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cological Map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백두대간 생태지도 백두대간은 한반도 자연생태계를 남과 북으로 잇는 등줄기로써 생물종 다양성의 보고입니다. 백두대간 생태지도는 백두대간 생태계에 대하여 누구나 알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습니다.
백두대간 생태지도
백두대간 보호지역
국내 최초 선형 보호지역
완충구역
93,477ha
263,427ha
65%
The Ecological Map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백두대간 보호지역
백두대간 총길이 약
핵심구역
169,950ha
1,400km
세계 최초 벨트형 보호지역
남한에서의 길이 약
총길이 : 약 1400km (백두산 장군봉~지리산 천왕봉)
684km
남한에서의 길이 : 약 684km (강원도 고성군 향로봉~지리산 천왕봉) 면적 : 263,427ha 구성 : 1대간, 1정간, 13정맥 핵심구역 : 169,950ha (65%)
백두산 장군봉
강원도 고성군 향로봉
지리산 천왕봉
완충구역 : 93,477ha (35%)
산자분수령
국립공원
산은 물을 가르고, 물은 산을 넘지 않는다는 기본원리이다. 백두대간에 의해 행정구역, 문화, 풍속 등이 나누어진다.
자연공원
설악산, 오대산, 소백산,
7개
현황
월악산, 속리산, 덕유산, 지리산
도립공원
2개
태백산, 문경새재
백두대간의 유래 백두대간을 처음 이야기한 문헌은 10세기 초 고려 승려 도선의 옥룡기입니다. “우리나라는 백두에서
보호지구, 지역 명
개소
면적(ha)
근거법령
관리청
의미하는 대간이라는 말이 처음 사용된 문헌은 이중환의 택리지입니다. “대간은 끊어지지 않고
국립공원
7
126,934
자연공원법
환경부
옆으로 뻗었으며 남쪽으로 수천 리를 내려가 경상도 태백에까지 통하여 하나의 맥령을 이루었다”라고
도, 군립공원
2
777
자연공원법
지자체
문화재보호구역
21
29,973
문화재보호법
문화재청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44
8,109
산림보호법
산림청
일어나 지리산에서 끝났으며 물의 근원, 나무, 줄기의 땅이다”라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또 백두대간을
보호지구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백두대간과 백두정간을 처음 사용한 문헌은 이익의 성호사설로 백두산을 우리나라의 조종산이라 칭했습니다. 하지만 이때까지는 산맥 상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지는 못했습니다. 1770년에 이르러서야 신경준의 신경표에서 백두대간에 대해 그 용어뿐 아니라 백두산에서 지리산에 이르는 산맥연결의 상태, 관계, 순서를 표로 제시하는 등 정리한 것이 지금에 이릅니다.
강의 발원지
검룡소(강원도 태백시 창죽동) : 한강의 발원지 황지연못(강원도 태백시 황지동) : 낙동강의 발원지
인문지리적 측면
한반도 지리적 일체감,
식물현황
자연생태적 측면
한반도 산림생태계의 핵심축,
전체 특산식물 중
33%
한반도의 골간으로 형성된 생활권
백두대간의 가치
전체 식물 종 중
동물현황
27%
전체 희귀식물 중
멸종위기 식물 2급
17%
가시오갈피, 기생꽃, 날개하늘나리, 노랑만병초, 복주머니란, 산작약, 세뿔투구꽃, 연잎꿩의다리, 홍월귤
멸종위기 동물 1급 6종
생물종 다양성의 보고
문화적 측면
대동여지도(김정호, 1861)
민족정기의 상징이며 문화유산의 터전 반달가슴곰
Ursus thibetanus ussuricus
얼룩새코미꾸리
Koreocobitis naktongensis
수달
Lutra lutra
검독수리
Aquila chrysaetos
산양
Naemorhedus caudatus
사향노루
Moschus moschiferus
멸종위기 동물 2급 24종 벌매, 참매, 가는돌고기, 묵납자루, 붉은배새매, 표범장지뱀, 긴점박이올빼미, 큰말똥가리, 남생이, 한둑중개, 새홀리기, 구렁이(황구렁이), 담비, 삵, 조롱이, 올빼미, 맹꽁이, 열목어, 까막딱따구리, 수리부엉이, 하늘다람쥐, 금개구리, 돌상어, 말똥가리
동물
animals
백두대간 생태지도
가는돌고기
7
대륙유혈목이
5
삵
검독수리
6
돌상어
5
새홀리기
고라니
3
둑중개
7
소쩍새
