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신학 미리보기

Page 1

BIBLICAL

THEOLOGY

OF

THE

NEW

요한신학 A

THEOLOGY

OF

JOHN’S GOSPEL AND LETTERS The Word, the Christ, the Son of God

안드레아스 쾨스텐베르거

지음

ㅣ 전광규 옮김

TESTAMEMNT


Copyright ⓒ 2009 by Andreas J. Kö stenberger Originally published in English A Theology of John’s Gospel and Letters by Zondervan, Grand Rapids, Michigan, USA. All rights reserved. This Korean translation edition © 2015 by Revival and Reformation Press, Seoul, Republic of Korea Published by arrangement with Zondervan Corporation L.L.C.,a division of HarperCollins Christian Publishing, Inc. through rMaeng2, Seoul, Republic of Korea. 이 한국어판의 저작권은 알맹2 에이전시를 통하여 Zondervan과 독점 계약한 부흥과개혁사에 있습니다. 신 저작권법에 의하여 한국 내에서 보호 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전재와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

는 교회의 부흥과 개혁을 추구합니다. 부흥과개혁사는 부흥과 개혁이 이 시대 한국 교회를 향한 하나님의 뜻이라고 믿으며, 조국 교회의 부흥과 개혁의 방향을 위한 이정표이자, 잠든 교회에는 부흥과 개혁을 촉구하는 나팔소리요, 깨어난 교회에는 부흥과 개혁의 불길을 지속시키는 장작더미이며, 부흥과 개혁을 꿈꾸며 소망하는 교회들을 하나로 모아 주기 위한 깃발이고자 기독교 출판의 바다에 출항 하였습니다.


요한신학 안드레아스 쾨스텐베르거 지음 ㅣ 전광규 옮김


│ 추천사 │

요한 신학 ( 복음서와 서신 ) 분야에 대한 연구의 종합적 측면에서 이 작품과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 D. A. 카슨, 트리니티 복음주의신학교 신약학 연구 교수

이 책은 여러 면에서 ‘첫째’다. 존더반 출판사가 펴내는 새로운 신약 성경신학 시리즈의 질과 형식에서 모범이 되는 첫 번째 책이며, 특히 요한복음과 요한 서신의 신학을 높은 학문적 수준에 서 다루고 있는 첫째가는 중요한 책이다. 또한 예수의 생애와 수난을 목격한 사람의 신학에 대해 철저한 해석을 제공하는 첫 번째 책이다. 이미 요한복음에 대한 꼼꼼하고 상세한 주석을 통해 연 구의 기반을 닦은 안드레아스 쾨스텐베르거는 여기서 체계적이고 흠잡을 데 없는 방식으로 복음 서 저자의 사상을 결집한 독자적인 연구를 제시한다. 특히 나는 이 책이 취하는 방식, 즉 상세한 주제에 따른 연구를 제시하기에 앞서 복음서와 서신이 담고 있는 요한의 신학적인 이야기를 다루 는 방법을 환영한다. 하워드 마셜, 애버딘 대학교 명예 연구 교수 및 신약해석학 명예 교수

이 묵직하고 훌륭한 책은 백과사전과 같은 방대함으로 요한 신학을 제시한다. 요한복음과 요한 서신의 사도적 저작권을 주장하는 안드레아스 쾨스텐베르거는 다른 학자들과 면밀하게 소통하면 서 역사, 문학, 언어, 주제 문제에 중점을 둔다. 그러면서도 목회자와 상급 과정의 학생들도 논의 를 따라가기가 쉽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우리는 이 책에서 그리스도의 사랑하는 제자가 쓴 매 우 귀중한 글들을 종합적으로 다루는 새로운 기준을 발견한다. 로버트 야브루, 트리니티 복음주의신학교 신약학 교수

4


성육신하신 말씀께 “모두 [즉 네 권의 정경 복음서 모두] 가 그리스도를 보여 주려는 동일한 목적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만일 이렇게 표현하는 것이 허락된다면, 처음 세 권은 그리스도의 몸을 보여 주지만 요한복음은 그리스도의 영혼을 보여 준다.” 존 칼빈, 1553

