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독립운동 조사자료집
김포3.1만세운동연구소
- 1 -
엮은이 김진수(金振壽) ㆍ김포문화원 부원장 ㆍ김포3.1만세운동연구소 소장 ㆍ미래신문 발행인ㆍ대표이사 ㆍ김포시기독교연합회 부회장 ㆍ김포새누리교회 담임목사 ㆍ저서 김포항일독립운동사(2006) 김포6.25전쟁비사(2008.공저) ㆍ편찬 김포독립운동 조사자료집(2009) 김포3.1운동만세 사료집(2008) 김포실록(2007)
- 2 -
김포독립운동 조사자료집
김포3.1만세운동연구소 2009
- 3 -
김포독립운동 조사자료집 인 쇄 2009년 3월 15일 발행일 2009년 3월 23일 발행인 김포시 역은이 김진수 펴낸곳 김포3.1만세운동연구소 주 소 415-030 경기도 김포시 북변동 477-9 전 화 031-988-3123 팩스 031-984-4141 이메일 4141mirae@naver.com
- 4 -
머리말
선열들에게 머리숙여 감사드린다
올해로 3.1 만세운동이 일어난지 90주년이다. 매년 이맘 때면 가슴앓이를 해왔다. 그것이 무엇이라고 딱히 꼬집어 서 표현하기는 힘들다. 이번 3월도 또 다가왔고 여지없이 똑같은 심정을 경험하고 있다. 3.1만세운동이 90주년이라 고해서 89주년과 다르지 않고. 또한 91주년이 된다고 해 서 더더욱 특별할 것이 없는데 말이다. 하지만 이번 90주 년 만큼은 나에게 특별하다. 90주년이라는 어떤 특별한 기준이 있어서가 아니다. 김포지역에서 3.1만세운동이 일어났던 90주년의 해에 각 지역에서 활동 해 오던 기념사업회가 하나의 기념사업회로 통합을 이루어냈기 때문이다. 그래서 3.1운동 90주년이 더더욱 특별하고 가치가 느껴지는 것이다. 이 특별한 가치가 매년 이맘때면 앓아 오던 버릇을 지나치게 만들만큼 큰 역할을 했던 것 같다. 사실 마음 한구석 늘 조마조마했다. 김포지역 3.1운동 90주년은 이래서 나에게 중요한 숫자로 기억되도록 각인이 됐다. 많은 분들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여러징후를 말했지만 우리 선배 어르신들 께서 아주 매끄럽게 해결하셔서 고맙고 감사할 따름이다. 이제 하나의 통합된 ‘김포시3.1운동기념사업회’로 새롭게 출발하도록 우 리 스스로를 압박한 것은 다름아닌 ‘김포독립기념관’ 설립을 눈앞에 두고 있기 때문이었다. 선열들의 애국애족의 마음을 담아낼 김포독립기념관을 일치된 하나의 마 음으로 담아내야 한다는 선함 마음이 있었기 때문이다. 아마도 우리 선열 들께서 우리의 진정성을 보시고 흐믓해 하지 않으셨을까 생각해 본다. 큰일을 앞두고 우리 선조들께서는 새벽에 깨끗한 물을 떠놓고 두손을 모
- 5 -
아 먼저 마음을 모았다. 이것이 기도이다. 그래서 기도는 기적을 만들어 가는 입구인 것이다. 자랑스러운 선열들의 혼과 정신을 담아낼 독립기념 관을 세우는 큰일 앞에 먼저 우리의 마음을 하나로 모아내는 일은 당연한 처사인 것이다. 마음을 모아내는 일만큼 중요한 일이 또 있다. 아무리 중요하고 가치있 는 일이라 할지라도 자료가 없으면 무의미해지기 쉽다. 독립기념관을 세 울만큼 가치가 있고 또한 그만큼 자료가 풍부해야 한다. 그 다음은 해석 이다. 우선은 좋은 자료가 많아야 한다. 좋은 자료라 함은 당시 독립운동가들 의 체취가 뭍어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독립운동가들에게 있어서 가장 큰 자료는 재판판결문이 될 것이다. 또는 일제의 정보문서와 당시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유품이 아닐까 한다. 물론 독립운동가들의 직접적인 체험을 들을 수 있다면 더없이 귀한 일이 되겠지만 우리지역은 이 점에서 아쉬움이 많다. 그 동안 김포지역의 3.1만세운동과 독립운동가들의 자료를 찾아 나선지 올해로 10여년이 되고 있다. 제일먼저 그 결실이 2006년도에 펴낸 <김포 항일독립운동사>이고, 2008년도에 두 번째로 모아낸 <김포3.1운동사료 집>의 출간이다. 첫 번째 <김포항일독립운동사>는 우리지역 출신 항일의병와 1919년 3 월 22일부터 29일까지 김포 전지역에서 일어났던 만세운동과 애국열사들 의 독립운동 관련 자료등을 묶어 낸 자료집이다. 