The Ecological Map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구렁이
4
말똥가리
6
수달
금강모치
2
맹꽁이
8
금개구리
5
묵납자루
긴점박이올빼미
10
물두꺼비
까막딱따구리
4
반달가슴곰
까치살모사
7
꼬리치레도롱뇽 남생이
백두대간 (향로봉~천왕봉) 1
천왕봉~지리산~여원재
2
여원재~덕유산~덕산재
3
덕산재~삼도봉-황학산~화령재
4
화령재~속리산-월악산~저수령
5
저수령~소백산~도래기재
6
도래기재~태백산~피재
7
피재~청옥두타산~대관령
8
향로봉 한북정맥
구룡령~점봉산~한계령
10
한계령~설악산~향로봉
담비
9
식물
구룡령
8
오대산(1563m)
7
남한강 한남정맥
6 칠현산 소백산(1439m)
9
참매
7
9
큰말똥가리
10
수리부엉이
4
퉁가리
3
8
어름치
9
표범장지뱀
9
6
얼룩새코미꾸리
4
하늘다람쥐
8
열목어
6
한둑중개
10
벌매
7
오소리
4
황구렁이
1
1
불은배새매
9
올빼미
3
황조롱이
8
10
사향노루
6 10
원앙
8
5
산양
7 10
이끼도롱뇽
2
4
꽃개회나무
4
4 9
새끼노루귀
7
진범
9
2
끈끈이주걱
8
설악눈주목
10
참개싱아
8
2
참배암차즈기
3
4
찹좁쌀풀
3
3
1
6
5
2
4
8
5
9
plants
가문비나무
1
가시오갈피
5 10
날개하늘나리
6
8
세뿔투구꽃
4
5
솔나리
2
3
노랑만병초
10
솜다리
10
천마
1
갈퀴현호색
7
노랑무늬붓꽃
8
수정난풀
3
청괴불나무
9
피재
개족도리풀
9
등대시호
9
앉은부채
5
촛대승마
5
매봉산(1303m)
고광나무
3
만리화
9
애기앉은부채
6
큰연영초
6
고란초
4
만병초
9
연복초
9
태백기린초
7
고려엉겅퀴
7
만삼
8
연잎꿩의다리
9
털중나리
2
골고사리
6
망개나무
4
오동나무
3
털진달래
2
금강분취
6
모데미풀
2
왜솜다리
4 10
한계령풀
6
금강소나무
5
미치광이풀
4
자란초
4
6 5
할미밀망
2
금강애기나리
1
바늘명아주
10
자주솜대
2
5
홀아비바람꽃
5
금강제비꽃
3
백리향
7
정향나무
6
홍월귤
10
금강초롱꽃
8
벌깨냉이
7
주목
1
흰고려엉겅퀴
2
금꿩의다리
7
복주머니란
5
줄댕강나무
6
흰참꽃나무
1
금마타리
10
분취
7
지리대사초
1
흰현호색
8
산고사리삼
7
지리오갈피
1
히어리
1
산작약
10
지리터리풀
1
도래기재
낙동정맥
4
3
조롱이
각시서덜취
청옥산(1403m)
화령재
금남정맥
3
노랑갈퀴
저수령
금강
2
1
1
3
5
월악산(1079m)
속리산(1058m)
자가사리
가야산은분취
태백산(1567m)
한남금북정맥
2
가는잎향유
대관령
금북정맥
1
3
설악산(1708m)
한계령 북한강
대관령~오대산~구룡령
9
10
2
낙동강
2
기생꽃
6 10
긴잎갈퀴
8
7
8
3
덕산재 주화산
덕유산(1614m)
식생
2 금남호남정맥 영취산(1076m)
여원재 호남정맥
천왕봉
1
지리산(1915m) 낙남정맥
섬진강 영산강
금정산
대표수종
Vegetation
구상나무군락
2
사스래군락
7
가문비나무
10
사스래나무
8
금강소나무군락
4
신갈나무군락
9
구상나무
1
소나무
6
노각나무군락
3
아고산대
1
꼬리진달래
4
신갈나무
2
눈잣나무군락
10
전나무군락
8
당단풍나무
7
일본잎갈나무
3
분비나무군락
6
주목군락
5
분비나무
9
철쭉꽃
5
백운산
대표동물
대표식물
대표수종
반달가슴곰
꼬리치레도롱뇽
주목
금강초롱꽃
분비나무
사스래나무
Ursus thibetanus ussuricus
Onychodactylus fischeri
Taxus cuspidata
Hanabusaya asiatica
Abies nephrolepis
Betula ermanii
백두대간 생태지도를 만든 사람들 산림청(기획, 총괄) 김현식 산림보호국장, 최영태 산림생태복원팀장, 박영주 사무관, 송갑수 주무관 녹색연합(기획, 총괄, 진행) 임태영, 정규석, 한만형, 배제선, 서재철 백두대간숲연구소(총괄, 진행) 최윤호 박사(연구실장), 한광용 박사(상임이사), 충남대 이준우 교수(연구소장) GIS 김태균 부장 (주)우림앤알 디자인 슬로우워크-조성도 디렉터, 권지현 디자이너, 박지원 디자이너 자문 및 생태 분류군별 검토 식물, 식생-국립수목원 이병천 박사, 포유동물-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우동걸 연구원, 조류-한국환경생태연구소 이기섭 박사, 어류·양서파충류-서강정보대학교 심재환 교수 분야별 제작 지원 디자인 지원홍익대학교 이근희, 생태계 분류·정리 지원-이화여대 장은재, 서울대학교 이정현 GIS-디자인 연결 지원 이화여대 이주영 사진 제공 김현태, 문광연, 송홍선, 오현경, 이기섭, 이병천, 최현명,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생물자원관, 국립수산과학원, 국립수목원, 국립환경과학원, 습지와새들의친구
