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1824A

Page 1


미국의 중요한 일부”바이든·해리스, 추석

이 17일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열

린 추석 기념행사에 서면으로 축

하 인사를 전했다.

이날 오후 백악관 행정동인 아

이젠하워 빌딩에서 진행된 행사는

전·현직 백악관 한국계 직원의

주도로 열린 것이다.

앞서 백악관은 지난해 1월 바

이든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처

음으로 설 축하 행사를 개최했지

만, 추석 축하 행사가 열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행사에서 롱아일랜드한국 학교 뉴욕청소년합창단(단장 고

은자 롱아일랜드한국학교장)도이 고운 한복을 입고 공연하여 박수 갈체를 받았다.

바이든 대통령은“사상 첫 추 석 백악관 리셉션에 모인 여러분 에게 진심

감사하고 조상의 유산을 기

린다”며“추석은 한국 공동체의

풍부한 유산뿐 아니라 전 세계 사

람들을 하나로 묶는 보편적 유대

감을 떠올리게 한다”고 평가했다.

바이든 대통령은“우리는 모두

어딘가에서 왔지만, 모두 미국인”

이라며“가족이 이민 온 지 몇 세

해리스, 한국계와 가족‘인연’… 손아랫동서가 한국계 주디 리

대가 지났든, 여러분이 직접 이민 을 왔든, 여러분 각자는 한국 공동 체의 활기와 문화, 공헌을 우리나 라 태피스트리(여러 색실로 그림 을 짜 넣은 직물)에 엮어놓았다” 고 덧붙였다. 해리스 부통령도 서면 축사에

서“추석은 가족의 중요성, 가을의 축복, 그리고 우리가 조상의 넓은

어깨 위에 서 있다는 사실을 상기 시킨다”며“한국계 미국인은 수백 년 동안 우리나라의 중요한 부분 을 차지해왔다”고 했다. 또“모두 알다시피 여러분이 아시아계 미국 인, 하와이 원주민, 태평양 섬 주 민 공동체의 다양한 정체성과 경 험, 전통을 고양할 때 우리는 밝은 미래의 최전선에서 활기차고 문화 적 풍요로움이 있는 길을 개척한 다”고 했다. 해리스 부통령은 그러 면서“(남편) 더그(엠호프)와 나 는 당신의 안전하고 건강하며 행 복한 휴일을 기원한다”고 인사했 다. 해리스 부통령은 한국계 미국 인과 가족이기도

모닝컨설트 조사…“‘토론 승리 평가’해리스, 호감도도 53%로 최고치” USA투데이 펜실베이니아 조사도 해리스가 앞서… 핵심 카운티서도 우세

민주당 대선 후보인 카멀라 해

리스 부통령과 공화당 대선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간 지지

율 격차가 대선 TV 토론 이후 커

졌다는 여론조사가 나왔다.

여론조사업체 모닝컨설트가

13~15일 전국의 1만1천22명의 유

권자를 대상으로 조사해 17일 공

개한 여론조사(오차범위 ±1%p)

에서 해리스 부통령은 51%, 트럼

프 전 대통령은 45%의 지지율을

각각 기록했다. 두 사람의 6%포인 트(p) 지지율 격차는 지난 10일 첫

TV토론 전의 격차(3%p)보다 확 대된 것이다.

해리스 부통령이 이 업체의 여

론조사에서 51%의 지지를 받은

것은 처음이다.

이는 민주당원(94%가 해리스

부통령 지지), 2020년 대선 때 조

바이든 대통령 지지자(93%), 18~34세 유권자(56%) 등에서 지

지가 상승한 덕분이라고 모닝컨설

트는 밝혔다.

무당층인 무소속 유권자 대상

조사에서도 해리스 부통령(47%)

이 트럼프 전 대통령(41%)보다 6%p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지난 10일 TV 토론을 시청한

유권자 가운데 61%는 해리스 부

모닝컨설트

통령이 트럼프 전 대통령(33%)보 다 더 잘했다고 평가했다. 공화당 지지자 가운데서도 5명 중 1명꼴 로 해리스 부통령이 더 잘했다고 답했다. 해리스 부통령의 호감도도 이 업체 여론조사에서 역대 최고치인

53%로 상승했다. 반면 트럼프 전 대통령 호감도는 44%에 그쳤다. 한편, 해리스 부통령은 이번 대 선의 최대 관심 경합주인 펜실베 이니아에서 49%의 지지를 받아 46%를 기록한 트럼프 전 대통령 을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USA투데이가 밝혔다. 이 조사는 USA투데이가 서퍽대학교와 11~15일 유권자

44%를 각각 기록했다. 두 카운티는 대선 때마다 높은

뉴욕대한민국음악재단(이사

장 김영덕 박사) 합창단이 15일

(일) 오후 3시 플러싱에 있는 프

라미스교회 예루살렘 찬양대실에

서 창단식을 가졌다. 합창단 창단

식은 1부 창단예배와 2부 특별공

연(찬양)으로 진행됐다.