사실 이 자료집을 발간 한 후 능력범위를 넘어서는 주제넘은 일을 한 것 같아 솔직히 뒤가 가려 웠다. 그 뒤부터 도둑이 제발 저리다고, 그 빈공간을 메꾸려 그야말로 자 료찾아 삼만리 여행을 또다시 시작했다. 다행히 찾는자에게 열린다고 했 던가 틈틈이 귀중한 자료들을 만날 수 있었다. 이제 세 번째 자료집을 모아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그 동안 끊임 없이 독립기념관이 세워지려면 충분한 자료와 내용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해왔는데 다행히 김포시가 이를 받아들여 자료조사를 시작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개인적인 차원의 노력을 지역적 차원의 공
- 6 -
식적인 가치로 받아들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이번 자료조사는 다음의 기준으로 진행했다. 1차적으로는 독립운동가들 과 직접적인 관련된 사료(판결문, 일제정보문서등)와 2차적으로는 기술(가 공)된 자료등으로 구분해서 조사했다. 여기서 사료라함은 독립운동가의 직접적인 관계로부터 생산된 자료등을 말한다면 2차 자료는 독립운동가 들에 대한 사건설명이나 추모 혹은 기념활동, 저술자료 등을 말한다. 또 는 독립운동가들의 생가터나 직접적으로 독립운동과는 관련이 없지만 당 시의 사회적, 시대적 상황이나 독립운동가를 간접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자료도 포함시켰다. 조사대상이나 구분은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은 김포출신 독립운동가어야 한다는 것과 지역구분은 당시의 김포지역이었던 김포군 검단면(현, 인천 광역시)과 김포군 양서면과 양동면(지금의 강서구)은 제외시켰다. 두 번째 로는 정부로부터 독립운동가로서의 공훈을 인정받지 못했더라도 김포지역 이나 밖에서 독립운동 활동한 기록이나 증언등의 자료가 있다면 김포출신 독립운동가로 조사대상에 포함시켰다. 더욱이 공식기록상으로 나타나지 못한 유족들의 증언이나 그 밖에 주민등 이 증언한 내용도 포함시켰다. 다음으로는 독립운동의 정신을 계승하고 승화시켜 나간 유족이나 후손들의 추모와 기념사업과 관련한 활동내용이 나 자료도 조사대상으로 포함시켰다. 세 번째로 김포 3.1운동과 독립운동가들의 사료와 자료등을 조사한 자료 집이 모아졌다. 개인적으로 이 일을 진행해오면서 아쉬운 점은 조사기간 이 매우 짧았다는 것이고, 또 다른 일은 조사자료 중 1차 사료 대부분이 일제에 의해 생산된 자료(한문/일본어)로 구체적인 내용분석을 하지못했 다는 점이다. 즉 문서자체를 찾아내는데 급급할 수 밖에 없었다는 점이 다. 추후 문서의 해석작업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일이다. 우리가 필요 로하는 것은 문서자체가 아니라 그 속에 담긴 내용이기 때문이다. 이번 김포3.1운동과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자료조사 사업을 위해 많은 분 들의 도움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먼저 강경구 김포시장님께 인사를 전해 드려야 할 것 같다. 자료조사의 의미와 가치를 이해하시고 누구보다도 이
- 7 -
러한 일에 적극 협조해야 마땅하다고 강조해 오셨고 실천하는 모범을 보 여주셨다. 하나의 기념사업회로 통합해 김포시3.1운동기념사업회 초대회장으로 선임 되셔서 앞으로 막중한 역할을 감당하셔야 할 장기정 회장님께 감사의 인 사를 드린다. 그 동안 오라니장터3.1만세운동기념사업회를 이끌어 오시느 라 마음고생이 심하셨다. 또한 김포ㆍ월곶3.1운동기념사업회 류지만 이사 장님께도 아름다운 열매를 맺도록 지켜보아 주시고, 이러저러한 일로 귀 찮게 해드렸는데 마음으로 받아주셔서 감사드린다. 월곶면 3.1만세운동 유적비 터를 이미 70년대에 기증해주신 당시의 자료를 건네주셔서 자료 집의 가치가 더욱 커졌다.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자료조사 작업에 연구원으로 참여해 준 김철겸군에게 고생했다는 말을 전해주고자 한다. 