5


| 목차 |

추천사

4

세부 목차

10

표 목차

29

시리즈 서문

30

저자 서문

32

약어

34

1부 요한 신학의 역사적 틀 1장 요한 신학 및 요한복음과 요한 서신의 역사적 배경 1. 요한 신학과 성경신학 2. 요한복음과 요한 서신의 역사적 배경

43 44 58

2부 요한 신학의 문학적 기초 2장 요한복음과 요한 서신의 장르 3. 요한복음의 장르 4. 요한 서신의 장르

113 114 137

3장 요한복음과 요한 서신의 언어적, 문학적 측면 5. 요한의 어휘 6. 요한의 문체 7. 요한의 문학 장치 8. 요한복음의 구조 9. 요한 서신의 구조

141 143 145 151 186 189

4장 요한복음의 문학적 - 신학적 읽기 10. 요한복음의 문학적-신학적 읽기

195 196

5장 요한 서신의 문학적 - 신학적 읽기 11. 요한 서신의 문학적-신학적 읽기

287 288


3부 요한 신학의 주요 주제 A. 서설 6장 요한의 세계관과 성경 사용 12. 요한의 세계관 13. 요한의 성경 사용

301 303 326

B. 끝머리 ( 목적. 20:30~31 ) 7장 메시아와 표적 14. 메시아 15. 표적

341 342 353

C. 첫머리 ( 도입부. 1:1~18 ) 8장 말씀: 창조와 새 창조 16. 새 창조: 말씀, 생명, 빛

369 370

9장 하나님: 아버지, 아들, 성령 17. 요한과 예수, 유대교의 유일신론 18. 하나님 19. 아버지 20. 아들 21. 성령

391 392 398 409 420 434


10장 구속사: 예수의 절기 상징 성취 22. 구속사 23. 예수의 절기 상징 성취 24. 새로운 성전 예수

447 448 458 468

11장 우주적 재판 모티프: 세상과 유대인, 예수의 증인들 25. 우주적 재판 모티프

485 486

12장 새로운 메시아 공동체: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책임 26. 하나님의 선택과 예정 27. 죄와 심판 28. 믿음과 새로운 출생 29. 새로운 메시아 공동체

509 510 517 523 536

D. 중간부 ( 2부 머리말; 13:1~3 ) 13장 요한의 사랑의 윤리 30. 요한의 윤리적 비전

567 568

14장 요한의 십자가 신학 31. 예수의 옴의 성격 32. 예수의 일의 성격

587 588 595

15장 요한의 삼위일체적 선교신학 33. 요한과 선교

605 606

4부 요한 신학과 정경 16장 요한 신학과 신약의 다른 목소리 34. 요한 신학과 공관복음의 비교 35. 요한 신학과 바울 신학 및 다른 신약 책들의 신학 결론