The Ecological Map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동물
봉화산(920m)
1구간
백두대간 생태지도
대표식물
반달가슴곰
가문비나무
6
Vegetation
Picea jezoensis
천연기념물, 멸종위기 1급 *
반달가슴곰
2
Ursus thibetanus ussuricus
천왕봉~지리산~여원재
Ursus thibetanus ussuricus
식생
1
대표동물
animals
천연기념물, 멸종위기 1급 *
4
황구렁이
3
Falco subbuteo
꼬리치레도롱뇽 Onychodactylus fischeri
멸종위기 2급 *
5
Elaphe schrenckii
희귀식물(취약종) *
새홀리기
자가사리
6
Liobagrus mediadiposalis
담비 Martes flavigula
1 여원재
멸종위기 2급 *
식물
전라북도
아고산대
3
7
한국고유종 *
plants
가문비나무
8
히어리
9
Corylopsis gotoana
Picea jezoensis
온대북부에 해당하는 식물의 수직분포대로 상록침엽수림 지대에 해당한다,
멸종위기 2급 *
주목 Taxus cuspidata
침엽수로는 가문비나무, 구상나무, 분비나무 등이 나타나며 활엽수는 사스래나무가 대표적이다. 백두대간에는 지리산, 덕유산, 소백산, 오대산,
경상남도
설악산 등에 나타난다.
대표수종
3
희귀식물(취약종) *
지리산
5
10
6
3
만복대(1433m)
3
9
지리대사초
희귀식물(약관심종) *
11
Carex okamotoi
7
천마
희귀식물(취약종) *
12
Gastrodia elata
지리터리풀 Filipendula formosa
천왕봉(1915m)
3
12
13
2
8 3 3 반야봉(1751m)
구상나무 Abies koreana 한국특산종, 희귀식물(약관심종) *
14
3
1115
10 한국특산종 *
희귀식물(취약종) *
한국특산종 *
한국특산종으로 전 세계에서 딱 세곳 백두대간 지리산, 덕유산과 제주도 한라산에만 서식한다. 소나무과로 학명에도 코리아가 들어간다.
3
백두대간에서 가장 희귀한 나무로 꼽힌다.
13
1
금강애기나리 Streptopus ovalis
14
지리오갈피 Eleutherococcus divaricatus
15
흰참꽃나무 Rhododendron tschonoskii
노고단(1502m) 3 3
6 4
3 희귀식물(약관심종) *
전라남도 현재위치
1:40,000
한국특산종, 희귀식물(자료부족종) *
희귀식물(위기종) *
백두대간보호지역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금강산, 설악산, 태백산, 소백산을 거쳐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큰 산줄기를 말하며, 한반도 생태계의 종축이다. 백두대간보호지역은 백두대간 중 특별히 보호할 필요가 있는 지역으로 산림청장이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정한 지역을 말하며, 2005. 9월에 26만ha가 처음 지정되었으며, 이는 국제적으로도 보기 드문 생태계보호구역이다.
The Ecological Map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2구간
백두대간 생태지도
동물
덕산재
1
삵
2
Prionailurus bengalensis
여원재~덕유산~덕산재
담비
3
Martes flavigula
새홀리기 Falco subbuteo
삼봉산(1255m) 7 향적봉
5
16
멸종위기 2급 *
6
식생
animals
4
14 15
Vegetation
전라북도
13
멸종위기 2급 *
조롱이
5
Accipiter gularis
금강모치
멸종위기 2급 *
6
Rhynchocypris kumgangensis
이끼 도롱뇽 Karsenia koreana
덕유산
8 11
4 남덕유산(1507m) 2 멸종위기 2급 *
한국고유종 *
한국특산종 *
3
식물
육십령
7
구상나무군락 Abies koreana |
plants
가문비나무
8
할미밀망
9
Clematis trichotoma
Picea jezoensis
| 한국특산종, 희귀식물(약관심종) *
고광나무 Philadelphus schrenkii
전 세계에서 오직 덕유산, 지리산, 한라산에만 나타나는 식생군락이다. 한국특산종인 구상나무는 분비나무와 형제로, 높고 서늘한 곳에 주로 살고 있다.