역사학을 전공한 것이 삶의 자랑스러움으로 여겨지는 날이 하루빨리 왔으면 좋겠다는 말로 위로를 전하고자 한다. 월곶면 개곡리 임용우 독립운동가의 증손 임도연씨에게도 감사드린다. 임용우 독립운동가의 만세운동 흔적을 찾기 위해 옹진군 덕적도까지 동행 해 주시고 자신이 갖고 있던 모든 자료를 기꺼이 내놓으셨다. 이번에도 아내 유인봉에게 할 말이 없다. 아픈몸을 걱정하는 심정을 헤 아리지도 못하고 오직 자료찾기에 몰두해 온 미련곰탱이(?) 남편을, 이번 에는 요절을 낼 기세였는데 모두 이해하고 용서해 준 것 같아 고마울따름 이다. 부족하지만 김포 역사의 일부분을 메꾸어 낼 수 있는 독립운동 관련 자 료집을 엮을 수 있도록 허락하신 선열들에게 머리숙여 감사드리며 김포를 더욱더 사랑할 수 있도록 하소서! 2009년 3월 23일 장릉산 기슭에서 김포3.1만세운동연구소 소장 김진수목사
- 8 -
발간사
김포독립기념관에 담아낼 귀중한 자료 김포시장 강경구 올해로 3.1만세운동이 일어난 지 90돌이 되었습니다. 그 당시의 세대들은 이제 거의 생존해 계시지 않습니다만 그 고귀한 정신은 우리 곁에 다시 살아나 우리에게 충절의 정신을 일깨우며 어떤 난관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일어설 수 있는 용기를 전해줍니다. 잃어버린 선열! 잃어버린 정신! 잃어버린 역사! 바로 얼마 전, 선열들의 피땀 어린 터전에서 우리 또한 잠시도 머뭇거릴 시간 없이, 뒤돌아볼 겨를 없이 앞만 보고 달려오는 동안에 우리가 잊고 지내온 과거사입니다. 자동차가 앞으로 잘 나가기 위해서는 늘 백미러를 주시해야 안전하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듯이, 김포의 미래도 과거를 잘 돌아보아야 고유의 정체성을 계승하며 번영된 미래로 나갈 수 있다고 봅니다. 그런데 다행히도 김포시3.1운동기념사업회에서 김포 항일운동의 역사복 원에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 부설 연구소인 김포3.1만세운동연구소 김진수 소장은 지난 2001년 3 월 오라니장터 3.1만세운동 기념사업회가 창립될 때 “김포에서 만세운동 이 일어난 지 82년 만에 추모제를 올리는 자리에서 만감이 교차하며 뜨 거운 눈물을 흘렸다
고 합니다.
- 9 -
그 뒤로 김포 항일독립 운동의 역사를 하나 둘 접하면서 더 이상 우리 고장의 역사 찾기를 늦출 수 없었다고 판단하고 실천에 옮겨, 3.1만세운 동 2세대들을 만나 자료를 모으고 하나의 실마리를 찾기 위해 국가기록 원, 국사편찬위원회, 각종 기록보관소 및 해당 면사무소 등을 방문하기를 수십 차례, 이리저리 다니며 고증하는 과정은 “마치 정글을 탐험하는 것 과 같다”고 회고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노력 끝에 2006년도에『김포항일독립운동사』라는 한권의 책이 우리에게 다가왔습니다. 우리가 모르고 지냈던 자랑스런 김포의 선열들이 우리에게 다가온 것입니다. 이제 그 소중한 가치를 보전하고 후대에 영원 히 전할 수 있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그 동안 발굴해온 김포의 3.1운동과 독립운동가들의 역사를 고증하고 다듬고자 “김포독립운동 조사 자료집”을 발간하게 된 것입니다. 이 자료집은 김포의 3.1운동 역사를 구체화하고 새롭게 조명해 나감은 물론, 금년부터 시작하여 2010년까지 완공되는『김포독립기념관』의 전 시관에 전시할 수 있는 자료를 모으고 정리하는데 그 지표로 활용될 것으 로 기대됩니다.
힘들고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지역사랑 나라사랑”이라는 집념 하나로 김포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해 오신 김포시3.1운동기념사업회 회원님들을 비롯한 부설 김포3.1만세운동연구소 김진수 소장님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 사와 위로의 말씀을 드리며, 그 노력의 결실이 김포발전에 큰 밑거름이 되기를 고대합니다.
