찢어지는 재외 한인들의 오랜 소원
재외동포청 ‘이원 설치’…본청은 인천, 민원센터는 광화문
외교부가 다음 달 5일 출범하는 재외동포
청의 본청을 인천에, 민원센터 역할을 하
는 '재외동포 서비스지원센터'를 서울 광
화문에 설치한다. 인천국제공항을 앞세워
유치를 강력히 희망한 인천에 본청을 두
되, 민원센터는 각국 대사관과 가까운 광
화문에 두는 '이원 설치' 방식이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
서 "외교부는 앞서 세 차례의 당정 협의
를 통해 재외동포의 선호도가 높은 서울

과 인천 두 지역으로 후보지를 압축해 최
적의 입지를 검토했다"며 "그 결과 편의
성·접근성, 지방균형발전, 행정조직의 일
관성 측면에서 본청을 인천에 두기로 했
다"고 말했다. 이어 "정책 수요자인 재외
동포들의 업무 효율성을 고려해 '재외동
포서비스지원센터'를 서울 광화문에 설치 해 동포 대상 국적·사증·병역·세무·보훈·
연금 등 각종 행정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730만명의 재외동포에게 '원스톱 서비
스'를 제공하기 위해 신설되는 재외동포
청은 외교부 산하에 신설되는 첫 청(廳)
급 기관이다. 총 151명 규모로 민원 업무
를 처리하는 재외동포서비스지원센터는
25명이 정원이다. 센터에는 실무관 40명
을 두고 콜센터도 운영할 계획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국적·병역·사증·보훈 정도의
서비스가 최대였는데, 앞으로는 서비스
영역을 세금, 연금, 관세 관련 문제 등으
로 확대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기
존에는 재외 동포들이 여러 부처를 일일
이 찾아다녀야 했는데 이젠 원스톱으로
재외동포청이 접수해 결과를 만들어 전
달해드리겠다"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또 "이제 병무청(병역), 보 훈부(보훈), 보건복지부(연금), 국세청(세 무), 관세청(관세) 등 각 부처와 협의할 재 외동포 업무에 대해 재외동포청이 '센터 링'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초 재 외동포 관련 업무는 외교부가 재외동포
지원 정책, 법무부가 출입국 관련 업무, 병
무청이 병역 관리 등 여러 부처에 나뉘어 있었다. 1997년 설립된 외교부 산하 재외
동포재단은 사업을 시행하는 기관이라 동
포 정책 전반을 담당하기 역부족이었다.
재외동포청을 서울과 인천으로 '이원 설
치'하는 것과 관련해선 지난 2월 재외동포
청 신설 등을 포함한 정부조직법 개편안 이 국회에서 통과된 뒤 지방자치단체 간
유치 경쟁이 높아진 가운데 사실상 절충
안이란 분석이 나온다. 인천시는 인천국제
공항으로 입출국하는 재외동포가 편리하
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을 앞세워 재외동
포청 유치를 강하게 주장했다. 또 서울시
가 직접 유치전에 뛰어들진 않았지만, 외
교부를 비롯한 정부 차원에서는 주한 외
교 공관과 이동 거리와 재외동포 여론 등
을 고려해 서울에 설치할 필요성을 제기
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서로 싸우니까 일
부는 서울, 일부는 인천에 간다는 구도로
이해하는 건 맞지 않는다"며 "서울 광화문
에 재외동포서비스지원센터를 두는 이유
는 재외동포 중 500만명이 외국 국적인데
이들이 국적 사무, 사증 등 업무를 보려면
아무래도 국적국의 대사관과 가깝게 있는 것이 편리하고, 대사관과 연계해 처리할 민원 건수도 꽤 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 했다. 재외동포서비스지원센터의 위치는 하루 이틀 내로 결정될 전망인데 광화문