1부 예배는 강철웅 사무총장 의 사회로 황효명 장로의 기도, 하우선교회 대표 장동신 목사의 설교 김영덕 이사장의 인사, 임국 재 목사의 축도 순으로 진행됐다. 장동신 목사는 역대하 20장 20 절의 말씀으로‘하나님 여호와를

신뢰하라’는 설교를 했다.

2부는 합창단원 40여 명과 축 하객 80여 명, 모두 120여 명이 참 석한 가운데 박동명 음악감독의 지휘로 특별공연을 가졌다. △연락처: 사무총장 강철웅 (917-885-7769)

다. 백후보의 유태인선거본부(본 부장 알랜 셔먼)는 14일 퀸즈 프

레쉬 메도우지역의 한 유태인 지

활동을 펼쳤다.

케네스 백 후보의 한인선거본

부(본부장 곽호수)는 13일(금) 오 후부터 이른 저녁까지 퀸즈 플러

싱에서 선거유세를 펼쳤다.

이날 약 30명의 한인 자원봉사

자들은 플러싱 남쪽 제 25선거구

지역에서 피켓을 들고 팜플렛을

나눠주며 캠페인 활동을 전개했

지자 자택에서 20여 명의 후원자

들이 참석한 가운데 기금모금 행

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커티스 슬리와

뉴욕시장 공화당후보가 참석해,

뉴욕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어, 백

후보 같은 뛰어난 후보들이 대거 정계에 진출해 변화를 이끌어내 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커티스 슬리와 후보와 백 후보의 이날 연설은 프레쉬 메도 우 유태인주민 수천명이 가입된 온라인방송에 생중계 되어 유태 인 주민 1천여 명이 실시간 시청 하는 등 높은 관심을 이끌

대한민국 6·25참전유공자회 뉴욕지회(회장 박근실)는 11일 퀸 즈 플러싱에 있는 삼원각식당에 서 기자회견을 갖고,“미한국전참 전용사회 중부롱아일랜드지부 수 석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하 세종 전 롱아일랜드 한인회장은 한국군 참전은 물론, 카츄사 (KATUSA)로 근무한 적이 없는 데도 불구하고 미군으로 한국전 에 참전한 것처럼 잘못 알려져 있 다. 미군과 한국군 6·25참전용사

도모

공로와 업적을 부각시켰

한국군 6.25참전용사들에게 상대적 박탈감과 소외감을 안겨 주며 피해를 주고 있다”고 주장했 다. 이들은 또“한국전에서 전사

한 3만7천 명의 미군 전몰장병들 의 영혼과 명예를 위해 하세종 씨 는 미한국전참전용사회 중부롱아 일랜드지부 수석부회장직을 내려 놓고, 혈맹으로 맺어진 미군과 한 국군 6·25참전용사들간 전우애 를 돈독히 하는 데 앞장서야 한 다. 하세종 씨는 한국군 6.25참전 용사들이 미군과 동등하게 인정 받고 대우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 야 한다”는 입장을 덧붙였다. 이에 대해, 미한국전참전용사 회 중부롱아일랜드지부 살 스카 라토 회장과 하세종 수석부회장 은 뉴욕일보와의 인터뷰에서“대 한민국 6·25참전유공자회 뉴욕 지회가 기자회견과 지면 광고를 통해 밝히고 있는 내용들은 사실 과 전혀 다르다. 본의 아니게 오 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어

맨해튼 할렘지구에서 한국식

수업을 도입한 데모크라시 프렙

할렘 고등학교 한국어반(한국어

학과장: 김수진)은 추석인 17일 (화) 교내에서 학생들과 함께 추

석잔치를 벌였다. 이날 학생들은

송편 맛보기, 전 부치기, 투호, 딱 지치기, 실뜨기 등 10개의 스테이 션을 돌며 한국의 추석을 함께 즐 겁게 보냈다. 이 행사에 뉴욕한국 교육원 박창원 원장이 참석하여 100여 명의 학생들에게 실뜨기, 공기놀이, 딱지치기 등을

전라북도 부안군 권익현 군수, 뉴욕한인회 방문

뉴욕을

군수가 13일 뉴욕한

인회(회장 김광석)를 방문해 부

안군의 역사와 전통을 알렸다.