- 1 0 -
차례
1.김포출신 항일의병 23 /신관수(申寬1)/포상자공적서/제적부/이장전 묘소/묘소(가현리 산16) /국가유공자증/건국훈장 애족장 메달/묘비 이전
29 /이종근(李宗根)/포상자공적서/묘소/비석/훈장증 비석/건국훈장 애족장
2.김포 3.1운동 인물 37 /김남산(金南山)/포상자공적서/제적부/묘소 고촌면 신곡리 산49-1안장 41 /김정국(金正國)/포상자공적서/제적부 43 /김정의(金正義)/학생시절의 모습/포상자공적서/제적부 /묘소(현충원 애국지사 제2묘역 판243호)/묘비
49 /당인표(唐寅杓)/묘소(월곶면 보구곶리 산12-2)/비문내용 51 /민창식(閔昌植)/포상자공적서/제적부/묘소 56 /민홍기(閔弘基) 57 /박승각(朴勝珏)/포상자공적서/얼굴사진/신상기록카드 얼굴사진 /묘소이장(충남 예산군 신양면 서초정리 101)
61 /박승만(朴勝萬)/포상자공적서/학도의용군 시절/얼굴사진/유공자메달 /국가유공자증/제적부/대통령표창장
69 /박용희(朴容羲)/측량사진/얼굴사진/제적부/자필공적서/인터뷰 기사 77 /박충서(朴忠緖)/포상자공적/생가/생가기념비석/신상기록카드사진 /묘소(양촌 마산리38)현충원 이장
81 /백일환(白日煥)/포상자공적서/신상기록 사진/사진/제적부/묘소/비석 86 /성태영(成泰永)/포상자공적서/제적부/묘소(현충원)/묘비
- 1 1 -
91 /안성환(安聖煥)/포상자공적서/제적부 94 /오인환(吳仁煥)/ 95 /윤영규(尹寧圭)/포상자공적서/묘소/기념비석뒷면/제적부 99 /윤재영(尹在英)/포상자공적서/제적부/종중묘역 기념비석 103 /윤종근(尹鍾根)/포상자공적서 105 /윤주섭(尹周燮)/포상자공적서/제적부/묘소/고촌면 묘역, 기념비석 109 /이병린(李炳麟)/포상자공적서/제적부/학생사진/묘소(대곶면 쇄암리) 113 /李살눔(이경덕)/포상자공적서/신상기록카드사진/기념비(푸른언덕교회) /전도사 기념사진/이살눔전도사 통진교회 자리터
119 /이흥돌(李興乭) 120 /임용우(林容雨)/얼굴사진/묘소/묘비/서대문형무소 전경/포상자공적서 /묘비건립제막식/부안임씨 밀직공파보전(密直公派譜全) /①-②1975년 1월 1일자 인천지방 원호지청 엽서(앞면) /①-③1964년 4월 임용우 인증서 /①-②1964년 1월28일 이건묵 월곶면장 임용우 인증서 /①-④1947년 3월 1일 임용우 아들 임명덕 답사 /①-⑪임용우지도(섬) 대부허가서
154 /임철모(林哲模)/포상자공적/제적부/임철모 추모사업1-37/생가①-③ 195 /전태순(全泰順)/포상자공적서/묘소(통진읍 마송리 공동묘지)/비석 198 /정억만(鄭億萬)/신상기록카드 얼굴사진 200 /정인교(鄭仁敎)/포상자공적서 203 /정인섭(丁寅燮)/포상자공적서/제적부/묘소(현충원애지제1묘역판390호) /묘비/이장봉송식/비석/정인섭생가/임철모 생가
209 /조남선(趙南善)/ 210 /조남윤(趙南潤)/포상자공적서/신상기록카드 얼굴사진 214 /최복석(崔復錫)/신상기록카드 사진얼굴 216 /최우석(崔禹錫)/제적부/포상자공적서
- 1 2 -
3.오라니장터 만세운동 행사자료 221 /1회 추모행사 자료집 표지-4 225 /오라니장터 만세운동 재현 연습계획자료(표지),1-15 241 /양곡초총동문회 이사회 제안자료 1-4 245 /양곡초총동문회 총회자료 1-2 247 /만세표지석 양촌면설치 자료집 1-9 256 /오라니장터3.1만세운동기념사업회 창립총회 자료집 1-5 261 /양촌ㆍ대곶면민 만세운동유적비 현충시설물 지정(관리번호14-1-2) 262 /양촌면 3.1공원/3.1공원 안내표지문 263 /3.1독립선언서 비문/현충시설지정서 264 /대한독립군위령탑 설치 264 /대한독립군위령탑 설치비석 265 /3.1독립만세 궐기장 설치 265 /양곡중고 만세운동 재현 266 /유적비 비문 수정제막식 266 /유적비 비문 수정설명 비문 267 /제4회 애국지사 추모제 267 /제6회 추모제 및 학술심포지움 268 /박충서 생가 표지석 이전 269 /유적지 순례 269 /학술심포지움 270 /김포독립기념관 건립간담회 270 /주재소 자리 271 /면사무소 위치(터) 271 /오라니장이 섰던 위치 272 /오라니장터 자리
