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서비스 (비중확대/Maintain)
주파수 경매, 과열 없이 실속 있게 조기 종료 4월 29일 29일 시작된 이동통신용 주파수 경매, 경매, 2일 2일차 만에 조기 종료 5개 블록 중 4개 낙찰, 낙찰, D 블록 외에는 모두 최저가로 낙찰되어 과열은 없었음 Issue Comment 2016.5.3
SK텔레콤이 SK텔레콤이 최저 단가에 최대 대역 폭 확보한 것으로 추정, 추정, KT와 KT와 LG유플러스도 LG유플러스도 기존 LTE 용 주파수의 인접 대역을 각각 최저 경쟁가에 낙찰 받은 점 부각 주파수 경매 관련 불확실성 조기 해소 긍정적, 긍정적, 통신서비스 업종 ‘비중확대’ 비중확대’ 의견 제시
[통신서비스 / 미디어] 문지현 02-768-3615 jeehyun.moon@dwsec.com 하누리 02-768-4130 nuri.ha@dwsec.com
이동통신용 주파수 경매, 통신 3사 모두 만족할 만한 결과 4월 29일부터 미래부 주최로 시작된 이동통신용 주파수 경매는 2일차, 총 8개 라운드 만에 조기 종료되었다. 과거 주파수 경매 사례보다 빠른 시일 내에 과열 없이 결과가 나왔다. 투자 관련 불 확실성이 해소되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통신서비스 업종에 대한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한다. 총 5개의 블록 중, A를 제외한 4개가 통신 3사에 각각 낙찰되었다. A 블록: 블록: 유찰되었다. 광대역이 나, 700MHz에 호환되는 통신 장비의 부족으로 인해 기업들의 관심이 적었던 상황으로 파악된다. B 블록: 블록: KT가 최저가에 낙찰 받았다. 20MHz 폭으로 협대역으로 분류되지만, KT가 기존에 LTE
용도로 이용 중이던 1.8GHz 대역에 인접해 있어 광대역(55MHz 폭)을 조성할 수 있다. C 블록: 블록: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가 최저가에 낙찰 받았다. 역시 20MHz 폭으로 협대역으로 분류되나, LG유플
러스가 기존 LTE 용도로 이용 중인 2.1GHz 대역에 인접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40MHz 폭의 광대역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SK텔레콤과 KT가 2.1GHz에서 각각 재할당 받는 40MHz 대역 폭의 대가에 연동되는 C 블록의 경매 결과가 최저가인 점도 긍정적인 부분이다. D와 E 블록: 블록: SK텔레콤 SK텔레콤이 낙찰 받았다. D 블록은 최저가 대비 45% 상승한 가격이나, E는 최저가에
낙찰 받았다. 가장 많은 60MHz의 대역 폭을 가장 낮은 단가에 신규 확보한 것으로 추정된다. 표 1. 2016년 2016년 이동통신용 주파수 경매 최종 결과
(십억원, %)
블록
A
B
C
D
E
합산
대역 대역폭
700MHz 40MHz
1.8GHz 20MHz
2.1GHz 20MHz
2.6GHz 40MHz
2.6GHz 20MHz
140MHz
최저 경쟁가격
762.0
최종 낙찰가격 낙찰가격 최종 낙찰자
유찰
451.3
381.6
655.3
327.7
2,577.9 2,110.6
451.3
381.6
950.0
327.7
KT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SK텔레콤 SK텔레콤
SK텔레콤 SK텔레콤
주: C 블록은 5년 이용기간 기준, 그 외 10년 이용기간 기준 가격, 전 라운드 승자의 입찰액보다 최소 증분 0.75%, 40분 이내 제출 증감률은 최저 경쟁가격 대비 기준, 자료: 미래창조과학부, 언론 종합,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
그림 1. 이동통신용 주파수 경매 블록 구조도: 구조도: B는 B는 KT, C는 C는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유플러스, D와 D와 E는 SK텔레콤에 SK텔레콤에 낙찰
주: 2.1GHz의 경매 대역은 낙찰 받은 LG유플러스의 기존 주파수 옆으로 조정 자료: 미래부, 언론 종합,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
통신서비스 주파수 경매, 과열 없이 실속 있게 조기 종료
