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석] lg생명과학 (068870) 간판 품목에 의한 성장 확대

Page 1

LG생명과학

(068870)

간판 품목에 의한 성장 확대

국내 NDR 후기

제약

우리는 5월2일부터 4일까지 사흘간 국내 기관투자자 및 국내 소재 외국인 투자자 대상으로 NDR을 진행했다. 총 11개 기관과 미팅을 가졌다.

Company Report 2016.5.9

미팅을 진행한 투자자들은 1분기 실적 리뷰, 이브아르 필러(주름)의 중국 및 국내 상황, 자

매수

체 개발 신약 제미글로(당뇨)의 국내 및 해외 상황, 혼합백신 유펜타(디프테리아, 파상품, 백 일해, B형간염, 뇌수막염), 연구개발 현황 및 전망 등에 관심을 나타냈다.

목표주가(원,12M)

92,000

금번 NDR에서 동사는 이브아르의 중국 및 국내 매출 호조, 제미글로의 대웅제약 코프로모

현재주가(16/05/04,원)

67,300

션 효과, 유펜타의 수주 기대, 파이프라인의 개발 진전 등을 투자자들과 공유했다. 이브아르

(Maintain)

37%

상승여력

영업이익(16F,십억원) Consensus 영업이익(16F,십억원)

37 39

EPS 성장률(16F,%) MKT EPS 성장률(16F,%) P/E(16F,x) MKT P/E(16F,x) KOSPI

95.4 16.2 50.2 10.8 1,976.71

시가총액(십억원) 발행주식수(백만주) 유동주식비율(%) 외국인 보유비중(%) 베타(12M) 일간수익률 52주 최저가(원) 52주 최고가(원) 주가상승률(%) 주가상승률(%) 절대주가 상대주가 170

1,116 17 69.0 7.0 1.96 47,600 84,000 1개월 -4.5 -4.4

6개월 3.7 7.7

LG생명과학

12개월 12개월 28.2 38.3

KOSPI

는 중국에서 점유율 2위를 기록 중에 있다. 제미글로는 대웅제약과 국내 코프로모션 계약 체결 효과가 발생 중에 있고, 해외 수출이 개시될 것으로 보인다. 유펜타는 16년에 유니세 프 입찰 수주 및 매출 발생이 가능할 전망이다. 바이오시밀러, 심근경색 치료제 등의 임상 개발 진전이 예상된다. 금번 NDR을 통해, 우리는 동사의 이익 창출 능력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했다. 특히 이브아르 와 제미글로 군의 매출 증대가 가시성이 높아 보인다. 혼합백신 유펜타의 16년 매출 발생 본격화가 예상된다. 이러한 이브아르, 제미글로 군, 유펜타 등의 중장기 매출 호조는 동사의 외형 확대와 수익성 개선을 견인할 것으로 판단된다.

2분기 유펜타 수주 모멘텀 발생 전망 동사는 지난 20여년간 B형간염 백신을 유니세프에 납품해 오고 있다. 이러한 품질 관리 능 력 등이 어필이 되어, 5가 혼합백신 입찰에서 소정의 물량을 수주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 다. 2분기에 유니세프 1차 입찰에 대한 결과 발표가 예상되고, 우리는 동사가 일부 물량 수 주에 성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1차 입찰은 17년 물량의 80%, 18년 물량의 80% 등에 대한 것이다. 연간 입찰 물량은 1.5억 도스 정도이고, 도스당 가격은 과거 2달러 수준이었다. 유펜타의 매출액이 16년, 17년에 각각 200억 원, 5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16년 매출분은 유니세프의 스팟물량에 대한 것으로 예상한다. 유펜타의 매출 본격화는 외형 성장 및 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한다.