- 1 3 -
272 /박충서, 박승만 묘비 3.1공원 이전 273 /비석3.1공원 이전 273 /박승만 묘비이전 274 /청소년 독립운동유적지 순례 274 /양곡중 유적지순례 274 /제주항일독립기념관 견학 275 /청소년 유적지 순례 275 /고촌면 3.1만세운동 기념탑
4.월곶면 군하리장터 만세운동 관련자료 279 /월곶면민 만세운동유적비 280 /김포청년회의소 3.1독립운동기념비 건립추진위원회 구성(위원장류지만) 281 /월곶면 군하리 150-3(소유자 류지만) 150평 김포군에 기부헌납 281 /김포월곶3.1운동기념사업회 창립총회 자료집 1-4 286 /추모강연회 개최 286 /군하리장터 현장 287 / 포내리 기념공원 유적비 제단설치
5.김포만세운동 관련 기술자료 291 /오늘 서울에서 발발된 독립운동은 292 /江華(22日 擧事), 운수리(23日 擧事) 293 /抗日萬歲示威 및 排日傳單 配布事件 訊問調書?公判調書 296 /附表, 要視察人主意人表 ① 297 /연희전문학교 동지회 흥업구락부 관계보고 ①-③
- 1 4 -
300 /興業俱樂部事件 關係者의 感想에 관한 건 ①-② 302 /經濟統制에 관한 懇談會開催 狀況報告에 관한 件 ①-⑤ 307 /1946.4.15 한국독립운동지혈사 308 /「경기도지」(상권), 1955. 11. ① 310 /한국독립운동사Ⅱ ①-② 312 /1966-12-22 한국독립운동사Ⅱ 313 /1969-2-10 삼일운동실록 ①-② 316 /1977 김포군지 326 /1986-독립유공자 공훈록 제2권
6. 김포출신 독립운동가 자료 333 /金 炳 欽 334 /1.항일만세시위 및 배일전단 배포사건 342 /3.조선인 경영 사립학교 연합운동회의 건 -김성한(金聖漢)1-7 350 /4.高麗間島支部 設立準備委員의 行動에 관한 件-김성한(金聖漢)1-6 356 /5.시대별연표(고대사) -김성한(金聖漢) 357 /6.平南 大同郡에 본적을 두고 中國-김성한(金聖漢) 358 /7.「大韓國民會」事件-김성한(金聖漢) 359 /8.共産主義系統 不逞鮮人 檢擧에 關한 件-김성한(金聖漢)1-4 363 /9.시대별연표(고대사)-김성한(金聖漢) 364 /10.間島地方의 赤化를 計劃하던 電拳團-김성한(金聖漢) 365 /김연의(金演義) 366 /1.學生大會講團着寶城: 우리의 改造할 것 367 /2.韓國人民致太平洋會議書 373 /3.大正九年九月 만세사건으로 체포된 元己福 金演義 兩氏 出獄
- 1 5 -
374 /4.시대일보 사고(社告) 375 /5.朝鮮勞動黨 창립-雲泥洞 全一 집에서- 全一, 金演義 376 /6.개벽 제52호 383 /7.개벽 제55호 388 /8.주의자 여행에 관한 건 389 /9.合同으로 問題된「勞?黨」事件 390 /10.4단체 합동회 조사원 특파 391 /11.被疑者 金演羲 訊問調書 393 /12.己末運動以後 朝鮮初有의 秘密結社事件 394 /13.공산당 4피고 보석원 각하 395 /14.共産黨事件被告 396 /15.鄭泰重 등 95인 판결문 400 /16.5월 이내에는 개정 무망 401 /17.김약수 공소 취하 402 /18.1932년의 극동정국전망(3) 403 /19.삼천리 제6권 제5호 411 /20.삼천리 제6권 제7호 419 /21.조선인민공화국, 경성市인민위원 발표 420 /22.용의(容疑) 통신에 관한 건 421 /23.朝鮮共産黨再建同盟事件 發覺에 관한 건 425 /金 元 鳳 426 /1.朝鮮共産黨再建同盟事件 發覺에 관한 건1-9 435 /金炯善等의 治安維持法違反事件 檢擧에 관한 건1-6 441 /派出所에서 暴行者의 건 443 /京城公立農業學校 生徒의 傷害事件에 관한 件 5 448 /京城公立農業學校 生徒의 傷害事件 및 不穩計劃事件에 관한 건 450 /어수갑의 노림학교 만세운동 452 /어수갑의 노림학교 만세운동
- 1 6 -
