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abf08655a832feb953665962d9e115b1.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d9b1c3ff3b174a13b076de6f613b8054.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4b3147013085bc215fa9bd8358249cf6.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033807ac0e52032c7b3b1f3472176878.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085f80637edccf8329c26c53fad4b492.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a2b57bcda72b214a975210ba72747a68.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4fa030143b95910281cf23622eed89b0.jpeg)
트럼프 전
대통령이 각각 50%로 동률이었 다. 이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트럼 프 전 대통령과 토론했던 지난 6월 27일의 결과와 대비되는 것이다.
당시엔 토론을 지켜본 유권자의 67%가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바이 든 대통령보다 잘했다고 답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더 잘했다는 응 답률은 33%였다. 바이든 대통령 은 이날 TV 토론 참패에 따른 후 폭풍으로 결국 후보직을 내려놨 다. 토론
이날 토
론을 지켜본 등록 유권자의 45% 는 해리스 부통령을 긍정적으로 본다고 답했다. 부정적 평가는 44%였다. 토론 전 같은 조사에서 해리스 부통령에게 긍정적이라는 답변이 39%였던 것에 비하면 6%포인트 올랐다.
반면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해 서는 토론 후 응답자의 39%가 그 에게 우호적이라고 답했고, 비우 호적이라는 답은 51%였다. 토론 전 수치와 비슷하다. 6월 토론 당
시와 비교해 두 후보에 대한 신뢰
도도 높은 것으로 나왔다. 이번 조사에서 해리스 부통령 과 트럼프 전 대통령의 국정 운영 능력을 어느 정도 확신한다는 응 답자는 각각 54%였다. 응답자 36%는 트럼프 전 대통령, 32%는 해리스 부통령을 더 신뢰한다고 각각 답했다.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f263f66b4b563e0a0e278daeff831edf.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6a7ad99497112e35a00f5ae4c31ea102.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f263f66b4b563e0a0e278daeff831edf.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f263f66b4b563e0a0e278daeff831edf.jpeg)
지난 6월 토론 후엔 시청자의 14%만이 바이든 대통령의 리더십 에 신뢰를 표명했다. 또 이날 토론 시청자의 42%가 해리스 부통령이
뉴저지 레오니아(Leonia)시
거주 한인들이 중심이 된
‘Leonia 시장(현재 시장 Bill Ziegler) 예술자문위원회(위원장
황진호)’는 레오나아를‘더 살기
좋은 내고장으로 만들기 운동’에
적극 나섰다.
레오니아 예술자문위원회는
레오니아의 문화적 풍경을 조성
하고 풍부하게 하는 데 헌신하고
있다. 다양한 프로그램과 이벤트
를 통해 지역 사회의 문화생활을
풍요롭게 하고, 예술에 대한 지역
사회 참여를 촉진하고 있는데, 22
일 레오니아 시청과 도서관에서
레오니아 도서관을 지원하기 위
한 특별한 이벤트인‘레오니아 도
서관 기금 마련 갈라 및 미술 전
시회“를 개최한다.
이번 갈라는 Incognito 미술
전시회, 칵테일 및 저녁 식사, 브
로드웨이 뮤지션과 유명 오페라
가수들의 개인 음악 공연 등 다양
한 활동이 포함된다.
이 행사는Kulite, PNC Bank Leonia Pharmacy HMart, Dantes, Cafe Leo, Fontana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d1203dea601829c5bfa57e030fa1e6c4.jpeg)
Tritone, Gallery Episode, Pelicana Chicken, Leonia Wine & Spirit, Manor Beverages, Sedona Taphouse, Palisades Park Bakery가 후원한다. 주최측은 이 행사는 문화와 자선이 어우러진 기억에 남는 저 녁이 될 것“이라며 주민들의 많은 참석을 기대하고 있다. ▶Incognito 미술 전시회 22일: 오후 3:00 - 5:00 장소: Leonia 시청 미술 전시회는 일반에 개방되 며 작품을 상당한 할인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
공한다. 이 컬렉션은 지역 및 국 제 작가들의 익명 기부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명 작가들의
기여도 포함된다. 선택된 고가의
작품들은 침묵 경매를 통해 판매
되며, 나머지 작품들은 일괄 가격
으로 판매되며 구매 후에야 작가
의 정체가 공개된다.