150 130

차선호주 추천

110

우리는 동사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92,000원을 유지하고, 제약 차선호주로 추천

90 70 15.4

15.8

[헬스케어] 김현태 02-768-3251 hyuntae.kim@dwsec.com 김승민 02-768-4157 sm.kim@dwsec.com

15.12

16.4

한다. 주력 제품의 매출 확대에 따른 이익 개선이 예상되고, 자체 개발 제품의 해외 진출 확 대에 따른 중장기 펀더멘털 강화가 가능해 보이기 때문이다. Summary body 결산기 (12월) 매출액 (십억원) 영업이익 (십억원) 영업이익률 (%) 순이익 (십억원) EPS (원) ROE (%) P/E (배) P/B (배)

12/13 417 14 3.4 3 194 1.3 209.3 2.7

12/14 426 16 3.8 -2 -125 -0.8 2.4

주: K-IFRS 연결 기준, 순이익은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 자료: LG생명과학,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

12/15 451 25 5.5 12 686 4.6 88.4 4.0

12/16F 514 37 7.2 23 1,339 8.4 50.2 4.0

12/17F 570 46 8.1 27 1,612 9.2 41.7 3.7

12/18F 648 59 9.1 34 1,993 10.3 33.8 3.3


LG생명과학 간판 품목에 의한 성장 확대

국내 NDR 후기 우리는 5월 2일부터 4일까지 사흘간 11개 국내 기관투자자 및 국내 소재 외국인 투자자와 NDR을 진행했다. 이번 NDR을 통해 LG생명과학의 영업 현황과 향후 전망, 파이프라인에 대한 업데이트 등 이 공개 되었고, 투자자들과 다양한 질의 응답 기회를 가졌다. 주요 질문과 대답은 아래와 같다.

질문 : 1분기 이익 개선 이유 및 향후 전망 1분기 상당한 이익 발생은 일회성 마일스톤 유입 때문이다. 제미글로 군(당뇨)에 대한 대웅제약과의 코프로모션 계약 체결에 따른 마일스톤 150억 원이 유입됐다. 일회성 마일스톤을 제외해도, 21억 원 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대비 흑자전환이고, 제품 믹스 개선에 의한 수익성 개선 때문이다. 정밀화학은 분기별로 실적 변동성이 큰 편이다. 농약 원재, 의약 원료의약품 등이 해당한다. 이들은 위탁계약 생산 품목(CMO)들이어서 파트너사들 스케줄에 따라 변동성이 확대되는 구조다. 이번 1분 기 개선은 기저효과 때문이다. 정밀화학 사업부는 정상화가 되어가는 중으로 보인다. 주력 품목인 이브아르, 제미글로 군 등이 매출 호조를 보이고 있다. 향후에도 주력 제품이 분기 실적 을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질문 : 이브아르의 중국 및 국내 영업 현황 중국 필러 시장은 2,000억 원 규모로 추정된다. 현재 중국 시장은 1선 도시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 어 있어, 향후 확장성이 높아 보여 향후 3년간 연평균 30% 정도 성장할 전망이다. 경쟁 브랜드는 9 개로 파악된다. 외사 4개 브랜드, 나머지 로컬 브랜드. 중국인들은 아직 로컬 보다 해외 브랜드를 선 호한다. 샘플 물량 제외 판매량 기준, 1위 브랜드는 레스티렌이고, 2위는 이브아르로 파악하고 있다. 중국 파트너사 화동닝보이고, 이브아르 2개 제품을 판매 중이다. 최근 리도카인 함유 제품 2가지에 대해 중국 내 품목 허가를 받았다. 리도카인 함유 제품으로는 최초이다. 16년 하반기 리도카인 함유 제품 출시가 예상된다. 중국 허가 당국의 규제가 까다로워 지고 있다. 제품 허가 받는 것 자체가 진입 장벽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브아르는 우리나라 포함 총 21개국에서 판매 중이다. 해마다 수출 국가 6~7개국 증가하고 있다. 16년에도 7개국이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시장은 900억 원 규모로 추정된다. 이브아르는 판매 수량 기준으로 1위이고, 매출액 기준으로 2위이다. 매출액 1위는 레스티렌. 수량 기준 이브아르의 점유율은 34~35% 정도다. 국내는 경쟁이 치열한 상황으로 포화 상태다. 이에 국내 시장 성장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이브아르는 국 내에서도 성장 중에 있다. 16년 하반기에 물광 필러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이브아르의 국내외 선전은 브랜드 파워 때문이다. 출시 초기에는 레스티렌과 가격 경쟁이 주 포인트 이었지만, 현재는 오랜 기간 시술 사용에 따른 의사의 브랜드 신뢰 상승이 큰 부분으로 판단된다. 동사는 국내 유일하게 원재료와 완제품을 생산하는 수직 계열화된 업체이다. 원재료 히알루론산을 제 조하는 국내 필러 메이커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국내 경쟁사들은 원재료를 중국 회사, 일본 회사 등 으로부터 조달해 완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현재 생산 공장의 캐파는 연매출 600억 원 수준이다. 보톡스와 같은 보툴리눔 독소 제품을 개발할 계획이 없다. 보툴리눔 독소 제품과 필러의 시너지는 확 인되지 않고 있다. 이브아르는 보툴리눔 독소 제품 없이도 계속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2

