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 우리집이 살아있다
투자의견 (Maintain) Industry Report 2016.9.30
[스몰캡비즈니스]
사물인터넷이란 사물인터넷은 센서와 인터넷을 통해 사물 스스로 데이터를 얻고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받 는 기술이나 환경을 일컫는다. 궁극적인 사물인터넷은 사람의 조작 없이도 사물 사이의 학 습 및 정보화 과정을 통해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환경이다. 반면 현재 상용화하고 있는 사 물인터넷은 협의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주로 모바일 기기를 이용, 사람의 개입을 통해 정보를 가공하거나 제어한다.
서승우 02-768-3080 seungwoo.seo@miraeasset.com
다양한 서비스로 신성장 산업을 파생
오탁근 02-768-3047 takkun.oh@miraeasset.com
리하고 있다. 그 가운데 통신 주체의 확대는 향후 동종 및 이종 산업 기술의 상호 작용에 대
추연환 02-768-3002 yeonhwan.choo@miraeasset.com 성현동 02-768-3066 hyundong.sung@miraeasset.com
ICT 접목을 통한 기술 고도화와 함께 다양한 산업이 서로 융복합되어 신성장 산업으로 자 한 효율성을 크게 개선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융복합 산업 시대에 사물인터넷 서비 스는 보다 빠르고 광범위하게 나타날 전망이다. 초기 시장은 지능형 빌딩 및 운송 시스템(각각 IBS[Intelligent Building System],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스마트홈, 커넥티드카, 스마트그리드, 스마트헬스케어 등의 산업 군에서 제한적인 서비스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확장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이 진행 중이다. 사물인터넷 인프라 확대에 따라 서비스도 더욱 다양화될 것으로 보인다.
인프라는 대기업, 서비스는 중소기업이 주도할 전망 사물인터넷 환경 하에서 인프라 구축 이후에 성장 가능한 서비스 산업을 정리하고자 한다. 당 보고서는 본문의 [그림 5] 가치사슬의 네트워크 이후 단계 산업을 논하며 대부분의 수혜 주는 앞으로 급성장이 예상되는 플랫폼/솔루션 및 서비스 공급자 시장에 위치해 있다. 상기한 시장은 신시장으로써 사업 성장의 가능성이 큰 기회요인과 함께 다수의 중소형 경쟁 기업이 참여하는 위험요인을 동시에 가지는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각 시장에 선진입하여 시장 지위를 확보하고 관련 기술을 고도화 중인 기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사물인터넷 시장 내에서도 특히 높은 사업 비중 및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 로 예상되는 스마트홈과 최근 정부의 에너지 관리 이슈로 급부상 중인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대한 수혜주를 알아본다. 사물인터넷(IoT) 사물인터넷(IoT) 제공 가치: 가치: 기업은 고객이 절감한 비용 일부를 수익으로 창출
자료: 엔텔스, 미래에셋대우 투자정보지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