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 (604)544-5155
COPYRIGHT 2022
제5034호 2022년 7월 30일 토요일 A
The Korea Daily
윤 대통령 지지율 28% 집권 여당은 내홍 격화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취임 후 처음으로 30% 밑으로 떨어졌 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9일 나왔다. 지 난 5월 10일 취임한 지 두 달여 만이다. 그런 가운데 여당인 국민의힘 내에서 는 윤 대통령의 ‘내부 총질’ 메시지 노 출 후폭풍이 커지고 있다. 당장 이날 배 현진 최고위원이 전격 사퇴 의사를 밝 혔고, 초선 의원 32명은 신속한 비상대 책위원회 전환을 촉구하는 연판장을 당 지도부에 전달했다. 윤 대통령의 지지 율 하락에 여당의 내홍이 겹치면서 여 권 전체에 위기감이 확산되는 모양새다. 한국갤럽이 지난 26~28일 전국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29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 윤 대통 령이 직무 수행을 잘하고 있다는 응답 은 전주(32%)보다 4%포인트 낮은 28% 를 기록하며 30% 밑으로 떨어졌다. 반 면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62%로 전 주(60%)에 비해 2%포인트 올랐다. 한국 갤럽 조사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의 직 무 긍정 평가가 처음으로 30% 아래로 떨어진 것은 취임 후 2년이 지난 2015 년 1월 넷째 주였다. 문재인 전 대통령 의 직무 긍정 평가는 취임 후 4년이 지 난 2021년 4월 다섯째 주에 처음 30% 를 밑돌았다. 이준석 대표의 당원권 6개월 정지 징 계 후 권성동 당대표 직무대행 체제로 전환한 국민의힘 내에서도 당 지도체제 를 둘러싸고 파열음이 끊이질 않고 있 다. 당장 이날 오전 윤 대통령 지지율이 30% 밑으로 떨어졌다는 소식이 전해질 즈음 배 최고위원이 최고위원직 사퇴 의 사를 밝혔다. 비슷한 시각 초선 의원 63 명이 모인 단체 채팅방엔 비대위 전환 을 촉구하는 내용의 연판장이 올라왔 다. 박수영 의원이 성명서 초안을 올리 며 의원들 동의를 요청했고, 과반인 32 명이 동의하자 박 의원은 연판장을 권 대행 등 지도부에 전했다.
KOTRA 밴쿠버 무역관 안성준 관장 이임, 최현수 관장 부임
박 의원은 이후 페이스북에 “선당후 사의 큰 결단을 기다리겠다”고 적었고, 기자들과 만나서는 “지도부의 결단을 지켜본 뒤 그게 선당후사의 노력이라 면 (초선 의원들이) 더 이상 모일 필요 가 없을 거고, 미흡하다고 판단되면 다 시 액션을 취할 것”이라며 비대위 전환 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추가 행동에 나 설 것임을 시사했다. “권성동 대행 체제 6개월은 안돼” 배현 진 최고위원 사퇴 ‘총대’ 이날 배현진 최고위원의 사퇴는 일종 의 ‘총대 메기’ 성격에 가깝다는 게 당내 중론이다. 지난 11일 의원총회에서 권 대 행 체제가 승인된 이후에도 여권 내에서 는 “성과를 내야 하는 윤석열 정부 초반 에 여당이 직무대행 체제로 6개월을 보 낼 수는 없다”는 주장이 친윤계를 중심 으로 제기돼 왔다. 그러다 지난 15일 대통령실 전직 행정 요원 우모씨의 ‘사적 채용’ 논란 때 권 대 행의 실언 문제가 불거졌고, 지난 26일에 는 윤 대통령이 보낸 ‘내부 총질이나 하 던 당 대표’라는 텔레그램 메시지를 권 대행이 국회 본회의장에서 언론 카메라 에 노출시키는 일까지 벌어졌다. 그러자 대통령실을 포함한 여권 내에서 권 대 행을 향한 불만이 커졌고, 배 최고위원 이 이런 흐름 속에서 최고위원직을 던 진 것이다. 배 최고위원은 이날 1시간 넘게 진행 된 최고위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 나 “윤석열 정부 출범 후 80여 일이 되도 록 국민의 기대감을 충족시키지 못한 것 같다”며 “누구 한 사람이라도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할 때라고 생각해 결단을 내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퇴는) 이 대표 공백 사태가 생길 때부터 고민해 온 일”고 덧붙였다. 권호·최민지·성지원 기자 kwon.ho@joongang.co.kr
>> 4면 '지지율'로 계속
밴쿠버 중앙일보 BC Day 휴일 뉴스 발행 안내 8월 2일 화요일은 BC Day 공휴일로 인해 e중앙을 발행하지 않습니다.