Mirae Asset Daewoo Research


LG생명과학 간판 품목에 의한 성장 확대

질문 : 제미글로의 국내 및 해외 영업 현황 제미글로군(당뇨)에 대해 대웅제약과 코프로모션 계약을 체결했다. 마일스톤 150억 원을 1분기에 인 식했다. 대웅제약과 코프로모션 계약 효과가 1분기에 바로 나타나서, 매출액 104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분기 100억 매출을 처음으로 넘어선 것이다. 대웅제약 코프로모션 판매 효과로 16년 제미글로 군의 매출액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매출 확대가 되면, 수익성도 개선 될 전망이다. 16년부터 제미글로의 해외 수출이 시작될 전망이다. 15년에 허가를 받은 국가들에서 제품 판매가 개 시될 예정이다. 현지 판매에 따른 러닝 로열티를 매출액으로 인식하는 구조다. 16년 매출액은 크게 기대되지 않는다. 향후 기타 이머징 국가에서 허가를 받으면, 파트너사인 사노피 및 스텐달사로부터 마일스톤을 받는 구조다.

질문 : 혼합백신 유펜타 상황 유펜타는 입찰 시장을 목표로 한다. 입찰 시장에는 유니세프, 파호, 일부 이머징 국가 등이다. 동사는 유니세프 입찰에 참여한다. 17년~19년 정규 물량에 대한 입찰이 3라운드까지 있을 예정이다. 1차는 열려서 참여했고, 결과는 16년 상반기 내로 나올 것으로 보인다. 2차 라운드는 16년 하반기에 열릴 것으로 보이고, 3차는 18년에 열릴 것으로 추정된다. 1차 라운드는 17년과 18년 필요 물량의 각 80%가 풀리고, 2차 라운드는 17년과 18년 잔여 물량과 19년 20%가 풀리며, 3차 라운드는 19년 80% 물량이 풀릴 것으로 보인다. 유니세프 입찰 단가는 점점 낮아지고 있다. 입찰 규모는 전체 4억 불 정도다. 입찰 참여 가능 기업은 동사 포함 6개 기업이다. 4개는 인도 회사 이고, 1개 회사는 인도네시아 회사다. 인도 회사 2군데는 품질 이슈로 WHO 인증이 취소되었던 적이 있다. 유니세프 입찰에서 목표 점유율은 20~25% 수준이다. 16년에는 유니세프 스팟물량에 대한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유니세프 납품 일정에 따라 매출인식 시점이 결정되는 구조다.

그림 1. UNICEF 5가백신 5가백신 조달물량 및 예측치. 예측치. 물량은 지속 증가, 증가, 반면 가격은 하락 추세

자료: UNICEF,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

Mirae Asset Daewoo Research

3


LG생명과학 간판 품목에 의한 성장 확대

그림 2. UNICEF 5가백신 5가백신 예상 수요 및 확정 물량. 물량. 15~16년 15~16년 확정 물량이 수요 대비 부족. 부족. 입찰 추가 가능성 존재 (백만도즈)

예상수요

250

확정물량

200

150

100

50

0 2013

2014

2015

2016

자료: UNICEF,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

표 1. UNICEF 5가백신 5가백신 장기 공급계약 1도즈당 가격 추이. 추이. 최근 인도 3개사가 주도적으로 본 입찰 시장 선도 중 Vaccine

Manufacturer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35

2.35

2.30

2.25

2.80 3.20

1.95 2.70

2.40 2.60

2.35

2.35

2.50

2.60

2.70

2.25

2.25

2.95

2.95

2.95

1.97

1.96

1.95

1.94

1.19

1.19

1.19

1.15

1.94

1.94

Biological E (India) 3.60

3.60

2.80

2.80 3.20

PanaceaBiotec (India)

