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재영(尹在英) ▲윤재영(尹在英)26) 1888.9.19∼1922.7.19 김포군 고폰면 신곡리 135번지 출신 (운동계열 : 3.1운동) 학자집안에서 태어나 한문에 능통하여 서당에서 훈육하였다. 서당을 그만두고 경성에서 친척과 함께 상업을 운영하였으나 일진회의 횡포로 일진회원 수명을 폭 행하고 고향으로 도망하였으나 김포경찰서에서 체포되어 20일간을 구류생활을 하 였다. 1919년 3월 24일 김포군 고촌면(高村面) 신곡리(新谷里)에서 경신중학교 재학중 인 김정의로부터 독립만세를 부를 것을 상의하고, 김정국(金正國)·윤주섭(尹周 燮) 등과 같이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계획하고, 인근 주민 50여 명을 규합하여 신 곡리 뒷산에 모이게 한 후에, 미리 준비한 태극기를 들고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일경의 무력탄압에도 굴하지 않고 시위하다가 주동자의 한사람으로 피체되었다. 김포경찰서로 연행되어 10일간이나 고문을 당하고 경성지방법원으로 이송되어 2 개월간이나 미결로 있다가 같은 해 5월 22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으로 징역 8월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 복역 중 중병이 들어 출옥한지 3년 만에 사망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2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 하였다. 주 · 판결문(1919.5.22. 경성지방법원)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2권, 3.1운동(상), 156쪽.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5집, 3.1운동 재판기록, 331·332쪽. [참고자료] ·김진수.「김포항일독립운동사」. 2005. P60-61, 178, 233-237, 528-529 ·김진수.「김포3.1만세운동사료집」2008. P15-24 26) 국가보훈처,『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공훈록』 제10권, 1993, 237∼238쪽.
- 9 9 -
그림 70. 출처 : 국가보훈처 공훈사료관
- 1 0 0 -
그림 71. 윤재영 독립운동가 제적부
- 1 0 1 -
그림 72. 윤재영 독립운동가의 애국정신을 기리기위해 파 평윤씨 종중묘역(고촌면 영사정)에 기념비석을 세웠다.
- 1 0 2 -
윤종근(尹鍾根) ▲윤종근(尹鍾根)27) 1888.2.29-1959.4.15 김포군 월곶면 조강리 (운동계열 : 3.1운동) 1919년 3월 28일·29일에 걸쳐 김포군 월곶면 군하리(月串面 郡下里) 일대의 독 립만세 운동을 계획하고 그 진행을 주도하였다. 이미 군하리에서는 장날인 3월 22일에 3백여 명의 군중이 모여 독립만세 시위를 전개하였는데, 이 때 참여했던 조강리(祖江里)의 최우석(崔禹錫)이 조남윤(趙南 潤)·당인표(唐寅杓) 등과 함께 다시 독립만세 시위를 계획하였다. 그들은 3월 28일 당인표의 집에 모여, 이튿날 오전 11시에 읍내에서 독립만세 시위가 있으니 참여하라는 권유문 7매를 만들어 그에게 전달을 부탁하였다. 그는 각 동리를 돌며 이를 전달하고, 이날밤 정인교(鄭仁敎)·민창식(閔昌植) 등 수십 명의 동리사람과 함께 인근의 함반산(含飯山)에 올라가 횃불을 올리며 독립 만세를 외쳤다. 3월 29일 계획대로 4백여 명의 시위군중이 읍내에 모이자, 그는 그들과 함께 향교와 면사무소 앞에서 독립만세 시위를 전개하다가 체포되었으며, 이 해 7월 7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1년형을 선고받고 옥 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을 기리어 1983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 받음. 주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2권, 3.1운동(상), 155~156쪽.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5권, 3.1운동 재판기록, 325~326쪽. [참고자료] ·김진수.「김포항일독립운동사」2005. P71, 179, 311-324, 480-482, 530 ·김진수.「김포3.1만세운동사료집」2008. P152-175 27) 국가보훈처,『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공훈록』 제2권, 1986, 519쪽.
- 1 0 3 -
그림 73. 출처 : 국가보훈처 공훈사료관
- 1 0 4 -
윤주섭(尹周燮) ▲윤주섭(尹周燮)28) 1887.10.25∼1957.2.13 김포군 고촌면 신곡리 182번지 출신 (운동계열 : 3.1운동) 1919년 3월 24일 김포군 고촌면(高村面) 신곡리(新谷里)에서 김정국(金正國) 윤 재영(尹在英) 등과 같이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계획하고, 인근 주민 50여 명을 규 합하여 신곡리 뒷산에 모이게 한 후,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를 전개하다가 주 동자의 한사람으로 오후 5시경 일경에 피체되었다. 10일간을 김포경찰서에 있다가 이송되어 미결수로 2개월간을 갖은 고문을 당하고 이 해 5월 22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 1963년 병으로 사망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2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주 · 판결문(1919.5.22. 경성지방법원)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5집, 3.1운동 재판기록, 331·332쪽. ·윤주섭 공적서 [참고자료] ·김진수.「김포항일독립운동사」2005. P60-61, 180, 236-237, 531-532 ·김진수.「김포3.1만세운동사료집」2008. P15-24
28) 국가보훈처,『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공훈록』 제10권, 1993, 238쪽.