SK텔레콤 최저 단가/최대 폭, KT는 최저가 낙찰, LG유플러스는 최소액 지출 이번 주파수 경매 결과를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SK텔레콤 SK텔레콤 입장에서 긍정적인 측면은 1MHz당 낙찰 단가가 가장 낮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점, 신규로 확보한 대역 폭이 60MHz로 가장 넓다는 점, 2.1GHz의 40MHz 폭 재할당 대가가 경매 최저가에 연동되었다는 점 등이다. 다만, 가장 많은 대역 폭을 확보한 만큼 소요되는 금액도 약 1.8조원으로 가장 많을 전망이다. KT 입장에서 긍정적인 부분은 경매 최저가로 인접 대역을 확보했다는 점, 2.1GHz의 40MHz 폭
재할당 대가도 최저가에 연동되었다는 점 등이다. 다만 LTE 가입자 수에 비해 LTE 용도의 주파 수 보유 대역 폭이 경쟁사 대비 적다는 점이 아쉬운 부분이다.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의 긍정적인 부분은 이번 주파수 경매에서 3사 가운데 가장 적은 3,816억원의 금액을 지출한다는 점이다. 다만 주파수 1MHz당 낙찰 단가는 3사 중 가장 높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표 2. 2016년 2016년 이동통신용 주파수 경매 낙찰 및 재할당 추정 결과 종합 분석 항목 경매 결과
(각 단위는 항목 옆 표기 참조)
SK텔레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3사 합산 낙찰 총량
낙찰 금액 (십억원) 십억원) 낙찰 블록
1,277.7 D, E
451.3 B
381.6 C
2,110.6
낙찰 대역
2.6GHz
1.8GHz
2.1GHz
낙찰 대역 폭 (MHz)
60
20
20
이용 기간 (년)
10
10
5
983.0 294.7 30.0
451.3 0.0 0.0
381.6 0.0 0.0
10.6 11.3 기존 이용 중이던 LTE 전세계에서 LTE 용도 채택 증가 중인 대역, 용도 주파수와 인접 대역, 장비 확보 용이. 보증금 보증금 납부 후 납부 후 즉시 이용 가능. 즉시 이용 가능. 망 구축 의무 4년차 망 구축 의무 4년차 40% D 65%/E 40%, 일부 면제 2.6GHz에서 60MHz 1.8GHz에서 55MHz LTE 초광대역 신규 확보 초광대역 조성 가능
19.1 기존 이용 중이던 LTE 용도 주파수와 인접 대역, SKT가 반납한 이후인 연말부터 이용 가능. 망 구축 의무 4년차 65%
최저가 (십억원) 십억원) 최저가 대비 낙찰가 증분 (십억원) 최저가 대비 낙찰가 증감률 (%) 1MHz당 1MHz당 연간 낙찰 단가 추정 (십억원) 십억원)
낙찰 대역 특징
낙찰 이후 예상 효과
100
140
1,815.9 294.7 16.2
2,577.9
12.5 각 대역 금액은 90일 이내 1/4 현금 납부, 잔여금은 각 사용 기간 동안 균등 분납
2.1GHz에서 40MHz 광대역 조성 가능
주파수는 현금 지급 이후 무형자산 인식
(해당 없음) 없음)
1,091.2
재할당 추정 2.1GHz 재할당 대가 추정 (십억원) 십억원) - 정부 산정 매출액 3% 수준 (십억원)
545.6 164.0
545.6 164.0
- 2.1GHz C블록 경매가 수준 (십억원)
381.6
381.6
40
40
5
5
1,823.3 100 11.8
996.9 60 12.9
381.6 20 19.1
3,201.8 180 13.0
LTE 가입자 수 (16년 3월말, 백만명) LTE 가입자당 주파수 제공 가능 대역 폭 (Hz)
19.5
18.2
10.2
47.9
7.9
5.8
9.8
7.5
LTE 용도 주파수 보유량 (MHz)
155
105
100
360
총 주파수 보유량 (WiBro 제외, MHz)
185
125
120
430
재할당 대역 폭 (MHz) 이용 기간 (년) 종합 결과 추정 (경매 낙찰 + 재할당) 재할당) 십억원)) 주파수 총 소요 금액 추정 (십억원 지불 대역 폭 (MHz) 1MHz당 연간 소요 단가 추정 (십억원)
80
주: 재할당 대가는 확정 이전으로서 추정치에 해당, 1MHz 주파수 대역폭 당 단가는 이용기간 5년 환산 기준, SK텔레콤은 D와 E를 동시에 낙찰 받음에 따라 E 블록에 대한 투자 의무사항은 면제되는 대신, E 블록의 1/2 의무량을 D에 투자하도록 함 자료: 미래부, 각 사, 언론 종합,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