617 618 632 634

참고문헌

636



│ 시리즈 서문 │

신약성경신학 시리즈 ( BTNT ) 는 신약 전체를 망라하는 여덟 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권은 주어 진 신약 저작 한 권이나 여러 권을 신약신학의 맥락에서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성경 전체의 맥락 에서 깊이 있게 탐구한다. 시리즈 각 권마다 연구하는 문서에 맞는 접근법을 필요로 하지만, 모든 책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 1 ) 최근의 학문 및 연구 동향 개관 ( 2 ) 관련된 서론적인 쟁점들에 대한 논의 ( 3 ) 문서의 내러티브 흐름에 따른 주제 해설 ( 4 ) 중요한 개별 주제들에 대한 논의 ( 5 ) 특정 문서와 신약 및 성경의 나머지 책들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 성경신학이 비교적 새로운 학문 분야인데다 의심스러운 가설들과 확실치 않은 방법론이나 결 함 있는 실행으로 인해 자주 방해받아 왔지만, 성경신학 분야는 오늘날 성경 및 신학 연구에서 가 장 유망한 길 가운데 하나다. 본질적으로 성경신학은 성경 본문 연구에 관여하는 한편 주어진 문 서가 기원한 역사적 배경을 면밀하게 고찰한다. 성경신학은 그리스도의 오심과 구원 사역을 중심 으로 하는 하나님의 구속사 계획의 연속선상에서 성경 각 문서가 기여하는 바를 찾아내며 설명하 려고 애쓴다. 또한 내러티브든지 강화든지 다른 문학 형태든지 주어진 문서에 대한 신학적 탐구 의 기초를 각 본문을 면밀하게 읽는 데 두려고 노력한다. 신약성경신학 시리즈는 신약 문서에 대한 다양하면서도 보완적인 견해들을 깊이 있게 연구함 으로 서로 관련된 성경의 중요한 주제들을 전체적으로, 문맥을 중시하면서, 영적으로 유익이 되 도록 연구하는 일에 중대한 공헌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각 권은 해당 문서에 대한 중요 한 주석이나 논문을 쓴 학자가 집필하며, 깊이 있는 연구를 위해 충분한 지면을 할애한다. 학문 배경이나 소속 기관이 다양하지만 필자들은 동일하게 복음주의 신앙에 헌신하며 성경의 권위를 존중한다. 또한 성경 정경이 모순됨 없이 궁극적인 통일성을 지녔다는 공통된 확신을 갖고 있다.

30


시리즈 서문

또한 이 시리즈는 신약의 개별 문서에 대한 연구 및 신약과 궁극적으로 성경 전체에 대한 연구 에 기여하는 것뿐 아니라, 성경신학이 어떻게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보여줌으로 방법론 면에도 기 여하려고 노력한다. 각 권의 구상 방식은 주어진 문서의 일부나 전체의 특성에 대한 면밀한 고찰 을 반영한다. 이른바 ‘공관복음’이라고 부르는 세 권 사이의 복잡한 상호 관계, 누가-행전의 이부 작으로서의 특성, 요한복음과 요한 서신, 요한계시록과의 관계, 바울의 저작인 열세 편지, 베드로 서와 야고보서와 유다서, 히브리서의 신학 등 각 권은 특유의 도전과 기회를 제공한다. 끝으로 아래에 인용된 케어드 ( G. B. Caird ) 의 말처럼 각 권이 성경에 담긴 하나님의 계시의 다면 적인 특성에 찬사를 보내게 되기를 바란다. 우리가 물어야 할 질문은 이 책들 모두가 같은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여부가 아니라 모든 책이 같은 예수를 증언하는지 그리고 예수를 통해 한 분 하나님의 다양하고 찬란한 지혜를 증언하는지 여부다……우리는 우리의 모든 증인을 하나의 틀에 집어넣으려 하지 말아야 하 며, 한 사람을 다른 사람과 비교해 볼 때 어떤 면에서 결함이 있어 보인다고 트집을 잡으며 불평하지도 말아야 한다. 우리가 할 일은 하나님께서 수많은 증인 개개인의 입을 통해 자신 의 복음을 확증하기로 결정하셨음을 기뻐하는 것이다. 신약 합창단의 악곡은 제창으로 부 르도록 쓴 것이 아니다. 1 )

이런 마음으로 필자들은 하나님의 웅장한 성경 교향곡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겸 허하게 자신들의 저작을 기고한다. 시리즈 편집자 안드레아스 쾨스텐베르거 노스캐롤라이나 웨이크 포리스트에서.

1 ) G. B. Caird, New Testament Theology , L. D. Hurst 편저 (Oxford: Clarendon, 1995), p. 24.