2 9 10
대표수종
희귀식물(취약종) *
2 백운산(1279m)
10
대표동물
대표식물
금강모치
구상나무
흰고려엉겅퀴
한국특산종 *
11
Cirsium setidens f. alba
털진달래 Rhododendron
12
자주솜대
15
털중나리 Lilium amabile
mucronulatum var. ciliatum
12 봉화산(920m)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백두대간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는 나무다. 200m부터 1900m까지 다양한
경상남도
Rhynchocypris kumgangensis 한국고유종 *
고도에 걸쳐서 서식한다. 참나무과로 남한에서 가장 많이 서식하는
13
모데미풀
14
Megaleranthis saniculifolia
Abies koreana
Smilacina bicolor
솔나리 Lilium cernuum
한국특산종, 희귀식물(약관심종) *
교목수종이다.
한국특산종, 희귀식물(위기종) *
16
2
한국특산종, 희귀식물(취약종) *
희귀식물(취약종) *
세뿔투구꽃 Aconitum austrokoreense
1
여원재
국립공원 현재위치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나 자연 및 문화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을 자연공원법에 따라 환경부장관이 지정한 지역을 말한다. 우리나라에는 지리산을 비롯하여 21개소가 있으며, 백두대간에는 설악산, 오대산,
1:23,000
소백산, 월악산, 속리산, 덕유산, 지리산 등 7개소가 있다. 멸종위기 2급, 한국특산종, 희귀식물(취약종) *
The Ecological Map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3구간
백두대간 생태지도
동물
화령재 대표식물
새홀리기
참배암차즈기
Falco subbuteo
7
Vegetation
멸종위기 2급 *
5
새홀리기
2
Falco subbuteo
덕산재~삼도봉-황학산~화령재
4
식생
1
대표동물
animals
Salvia chanryonica
멸종위기 2급 *
4
천연기념물, 멸종위기 2급 *
고라니
5
맹꽁이
삵 Prionailurus bengalensis
멸종위기 2급 *
6
Kaloula borealis
퉁가리 Liobagrus andersoni
6 멸종위기 2급 *
백학산(615m)
식물
경상북도
2
황학산 노각나무군락 | Stewartia pseudocamellia
3
Strix aluco
Hydropotes inermis
한국특산종, 희귀식물(약관심종) *
올빼미
7
| 한국특산종 *
plants
가야산은분취
8
Saussurea pseudogracilis
한국특산종으로 경상도와 전라도, 충북 일대에만 서식하는 교목군락이다.
한국고유종 *
각시서덜취
9
Saussurea macrolepis
고광나무 Philadelphus schrenkii
백두대간에서는 삼도봉, 민주지산과 지리산 사이에 소규모 군락이 나타난다. 내한성이 강하며, 비옥하고 습기가 많은 곳에 주로 서식한다. 나무자체는 껍질이 매끄럽고 아름다우며, 나무의 재질이 매우 단단하다.
11 15 국수봉(794m)
대표수종
14
한국특산종 *
10
금강제비꽃
11
Viola diamantiaca
3
희귀식물(약관심종) *
1
낙엽송이라한다. 70-80년대 국토녹화과정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도입된
오동나무 Paulownia coreana
10
일본잎갈나무 Larix kaempferi 백두대간에서 가장 많이 심어진 조림수종이다. 일본산 소나무과로 일명
12
Monotropa uniflora
난함산
9
충청북도
수정난풀
13
자란초
희귀식물(약관심종) *
14
Ajuga spectabilis
나무다.
참배암차즈기 Salvia chanryonica
한국특산종 *
15
참좁쌀풀 Lysimachia coreana
황학산(1111m) 12
13 현재위치
삼도봉(1178m)
1:23,000
한국특산종 *
한국특산종, 희귀식물(약관심종) *
한국특산종, 희귀식물(약관심종) *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원시림, 고산식물지대, 희귀식물 등 산림에 있는 식물의 유전자와 종 또는 산림생태계의 보전을 위하여 국가가
8
덕산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산림보호법에 따라 산림청장이 이를 지정·관리한다. 백두대간보호지역에는 민통선·울진삼척·점봉산 등이 대표적이다.
The Ecological Map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동물
4구간
백두대간 생태지도
1
animals
까막딱따구리 Dryocopus martius
화령재~속리산-월악산~저수령
수리부엉이
3
Bubo bubo
하늘다람쥐 Pteromys volans
2 포암산(962m)
대미산(1115m)
황장산(1077m) 14
저수령 천연기념물, 멸종위기 2급 *
4
식생
2
5
Meles meles
조령산(1016m)
Vegetation
오소리
천연기념물, 멸종위기 2급 *
구렁이
천연기념물, 멸종위기 2급 *
6
Elaphe schrenckii
얼룩새코미꾸리 Koreocobitis naktongensis
충청북도 이화령 3
1
14
5 10
희양산(997m)
장성봉
백화산(1063m)
멸종위기 2급 *
8
식물
6 9
금강소나무군락 | Pinus densiflora for. erecta |
15
7
대야산(931m)
plants
가는잎향유
8
Elsholtzia angustifolia
한국인의 정서를 대표하는 식생군락이다. 백두대간의 가장 대표적
멸종위기 1급, 한국고유종 *
고란초
9
Crypsinus hastatus
왜솜다리 Leontopodium japonicum
침엽수림이며 경북과 충북, 강원 일원에 발달해 있다. 소나무 중에서도 가장 빼어난 경관을 자랑하며, 수림의 형태가 곧고 잘 뻗어 자란다. 경관적 가치를 높게 평가한다.