- 1 0 5 -
그림 74. 출처 : 국가보훈처 공훈사료관
- 1 0 6 -
그림 75. 윤주섭 독립운동가 제적부
- 1 0 7 -
그림 76. 윤주섭 독립운동가의 묘소는 고촌면 신곡리 산29 번지에 안장되어 있다.
그림 77. 윤주섭 독립운동가의 애국정신을 기리기 위해 파 평윤씨 종중에서 고촌면 영사정에 위치한 묘역에 기념비 석을 세웠다.
- 1 0 8 -
이병린(李炳麟) ▲이병린(李炳麟)29) 1887.3.21∼1930.4.9 김포군 대곶면 쇄암리 출신 (운동계열 : 3.1운동) 김포군 월곶면(月串面) 쇄암리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동면 군하리(郡下里)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그는 1919년 3월 22일 군하리 장터에서 주민 다수를 규합하여 격문을 배부하며 독립만세를 고창한 후 학교·향교·면사무소 등을 돌며 시위 행진하다가 일경에 피체되었다. 그리하여 이해 6월 1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0월형을 언도받아 1년여의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조선 각지로 10여년 동안 방랑생활을 하다 병을 얻어 고향으로 돌아와 사망하였다. 사망 직전 “나는 뜻을 이루지 못하였으나 너희들은 부디 내 뜻을 어김없이 이루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30)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주 ·판결문(1919. 6. 17 경성지방법원)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2권, 3.1운동(상), 155·156쪽.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5집, 3.1운동 재판기록, 326·327쪽. [참고자료] ·김진수.「김포항일독립운동사」2005. P68, 182, 297-309, 533-537 ·김진수.「김포3.1만세운동사료집」2008. P128-149
29) 국가보훈처,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공훈록』 제9권, 1991, 326~327쪽. 30) 이병린 공적서.
- 1 0 9 -
그림 78. 출처 : 국가보훈처 공훈사료관
- 1 1 0 -
그림 79. 이병린 독립운동가 제적부
- 1 1 1 -
그림 80. 이병린 독립운동가 학생시절 얼굴사진.
그림 81. 이병린 독립운동가 묘소는 김포시 대곶면 쇄암리에 안장되어 있다.
- 1 1 2 -
李살눔 ▲李살눔(이경덕)31) 1886.9.7∼1948.8.13 이명 : 撒路美 김포군 월곶면 군하리 78번지 출신 (운동계열 : 3.1운동)
1919년 당시 성서학교(聖書學校) 학생으로 김포군 월곶면(月串面) 고양리(高陽 里)에서 성태영(成泰永)ㆍ백일환(白日煥) 등과 함께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계획하 고 3월 22일 군하리(郡下里) 장터에 모인 수백 명의 시위군중에게 태극기를 배부 해 주며 독립만세를 고창하고 시위행진 하다가 일경에 피체되었다. 이 해 7월 12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형을 언도받고 공소하였으나 8월 13일 경성복심법원에서 기각당하여 옥고를 치렀다. 이살눔은 옥고를 치르던 중병을 얻어 서대문감옥으로부터 대정 8년(1919) 10월 27일 가출옥으로 석방되었다.32) 이후 군하리에서 통진교회를 개척하여 여전도사로 목회의 삶을 살았다.33) 목회를 하던 중 알 수 없는 병으로 사망하였다.34)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2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주 ㆍ판결문(1919.8.13. 경성지방법원) ·3ㆍ1운동실록(이용락), 437ㆍ438쪽 31) 국가보훈처,『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공훈록』 제10권, 1993, 256∼257쪽. 32) 이씨 가출옥증표. 조선총독부전옥(典獄) 삼전구양(三井久陽) 대정8년 10월 27일. 33) 푸른언덕(88-2-8호), 월곶제일교회, 박흥규목사 1988년 3월 ‘이 지역의 3.1운동자료’ 2003년 8월 15일 이살눔 전도사의 민족해방을 몸으로 실천한 뜻을 기리기 위해 박흥규 목사 외 17명과 11개 교회가 참여하여 현 푸른언덕교회(월곶면) 내에 ‘이경덕 전도사 3.1운동 기념 비’를 세웠다. 34) 현재 이살눔의 며느리가 생존해 있다.(이살눔의 양아들 부인) 그러나 석방된 이후의 내용을 전 혀 기억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교회를 세운 위치는 기억하고 있다.(현 월곶제일교회 아래 밭) 어느 날 알 수 없는 병을 얻어 남편이 밤중에 동네 주민 몰래 공동묘지에 안장했다고 한다. 묘 소위치를 기억 못하고 있다.