3.60

3.60

2.97

2.97

ShanthaBiotechnics (India)

2.90

2.70

2.70

BernaBiotech (Republic of Korea) 1 dose /liquide

3.63

3.75

2.25

Serum Institute of India

2.50

GalxoSmithKline (Belgium)

3.50

3.25

3.10

3.65

2 dose /lyophilised LG Life Sciences (Republic of Korea)

3.60

3.60

3.50 3.60

3.50

3.50

Serum Institute of India

2.95

2.25

2.95

2.25 1.60

Biological E (India) 10 dose /liquid

1.80

Biological E (India)

1.94

Serum Instritute of India

1.75

1.75

1.85

1.95

1.55

1.50

2.10

2.10

2.10

2.10

1.71

1.66

10 dose Biological E (India) /lyophilised

1.80

자료: UNICEF,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

질문 : 파이프라인 현황 연구개발에 있어 집중하고 있는 것은 백신이다. 현재는 입찰 시장용 백신을 개발 중에 있지만, 궁극 적으로 선진국 경쟁 시장에 진출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LC280126은 화학 물질로 심근경색에 대해 전기임상2상 중에 있다. 결과는 17년 초 정도 예상된다. 결과에 따라 사업 진행 방향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제미스타틴은 제미글립틴(당뇨)와 스타틴(고지혈증)의 복합제다. 이런 복합제는 최초이다. 임상3상 개 발 중에 있고, 17년에 출시 계획이다. 국내와 이머징 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16년 연구개발 비용은 850억 원 정도를 계획하고 있다. 하지만 비용 인식은 전년 수준인 650억 원 수준 정도로 예상된다. 나머지는 자산으로 쌓이게 될 것으로 보인다.

4

Mirae Asset Daewoo Research


LG생명과학 간판 품목에 의한 성장 확대

실적 추정 및 밸류에이션 차트 표 2. 분기 실적 전망

(십억원, %, 원)

구분 매출액 YoY 의약 정밀화학

1Q15 83.7 -6.0 75.2 8.5

2Q15 103.6 4.9 89.0 14.6

3Q15 127.1 18.9 106.4 20.7

4Q15 136.2 4.0 117.9 18.3

1Q16P 1Q16P 119.8 43.2 107.4 12.4

2Q16F 2Q16F 115.9 11.9 102.7 13.3

3Q16F 3Q16F 134.9 6.1 112.3 22.6

4Q16F 4Q16F 143.3 5.2 126.6 16.6

2015 450.5 5.9 388.4 62.1

2016F 2016F 513.9 14.1 449.0 64.9

2017F 2017F 570.4 11.0 507.0 63.4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YoY

-4.1 -4.9 적지

3.4 3.3 흑전

18.9 14.9 239.2

7.0 5.1 -54.9

17.1 14.3 흑전

4.6 4.0 35.2

7.2 5.4 -61.7

8.0 5.6 14.3

25.2 5.6 55.6

37.0 7.2 46.7

46.3 8.1 25.1

세전순이익 YoY 지배주주 순이익 YoY

-6.4 적지 -5.0 적지

1.2 흑전 0.9 흑전

16.0 622.2 13.2 549.2

3.1 -66.2 2.4 -41.7

14.9 흑전 12.2 흑전

2.3 92.7 1.9 115.7

4.9 -69.5 4.0 -69.8

5.5 73.5 4.5 83.7

13.9 547.4 11.5 흑전

27.5 98.0 22.5 95.4

33.1 20.4 27.1 20.4

685.6 흑전

1,339.4 95.4

1,612.4 20.4

EPS YoY 자료: LG생명과학,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

그림 3. 12개월 12개월 선행 EV/EBITDA 밴드 차트 (원) 100,000

30.5x

27.2x 23.8x

80,000 20.5x 60,000

17.2x

40,000

20,000 11

12

13

14

15

16

17

자료: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

그림 4. 12개월 12개월 선행 PER 밴드 차트 (원)

