다면 렌 즈 수요는 전면 혹은 후면에 2배 이상 늘어나게 된다. 이는 동사에 직접적인 수혜이다. 최근 자동차에 탑재되는 카메라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미국은 2018년까지 신차에 후 방 카메라 탑재를 의무화할 계획이다. 또한 한국도 사이드 미러를 대체하는 ‘미러리스 카메 라’를 부착한 차량을 전면 허용하는 법규를 올해 12월 개정하기로 했다. 이처럼 스마트폰 이후 차량용 카메라 시장의 성장은 큰 트렌드이다. 동사가 단기적으로 규모의 경제를 확보 하기 전이기 때문에 이익률이 낮을 수 있으나 향후 성장성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2,000원’ 유지
140 120
예상보다 낮은 차량용 카메라 이익률을 반영하여 2016, 2017년 EPS 추정치를 각각 15%,
100
5% 하향했다. 그럼에도 목표주가를 유지하는 근거는 글로벌 경쟁사인 Largan 대비 동사가 디스카운트를 받는 것이 더는 타당하지 않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80 15.5
15.9
[IT 중소형] 장준호 02-768-3241 joonho.jang@dwsec.com
16.1
16.5
Largan이 절대적인 강자이다. 그러나 스마트폰 시장 성숙기 이후 향후 자동차 시장에서 동 사의 성장성을 감안하면 Largan의 P/E 13.5배 적용은 적정한 수준이라고 판단된다. 결산기 (12월) 매출액 (십억원) 영업이익 (십억원) 영업이익률 (%) 순이익 (십억원) EPS (원) ROE (%) P/E (배) P/B (배)
12/13 215 26 12.1 20 2,130 20.8 8.6 1.6
12/14 217 18 8.3 14 1,463 12.3 9.1 1.1
주: K-IFRS 연결 기준, 순이익은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 자료: 세코닉스,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
12/15 245 13 5.3 9 879 7.1 18.5 1.3
12/16F 297 21 7.1 16 1,490 11.4 11.8 1.3
12/17F 328 27 8.2 20 1,944 13.4 9.1 1.1
12/18F 377 33 8.8 25 2,347 14.2 7.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