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분석
2014.10.1 [경제] 서대일 02-768-3069
daeil.suh@dwsec.com
[한국경제] 방향은 보여도 속도는 글쎄 8월 생산 급락 일시적, 모멘텀 회복은 통화정책 더해져야! 3분기 한국 경제는 2분기 부진에서 완만하게 벗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8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및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상승세를 지속했다. 10월 제조업 및 비제조업 업황전망 BSI도 일제히 상승했다. 9월 소비자심리지수 역시 개선세를 유지했다. 그러나 뚜렷해지고 있는 방향성이 활력을 담보하지는 못하고 있다. 회복 속도는 부진하 고 민간 부문의 활력도 아직 취약하다.
특히 8월 전산업생산은 예상 보다 크게 부진했으며 정부부문이 방어적 역할을 했다. 9월 생산은 일시적인 요인들이 해소되면서 빠르게 반등할 것이다. 그러나 제조업 가동 률은 74% 수준으로 개선되더라도 정상수준 80%와 80%와 당분간 괴리 차를 좁히기는 쉽지 않다. 않다. 3분기 중 강해지고 있는 정부 수요의 영향력도 4분기 약해질 것이다. 정부는 8월까지
69.9%의 집행실적을 나타내고 있다. 연초 이후 정부의 월평균 예산 집행 비중이 연간 예산의 8.7% 수준이었다면 향후 4달은 평균 7.5% 수준으로 줄어들게 된다. 달러 표시 수출이 그럭저럭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지만 원화 환산 수출 증가율은 둔화될 것으로 보여 기업의 수익성이 다소 둔화될 위험도 지속될 것이다. 상반기 수출 증
가를 주도했던 유럽 수요 회복이 지연되고 있는 것도 수출 증가에 부정적 요인이다. 따라서 정부의 재정지출 공백을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으로 메우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10 월 추가 금리인하가 단행될 것으로 예상한다. 당분간 금리 상승 기대를 회복하기 쉽지 않을 전망이다.
경기 방향은 우상향으로 선회 중 (P)
제조업 업황전망 BSI (L)
110
비제조업 업황전망 BSI (L)
(P) 106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R) 100
104
90
102
80
100
70
98
60
96
50
94
92
40 06
07
08
자료: 통계청, KDB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09
10
11
12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