조항산(954m) 대표수종
11 7 청화산(984m)
희귀식물(취약종) *
경상북도
대표동물
대표식물
하늘다람쥐
솔나리
10
꽃개회나무
희귀식물(약관심종) *
11
Syringa wolfii
노랑갈퀴
희귀식물(취약종) *
12
Vicia chosenensis
망개나무 Berchemia berchemiaefolia
문장대(1054m)
천왕봉(1058m)
속리산 13
12
꼬리진달래 Rhododendron micranthum 희귀식물(취약종) * 백두대간에서 가장 대표적인 한국특산종이다. 충북지방부터 경북북부까지
형제봉
걸쳐있다. 진달래과의 관목으로 상록수종이다. 석회암지대 지표종으로
Pteromys volans
참꽃나무겨우살이라고도 한다.
천연기념물, 멸종위기 2급 *
희귀식물(약관심종) *
Lilium cernuum 희귀식물(취약종) *
13
미치광이풀 Scopolia japonica
한국특산종 *
14
솔나리 Lilium cernuum
천연기념물, 희귀식물(취약종) *
15
자란초 Ajuga spectabilis
4 봉황산(741m)
화령재 현재위치
희귀식물(약관심종) *
희귀식물(취약종) *
한국특산종 *
생태경관보전지역
1:22,000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하거나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특별히 보전할 가치가 큰 지역으로서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라 환경부장관이 지정·관리한다. 왕피천생태경관보전지역을 비롯하여 동강, 운문산 등이 대표적이다.
The Ecological Map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동물
5구간
백두대간 생태지도
1
animals
조롱이 Accipiter gularis
저수령~소백산~도래기재
담비
3
Martes flavigula
수달 Lutra lutra
강원도
멸종위기 2급 *
4
식생
2
멸종위기 2급 *
금개구리
5
Pelophylax chosenicus
Vegetation
대륙유혈목이
천연기념물, 멸종위기 1급 *
6
돌상어 Gobiobotia brevibarba
Amphiesma vibakari ruthveni
2 1 6 5
주목군락 | Taxus cuspidata
충청북도
멸종위기 2급, 한국고유종 *
12
3
| 희귀식물(취약종) *
선달산(1236m) 도래기재
3
식물 7
11
8
금강소나무
9
Pinus densiflora for. erecta
노랑갈퀴 Vicia chosenensis
14 13 비로봉(1439m)
살아남은 대표적 희귀식생군락이다.
15
7
대표수종
가시오갈피
국망봉(1421m)
4
죽어 천년으로 불리는 생명력을 자랑하며 빙하기 때부터 한반도에서
plants
Eleutherococcus senticosus
소백산 비로봉 일대 집단자생지를 비롯하여 백두대간에는 지리산, 덕유산, 태백산, 청옥두타산, 오대산, 점봉산, 설악산 등에 서식한다. 살아 천년,
멸종위기 2급, 한국고유종 *
연화봉(1383m)
멸종위기 2급, 희귀식물(취약종) *
소백산
10
대표동물
대표식물
담비
노랑무늬붓꽃
복주머니란
한국특산종 *
11
Cypripedium macranthos
앉은부채
12
Symplocarpus renifolius
자란초 Ajuga spectabilis
죽령
도솔봉(1314m)
철쭉꽃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백두대간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는 관목군락이다. 낮은지대에서 높은
Martes flavigula
10
지대까지 다양하게 분포하는 관목으로 진달래과다.
멸종위기 2급 *
Iris odaesanensis f. purpurascens 희귀식물(취약종) *
멸종위기 2급, 희귀식물(멸종위기종) *
13
자주솜대 Smilacina bicolor
한국특산종 *
14
촛대승마 Cimicifuga simplex
15
홀아비바람꽃 Anemone koraiensis
범재 8
저수령
경상북도 현재위치 한국특산종, 희귀식물(취약종) *
한국특산종, 희귀식물(취약종)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1:25,000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되거나, 현재의 위협요인이 제거 또는 완화되지 아니할 경우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종을 국가가 보호 관리한다. 야생동식물보호법에 의해 1급과 2급으로 구분된다.