▶칵테일 및 저녁 식사
2일: 오후 5:00 - 6:30 장소: Leonia 도서관
참가자들은 지역 후원자들이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6d0529ef69b1cf781fa3b4f643093927.jpeg)
제공하는 맛있는 칵테일과 저녁
식사를 즐길 수 있다. 이 저녁 세 그먼트에 참석하기 위해서는 120 달러의 티켓을 구매해야하며, 이 후의 음악 공연도 포함되어 있다. ▶음악 공연 22일 오후 7:00 - 8:00 장소: Leonia 시청
저녁은 Ruben Rangell, Ragga Petursdottir, Junah Chung, Maurycy Banazcek, Amy Kang 등의 재능 있는 뮤지 션들이 참여하는 개인 음악 공연 으로 마무리된다. 추가 공연으로 는 오페라 가수 Jinho Hwang(테 너), Jennifer Robinson(소프라 노), Esther Lee(메조소프라노)
와 피아니스트 Yunjin Choi가 참
여하여 기억에 남는 음악적 경험 을 선사할 것이다.
레오니아 도서관 기금 마련 갈
라의 목표는 도서관의 필수 업그
레이드 및 프로그램을 위한 기금
을 모으는 것이다. 수익금은 도서
관의 시설 및 제공 서비스를 향상 시키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주요 사용 용도는 △도서관의 기술 및 디지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72d0038a749e0d5cc4ebaea4c91c4a69.jpeg)
정보: 저녁 식사 및 콘 서트 티켓은 120 달러에 판매한 다. 티켓 구매나 추가 정보는 LeoniaLibrary.org에 들어와 보 면된다.
레오니아 시장의 예술 자문 위 원회 주요 멤버 Allen Terrell 씨 는“제1회 도서관 기금 마련 갈라 및 미술 전시회는 레어니아 커뮤 니티를 위한 기관에 필요한 지원 을 요청한다. 이번 갈라는 우리 도서관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 사 회를 단합할 수 있는 훌륭한 기회 를 제공할 것이다. 예술과 음악이 가득한 밤을 만들어 중요한 원인
을 위해 기금을 모으게 되어 매우 기쁘다. 여러분의 참여를 기대하 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길 바란다 고 말한다.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04eaafa1ac56c6e9fb70fbc55c43a6b4.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daa5640a33065ce767d26e710cd9f693.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132f23708905aa260a08c6d85894a1c8.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bb5d6a38250ca313ddf3fbf1d45fdca4.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4b911909b26bf13d3a46b80f6d028f87.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04e5365406deca7d6490a0d71ae9feb8.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96ea53873d9d6dfaa87299e16117f427.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267828ccd01d4c82d2dbcfabf7cf21fd.jpeg)
대한민국6.25참전유공자회 뉴욕지회(회장 박근실) 9월 월례회가 11일 플러싱 삼원각 식당에서 열렸다. 박근실 회장은“14일 VVA 126
“한인 한 사람만이라도
H마트 앞에서 유권자 등록운동
미한국상공회의소(코참, Kocham)과 경협 두 단체가 9일
과 10일 이틀 동안 워싱턴DC 국
회의사당을 방문하여 15명의 연
방 하원의원과 2명의 상원의원에
게 한국인 전용 전문비자인 E-4
비자애 대해 설명하고 지지와 법
안 서명을 호소했다.
이들이 방문한 9일에는 2명의
하원의원 Kelly Armstrong(RND-At Large), Joseph D Morelle (D-NY-25)이 추가로
법안을 서명하여 현재 하원에서
는 공동발의자(cosponsors)가
42명으로 늘었다.
이날 니들이 방문한 연방 하원
의워은 Nehls(R-TX-22)/ Victoria Spartz (R-IN-5)/ Kevin Kiley (R-CA-3)/ Langworth Nicholas (R-NY23)/ Tom Tiffany (R-WI-7)/ Dan Bishop (R-NC-8)/ Joseph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db4c43eb7eaa65020b57adcdb67142b4.jpeg)
Morelle (D-NY-25)/ Andy Biggs (R-AZ-05)/ Eric Swalwell(D-CA-14)/ Andrew Garbarino (R-NY-2)/ Van Drew (R-NJ-2)/ Donald Norcross (D-NJ-1)/ Luis Correa (CA-46)/ Greg Pence/ Alabama 이다.