- 1 1 3 -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2권, 3.1운동(상), 154ㆍ155쪽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5집, 3.1운동재판기록, 327∼331쪽.
[참고자료] ·김진수.「김포항일독립운동사」2005. P67-71, 183, 266-292, 483-484 ·김진수.「김포3.1만세운동사료집」2008. P81-120, 311, 298-299
- 1 1 4 -
그림 83. 이살눔 신상기록카드 얼굴사진
그림 84. 이경덕(이살눔) 독립운동가는 당시 성서학당 신학생이었다. 앞 줄 왼쪽으로부터 3번째가 이경덕 전도사이다.
그림 82. 출처 : 국가보훈처 공훈사료관
- 1 1 5 -
그림 85. 이살눔 독립운동가의 신상기록카드 얼굴사진
- 1 1 6 -
그림 86. 이경덕(이살눔) 독립운동가의 애국정신을 기념하기 위해 기념비를 월곶면 고막리 75번지 푸른언덕교회 안에 세 웠다.
그림 87. 성서학당의 신학생이었던 이살눔(이경덕) 전도사의 기념사진, 왼쪽에서 앞줄 세 번째가 이살눔전도사
- 1 1 7 -
그림 88. 이살눔 며느리(양자아들)가 이살눔전도 사가 목회했던 통진교회 자리를 가리키고 있다. 뒤편에 월곶제일교회가 보인다.
- 1 1 8 -
이흥돌(李興乭) ▲이흥돌(李興乭)35) 1888∼? 김포군 고촌면 신곡리 32번지 출신 (운동계열 : 3.1운동)
그는 1919년 당시 전국 각지의 독립 만세운동을 전해 듣고 있던 바, 3월 25일 김남산(金南山)·김정의(金正義)등과 함께 주동이 되어 준비된 태극기를 동리 주 민 50여명에게 배포하고 선두에 서서 독립만세를 선창하니 수십 명이 이에 호응 하여 독립만세를 외치면서 시위운동을 벌이다가 일경에 피체되었다. 그는 이해 5월 22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형을 언도 받아 옥고를 치렀다. 주 · 판결문(1919.5.22 경성지방법원)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제2권, 3.1운동(상), 156쪽.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5집, 3.1운동 재판기록, 331·332쪽. [참고자료] ·김진수.「김포항일독립운동사」. 2005. P60-61, 187, 233-237 ·김진수.「김포3.1만세운동사료집」2008 P15-24
35) 국가보훈처,『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공훈록』제2권, 252쪽.
- 1 1 9 -
임용우(林容雨) ▲임용우(林容雨)36) 1884.9.24~1919.5.10 김포군 월곶면 개곡리 555번지 출신 (운동계열 : 3.1운동) 통진에 있던 창신학교를 졸업하고 모교에서 교편을 3년 동안 잡고 있다가 1912 년 27세 당시 덕적도 명덕학교로 부임 8년간 근무하면서 많은 애국청년들을 길러 냈다.37) 1919년 2월 하순 천도교회의 연락을 받고 상경하여 3월 1일 서울에서 독립선언식 에 참가하고 동년 3월 3일 고향인 김포군 월곶면 군하리 면사무소에 앞에 면민을 집합시키고 대한독립만세를 제창하고 시가행진을 벌였다.38) 또 1919년 3월 29일 최복석(崔復錫)·윤영규(尹寧圭) 등과 월곶면 갈산리(月串面 葛山里)·조강리(祖 江里) 일대의 독립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이 날 정오경 갈산리에서 최복석이 만든 태극기를 선두로 만세시위 행진을 벌이 고, 오후 2시 경 군하리(郡下里) 향교와 공립보통학교·면사무소를 차례로 행진 하였다. 또 그는 4월 9일 자기가 재직하는 명덕학교 운동회를 덕적도(德積島) 해안가에서 개최하여, 여기 모인 많은 학생과 참관자들의 앞으로 나아가 이재관(李載寬)·차 경창(車敬昌) 등과 독립만세를 선창하는 등 독립만세 운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 었다. 이 해 5월 9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1년 6개월형을 선고받고 서대문 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던 중, 일제의 잔인한 고문으로 옥중에 서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을 기리어 1968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1991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 받음.
36) 국가보훈처,『대한민국독립유공자 공훈록』 제2권, 1986, 579쪽. 37) 옹진군청 홈페이지(http://gun.ongjin.incheon.kr) 자료참조. 38) 김포군지편찬위원회,「김포군지」1977.2.28. 78쪽.