100.0x

100,000

67.0x

51.0x 48.0x

80,000

40.0x 60,000

40,000

20,000 11

12

13

14

15

16

17

자료: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

Mirae Asset Daewoo Research

5


LG생명과학 간판 품목에 의한 성장 확대

그림 5. 12개월 12개월 선행 PBR 밴드 차트. 차트. (원) 100,000

4.4x

80,000

3.8x 60,000

3.1x 2.5x

40,000

1.9x

20,000 11

12

13

14

15

16

17

자료: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

표 3. LG생명과학의 LG생명과학의 파이프라인 현황 구분

제품

적응증

Biologics

Follitrope (Global)

불임

Espogen (Global)

만성신부전증의 빈혈

Vaccine

LBVC

소아마비 예방

LBVD

다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B형간염/뇌수막염/소아마비 방지

LBVE

폐령 예방

NME

LC280126

심근경색

IMD

ZemiStatin

당뇨/ 고지혈

Biosimilar

LBEC0101

류마티스 관절염

LBAL

류마티스 관절염

YVOIRE Soft Plus

미용 필러

YVOIRE Intensive Plus

미용 필러

Medical Device

자료: LG생명과학,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

6

Mirae Asset Daewoo Research

연구

비임상

임상1 임상1상

임상2 임상2상

임상3 임상3상

허가신청


LG생명과학 간판 품목에 의한 성장 확대

LG생명과학 (068870) 예상 포괄손익계산서 (요약) 요약) (십억원) 매출액 매출원가 매출총이익 판매비와관리비 조정영업이익 영업이익 비영업손익 금융손익 관계기업등 투자손익 세전계속사업손익 계속사업법인세비용 계속사업이익 중단사업이익 당기순이익 지배주주 비지배주주 총포괄이익 지배주주 비지배주주 EBITDA FCF EBITDA 마진율 (%) 영업이익률 (%) 지배주주귀속 순이익률 (%)

예상 재무상태표 (요약) 요약) 12/15 451 232 219 194 25 25 -11 -9 0 14 3 11 0 11 12 0 8 8 0 62 -19 13.7 5.5 2.7

12/16F 514 257 257 219 37 37 -9 -11 0 28 5 23 0 23 23 0 23 23 0 75 -47 14.6 7.2 4.5

12/17F 570 283 287 241 46 46 -13 -12 0 33 6 27 0 27 27 0 27 28 -1 84 -34 14.7 8.1 4.7

12/18F 648 315 333 274 59 59 -18 -12 0 41 7 34 0 34 34 0 34 34 -1 102 25 15.7 9.1 5.2

12/15 54 11 58 33 3 22 -7 1 -17 4 -1 -91 -73 -18 0 0 11 14 0 0 -3 -26 50 24

12/16F 33 23 51 35 3 13 -25 -15 -7 2 -5 -77 -80 0 0 3 21 21 0 0 0 -24 24 0

12/17F 46 27 55 35 3 17 -19 -13 -14 4 -6 -80 -80 0 0 0 35 35 0 0 0 0 0 0

12/18F 55 34 67 40 3 24 -26 -18 -19 5 -7 -35 -30 0 0 -5 0 0 0 0 0 20 0 21

예상 현금흐름표 (요약) 요약) (십억원)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당기순이익 비현금수익비용가감 유형자산감가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 기타 영업활동으로인한자산및부채의변동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의 감소(증가) 재고자산 감소(증가)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의 증가(감소) 법인세납부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유형자산처분(취득) 무형자산감소(증가) 장단기금융자산의 감소(증가) 기타투자활동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장단기금융부채의 증가(감소) 자본의 증가(감소) 배당금의 지급 기타재무활동 현금의 증가 기초현금 기말현금

(십억원) 유동자산 현금 및 현금성자산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재고자산 기타유동자산 비유동자산 관계기업투자등 유형자산 무형자산 자산총계 유동부채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단기금융부채 기타유동부채 비유동부채 장기금융부채 기타비유동부채 부채총계 지배주주지분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비지배주주지분 자본총계

12/15 255 24 102 120 9 452 0 354 61 707 161 74 60 27 288 261 27 449 258 84 147 29 0 258