상원의원은 Alex Padilla (DCA)/ Peter Welch (D-VT) 이 다.
코참은 8월 30일 Pat Ryan(D-NY-18)하원의원과는 버츄얼로 줌 미팅을 했고, Dick Durbin (D-IL) 상원의원과는 줌 미팅 스케줄을 잡는 중에 있다.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27216822af61e327f4d54d9ecccaa092.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d27fd7182e88d5e42456ca3d0d0189ed.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aa5085db67933e1ba304ab01f80d8b25.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f5a9893439dcde3baa0f0ed573ce3423.jpeg)
본선거가 이제 50여 일 밖에 남지 않았다. 11월 5일(화) 선거에서 유권자 들은 대통령과 연방상원의원을 뽑는 등 커뮤니티의 앞날을 결정 하는 중요한 선택을 해야한다. 한인사회 정치력 신장 운동을 펼치고 있는 뉴저지 민권센터는 10일(화) 시민권 선서식이 열린 뉴왁 법원에서 신규 유권자 등록 을 받은데 이어 11일(수)부터 매 주 수요일 한인 마켓 앞에서 유권 자 등록을 받는다. 올해 11월 5일 본선거에서 투 표를 하려면 10월 15일(화)까지 유권자 등록을 마쳐야 한다. 등록 에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은 아래
마켓 앞으로 가면 된다.
H마트,
미주 최대 아시안 슈퍼마켓 체 인인 H마트가 전북 농수산식품 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전북특 별자치도 우수 농산물 특판전”을 13일부터 26일까지 뉴욕과 뉴저 지에 위치한 20개의 매장에서 진 행된다. 행사 기간 동안‘4남매 시 골 청국장’부터‘초록수담 섬진 강 다슬기 맑은국’,‘다해식품 새 우추젓’등 까다롭게 엄선한 전북 특별자치도의 다양한 제품을 특 별한 가격에 만나볼 수 있다.
본 행사에 대한 문의는 아래 매장으로 하면 된다.
▶뉴욕 : 유니온점(718-4455656), 노던144점(718-412-5100),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fb437f2c5c6be348cef9932a74c86971.jpeg)
한인사회 정치력 신장 운동을 펼치고 있 는 뉴저지 민권센터는
노던156점(718-888-0005), 윌리스 턴파크점(516-699-0270), 그레잇 넥점(516-482-3113), 구화 플러싱 점(718-961-0999), 하츠데일점 (914-448-8888), 베이사이드점 (718-229-7400), 제리코점(516513-5050), 용커스점(914-5006550), 루즈벨트점(917-563-3270), 롱 아일 랜 드시티 점 (718-4898580).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5d2dc8e7ece81e6f79c1a2656e862758.jpeg)
▶뉴저지 : 리지필드점(201943-9600), 포트리점(201-9477800), 포트리 프레시점(201-9449009), 에디슨점(732-3391530), 레 오니아점(201-720-7005), 파라무 스점(201-708-2820), 리틀페리점 (201-426-2060), 체리힐점(856489-4611).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cb86d52c093f2ccb47716cdce4536983.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74fe8f0bb4772deff637058a70258f3c.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7631aea1c6ee05bb513994b2970459f2.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83b164c71c6af2ff9d5e43400985cfde.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04e5365406deca7d6490a0d71ae9feb8.jpeg)
인물을 공부하게 하여 한국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자긍심을 갖게 함으
로써 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키워주자. 특히 한국전쟁을 공부하게 하
여 전쟁의 원인, 과정, 후유증, 남북한 교류 확대 방안 모색, 통일로 가는
길을 열어가게 하자”
대뉴욕지구 경기여고 동창회 산하, 경운장학회는 4월 27일 오후 1시
맨해튼에 있는 코리아 소사이어티(The Korea Society)에서‘한국전쟁 (The Korean War)’을 주제로 제14회 영어웅변대회를 화상 및 대면 하
이브리드(hybrid)로 개최했다.
참가 대상은 미 전역에 거주하는 9학년부터 12학년의 한국계와 비한
국계 고등학생이다.