The Ecological Map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백두대간 생태지도
동물
6구간
1
도래기재~태백산~피재
검독수리
말똥가리
3
Buteo buteo
사향노루 Moschus moschiferus
피재
대표식물 13 천연기념물, 멸종위기 1급 *
4
식생
2
Aquila chrysaetos
7 금대봉(1418m)
대표동물
animals
산양
멸종위기 2급 *
5
Naemorhedus caudatus
Vegetation
물두꺼비
천연기념물, 멸종위기 1급 *
6
Bufo stejnegeri
열목어 Brachymystax lenok
8
열목어
주목
천연기념물 74호, 멸종위기 2급 *
희귀식물(취약종) *
Brachymystax lenok
함백산(1572m)
Taxus cuspidata
1 천연기념물, 멸종위기 1급 *
식물
15
태백산
7
분비나무군락 | Abies nephrolepis |
천연기념물 74호, 멸종위기 2급 *
plants
골고사리
8
Asplenium scolopendrium
백두대간의 가장 대표적인 고산 상록침엽수다. 지리산, 덕유산, 소백산,
금강분취
9
Saussurea diamantica
기생꽃 Trientalis europaea var. arctica
태백산, 청옥두타산, 오대산, 점봉산, 설악산 등에 서식한다. 구상나무와 형제로 수형자체가 잘 뻗은 삼각형을 이루며, 늘푸름을 자랑하는
강원도
대표적인 식생군락이다.
12
9
대표수종
장군봉(1567m)
희귀식물(약관심종) *
10
날개하늘나리
한국특산종 *
11
Lilium dauricum
애기앉은부채
멸종위기 2급, 희귀식물(취약종) *
12
Symplocarpus nipponicus
정향나무 Syringa patula
14
3
소나무 Pinus densiflora
멸종위기 2급, 희귀식물(멸종위기종) *
구룡산(1346m)
백두대간에서 가장 많이 서식하는 침엽수종으로 소나무과다. 다양한
11
고 도에서 살고 있다. 문화역사적으 로 민족 혼이 담겨진 나무다.
13
10
백두대간과 사연이 많은 수종이다.
2
큰연영초 Trillium tschonoskii
5
희귀식물(약관심종) *
14
한계령풀 Leontice microrhyncha
15
줄댕강나무 Abelia tyaihyoni
6 4
도래기재
현재위치
옥돌봉(1244m)
경상북도
희귀식물(취약종) *
희귀식물(취약종) *
한국특산종, 희귀식물(위기종)*
천연기념물
1:50,000
학술 및 관상적 가치가 높아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보호, 보존하는 종을 뜻한다. 문화재청에서 관리하는 천연기념물에는 동물의 종과 서식지, 식물의 개체·종 및 자생지, 지질 및 광물이 있다. 구역이나 권역인 경우에는 천연보호구역이라 한다.
The Ecological Map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백두대간 생태지도
동물
7구간
1
대표동물
animals
벌매
2
Pernis ptilorhynchus
대표식물
피재~청옥두타산~대관령
3
Accipiter gentilis
산양 Naemorhedus caudatus
대관령
능경봉(1123m) 멸종위기 2급 *
수달
식생
참매
Lutra lutra
고루포기산(1238m)
Vegetation
천연기념물, 멸종위기 1급 *
산개나리
4
Forsythia saxatilis
천연기념물, 멸종위기 2급 *
까치살모사
5
Gloydius saxatilis
가는돌고기
천연기념물, 멸종위기 1급 *
6
둑중개 Cottus koreanus
Pseudopungtungia tenuicorpa
한국특산종, 희귀식물(위기종) *
16
15
6
13
8
석병산(1055m) 10
멸종위기 2급, 한국고유종 *
대화실산(1010m)
식물 자병산(810m)
사스래군락 | Betula ermanii |
7
백두대간의 대표적인 고산 활엽수림이다. 활엽수 군락 중 가장 높은
plants
갈퀴현호색
8
태백기린초
9
Sedum latiovalifolium
Corydalis grandicalyx
12
한국고유종 *
고려엉겅퀴 Cirsium setidens
고도에서 자란다. 해발 1,200m 일대부터 나타난다. 자작나무과에 해당하며, 거제수와 함께 대표적인 북방계 수종이다. 껍질이 하얀색으로 독특한 경관을 자랑한다.
대표수종
한국특산종 *
10
금꿩의다리
한국특산종 *
11
Thalictrum rochebrunianum
7
만병초
한국특산종 *
12
백리향 Thymus quinquecostatus
Rhododendron brachycarpum
14 3 7
청옥산
11
청옥산(1403m) 두타산(1353m) 9 희귀식물(약관심종) *
당단풍나무 Acer pseudosieboldianum
강원도
백두대간에서 가장 많이 서식하는 아교목(중키나무)수종이다. 단풍나무과로 능선부에 많이 보인다.
5
13
4
벌깨냉이 Cardamine glechomifolia
14
분취 Saussurea seoulensis
희귀식물(취약종) *
15
산고사리삼 Sceptridium
multifidium var. robustum
두타산 2
한국특산종 *
현재위치
16
한국특산종 *
새끼노루귀 Hepatica insularis
한국특산종(한국고유종)
덕항산(1073m)
전세계에서 오직 한반도에만 서식하는 동, 식물을 말한다. 한국특산종은 한반도의 자연환경에서 적응, 진화해 온 귀중한 자연 유산이다.