454 /[기려수필] 464 /1924-02-18 <동아일보>1 466 /개벽 제66호 477 /1926년 08월 10일 魚1甲 句留狀 478 /1926년 08월 10일 被疑者 魚1甲 訊問調書 480 /魚1甲 本籍照會書 482 /李準泰訊問調書(第二回) 492 /1926년 08월 16일被疑者 朴珉英 訊問調書(第二回) 495 /1926년 08월 16일 被疑者 魚1甲 訊問調書(第二回) 498 /被疑者 廉昌烈 訊問調書(第二回) 501 /1926년 08월 18일 被疑者 姜達永 訊問調書(第三回) 506 /1926.7.24·25 東亞日報 507 /1927년 10월 09일 辯護人選定屆[魚1甲] 508 /1927년 10월 辯護屆[魚1甲] 509 /1927년 10월 辯護人 選定屆[魚1甲] 510 /1927년 10월 辯護人選定屆[魚1甲] 511 /1928-03-07 중외일보1-3 514 /1928-03-17 중외일보1-3 517 /1937-12-08 동아일보1 518 /어수갑 독립운동가의 얼굴모습<신상기록카드> 519 /어수갑 독립운동가 얼굴모습 519 /어수갑 독립운동가가묘 520 /왜정인물 6권 523 /만주ㆍ노령방면 독립운동가 이기순 524 /묘소(대전현충원 애국지사 제1묘역판131호 안장) 525 /경비보고에 관한 건 530 /排日鮮人觀光團 組織計劃에 관한 건 544 /학생사건 관계자 검거의 건
- 1 7 -
560 /開城共産黨 木曜會事件 檢擧의 건 581 /소화 9년 3월 치안상황 587 /1931년 京城 및 咸興지역...한영돌/공적서/ 재소자신분카드 592 /社會科學을 目的으로 한 徒裸會 檢擧에 관한 건 596 /한중섭 599 /秘密結社 徒裸會事件 檢擧에 관한 건 604 /長期囚의 爆彈陰匿說에 관한 眞相調査方法의 件 626 /3月 1日을 期한 騷擾惹起說에 관한 件 634 /排日鮮人行動報告의 건
- 1 8 -
일러두기
자료조사는 김포3.1운동 및 김포출신 독립운동가를 대상으로 조사했다. 기존 자료집 <김포항일독립운동사>와 <김포3.1운동 사료집>에 게재된 자료 일 부를 제외하고는 중복을 피했다. 자료의 수집은 독립운동가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당시 1차 사료뿐만 아니라 유 족증언, 저술, 추모 및 기념행사, 사건현장 등도 2차 자료로 수집했다. 자료의 구성은 몇가지 주제로 구분하고 개인별 가나다순으로 나열하였다. 조사된 자료종류는 판결문, 일제정보문서, 신문, 잡지, 제적부, 증언, 유품, 행사자료, 사건현장 및 인물사진, 도서 및 공적서 등이다. 당시 김포군이었던 검단면과 양서면, 양동면은 조사대상에서 제외시켰다. 자료의 출처를 문서 하단부분에 기술했다.
- 1 9 -
- 2 0 -
1.김포출신 항일의병
신관수(申寬1) 이종근(李宗根)
- 2 1 -
- 2 2 -
신관수(申寬秀) ▲신관수(申寬秀(申觀秀))1) 1884.1.6∼1922.1.16 이명:觀秀 김포군 양촌면 흥신리 출신 (운동계열 : 의병) 1908년 4월 이후 정용대(鄭容大) 의병장 휘하에서 통진군(通津郡)2)
교하면
(交河面)·풍덕면(豊德面), 강화(江華)등지에서 군자금모집 등의 활동을 벌였다. 경기 통진군 수곡리3)에서 군자금 10원을, 교하군 문발리에서는 총기 2정과 탄환 1백발을, 풍덕군 남면 사동리에서는 군자금 명목으로 50원을 확보하고, 풍덕군 북면 남촌리에서는 군자금을 확보하려 하였으나 불응하자 벼창고 8섬을 불태우기 도 하였다. 그 뒤 1909년 6월 강화도 고도(高島) 해안에서 선박을 습격하여 군량 을 확보하는 등의 활동을 벌이다가 피체되었다. 같은해 7월 15일 경성지방재판소에서 소위 강도죄로 징역 7년형을 언도받고 옥고 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주 ·판결문(1909. 7. 15 경성지방재판소).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별집 제1집, 108·109쪽. [참고자료] ·김진수.「김포항일독립운동사」. 2005. P38, 168, 224-227
1) 국가보훈처,『대한민국 유공자 공훈록』 제9권, 1991년, 221쪽. 2) 현 김포시. 3) 현 김포시 하성면 마조리.
