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 (604)544-5155
COPYRIGHT 2021
제4892호 2021년 11월 10일 수요일 A
The Korea Daily
BC, 주말 3일간 17명의 코로나19 사망자가 나와 확진자 수는 1438명을 기록 12세 이상 접종 완료률 86% BC주의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수는 뚜 렷하게 줄어든 모습을 보였지만 사망자 수는 매일 크게 증가와 감소를 기록하며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BC주 보건당국이 8일 발표한 주말 3 일간 코로나19 발표에 따르면, 3일간 총 1438명의 확진자가 추가 됐다. 이로써 총 누적 확진자가 20만 9703명으로 이제 21 만 명을 넘어서게 됐다. 날짜별로 보면 6일 553명, 7일 462명, 그리고 8일 423명이다. 이는 4차 대유행 이후 낮은 편에 속한다. 그런데 3일간 사망자 수는 17명이 나왔 다. 하루에 약 6명의 사망자가 나온 셈이 다. 각 보건소별로 보면 북부보건소가 6 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프레이저보건소 가 5명, 밴쿠버섬보건소가 3명, 밴쿠버해 안보건소가 2명, 그리고 내륙보건소가 1명
을 각각 기록했다. 현재 BC주의 감염 중인 확진자는 4282 명이다. 이 중 입원 중인 환자는 407명이 고, 이중 다시 중증치료를 받는 환자는 121명이다. BC주는 이날 현재 12세 이상 인구 중 1회 이상 백신접종률이 90.3%에 2회 이상 접종률은 86%를 기록했다. 전국적으로 8일 기준 확진자 수는 2138 명이었다. 퀘벡주가 531명으로 가장 많은 확진자가 나왔고, 이어 온타리오주가 480 명, 그리고 BC주에 이어 알버타주가 284 명이 나왔다. 4차 대유행 절정기에 알버타주와 BC주 에 비해 적은 수를 기록했던 퀘벡주와 온 타리오주가 다시 최다 확진자 수를 보이 고 있어, 마치 대유행이 동부와 서부를 오 가며 전국일주를 하는 양상이다. 11월부터 위드 코로나를 선언한 한국은 8일 0시 기준으로 신규확진자가 1760명이 나왔다. 이중 해외 유입자는 27명이었다. 표영태 기자
1534명, BC주 9월까지 불법 마약 오남용 사망자 수
한국 20대 대통령 선거, 재외 한인 단체의 특정 후보 지지 선거법 위반
어린 시절 캐나다로 이민을 왔던 배우 최여진이 제20대 대통령 재외선거 신고·신청을 위한 홍보에 동참했다. 최여진의 홍보 동영상은 유튜브 (https://youtu.be/SHsnrqv9-Q8)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 대선 관심 높아져 시민권자는 개입 불가 한국의 제20대 대통령 후보들이 결정되 면서 내년 2월 23~28일 치러지는 재외선 거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특히 일 부 한인들은 특정 후보를 지지하고 나 서기도 했다. 이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재외선거관리위원회는 ‘공직선거법’ 준수를 당부했다,
8-9월 2달 간만 333명이 목숨 잃어 해당한다.이는 2016년과 비교해 2배 가깝 게 늘어난 셈이다. 2021년 들어서 매달 평 작년 동기 대비해 24%나 늘어난 수 균 170명이 목숨을 잃고 있다. 9월의 마약 오남용 사망자 수는 최소 150명 이상 사망 12개월 연속 기록 150명 이상 사망자가 나오기 시작한 지 BC주의 마약류에 의한 사망자 수가 작 연속해서 12번째 되는 달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년보다 급증하고 있는 추세를 이어갔다. 검시소의 리사 라포인테 소장은 "다시 BC주 검시소가 9일 발표한 불법 마약 독성에 의한 사망자 통계에 따르면 8월에 한 번 불법 마약 공급에 의한 사망자 수 181명, 그리고 9월 152명 등 2달간 불법 가 새로운 기록들을 갱신하고 있다"고 말 마약 오남용으로 인해 333명이 사망을 하 했다. BC주의 마약 오남용 사망에 대한 통계 는 등 올해 들어 총 1534명이 마약 오남 가 시작된 이후 이번 8월과 9월의 사망자 용으로 사망했다. 작년 동기의 1240명에 비해 24%가 증 수는 해당 월의 최다 기록이 됐다. 표영태 기자 가한 수치다. 또 인구 10만 명 당 39.4명에
대면행사도 안 돼 재외선거는 투명성을 강조하다 보니 한국보다 선거운동 제약이 많다. 우선 특정 단체나 대표자 명의로 정당이나 대 선 후보를 지지하는 모든 행위가 금지 된다. 특정 지지자 모임이나 단체가 대 외적으로 정당이나 대선 후보를 지지하 는 대면행사도 선거법 위반(공직선거법 218조)이다. 다만 사적인 모임은 가능하다. 김범진 재외선거관은 “지지자 모임이나 단체는 자발적 지원자끼리 내부적으로만 모임을 할 수 있다. 이때도 행사를 외부에 알리 거나 홍보하면 안 된다”고 설명했다.
시민권자 참여 NO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복수국적자가 아닌 시민권자는 대선 재외선거에 개입 해서는 안 된다고 못 박았다. 미국에서 한국 국적자인 재외국민만 선거참여 및 온라인 선거운동을 할 수 있다. 미국에서 흔한 정치인 후원금 역시 주의해야 한다. 정당이나 대선 후보를 위한 후원금은 한 국 내에서만 전달해야 한다. 인터넷 선거운동 OK 대선 재외선거를 앞두고 재외국민은 ‘ 인터넷, 전화, 말’로 하는 선거운동은 자 유롭게 할 수 있다. 인터넷을 활용한 블 로그, 게시판 등에 후보를 지지하는 글 과 포스터 등을 올릴 수 있다. 유튜브 채 널을 활용해 대선 후보 지지운동도 가능 하다. 이때 주의할 점은 반드시 개인 명 의로 해야 하고 ‘허위사실 유포나 욕설 과 비방’은 피해야 한다. 김범진 재외선거관은 “선거법상 허위 사실 유포와 비방 등 명예훼손은 처벌 수위가 높다. 개인 명의로 선거법을 준 수하며 인터넷 공간에서 선거운동을 자 유롭게 해 달라”고 강조했다.
(표영태 기자)
선거 인쇄물 금지 최근 한 한인은 한 정당의 대선 후보를 지지하는 신문광고를 사비로 냈다. 결론 부터 말하면 이런 행위는 공직선거법(93 조) 위반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선 거일 180일 전부터 해외에서 특정 정당 이나 대선 후보를 지지 또는 비판하는 ‘ 종이 인쇄물’은 원천 금지한다고 강조했 다. 종이 인쇄물은 전단, 홍보지, 신문광 고 등이 포함된다. LA총영사관 김범진 재외선거관은 “선 거법상 재외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 는 문서, 정당명이나 후보자명, 후보자 를 유추할 수 있는 인쇄물은 만들 수 없다. 종이 인쇄물은 공직선거법 위반과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할 수 있으니 의뢰 하거나 만들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한편 LA재외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10 월 10일 이후 재외선거인 등록은 1000명 이 넘었고, 영구명부는 2100명이라고 전 했다. 한국 국적자는 2022년 1월 8일까 지 재외선거 웹사이트(ova.nec.go.kr)에 서 재외선거인 등록 또는 영구명부 확인 을 할 수 있다. 미주 중앙일보 김형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