- 1 2 0 -
주 · 김포군수, 김포경찰서, 김포군 월곶면장 확인서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5권, 3.1운동 재판기록, 315~316쪽. 옹진군청 홈페이지(http://gun.ongjin.incheon.kr) 자료참조 [참고자료] ·김진수.「김포항일독립운동사」. 2005. P71-72, 188, 325-328, 545, 552-566 ·김진수.「김포3.1만세운동사료집」2008 P176-181
- 1 2 1 -
그림 89. 임용우 독립운동가의 교사시절 얼굴 사진
그림 90. 임용우 독립운동가의 묘소는 월곶면 개곡리 산87번지에 안장되어 있다.
- 1 2 2 -
그림 91. 임용우 독립운동가의 묘비
그림 92. 임용우 독립운동가가 고문에 의해 순직한 당시의 서대문형무소 전경
- 1 2 3 -
그림 93. 출처 : 국가보훈처 공훈사료관
- 1 2 4 -
그림 94. ① 1975년 11월 29일 김포문화재 김포군지부 및 김포군노인회가 애국 열사 임용선생의 묘비건립 제막식을 개최한 행사준비 문서자료이다.
- 1 2 5 -
그림 95. ② 1975년 11월 29일 김포문화재 김포군지부 및 김포군노인회가 애국 열사 임용선생의 묘비건립 제막식을 개최한 행사준비 문서자료이다.
- 1 2 6 -
그림 96. ③ 1975년 11월 29일 김포문화재 김포군지부 및 김포군노인회가 애국 열사 임용선생의 묘비건립 제막식을 개최한 행사준비 문서자료이다.
- 1 2 7 -
그림 97. 부안임씨 밀직공파보전(密直公派譜全)(1994)
- 1 2 8 -
그림 98. ① 1975년 1월 1일자로 인천지방 원호지청에서 독립유공자 임용우 아들 임명덕에게 보상금(연금) 월9,000 원을 수령해 가라는 안내엽서 자료이다. (앞면)
- 1 2 9 -
그림 99. ② 1975년 1월 1일자로 인천지방 원호지청에서 독 립유공자 임용우 아들 임명덕에게 보상금(연금) 월9,000원을 수령해 가라는 안내엽서 자료이다. (뒷면)
- 1 3 0 -
그림 100. ①1964년 4월 임용우 유족이 이건묵 월곶면장에게 사실확인을 받아 김포 군수와 김포경찰서장에게 인증서를 제출한 자료이다.
- 1 3 1 -
그림 101. ②1964년 4월 임용우 유족이 이건묵 월곶면장에게 사실확인을 받아 김포 군수와 김포경찰서장에게 인증서를 제출한 자료이다.
- 1 3 2 -
그림 102. ③ 1964년 4월 임용우 유족이 이건묵 월곶면장에게 사실확인을 받아 김 포군수와 김포경찰서장에게 인증서를 제출한 자료이다.
- 1 3 3 -
그림 103. ①1964년 1월 28일 이건묵 월곶면장이 임용우 선생이 만세운동을 전개한 것이 사실이라는 인증을 해준 자료이다.
- 1 3 4 -
그림 104. ②1964년 1월 28일 이건묵 월곶면장이 임용우 선생이 만세운동을 전개 한 것이 사실이라는 인증을 해준 자료이다.
- 1 3 5 -
그림 105. ①1947년 3월 1일 임용우 독립운동가가 재직하던 덕적도 명덕학교 제자 들이 김포시 월곶면 개곡리에 안장되어 있는 스승의 묘소를 참배하고 추모에 대한 아들 임명덕이 답사(인사)한 내용이다.
- 1 3 6 -
그림 106. ②1947년 3월 1일 임용우 독립운동가가 재직하던 덕적도 명덕학교 제 자들이 김포시 월곶면 개곡리에 안장되어 있는 스승의 묘소를 참배하고 추모에 대 한 아들 임명덕이 답사(인사)한 내용이다.
- 1 3 7 -
그림 107. ③1947년 3월 1일 임용우 독립운동가가 재직하던 덕적도 명덕학교 제자 들이 김포시 월곶면 개곡리에 안장되어 있는 스승의 묘소를 참배하고 추모에 대한 아들 임명덕이 답사(인사)한 내용이다.
- 1 3 8 -
그림 108. ④1947년 3월 1일 임용우 독립운동가가 재직하던 덕적도 명덕학교 제자 들이 김포시 월곶면 개곡리에 안장되어 있는 스승의 묘소를 참배하고 추모에 대한 아들 임명덕이 답사(인사)한 내용이다.
- 1 3 9 -
그림 109. ①임용우 외 3인이 덕적면 지도(섬) 임야를 9년간 경기도장관으로부터 대부받은 허가서 서류
- 1 4 0 -
그림 110. ②
- 1 4 1 -
그림 111. ③
- 1 4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