KOTRA 밴쿠버무역관의 안성준 관장이 이임을 하고, 신임 최현수 관장이 부임을 해, 송해영 총영사는 지난 28일(목) 총영사관에서 환송과 환 영을 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송 총영사는 "펜데믹 상황에서도 취업박람회나 멘토링, 네트워킹 사업 및 서부 캐나다 주재 기업들 지원 사업을 적 극적으로 추진해 준 덕분에 좋은 성과들이 있었다"며 이임하는 안성준 관장에게 감사를 전하며, KOTRA 본부에 복귀해서도 많은 성과를 거두 기를 기원했다. 신임 최현수 관장에게 송 총영사는 "다양한 경험과 전문성으로 KOTRA 본부에서 평가 받는 신임 최현수 관장의 부임을 축하 하고, 앞으로 해외 일자리 창출 및 우리 기업 지원을 위해 총영사관과 한 몸으로 노력해 나갈 것"을 당부했다. 신임 최현수 관장은 KOTRA 시 카고 무역관과 폴란드 무역관 등에서 근무하였고, 부임 직전까지 KOTRA 본부의 사회적가치실장을 역임했다.
밴쿠버 중앙일보
작년 한국 거주 캐나다 국적자는 1만 5595명 총 외국인 거주자 165만명 경기도·서울에 44만명 집중 한국에 외국 국적자로 체류하는 외국인 수가 전체 인구의 3.2%를 차지하는 것으 로 나왔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1년 인구주택 총조사(전수) 결과 자료에 따르면, 한국 의 총 인구는 5173만 8071명이었다. 이중 외국인은 164만 9967명이었다. 성별로 전국의 남성은 2585만명이고 여 성은 2588만 8027명으로 별 차이가 없었 다. 반면 외국인은 90만 6507명 대 74만 3460명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외국인이 거주하는 지역을 보면 서울특 별시가 34만 7080명, 경기도가 57만 1204 명으로 전체 외국인의 55.7%가 몰려 있
었다. 전체 인구 중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에 거주하는 인구 비율의 44.7%보다 10% 포인트나 높았다. 즉 외국인의 수도권 집 중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특별사와 광역시, 그리고 도 단위로 전 체 인구 대비 외국인 비율이 높은 지역 을 보면 충남이 4.53%로 가장 높았고, 이 어 경기도가 4.18%, 제주가 3.75%, 서울 이 3.66%, 충북이 3.49%, 그리고 인천이 3.39%였다. 외국인 여성 인구가 남성 인구보다 많 은 지역은 서울특별시와 대전광역시 딱 2 곳이었다. 외국인의 국적별 국가 순위에서 중국 국적 한인이 52만 3073명으로 절대적이었 으며, 비 한인 중국 국적자는 19만 3073명 으로 총 중국 국적자는 71만 6146명으로
전체 외국인의 43.4%를 차지했다. 이어 베트남이 20만 265명, 태국이 15 만 8567명, 우즈베키스탄이 5만 9898명, 미국이 5만 7815명, 필리핀이 4만 870명, 캄보디아가 4만 415명 등이었다. 캐나다 국적자는 1만 5595명으로 16번째로 많은 국가에 올랐다. 각 시도별 캐나다 거주자 순위를 보 면 서울시가 6344명, 경기도가 4703명 등 이었다. 전국의 총 가구수는 2202만 2753개였 다. 즉 가구당 평균 가족수는 2.35명이 다. 외국인 가구수는 55만 6958명이다. 가구당 평균 가족수가 2.96명이다. 외국 인이 가구당 가족이 더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표영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