2
Mirae Asset Daewoo Research
정부 경매 대상 총량
약 2.1조원의 재원 확보
통신서비스 주파수 경매, 과열 없이 실속 있게 조기 종료
주파수 경매 기간 종료로 불확실성 해소 과거 주파수 경매 기간 시에는 대체로 경매 과열 가능성으로 인한 투자 부담 상승과 관련된 우려 감으로 주가가 조정되었던 적이 많다. 그러나 주파수 경매 기간이 종료된 이후에는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주가가 회복되는 패턴이 있다. 2016년 주파수 경매는 과열 없이 조기에 종료됨에 따라, 불확실성이 빠르게 해소되었다. KT와 LG유플러스는 최근 시장에 만족스러운 1분기 실적을 발표한 이후 주가가 이미 상승하는 추세였 다. SK텔레콤의 경우 1분기 실적에서 연결자회사의 비용 이슈가 부정적이기는 했으나, 이번 주파 수 경매에서 최저 단가에 최대 대역 폭을 확보한 결과가 주가에 긍정적으로 반영될 전망이다. 통신주 중에 SK텔레콤의 배당수익률이 4.8%로 가장 매력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SK텔레콤의 예 상 배당과 국고채 3년물 간의 수익률 격차는 과거 주파수 경매가 행해졌던 2013년 초기의 3.2%p, 올해 초의 3.0%p 대비해서도 높은 3.3%p 수준이다. SK텔레콤에 SK텔레콤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 매수’, 목 0,000원 표주가 280,000 원을 유지한다. KT와 LG유플러스의 올해 예상 배당수익률은 2.6% 수준으로서 국고채 3년물 금리 1.5% 대비 높다. KT에 KT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 매수’ 및 목표주가 37,000원 37,000원, LG유플러스에 LG유플러스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 매수’ 및 목표 주가 14,000원 14,000원을 유지한다. 그림 2. 2013년 2013년 주파수 경매 기간 주가 하락 후 대체로 회복
그림 3. 2016년 2016년 주파수 경매는 과열 없이 조기 종료, 종료, 주가 상승세
(13.8.1=100)
105
(16.4.1=100)
SK텔레콤
KT
106
LG유플러스
KT
주파수 경매 기간
LG유플러스
104
주파수 경매 기간
100
SK텔레콤
102
95
100 98
90 96
85 13.8.1
13.8.15
13.8.29
13.9.12
94 16.4.1
13.9.26
16.4.8
16.4.15
16.4.22
16.4.29
자료: Thomson Reuters,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
자료: Thomson Reuters,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
그림 4. 2013년보다 2013년보다 SK텔레콤 SK텔레콤 배당과 배당과 국고채 3년물 수익률 격차 확대
그림 5. SK텔레콤의 SK텔레콤의 배당수익률은 올해 초보다도 초보다도 높은 상황
(%, %p) 7 6
(%, %p)
SK텔레콤 배당수익률 KT 배당수익률 LG유플러스 배당수익률 국고채 3년물 수익률 SK텔레콤 배당과 국고채 3년물 수익률 격차
5.9
5
6
5
4.8
4.6
4.8 4
4 3
SK텔레콤 배당수익률 KT 배당수익률 LG유플러스 배당수익률 국고채 3년물 수익률 SK텔레콤 배당과 국고채 3년물 수익률 격차
3.3
3.2 2.8
3.3 3
3.0
2 1.5 1 0 13.1
2 1.6
13.7
14.1
14.7
15.1
15.7
16.1
주: 올해 예상 DPS SK텔레콤 10,000원, KT 800원, LG유플러스 290원 추정치 기준 자료: 한국은행, 각 사,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
1 16.1
1.5 16.2
16.3
16.4
16.5
주: 올해 예상 DPS SK텔레콤 10,000원, KT 800원, LG유플러스 290원 추정치 기준 자료: 한국은행, 각 사,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
Mirae Asset Daewoo Research
3