국민외교센터 혹은 인근의 별도의 건물을 임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또한 재외동포청 본청의 경우 "아직 구
체적인 입지를 선정한 건 아니지만 인천 공항에서 바로 가까운 곳으로 하려고 한 다"고 외교부 당국자는 설명했다.
한편 재외동포청 산하 별도의 법인인 재외동포협력센터도 조만간 설립될 예정 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재외동포청에서
하기 힘들고 어차피 외주를 줘야 하는 모 국 연수, 한상 대회 등 행사를 맡거나, 정 부 기관의 이름으로 하면 상대국이 자칫 불편해 할 수 있는 업무를 대신 하도록
해서 외교적 마찰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사실상 중국이 반발할 수 있는 중국 동포(조선족) 관련 사업 등 외교적으로 민감한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 중앙일보
써리 도로가 위험하다 - 연이은 교통사고 발생
써리RCMP는 관내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로 바쁘게 주말을 보냈다.
써리RCMP는 7일 오후 6시 15분에 24
번 에비뉴와 164번 스트리트에서 여러 대
의 차량이 연루된 교통사고가 발생했다
는 신고를 받았다.
현장에 출동한 경찰은 오토바이를 탄
운전자가 생명이 위태로운 상태의 중상
을 입은 것을 발견했고, 결국 이 운전자
는 현장에서 사망을 했다.
다른 교통사고에 연관된 자동차의 운전
자들은 현장에 남아 경찰의 수사에 협조
했다. 경찰은 사고 발생 경위를 조사하기
위해 이들 운전자 이외에 목격자나 사고
당시 현장을 지난 차량 운전자들의 협소
를 요청하고 있다. 제보 전화는 604-5990502이고, 사건번호는 23-71556이다.
이에 앞서 같은 날 오후 1시 30분에
는 152번 스트리트 3600블록에서 교통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152번 스트
리트를 따라 남쪽으로 향하던 검정색
SUV 차량이 같은 방향으로 달리던 차량
에 받혀 도로 밖으로 튕겨나가 니코멕클
강(Nicomekl River)으로 빠져 들어갔다.
근무 중인 RCMP 경찰과 주변에 있던

시민들, 그리고 침수되는 차량의 조수석
우리 것이 좋은 거이여 어버이날 한인회 공연
에 있던 여성 동승자가 운전를 차에서 꺼 냈고 응급조치를 취했다.
이런 순간적인 대응으로 해당 운전자는 다시 숨이 돌아왔고 구급차로 지역 병원 으로 급하게 이송됐다.
경찰은 이번 사고 경위를 파악하기 위
해 당시 152번 스트리트와 36번 에비뉴를 통과한 차량 운전자의 동영상 제보를 전
화 604-599-0502번에서, 사건번호는202371416으로 받고 있다.