1:26,000
한국특산식물과 한국고유어류라는 명칭이 따로 있을 정도로 식물군과
1
어류에서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분류 개념이다. 기후변화, 생물다양성의
피재
시대에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한국특산종 *
The Ecological Map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동물
8구간
백두대간 생태지도
1
animals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대관령~오대산~구룡령
원앙
3
Aix galericulata
반달가슴곰 Ursus thibetanus ussuricus
5
3
1 천연기념물 *
10
구룡령
식생
2
4
하늘다람쥐
5
Pteromys volans
15
Vegetation
천연기념물 *
맹꽁이
천연기념물, 멸종위기 1급 *
6
Kaloula borealis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
강원도
응복산(1360m) 14
천연기념물, 멸종위기 2급 *
두로봉(1421m) 12
식물 오대산
전나무군락 | Abies holophylla |
7
멸종위기 2급 *
plants
금강초롱꽃
8
Hanabusaya asiatica
백두대간에서 가장 큰 키를 자랑하는 수종이자 식생군락이다. 오대산의
멸종위기 2급, 한국고유종 *
노랑무늬붓꽃
9
Iris odaesanensis
끈끈이주걱 Drosera rotundifolia
8
전나무가 특히 유명하다. 분비나무, 구상나무와 형제다. 추위에 강하나 공해에는 약하다. 대표적인 고산성 교목이다.
노인봉(1338m) 7
대표수종
11 9
황병산(1407m)
4 한국특산종, 희귀식물(취약종) *
곤신봉(1135m) 13
2
대표동물
10
날개하늘나리
만병초
희귀식물(취약종) *
12
만삼 Codonopsis pilosula
Rhododendron brachycarpum
대표식물
멸종위기 2급, 희귀식물(멸종위기종) *
백두대간에서 가장 많이 서식하는 한대수종이다. 자작나무과로 북방계
대관령
활엽수이며 해발 1200m부터 1500m까지 서식한다.
13
참개싱아 Aconogonon microcarpum
Onychodactylus fischeri
11
Lilium dauricum
사스래나무 Betula ermanii
꼬리치레도롱뇽
희귀식물(취약종) *
희귀식물(약관심종) *
14
흰현호색 Corydalis albipetala
희귀식물(취약종) *
15
긴잎갈퀴 Galium dahuricum
금강초롱꽃
Hanabusaya asiatica 한국특산종, 희귀식물(취약종) *
현재위치
한국특산종 *
6
한국특산종 *
희귀식물(취약종) *
적색목록(Red List) 레드리스트는 세계자연보호연맹(IUCN )이 작성한 멸종 가능성이 있는 야생생물의 명단이다. 절멸종(EX ),
1:28,000
자생지 절멸종(EW ), 심각한 위기종(CR) 등 아홉 단계의 평가를 통해 생물을 분류한다. 정식 명칭은 ‘멸종 위기에 처한 동식물 보고서’이며 2~5 년마다 보고서 형식으로 출간·발표한다. 백두대간보호지역에는 비늘석송, 설악눈주목, 노랑만병초 등 IUCN의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 식물은 112종이 확인되었다.
The Ecological Map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백두대간 생태지도
동물
9구간
1
소쩍새
붉은배새매
3
Accipiter soloensis
수달 Lutra lutra
12 대표동물
대표식물 멸종위기 2급, 천연기념물 *
천연기념물 *
15
식생
2
Otus scops
황철봉
구룡령~점봉산~한계령
animals
4
5
Pteromys volans
설악산
Vegetation
하늘다람쥐
표범장지뱀
멸종위기 1급, 천연기념물 *
6
Eremias argus
어름치 Hemibarbus mylodon
4 한계령
산양
모데미풀
멸종위기 1급, 천연기념물 *
한국특산종, 희귀식물(위기종) *
Naemorhedus caudatus
Megaleranthis saniculifolia
멸종위기 2급, 천연기념물 *
8
14
식물
9 점봉산(1424m)
1
2
신갈나무군락 | Quercus mongolica |
7
6
천연기념물, 한국고유종 *
plants
개족도리풀
8
꽃개회나무
9
Syringa wolfii
Asarum maculatum
5
백두대간의 대표적인 활엽수림으로 지리산부터 DMZ까지 전 지역에 살고
멸종위기 2급 *
만병초 Rhododendron brachycarpum
있다. 한국에서도 대표적인 활엽수림으로 참나무의 대명사다. 남한에서는 점봉산에 원시성에 가까운 신갈나무림이 펼쳐져 있다.