이 대회에 참가한 학생들은 이미 올해 2월‘한국전쟁(The Korean
War)’을 주제로 영어 글자수 1,400자 내, 웅변길이는 4-6분의 원고를 작성하여 경운장학회로 보내, 경운장학회가 원고 심사를 하여 결선 진 출자 15명의 선정을 마쳤다. 결선 진출자들은 장학회가 진행하는 스피치 워크샵을 통해 스피치 코칭을 받은 후, 4월 27일 본선에서 경합했다. 이들 15명 중 거주지에 따 라 11명은 직접 대회장에서 대면으로, 3명은 virtual로, 1명은 recording 으로 결선을 치렀다. 특히 올해는 15명의 결선 진출자 중 4명이 비한국계 학생이었고, 대 상 등 입싱자 중에도 비 한국계 학생들이 많았다. 경운장학회는 그동안 2011년~2021년 대회 입상자들의 원고를 모아 ‘Teens Speak’라는 단행본을 내어 미 전국 고등학교와 각 도서관에 배 부 했는데, 2022~2031년 대회 입상작도 단행본으로 출판할 예정 이다.
TheSadTruthBehindtheVictimsoftheKoreanWar
AlyssaKim[BergenCountyAcademies, NJ, 9thgrade)
Imagine your homeland getting invaded and you having to run away, without your family. That’ s what many people had to do when the Korean war happened. Growing up, I was always interested in my culture. I would ask my dad many questions about his time growing up in Korea, the differences between growing up in America and Korea, etc. During these question sessions, I found out my grandfather had lived through the Korean War. When I first heard about the Korean War, I thought my dad was making this up. So, when I got the chance to, I searched it up. Turns out, on June 25th, 1950, North Korean soldiers invaded South Korea. But this was as far as my research went back then.
A couple years later, I asked my dad again. “How was my grandfather’ s experience during the Korean War?” My dad then explained the story of how my grandfather’s hometown was about to get seized by the North Koreans, and how he had to run away to the south, without his family. This caused me to be very interested in the Korean War, and how the war even ended.
Recently, I was given the opportunity to research the Korean War more in depth. I found that after World War II, the Japanese Empire collapsed, ending Japanese rule over Korea. However, unlike other nations under Japanese rule, Korea did not have a native government set to rely on. This caused the Koreans to then split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2dff1cd040ae49e8160c1896db473f81.jpeg)
into two main categories. One group was made of Marxist revolutionaries that had lots of military experience. They’ d fought against the Japanese within Chinese-dominated armies. The leader of this group was Kim Il-Sung. Kim Il-Sung had received military training in Russia, and he used to be a part of their army, as a major. The other major group was more based on education, science, and industrialization of the west. Their leader was Syngman Rhee, someone who’d been educated in the United States. Syngman Rhee was also once president of a dissident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coordinated attack. North Korea, with the assistance of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invaded with
United Forces agreed that North Korea had breached the peace, they also sent forces to help, through the Incheon landing, which lasted from September 15, to September 16. Although the Soviet Union and North Korea were allies, and the United States allied with South Korea, China had chosen to be a part of this war to assist the communists to gain support from Russia.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fe936904bdb73abd2ebd53e43fdb3c80.jpeg)
“… AlthoughtheKoreanWardoesn’tdirectlyaffectme, itaffectedmygrandfather. My grandfatherhadrunawaywithouthisfamily, andlivedinSouthKoreaforthemajorityofhis lifewithoutknowingifhisfamilycamedown, oriftheywereevenalive. Thankfully, through the“FindingDispersedFamilies”ontheKoreanBroadcastingSystem, mygrandfatherwas abletoreunitewithhisoldersister. Throughthis, theywereabletocatchup, andmy grandfatherfoundoutthatthemajorityofhisfamilyhadalsocomedown, notlongafter. Thisreunionwasprobablylongawaited, andfullofhappiness. Althoughthismaynotbethe casewithmanyKoreans, Ibelievethattheoldergenerationsandveteransstilllivewithout knowingiftheirfamilyisstillaliveornot. Thefactthattheyonlyhavetheirmemoriesoftheir livesbeforethewarmakesmefeelverysorrowful. …”
[ThephotoshowsthereunionofseparatedfamiliesbetweenthetwoKoreas2018-08-20, andthisphotoisaphotoofdatathatisnotrelatedtothespecificfactsofthemanuscript.]