또 6일 오후 10시 46분에는 스캇로드으 103A 블록에서 보행자가 자동차에 치여 사망하는 사고도 발생했다. 표영태 기자
지난 6일 밴쿠버한인센터에서 열린 어버이날 행사에서 김도연 양이 부채춤을 선보였다. 이 날 오후 12시부터 BC한인회 소속 청소년한국문화사절단(KCYA, Korea Culture Youth Ambassador)은 회원과 어머니들은 한인 노인들을 모시고 한인 청소년들이 다양한 연 주와 춤, 노래 등으로 즐거운 시간을 선사했다. 아울러 청소년한국문화사절단 어머니들이 준비한 도시락과 어묵탕, 과자 등으로 점심식사가 제공됐다. 표영태 기자
주캐나다한국문화원이 소개하는 다양한 한국의 모습
5월, 아시아문화유산의 달을 기념
해외문화홍보원(KOCIS, 원장 김장 호)과 주캐나다한국문화원(원장 이
성은, 이하 문화원)은 5월 ‘아시아
문화유산의 달 (Asian Heritage Month)을 기념하여 캐나다에서 한
국의 다양한 문화를 소개하는 프
로그램을 진행한다.
아시아문화유산의 달은 2001년부
터 캐나다 연방정부로부터 공식 채
택되어 지켜지고 있으며 캐나다 사
회에 거주하는 아시아계 캐나다인
의 역사와 문화유산에 대한 이해
증진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에 맞게 문화원은 어린이 체험
프로그램, 캘리그래피 강좌, 한식강
좌, 학교방문 프로그램, 한국 영화
상영, 한국 미술작가 워크샵, 한국
계 캐나다인 작가들의 문화원 전시
등 다양한 한국 문화 프로그램을
준비하여 한국문화에 대한 캐나다
인의 이해도를 높일 예정이다.
캘리그래피 Calligraphy 강좌
문화원은 5월 15일 (월) 특별 한글
캘리그래피 강좌를 진행한다. 단 하
루만 진행되는 이번 강좌에서는 가
정의 달이라는 테마에 맞추어 어린
이날과 어버이날에 대해 배우며 가
족에게 보내는 한글 캘리그래피 카
드를 제작한다.
한식강좌
문화원은 5월 15일 월요일 오후 6 시 한식 강좌를 진행한다. 문화원
주밴쿠버총영사관의 견종
호 총영사는 지난 4일(목) BC
주의 이민봉사단체인 석세스
(SUCCESS)의 Queenie Choo
회장과 Terry Yung 이사회 의
장 등 주요 임원진을 관저 만
찬에 초청하여, 금년 SUCCESS
출범 50주년을 축하했다.
견 총영사는 SUCCESS가 그
동안 한국인 전용 상담창구인
한식강좌인 나선나 셰프와 함께 다
양한 한식에 대해 배우고 직접 만
들어보는 한식 강좌는 매번 인기
가 많은 프로그램으로 캐나다 내
에서 한식의 인기를 알 수 있는 프
로그램이다.
이번 강좌에 소개될 한식은 대표
적인 한식 중 하나인 간장 소불고
기이다. 캐나다인들은 한국하면 떠
오르는 음식은 불고기, 비빔밥, 김
치 등이라고 언급하는데 아시아문
화유산의 달을 맞아 불고기 강좌
를 준비하였다. 본 행사는 온라인
과 오프라인을 병행해서 진행될 예
정으로, 문화원에 방문하기 어려운
현지인들도 온라인을 통해 강좌를
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찾아가는 K-Culture, K-Cul-