점봉산 대표수종 한국특산종, 희귀식물(약관심종) *
강원도
10
청괴불나무
희귀식물(약관심종) *
11
Lonicera subsessilis
3
진범
희귀식물(약관심종) *
12
Aconitum pseudolaeve
연잎꿩의다리 Thalictrum ichangense
10 7
분비나무 Abies nephrolepis
한국특산종 *
한국특산종 *
멸종위기 2급, 희귀식물(위기종) *
백두대간에서 가장 많이 서식하는 고산침엽수종이다. 소나무과이며 구 상 나무 와 는 형 제 지 간 이다 . 기 후변화 에 매 우 민 감 하 며 해 발
13
간절곡봉(1196m)
1100 ~1900m에 걸쳐서 다양하게 서식한다.
구룡령
만리화 Forsythia ovata
14
연복초 Adoxa moschatellina
15
등대시호 Bupleurum euphorbioides
13 현재위치
한국특산종, 희귀식물(취약종) *
희귀식물(취약종) *
희귀식물 일반적으로 보호되어야 하는 자생지의 식물, 특히 개체군의 크기가 극히 적거나 감소하여 보전이 필요한 식물로서
1:29,000
종의 지리적 분포영역, 서식지의 특이성 정도 및 지역 집단의 크기를 고려하여 희귀성의 범주를 설정한다. 산림청에서는 자연환경보전법에서 멸종위기종을 별도로 구분하여 명시한 후, 이 명칭과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희귀식물이라는 단일한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국립수목원은 희귀식물을 571 분류군으로 선정하였다.
The Ecological Map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10구간
백두대간 생태지도
동물
향로봉(1296m)
1
한계령~설악산~향로봉 7
animals
긴점박이올빼미 Strix uralensis
큰말똥가리 Buteo hemilasius
3
산양 Naemorhedus caudatus
11
11 멸종위기 2급 *
1
식생
2
Vegetation
4
마산봉(1052m) 2
8 칠절봉(1172m)
멸종위기 2급 *
사향노루 Moschus moschiferus
5
천연기념물, 멸종위기 1급 *
남생이 Chinemys reevesii
6
한둑중개 Cottus hangiongensis
신선봉(1212m) 천연기념물, 멸종위기 1급 *
식물 7
눈잣나무군락 | Pinus pumila
천연기념물, 멸종위기 2급 *
plants
가시오갈피
8
금마타리
9
Patrinia saniculaefolia
Eleutherococcus senticosus
| 희귀식물(멸종위기종) *
멸종위기 2급 *
기생꽃 Trientalis europaea var. arctica
백두대간의 대표적인 고산 상록목이다. 설악산부터 북쪽으로 개마고원,
14
백두산을 거쳐 시베리아까지 서식한다. 높은 산지를 좋아하며 추위에
6
강하나 대기오염에 약해 도심지에서는 살지 못한다. 설악산 일대가
강원도
남방한계선으로 알려져 있다.
10
황철봉(1380m)
대표수종
멸종위기 2급, 희귀식물(취약종) *
10
산작약
한국특산종, 희귀식물(약관심종) *
11
Paeonia obovata
설악산
왜솜다리
멸종위기 2급, 희귀식물(위기종) *
12
Leontopodium japonicum
노랑만병초 Rhododendron aureum
3 5 대표동물
대표식물 멸종위기 2급, 희귀식물(멸종위기종) *
가문비나무 Picea jezoensis 희귀식물(취약종) * 백두대간에서 가장 높은 고도의 수직분포대에 살고 있는 나무다. 소나무과며
9
해발 1600m 위의 고도에만 서식한다. 남한에서는 백두대간의 지리산,
15
16
덕유산, 설악산 등에만 서식한다. 한반도에서는 백두대간인 백두산에
설악눈주목 Taxus caespitosa
14
바늘명아주
멸종위기 2급, 희귀식물(멸종위기종) *
15
Chenopodium aristatum
홍월귤 Arctous ruber
13 12
한계령
대규모 집단 서식지가 있다. 희귀식물(취약종) *
13
설악산
희귀식물(취약종) *
사향노루
설악눈주목
천연기념물, 멸종위기 1급 *
희귀식물(멸종위기종) *
Moschus moschiferus
Taxus caespitosa
현재위치
희귀식물(멸종위기종) *
16
희귀식물(위기종) *
멸종위기 2급, 희귀식물(멸종위기종) *
솜다리 Leontopodium coreanum
세계자연유산과 생물권보전지역 유네스코에 의해 국제사회가 합의하여 지정 등재 하는 국제적인
4
생물다양성과 생태보전 지역이다. 세계자연유산은 지구적 보편성을 가지는 공간이나 종의 서식지를 인류가 지정하여 관리한다. 생물권보전지역은 생태계보전과 지역사회가 공존하는 협력 체계이다.
1:40,000
점봉산(1424m)
한국에는 제주도 세계자연유산과 설악산, 제주도, 광릉숲, 신안 다도해 등 4곳의 생물권보전지역이 있다. 한국특산종, 희귀식물(자료부족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