경운장학회 관계자들은“대회를 거듭할수룩 응모 학생들이 많아지 고, 툭히 외국계 학생들도 늘어 한국에 대해 올바를 인식을 갖게하는 등 교육적 효과가 크다. 우리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우지 못하는 한국의 역 사, 문화, 상황, 인물, 디아스포라(전 세계에 진출해 살고 있는 한인들) 을 스스로 공부하는 과정에서 한국에
크다, 대회 참가자들은 대회 전후를 비교하면 한 인으로서의 정체성이 월등하게 커졌다고 스스로 기뻐하고 있다”고 말 했다.
웅변대회에 대한 질문은 이메일 speech@kscholarship.org, 또는 전 화 734-657-6951, 631-513-5438으로 문의하면 된다. 뉴욕일보는 예년과 같이 경운장학회 영어웅변대회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여 올해도 입상자들의 원고를 전재한다.
fighting, both sides only managed to go back and forth around the 38th parallel. So, on July 27th, 1953, at Panmunjom, the Armistice Agreement was signed, temporarily ending the fighting. This allowed prisoners to be exchanged, and South Korea managed to gain some land as well. However, even though the fighting has stopped temporarily, no permanent peace treaty was ever signed. And this meant that there was constant tens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s well as the United States and now Russia.
From simply researching the Korean War, my perspective of world-wide conflicts changed. For example, the UkraineRussia war and the many civil wars in the Middle East have affected the lives of many, with many families moving to new countries, and some even separating. My perspective went from thinking of these wars as “just a war”, to understanding the dangers that these smaller wars can bring to the rest of the world, as well as the long-term effects of the countries and people involved. All I know is that when the war is over, no matter which side wins, there will be separated families, hundreds of thousands of soldiers dead and missing, many civilians misplaced, and many soldiers and families in poverty. I hope that families will be able to reunite, and cases similar to my grandfather’ s don’ t happen. “미국에서 자라나는 우리 한인 청소년들에게 한국의 역사와 문화,
These two main groups had very few common beliefs, except for their resentment toward Japan. This meant that they had their own visions for how Korea should be governed. So, on June 25th, 1950, North Korean soldiers invaded South Korea, attacking the 38th parallel, the line that separated North and South Korea, in a
high confidence of uniting the Korean Peninsula under a fully Communist rule. North Korea was confident that they could win, since America had withdrawn their troops from South Korea. Since the North Koreans were better trained and assisted than the South Koreans, the North Koreans were highly confident in winning a short and easy war. This sudden invasion caused President Truman to immediately resend assistance to South Korea. Since the
Before and during the Korean War,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had their own disagreements. They were in the middle of a Cold War, making many people believe that the Korean War was one of the proxy wars for the Cold War, with the Vietnam War being the major one. But, because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were each assisting one side of Korea, the only way to unify the peninsula would be to win the war. But during the three years of
The Korean War has made long term effects on the veterans and the Korean lands. The Korean War was a threeyear long war, with about 37,000 American losses, 415,000 South Korean losses, and 3,100 United Nations forces losses. The war also changed the lives of many, like my grandfather’s. My grandfather and his family were awakened by the sound of bombs. He ran away from his hometown, and was separated from his family. Once he’ d evacuated out of his home town near the 38th parallel, my grandfather gained a lot of traumatic memories. For example, he fell down a military trench and fainted. But then gained consciousness and found himself in a truck full of dead and dying people. Upon reaching the military camp, he was free to go back on his way.
Eventually, my grandfather found himself at Busan, and then Jeju Island, where he decided to settle down. But even though his life was out of trouble, one thing remained the same. He missed his family, and would give anything to go back to his hometown, and relive the familiar memories of nostalgia before the war.
Although the Korean War doesn’ t directly affect me, it
affected my grandfather. My grandfather had run away without his family, and lived in South Korea for the majority of his life without knowing if his family came down, or if they were even alive. Thankfully, through the “Finding Dispersed Families” on the Korean Broadcasting System, my grandfather was able to reunite with his older sister. Through this, they were able to catch up, and my grandfather found out that the majority of his family had also come down, not long after. This reunion was probably long awaited, and full of happiness. Although this may not be the case with many Koreans, I believe that the older generations and veterans still live without knowing if their family is still alive or not. The fact that they only have their memories of their lives before the war makes me feel very sorrowful.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45b1903215ead4cfc492af45d4ed2725.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04e5365406deca7d6490a0d71ae9feb8.jpeg)
9월 7일 토요일자 CNN인터 넷 신문에 “Landslidesare destroyingmuntimillion-dollar homesinCalifornia, andthey’ regettingworse”라는 기사 제목
과 산사태로 손상을 입은 모습을
담은 사진들(RanchoPalos Verdes, affluentcoastalcityin SouthernCalifornia, around30 milessouthofLosAngeles)이
필자의 눈길을 끈다.