12/16F 253 0 117 127 9 495 0 399 58 747 179 71 81 27 288 261 27 467 280 84 147 51 0 280

12/17F 280 0 130 141 9 537 0 445 55 817 221 79 116 26 288 261 27 510 307 84 147 79 0 307

12/18F 337 21 147 160 9 524 0 435 52 861 232 89 0 143 288 0 288 520 341 84 147 112 0 341

12/15 88.4 14.7 4.0 21.3 686 4,120 15,312 0 0.0 0.0 5.9 29.2 56.3 4.4 4.0 7.7 1.7 4.6 3.9 174.4 158.0 115.3 2.4

12/16F 50.2 15.4 4.0 19.6 1,339 4,366 16,651 0 0.0 0.0 14.0 21.0 48.0 95.2 4.7 4.2 7.7 3.1 8.4 5.2 166.8 141.2 122.1 3.4

12/17F 41.7 13.7 3.7 17.9 1,612 4,902 18,264 0 0.0 0.0 10.9 12.0 24.3 20.4 4.6 4.3 7.8 3.5 9.2 5.9 165.8 126.4 122.5 3.9

12/18F 33.8 11.2 3.3 14.5 1,993 5,983 20,257 0 0.0 0.0 13.7 21.4 28.3 23.6 4.7 4.3 7.7 4.0 10.3 7.1 152.7 145.3 104.5 4.8

예상 주당가치 및 valuation (요약 (요약) 요약) P/E (x) P/CF (x) P/B (x) EV/EBITDA (x) EPS (원) CFPS (원) BPS (원) DPS (원) 배당성향 (%) 배당수익률 (%) 매출액증가율 (%) EBITDA증가율 (%) 조정영업이익증가율 (%) EPS증가율 (%) 매출채권 회전율 (회) 재고자산 회전율 (회) 매입채무 회전율 (회) ROA (%) ROE (%) ROIC (%) 부채비율 (%) 유동비율 (%) 순차입금/자기자본 (%) 조정영업이익/금융비용 (x)

자료: LG생명과학,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

Mirae Asset Daewoo Research

7


LG생명과학 간판 품목에 의한 성장 확대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변동추이 종목명( 종목명(코드번호) 코드번호) LG생명과학(068870)

제시일자 2015.10.04 2015.07.19 2015.04.29 2014.11.06 2014.09.04 2014.05.02

투자의견 매수 매수 매수 Trading Buy Trading Buy 매수

목표주가( 목표주가(원) 92,000원 83,000원 69,000원 43,000원 38,000원 44,000원

(원)

LG생명과학

100,000 80,000 60,000 40,000 20,000 0 14.5

15.5

16.5

투자의견 분류 및 적용기준 기업 산업 매수 : 향후 12개월 기준 절대수익률 20% 이상의 초과수익 예상 비중확대: 향후 12개월 기준 업종지수상승률이 시장수익률 대비 높거나 상승 Trading Buy : 향후 12개월 기준 절대수익률 10% 이상의 초과수익 예상 중립 : 향후 12개월 기준 업종지수상승률이 시장수익률 수준 중립 : 향후 12개월 기준 절대수익률 -10~10% 이내의 등락이 예상 비중축소: 향후 12개월 기준 업종지수상승률이 시장수익률 대비 낮거나 악화 비중축소 : 향후 12개월 절대수익률 -10% 이상의 주가하락이 예상 매수(▲), Trading Buy(■), 중립(●), 비중축소(◆), 주가(─), 목표주가(▬), Not covered(■) 투자의견 비율 매수( 매수(매수) 매수) 68.29%

Trading Buy(매수 Buy(매수) 매수) 17.56%

중립( 중립(중립) 중립) 14.15%

비중축소( 비중축소(매도) 매도) 0.00%

* 2016년 3월 31일 기준으로 최근 1년간 금융투자상품에 대하여 공표한 최근일 투자등급의 비율 Compliance Notice -

당사는 자료 작성일 현재 조사분석 대상법인과 관련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없음을 확인합니다. 당사는 본 자료를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본 자료를 작성한 애널리스트는 자료작성일 현재 조사분석 대상법인의 금융투자상품 및 권리를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본 자료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애널리스트의 의견이 정확하게 반영되었음을 확인합니다.

본 조사분석자료는 당사의 리서치센터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은 것이나, 당사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종목 선택이나 투자시기에 대한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본 조사분석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조사분석자료의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있으므로 당사의 허락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8

Mirae Asset Daewoo Research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