ture: 아트 워크숍 시리즈
문화원은 5월 16일 예술가 차지
량과 함께 <떠나려는 사람만이 모
든 것을 본다>의 상영 및 아티스트
토크를 진행한다.
차지량 작가는 미디어를 활용한
참여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시스템
과 개인에 초점을 맞춘 주제별 현
장을 개설하는 작업을 이어왔다.
2008년 <이동을 위한 회화>를 시작
으로 성장하는 젊은 세대들과 온라
인 커뮤니티를 만들어 일시적으로
공간을 점유하는 프로젝트 <일시적
기업>을 발표했다. 이후 미래의 균
형이 어긋난 상황을 공유하는 ‘한
국 난민’ 시리즈, 해외 이주를 경
험한 사람들과 ‘BATS’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캐나다와 한국을 포함한 다양한 장소에서 관객과 만나왔다.
이번 아티스트 토크에서 차지량
은 한국이라는 시스템에 속한 한국 이라는 개인이라는 주제를 다루며 깁밤과 전 같은 한국 음식을 나누 어 먹으며 그만의 작업 방식에 대 한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다.
K-시네마 <교섭> 상영 아시아문화의 달에 최신 개봉 영 화인<교섭>(2023, 임순례)을 온라 인으로 만나볼 수 있다. 글로벌 OTT 라쿠텐 비키(Rakuten Viki)
에 따르면 미국과 캐나다 현지에서 TVOD(Transactional Video On Demand) 서비스되고 있는 600여 편의 영화들 가운데 황정민과 현 빈 주연의 <교섭>이 2위에 랭크되 며, 북미지역에서 큰 사랑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주캐나다 한 국문화원은 현지인들의 새로운 한 국영화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며 5 월 24일부터 30일까지 임순례 감 독의 <교섭>(2023)을 상영한다. 영
화 <교섭>은 중동에서 납치된 한
국인 인질을 구하기 위해 외교관과 국정원 요원의 숨 가쁜 활동을 그 린 이야기로 지난 2007년 개신교 신도 23명이 선교를 위해 아프간 에 갔다가 텔레반에 납치됐던 실 제 사건을 각색한 영화이다. 배우 들의 열연과 한 치 앞을 알 수 없 는 교섭 작전은 관객들을 영화에 몰입하게 한다.
전시 문화원은 큐레이터 공모전시 세번 째 작품, <장소에 대한 새로운 상 상: 땅, 가게, 집>을 개최하고 있다. 4월 27일 개막식을 통하여 문화원 의 전시실에서 소개되는 이번 작품
은 한국계 캐나다인 시각미술작가 3인의 공동전시다. 최근 몇년간 급증한 선주민과 사 회적 약자들에 대한 역사적 부정의 에 대한 캐나다인들의 관심은 이민 자들의 나라라는 허구에 기반한 캐 나다라는 국가 정체성에 대한 도전 으로 이어졌다. 한편 아시아계 이민 자들과 그 후손들의 유색인 이민자 들의 삶은 캐나다인의 정체성에 대
한 개념을 다각해왔다. 이번전시는 그런 유색인 이민자로서의 삶을 경
험을 땅, 가게, 집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보여준다.
이 전시는 국경과 세대를 넘나드 는 다양한 역사적 트라우마의 얽힌 기억을 다룬 세명의 작가들의 작업 을 통해 관객들로 하여금 식민주의, 자본주의, 인종차별, 다문화에 대 한 비평적 대화에 참여하고, 땅에 대한 식민주의적이고 자본주의적인 개념들을 고찰하며, 나아가 공존하 면서 살아가는 새로운 방식들을 상 상하도록 초대한다.
이번 행사에 대한 자세한 소개
는 문화원 홈페이지 (https://canada.korean-culture.org/ko/1253/ board/594/read/122814) 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밴쿠버 중앙일보
총영사, 이민자봉사단체 연이어 만나
Korea Helpline 개설 등 한국



인의 정착지원과 한국인 고용에
적극 기여해 온 데 대하여 감사
의 뜻을 전했다. 견 총영사는 SUCCESS가 캐
나다 이민을 계획하는 한국인들
에 대한 지원 강화 차원에서 서
울사무소까지 개설한 데 대하여
사의를 표명하고, 한국 이민자
들의 경우 특히 언어장벽 문제로
정착 초기에 많은 애로가 있는 바 특히 자녀 학업을 사유로 최
근 이민 비율이 증가하는 30~40 대 한국 여성 이민자들에 대한
정착지원과 취업지원에도 관심
을 가져줄 것을 요청했다.
또 다음날인 5일(금)에는 또
다른 주요 이민자 봉사단체인
MOSAIC의 Olga Stachova
CEO를 면담하여 MOSAIC가
한국 이민자들의 정착, 주택 임
차, 언어 지원 등을 적극적으로
해 오고 있는 것에 대해 사의
를 표했다.
견 총영사는 한국 이민자들의
주택 임차 분쟁 및 조기 유학생
들의 홈스테이 문제 등과 관련
하여 MOSAIC의 계속된 지원
을 요청했다.
밴쿠버 중앙일보


“우리 수연씨가 이 자리엔 없지만, 어디
서든지 보고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배우
안성기는 지난해 세상을 떠난 고 강수연
을 떠올리며 이렇게 말했다. 7일 오후 서






울 성동구 메가박스 성수점에서 열린 고
인의 1주기 추모전 ‘강수연, 영화롭게 오
랫동안’ 개막식에서다.
한국 영화계 최초의 ‘월드 스타’로 불
린 배우 강수연은 꼭 1년 전, 뇌출혈로 인
한 심정지로 병원에서 치료받던 중 별세
했다. 그의 나이 56세였다. 넷플릭스 영화
‘정이’로 10년 만의 복귀를 앞두고 날아
든 비보였다. 추모전 개막식에는 강수연과
작품을 함께한 배우 안성기·박중훈을 비
롯해, 김동호 전 부산국제영화제 이사장, 박보균 문화체육부 장관, 임순례·배창호· 윤제균·이장호 감독, 홍정인 메가박스중

앙 대표 등 문화·영화계 인사가 참석했다.