태평양을 내려다보는 해안선 (DanaPoint, California) 절벽
위에 지은 멋있는 호화 주택들이
금방 바다로 쓸어내릴 듯 위험에
처한 모습의 사진은 아찔하다. 이
러한 산사태의 요인은 경사(the slope), 바위 종류(therock type), 기후(theclimate) 등이며, 지진(earthquakes), 집을 짓기 위
해 절벽을 깍고 지반과 도로를 다
지는 인간의 활동(human activities), 폭우(heavyrainfall)
등이 산사태를 유발할 수 있다고
한다.
◆ 보상 가능한 피해 사례
우리는 때때로 지진이나 홍수
로 산사태가 발생하여 많은 인명
과 재산에 손실을 가져온 기사를
실시간으로 접한다. 이러한 산사
태가 우리가 사는 집을 쓸어내린
다면 우리가 들고 있는 주택보험
이 무슨 소용이 있을까?. 한번 알
아보자.
주택보험(Homeowner’ s Policy)은 1-3가구 소유자가 직
접 거주하는 주택을 보험에 드는
일종의 종합보험(Package Policy)으로서 기본형(Basic Form=HO-1), 중간형(Broad Form=HO-2), 특별형(Special Form=HO-3) 등이 있고, 이 밖 에 세입자형(Renter’ s Policy=HO-4), 콘도나 코압 소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f44793197baad6cb4296e730fc4a8a17.jpeg)
김성준 <희망보험 (HopeAgencyInc)대표 뉴욕한인보험재정협회 2대 회장>
유자형(CondoUnitOwner’ s Policy=HO-6) 등이 있다.
주택보험은 소유자가 직접 거 주하는 주택만이 들 수 있다는 사 실은 매우 중요하다. 간혹 세내준 집(Dwellingrentedtoothers)을 주택보험으로 들고 있는 경우를 보게 되는데, 이것은 잘못된 것이 므로 그 주택보험을 즉시 세내준 집(Dwellingrentedtoothers)으 로 다시 들어야 한다. 세내준 집 을 주택보험으로 들고 있다가 사 고가 나면, 보험 청구를 할 수 없 기 때문이다.
종합보험이라는 뜻은 재산에 대한 보험(PropertyCoverages) 과 책임에 대한 보험(Liability Coverage)이 한 보따리 안에 함 께 묶여있는 보험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주택보험은 주택 건물 (Dwelling), 부속 건물 (AppurtenantStructure: garage, toolshed, etc), 개인 재 산(PersonalProperty: furniture, fixture, personalbelongings, etc), 사용의 상실(LossofUse) 등을 아래 말하는 여러 가지 종류 의 손실의 원인에 대해서 보험을 들뿐만 아니라, 주택 소유자의 법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10c24b63a7ad91984b083842883cd146.jpeg)
적 책임에 대한 보험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는 재산에 대한 부분 에 국한하여 말하기로 한다.
주택보험은 재산에 대한 보험
부분(PropertySection)에 물어
주는 손실의 원인(Covered CausesofLoss)이 나열되어 있 고, 물어주지 않는 손실의 원인은 제외조항(Exclusions)에 열거되 어 있다.