이날 권익현 군수는“부안은

고려시대 최고의 청자 생산지로, 고려 상감청자의 매력과 가치를 느낄 수 있는 특별한 곳”이라고 부안의 역사와 아름다움을 소개 하고 고려시대 상감청자 기법으

뉴욕한인 봉 사 센 터( K CS, 회장 김명미)가 아시아계 및 태 평양계(AAPI) 학생들을 위한

로 제작된 찻잔을 뉴욕한인회에 기념품으로 증정했다. 김광석 뉴 욕한인회장은“부안군의 역사와 전통이 앞으로도 더욱 빛을 발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부안군의 문화적 가치가 더욱 확장되길 기 대한다”고 화답했다.

무료 토요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무료 토요 프로그램은 △중학 생 자녀들을 위한 10주간의 창작 미술 프로그램 △어린이들을 위한 12주간의 무료 토요일 프로그램 등 2개 이다

CIDA한국부는 장애인들을 대상으로한 미술직품 공모전‘매우 특별한

CIDA, 21일‘매우 특별한 미술 대회’입상작

세인트 존스 대학교에서

장애인 가족 지원단체인

CIDA(Community Inclusion & Development Alliance) 한국부 (대표 배영서)는 장애인들을 대 상으로한 미술직품 공모전‘매우 특별한 미술 대회’입상작 전시회 와 축제를, 21일(토) 오전 10시부 터 St. John’s 대학에서 갖는다.

미술대회 대상은 William Choe/Dear Family, Goodnight, Noori Na/My Family가 차지했 다.

CIDA는 이날 수상작들에 대 한 시상식과 함께 전시회, 크래프 트, 페이스 페인팅, 버블불기 행사 등 다채로운 순서로 페스티벌을 벌인다.

참가를 원하는 사람들은 링크 에 등록해야 한다.

전시회에는 모든 출품 작품들 이 전시된다. 이날 오존 10시부터 작품전시 회, 엑티비티, 그룸 이벤트가 시작 되고 버블행사는 오전 11시 30분, 시상식은 12시에 갖는다.

△전시장 장소: St. John’s University De Angelo Center: Gate 6 주차장을 사용해야 한다. (GPS 주소: 81-98 170th St, Jamaica, NY 11432)

△중학생 자녀들을 위한 10주 간의 창작 미술 프로그램은 전문 적인 미술 프로그램으로 참여자의 창의성을 개발할 수 있다. 10월 5 일부터 12월 14일까지 매주 토요 일 오전 9시 30분부터 11시 30분까 지 뉴욕한인봉사센터 베이사이드 본관(203-05 32nd Ave., Bayside, NY. 11361)에서 수업한다. 신청 대상은 중학교 6학년에서 8학년 사이의 아시아계(태평양 섬계 포 함) 가정의 학생들 이다.

△어린이들을 위한 12주간의

무료 토요일 프로그램은 아트 앤 크라프트와 K-POP 댄스 수업을 통해 창의력과 신체 활동을 동시 에 경험할 수 있다. 9월 21일부터

12월 14일까지 매주 토요일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12시까지 뉴욕 한인봉사센터 베이사이드 본관 (203-05 32nd Ave., Bayside, NY. 11361)에서 수업한다. 신청 대상은 초

탈속(脫俗)의 무심이라든가, 매란국죽(梅蘭菊竹)의 서릿발 같은 기개가 아닌, 겸양과 덕망을 갖춘 소탈한 선비의 기품을 닮 았다고나 할까.“ … ”

몬이 있는 방안>이라는 글이 떠 오른다. 그러고 보니 레몬과 흡사 한 빛깔이다. 하지만 유자의 빛은 좀 더 온화하다. 애정을 상징한다 는 노란색. 그래서 질투와 시기의 의미를 갖기도 하는 노란빛은 그 러나 유자에 머물러서는 날카로 움을 접고 순후함만을 담는다.

‘알찬 부피를 느끼게 하는, 차 고 매끄럽고 얄밉도록 세련’된 모습이 레몬의 생김새라면, 유자 는 다소 성글고 꺼칠하고 투박한 모습이다. 저미는 칼끝에서 팽팽 한 탄력이 느껴지는 레몬과는 달 리 속살 또한 여리고 무르기 짝이 없다. 하지만 야물지 못한 그 모

독자 여러분들의 투고를 환영합니다.

뉴욕일보는 독자 여러분들이 신문제작에 참여하는 것을 환영합니다.

그 하나의 방법이 독자면에 투고하는 것입니다.

단상, 주장, 수필, 시, 사진, 분야에 관계없이 많은 투고 바랍니다.

◆ 보내실 곳: 뉴욕일보 편집국 이메일 edit@newyorkilbo.com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