- 2 3 -
그림 4. 출처 : 국가보훈처 공훈사료관
- 2 4 -
그림 5. 항일의병 신관수 제적부
- 2 5 -
그림 6. 이 사진은 이장되기전의 신관수 항일의병의 묘소이다. 현재는 통진읍 가현리 가족묘에 안장되어 있다.
그림 7. 신관수 항일의병의 묘소, 김포시 통진읍 가현리 산16번 지 가족묘에 안장되어 있다.
- 2 6 -
그림 8. 신관수 항일의병 국가유공자증
그림 9. 신관수 항일의병의 건국훈장 애족장 메달
- 2 7 -
그림 10. 신관수 항일의병의 가족묘로 이장함에 따라 묘비는 2002년 3월 22일 양촌면 3.1공원내로 이전 설치했다.
- 2 8 -
이종근(李宗根) ▲이종근(李宗根)4) 字 ; 景朝 1868.5.5∼1943.3.18 김포군 양촌면 구래리 출신 (운동계열 : 의병) 경기도 통진군 양릉면 매가동(梅柯洞)5) 사람이다. 1908년 4월 23일(음력) 향리인 경기도 통진군에서 정용대(鄭容大)의진에서 활약 하였다. 18명의 동료 의병과 함께 통진 군내 3개 면의 동장들을 모아 놓고 1만 5 천 냥의 군자금을 모금하였으며 계속해서 군도와 양총(洋銃)으로 무장하여 교하 군(交河郡). 민판서(閔判書)로부터 양총 7자루와 탄환 200발, 군도 2 자루 등을 모집하는 등 활약하다가 일경에게 피체되었다. 1908년 10월 31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유형 5년을 언도받고 정배생활을 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2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주 · 판결문(1908.10.31. 경성지방법원)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별집1. 의병항쟁 재판기록, 28ㆍ29쪽.
[참고자료] ·김진수.「김포항일독립운동사」. 2005. P38, 184, 228-229
4) 국가보훈처, 『대한민국독립유공자공훈록』 제10권, 1993, 275쪽. 5) 현 김포시 양촌면 구래리.
- 2 9 -
그림 11. 출처 : 국가보훈처 공훈사료관
- 3 0 -
그림 12. 양촌면 구래리 출신 이종근 항일의병의 묘소는 양촌면 구래리에 안장되었으나 이 지역이 김포신도시 지역 으로 편입되어 연천 종중묘역으로 이장됐다.
그림 13. 이종근 의병 묘소 앞 비석
- 3 1 -
그림 14. 이종근 의병의 훈장증 비석
- 3 2 -
그림 15. 1992년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다.
- 3 3 -
- 3 4 -
2.김포 3.1운동 인물
김남산(金南山) 김정국(金正國) 김정의(金正義) 당인표(唐寅杓) 민창식(閔昌植) 민홍기(閔弘基) 박승각(朴勝珏) 박승만(朴勝萬) 박용희(朴容羲) 박충서(朴忠緖) 백일환(白日煥) 성태영(成泰永) 안성환(安聖煥) 오인환(吳仁煥) 윤영규(尹寧圭) 윤재영(尹在英) 윤종근(尹鍾根) 윤주섭(尹周燮) 이병린(李炳麟) 李살눔(이경덕) 이흥돌(李興乭) 임용우(林容雨) 임철모(林哲模) 전태순(全泰順) 정억만(鄭億萬) 정인교(鄭仁敎) 정인섭(丁寅燮) 조남선(趙南善) 조남윤(趙南潤) 최복석(崔復錫) 최우석(崔禹錫)
- 3 5 -
- 3 6 -
김남산(金南山) ▲ 김남산(金南山) 1889.12.16∼1966.5.1 김포(金浦) 고촌면 신곡리 21번지 출신이다. (운동계열 : 3.1운동)
1919년 3월 24일 김포군 고촌면(高村面) 신곡리(新谷里)에서 김정국(金正 國)·윤재영(尹在英)·윤주섭(尹周燮) 등과 같이 마을 뒷산에 주민 50여 명 을 규합, 사전에 준비한 태극기를 들고 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를 벌이다가 주동자의 한 사람으로 일경에 체포되었다. 같은 해 5월 22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및 소요 등으로 징역 8월 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2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주 ·판결문(1919.5.22. 경성지방법원)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5집, 3.1운동 재판기록, 331·332쪽.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공훈록 제10권, 국가보훈처,1993, 50∼51쪽. [참고자료] ·김진수.「김포항일독립운동사」. 2005 P150, 233, 499-500 ·김진수.「김포3.1만세운동사료집」2008 P15-24
- 3 7 -
그림 16. 출처 : 국가보훈처 공훈사료관
- 3 8 -
그림 17. 김남산 독립운동가의 제적부
- 3 9 -
그림 18. 김남산 독립운동가의 묘소는 고촌면 신곡리 산49-1번지에 안장되어 있다.