주인이 직접 거주하는 주택을
보험에 드는데 흔히 쓰이는 중간 형에 포함된 손실의 원인(Causes ofLoss)이 되는 위험요소 (Perils)는 화재 또는 번개(Fire orLightning), 폭풍우 (WindstormorHail), 폭발 (Explosion), 폭동(RiotorCivil Commotion), 비행기(Aircraft), 자동차(Vehicles), 연기(Sudden andAccidentalDamagefrom Smoke), 만행(Vandalismand MaliciousMischief), 유리 깨짐 (GlassBreakage), 도난(Theft), 낙하 물(FallingObjects), 얼음의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c0c4c911837ce8833ec6d12225e96713.jpeg)
무게(Weightof Ice, Snowor Sleet), 붕괴(Collapseofa BuildingorAnyPartofa Building), 파이프 파열(Sudden andAccidentalTearingApart, BurningorBulging), 액체의 유 출(AccidentalDischargeor OverflowofLiquidsorSteam), 동결(Freezingofaplumbing, heatingorair-conditioning systemordomesticappliance), 전류(Suddenand AccidentalDamagefrom ArtificiallyGenerated ElectricalCurrents), 등 17가지 이다. 산사태는 이상 17가지 손실 의 원인 가운데 포함되지 않고, 다음 열거된 제외조항 (Exclusions)의 14가지 제외되는 손실의 원인 가운데 포함되어 있 다.
◆ 산사태, 보상 대상 아니다. 제외조항에 열거된 손실의 원 인을 보면, 법령(Ordinanceor Law), 공공기관(Civil Authority), 핵 물질(Nuclear Hazard), 전쟁(War), 태만 (Neglect), 지각운동(Earth Movementofany Kind), 수해 (WaterDamage), 정전(Power Interruption), 업무중단 (Business Interruption), 닳음 (WearandTear), 실수(Errors, OmissionsandDefects), 고의적 행위(IntentionalActs), 행동 또 는 결정(ActsorDecisions), 기 후조건(WeatherConditions) 등 14가지가 있다.
이 산사태는 제외조항에 6번 째 열거된 지각운동에 포함된다.
이 조항을 자세히 보면,“Earth Movementofany Kind. This includes, butisnotlimitedto, earthquake, landslide, mudflow, earthsinkingand
earthrisingorshifting, subsidence, sinkhole, erosion, expandingorcontracting, volcaniceruptionoreffusion includingoutpouringoflavaor ash.”따라서 산사태로 무너져 내 린 집은 이 주택보험으로 그 손실 을 보상받을 수 없을 것이다.
주택보험의 대상은 건물 (Dwelling), 부대건물 (AppurtenantStructure: tool shed, garage, carport, etc.), 개 인재산(PersonalProperty: furniture, personalbelongings, etc.), 사용의 상실(LossofUse) 등이 있는데, 건물에 대한 보험액 수가 결정되면, 부대 건물은 건물 의 10%, 개인재산은 50%, 사용의 상실은 25%가 되도록 하는 공식 에 의해서 결정된다. 예컨대, 건 물에 대한 보험액수가 50만 달러 라고 하면, 부대 건물은 5만 달러, 개인재산은 25만 달러, 사용의 상 실은 12만5,000이 달러가 된다. 사 용의 상실은 부서진 집을 수리하 는 동안 호텔이나 임시거처를 임 대하는 비용을 물어준다.
◆ 기준은 대채비용가치 세입자 보험(Renter’sPolicy, HO4)의 대상은 세입자의 개인재 산이 화재보험의 대상이 된다. 코 압, 콘도 주인보험(Coopor CondoUnitOwner’sPolicy, HO6)의 대상은 자기 소유 주거 단위 안에 설치물과 개인재산이 화재보험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세입자는 자기 개인재산(대개 3 만~5만 달러)을 보험에 들면 되지 만 코압, 콘도 주인은 설치물과 개인재산(10만 20만 달러)을 보 험에 들어야 한다. 그러므로 코 압, 콘도 주거단위 주인들은 아파 트 주거단위 세입자들보다 많은 액수의 화재보험이 필요하게 된 다. 코압이나 콘도 주거단위를 살
William917-324-4402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9d8e2f0ef3ec5cc1bcf02e614c0c5092.jpeg)
뉴욕일보 기사제보 / 광고문의 718-939-0900 edit@newyorkilbo.com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778e37452c6bbe0bf9e2c176961c7313.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4cb082b2424b227edbaf7c7211a0b446.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e6b64df2b1685bcc99ca219f150a496a.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314bc210a218f085cab443bd4776c059.jpeg)
![](https://assets.isu.pub/document-structure/240912034431-fd5c63fcaf7113fec84a1976ff526bff/v1/c9fc4d1a66c48e9cafd5e93bd575ec6d.jpe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