배우 유지태가 사회를 맡은 개막식은

강수연·안성기 주연 로맨스 영화 ‘그대 안 의 블루’(1992)의 동명 주제곡을 가수 김
현철·배우 공성하가 함께 부르며 시작했
다. 이 노래의 작곡자인 김현철은 무대를
마친 뒤 “강수연님이 여기 어딘가에 앉아
계실 것만 같다”고 말했다.
영화인들은 각자 기억하는 이야기로 강
‘강수연, 영화롭게 오랫동안’ 9일까지
유지태 사회, 안성기·박중훈 등 애도
박보균 장관·홍정인 대표도 참석
메가박스 성수에선 출연작품 상영
수연을 추모했다. 고인과 영화 3편을 함
께 찍은 박중훈은 “강수연은 내가 직접
본 사람 중 가장 아름다운 사람인 동시
에, 실제 생활에선 검소한데 어려운 곳에
는 선뜻 마음을 쓰는 통 큰 사람이었다”
고 회상했다. 배우 문소리는 영상을 통해
“언니는 (배우라는 직업에) 굉장히 큰 책
임감을 갖고 임했던 것 같다. 어려운 순
간도 많았을 텐데, 절대 약한 소리를 한
적이 없다”고 돌이켰다. 후배 배우 정우 성·이정재·이정현·김아중·최희서 등이 영
상으로 추모인사를 전했다.
유족 대표로 무대에 오른 동생 강수
경씨는 “이번 추모전은 우리 가족뿐 아
니라 언니에게도 특별한 의미로 남을 것


같다”며 행사를 기획한 추진위원회 등에
감사를 표했다. 이번 추모전은 임권택 감
독, 김동호 전 이사장, 배우 박중훈·예지
원 등 ‘강수연 추모사업 추진위원회’ 주
최로 마련됐다.
2023년 5월 9일 화요일
1주기 추모전 개막
7일 추모 행사에 참석한 김동호 전 부산국제영화제 이사장(왼쪽)과 배우 안성기. 권혁재 사진
이날 추모집 『강수연』(사진)도 발간됐
다. 313쪽 분량의 추모집에는 영화감독·

평론가 정성일이 쓴 에세이 겸 배우론을 시작으로, 봉준호 감독과 배우 설경구·김
현주의 손편지, 소설가 정세랑의 추도사, 고인의 사진 수십장 등이 수록됐다. 특
히 책에는 “강수연은 영리한 배우였다”
는 임권택 감독의 추모사도 실렸다. 강수
연은 1989년 임 감독의 ‘아제아제 바라아 제’로 모스크바 국제영화제에서 여우주연 상을 받았다. 이 영화의 비구니 역을 위해

그는 삭발은 물론, 촬영 6개월 전부터 절
에 들어가 살기도 했다.
9일까지인 이번 추모전은 강수연의 대

표작 상영, 배우·감독이 참여하는 관객과
의 대화 행사 등이 함께 진행된다. 앞서
6일 한국영상자료원에서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처녀들의 저녁식사’ ‘달빛
길어올리기’가 상영됐고, 9일까지 메가박

스 성수에서 ‘씨받이’ ‘미미와 철수의 청
춘스케치’ ‘아제아제바라아제’ ‘경마장 가
는 길’ ‘그대 안의 블루’ ‘송어’ ‘주리’ ‘정


이’가 상영된다. 남수현·나원정 기자 nam.soohyoun@joongang.co.kr

“우리 수연씨, 어디서든 보고 있겠죠?”




모기지
한상훈(James Han) T. 604.671.7783
















































박신일 법률공증사
부동산 등기/사업체 양도 유언장/위임장/증언서/공증



NOTARY PUBLICSHINIL PARK









T604.936.727 5
: 604-544-5155

빌리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