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전망
2014. 09. 22 투자전략 박승영 02-768-4180
seungyoung.park@dwsec.com
작아진 PBR 1배의 의미 지난주 말 KOSPI의 12M Fwd PBR은 0.99배였다. 필자는 앞으로 12M Fwd PBR의 밸류에이션 지표로서의 영향력은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세 가지이다. 첫째, 첫째, 자본이 계속 쌓일 것이라는 믿음이 약해지고 있다. 있다. 지금까지 PBR 1배는 Trailing보다 Forward의 신뢰도가 더 높았다. 그 배경에는 기업들이 이익을 꾸준히 내고 자본은 쌓일 것이라는 기대가 깔려 있었다. 그러나 앞으로 기업들이 자본을 쌓기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정부가 초과 유보에 대한 과세 방침을 밝히면서 기업들에 투자, 배당, 고용 압력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둘째, 기업이익의 안정성이 훼손되고 있다. 있다. 지금까지 PBR이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었던 이유는 기업이익의 변동성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특히, 삼성전자와 현대 기 아차 같이 핸셋, 자동차 등 소비재 제조기업들의 이익 비중이 커진 영향이 컸다. 그러나 올해와 내년 삼성전자와 현대 기아차의 이익 전망은 불투명해졌다. 삼성전자 는 핸셋 부문이 부진하고 현대 기아차는 한전 부지를 10조원에 매입한 데 따른 부담 이 예상된다. 셋째, 셋째, 자본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있다. 있다. 그간 PBR 1배가 더 의미가 있었던 이유는 자 산의 안정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기업들은 투자는 늘리지 않으면서 현금성 자산을 늘려 이익 성장성을 낮추는 대신 자산의 안정성을 높였다. 이는 불확실한 업황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고 이로 인해 밸류에이션 지표로서 PER 의 신뢰성은 떨어지고 PBR의 신뢰성은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초과유보에 대한 과세로 투자가 증가하게 되면 앞으로는 역으로 PBR 1배의 신뢰성을 이익의 성 장성과 바꾸게 될 것이다. 따라서 향후 PBR 1배의 1배의 신뢰성은 약해질 것이다. 것이다. 2011년 하반기 이후 KOSPI의 고 점은 낮아졌고 저점은 올라갔다. 박스권은 점점 더 좁아졌고 그 과정에서 변동성은 작 아졌다. 지금부터는 저점은 낮아지고 고점은 올라갈 것이다. 지난 3년이 변동성이 축소되는 시기였다면 지금부터는 변동성이 확대되는 시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