- 4 0 -
김정국(金正國) ▲김정국(金正國) 1893.12.7-1920.8.8 경기도 김포군 고촌면 신곡리 459번지 출신 (운동계열 : 3.1운동)
그는 1919년 당시 김포군 고촌면 신곡리(高村面 新谷里)에서 농업에 종사 하고 있었으며 3월초 손병희(孫秉熙) 등 민족대표가 독립선언서를 발표한 이래로 전국에서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행하고 있음을 전해 듣고 이곳에서의 독립만세운동을 계획해 왔다. 거사준비를 서둘러 오던 중 1919년 3월 24일 윤재영(尹在英)·윤주섭(尹周 燮) 등과 함께 주동이 되어 동리 사람 50여 명과 동이 뒷산에서 독립만세를 선창하며 만세시위를 전개하다가 일경에 피체되었다. 그는 피체되었으나 이날 시위의 영향으로 다음날도 만세시위는 계속되었다. 그리하여 이해 5월 22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0월 형을 언도받아 1년여의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주 · 판결문(1919.5.22 경성지방법원)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2권, 3.1운동(상), 156쪽.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5집, 3.1운동재판기록, 331~333쪽. ·국가보훈처,『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공훈록』 제9권, 1991, 108~109쪽. [참고자료] ·김진수.「김포항일독립운동사」. 2005. P60, 156, 233-237, 501-502 ·김진수.「김포3.1만세운동사료집」2008 P15-24
- 4 1 -
그림 19. 출처 : 국가보훈처 공훈사료관
- 4 2 -
그림 20. 고촌면 김정국 독립운동가의 제적부
- 4 3 -
김정의(金正義) ▲김정의(金正義) 1899.06.13-1963.06.17 경기도 김포군 고촌면 신곡리 435번지 출신 (운동계열 : 3.1운동) 김정의는 경성중동고등보통학교 학생회장으로서 3.1만세운동에 참여하고 고향으 로 도피하여 온 후 김정국, 김남산, 윤재영, 윤주섭, 이흥돌 등과 독립만세를 외 칠 것을 결의하고 태극기를 제작하여 1919년 3월 24일 독립만세시위를 이끌었다. 3월 25일 김남산(金南山)·이흥돌(李興乭) 등과 함께 주동이 되어 준비된 태극기 를 동리 주민 50여 명에게 배포하고 선두에 서서 독립만세를 선창하니 수십 명이 이에 호응하여 독립만세를 외치면서 시위운동을 벌이다가 일경에 피체되었다. 그는 이해 5월 22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0월형을 언도 받아 1년여의 옥고를 치렀다. 복역후 중동고등보통학교 선배인 김호철과 중국 길림성으로 건너가 월곶면 출신 박용희와 만나 함께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만인초등학교에서 교사로 활동하다 해 방되어 고향인 고촌으로 돌아와 1947년에 고촌면장에 취임하여 1953년까지 재임 하였다. 1968년 사망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 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주 · 판결문(1919.5.22 경성지방법원)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2권, 3.1운동(상), 156쪽.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5집, 3.1운동 재판기록, 331·332쪽. ·김정의 공적서 [참고자료] ·김진수.「김포항일독립운동사」. 2005. P60, 156, 233-237, 503-508 ·김진수.「김포3.1만세운동사료집」2008 P15-24
- 4 4 -
그림 21. 김정의 독립운동가의 당시 학생시절의 모습
- 4 5 -
그림 22. 출처 : 국가보훈처 공훈사료관
- 4 6 -
그림 23. 김정의 독립운동가의 제적부
- 4 7 -
그림 24. 김정의 독립운동가의 묘소는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제2 묘역 판243호에 안장되어 있다.
그림 25. 김정의 독립운동가 묘비
- 4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