통신서비스 주파수 경매, 과열 없이 실속 있게 조기 종료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변동추이 종목명( 종목명(코드번호) 코드번호) SK텔레콤(017670)
제시일자 2016.04.29 2016.02.02 2015.07.31 2015.05.06 2014.10.01 2014.08.03 2014.05.01 2016.05.02 2016.01.31 2015.11.01 2015.08.02
KT(030200)
(원)
(원)
SK텔레콤
400,000
투자의견 매수 매수 매수 매수 매수 매수 매수 매수 매수 Trading Buy 매수
목표주가( 목표주가(원) 280,000원 300,000원 350,000원 360,000원 380,000원 310,000원 290,000원 37,000원 35,000원 35,000원 39,000원
제시일자 2015.01.20 2014.10.01 2014.05.01 2016.04.05 2016.02.01 2015.07.31 2015.04.28 2015.01.25 2014.10.01 2014.07.31 2014.04.29
LG유플러스(032640)
(원)
KT
투자의견 매수 매수 매수 매수 매수 매수 매수 매수 매수 매수 매수
목표주가( 목표주가(원) 40,000원 42,000원 40,000원 14,000원 13,000원 15,000원 14,000원 16,000원 15,000원 11,500원 13,000원
LG유플러스
20,000
50,000 40,000
300,000
종목명( 종목명(코드번호) 코드번호)
15,000
30,000 200,000
10,000 20,000
100,000
5,000
10,000
0
0 14.5
15.5
16.5
0 14.5
15.5
16.5
14.5
15.5
16.5
투자의견 분류 및 적용기준 기업 산업 매수 : 향후 12개월 기준 절대수익률 20% 이상의 초과수익 예상 비중확대: 향후 12개월 기준 업종지수상승률이 시장수익률 대비 높거나 상승 Trading Buy : 향후 12개월 기준 절대수익률 10% 이상의 초과수익 예상 중립 : 향후 12개월 기준 업종지수상승률이 시장수익률 수준 중립 : 향후 12개월 기준 절대수익률 -10~10% 이내의 등락이 예상 비중축소: 향후 12개월 기준 업종지수상승률이 시장수익률 대비 낮거나 악화 비중축소 : 향후 12개월 절대수익률 -10% 이상의 주가하락이 예상 매수(▲), Trading Buy(■), 중립(●), 비중축소(◆), 주가(─), 목표주가(▬), Not covered(■)
투자의견 비율 매수( 매수(매수) 매수) 68.29%
Trading Buy(매수 Buy(매수) 매수) 17.56%
중립( 중립(중립) 중립) 14.15%
비중축소( 비중축소(매도) 매도) 0.00%
* 2016년 3월 31일 기준으로 최근 1년간 금융투자상품에 대하여 공표한 최근일 투자등급의 비율 Compliance Notice -
당사는 자료 작성일 현재 조사분석 대상법인과 관련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없음을 확인합니다. 당사는 본 자료를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본 자료를 작성한 애널리스트는 자료작성일 현재 조사분석 대상법인의 금융투자상품 및 권리를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본 자료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애널리스트의 의견이 정확하게 반영되었음을 확인합니다.
본 조사분석자료는 당사의 리서치센터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은 것이나, 당사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종목 선택이나 투자시기에 대한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본 조사분석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조사분석자료의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있으므로 당사의 허락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4
Mirae Asset Daewoo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