31


│ 저자 서문 │

처음에 요한 신학을 집필하는 일은 엄청난 부담을 주는 일이었다. 내가 요한 신학이라는 주제 에 대한 유용하고 방대한 이차 문헌보다 요한복음 본문 자체에서 시작하기로 결심한 다음에야 짐 이 가벼워졌고 이 일이 훨씬 해낼 만한 것으로 여겨졌다. 실제로 요한복음으로 시작해서 더 나아 가 이차 문헌의 유용한 통찰을 포함시키기로 한 결정이 대단히 중요했다는 것이 드러났다. 2 ) 요한 신학에 대한 이 책은 내가 쓴 베이커 요한복음 주석의 속편이자 앞서 펴낸 논문과 소론들 을 포함하고 있다. 3 ) 지면의 제한으로 인해 ‘1권’( 주석 ) 에서는 주로 주해상의 문제를 다루었다. 그러 나 이제는 이런 해석적인 사전 작업에 기초해 독립된 책으로 요한의 신학을 탐구할 때가 되었다. 영어권에서는 이 작업에 대한 경쟁이 치열하지 않다. 쓸모 있는 여러 방대한 저작을 가진 바울 연구 4 ) 와 달리, 요한 연구 분야에는 바울 연구에 필적할 만한 책이 없다. 무디 스미스의 『요한복 음 신학』 ( Moody Smith, Theology of the Gospel of John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1995] ) 은

너무 간략하

며 요한 신학에 대한 논의의 토대를 요한 문헌에 대한 면밀한 읽기에 두지 않는다. 본서와 유사한 저작 가운데 하나로 크레이그 쾨스터의 『생명의 말씀: 요한복음 신학』 ( Craig Koester, Word of Life: The Theology of John’s Gospel [Grand Rapids: Eerdmans, 2008] ) 이

있기는 하지만 성격

상 본서보다 훨씬 서론적이다. 유용한 개론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W. Hall Harris, “A Theology of John’s Writings,” in A Biblical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Moody Press, 1994 ) ;

W. Robert Cook, The Theology of John

( ed. Roy Zuck; Chicago:

( Chicago: Moody Press, 1979 ) ;

George

Barker Stevens, The Johannine Theology ( New York: Scribner, 1894 ). 그 밖의 유용한 자료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Michael J. Taylor, ed., A Companion

2 ) Adolf Schlatter, New Testament Theology: The History of the Christ and The Theology of the Apostles (trans. Andreas J. Kö stenberger; Grand Rapids: Baker, 1997 and 1999)에서도 비 슷한 접근법을 볼 수 있다. 여전히 여러 면에서 슐라터의 저작은 종합적인 이해 및 신학적 통찰에 있어 심오함의 본보기가 된다. 3 ) 이 점은 이 책 곳곳에서 해당 각주를 통해 밝히고 있다. 이 책에

32

서 인용한 책들에 대한 많은 서평을 포함하여 내 여러 저술이 www.biblicalfoundations.org에 소개되어 있다. 4 ) James D. G. Dunn, The Theology of Paul the Apostle (Grand Rapids: Eerdmans, 1997); Thomas R. Schreiner, Paul, Apostle of God’s Glory in Christ: A Pauline Theology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2001).


저자 서문

to John

( New York: Alba House, 1977 ) ;

Leon Morris, Jesus Is the Christ

Stephen Smalley, John: Evangelist and Interpreter Carter, John: Storyteller, Interpreter, Evangelist

( Grand Rapids: Eerdmans, 1989 ) ;

(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8 ) ;

( Peabody, MA: Hendrickson, 2006 ).

Warren

그러나 현재까지 내

가 아는 한 이용할 수 있는 완숙된 요한 신학은 없다. 먼저 내가 주님을 멀리 떠나 죄에 빠져 있을 때 나를 찾아주고 만나주신 주 예수 그리스도께 감 사를 드리고 싶다. 내 죄를 사하기 위해 나 대신 십자가에 죽으신 주님께 영원히 감사를 드린다. 나는 남은 삶을 주님을 섬기는 일에 헌신하기로 결심했다. 다른 책들도 그렇지만, 이 책은 “주를 깨끗한 마음으로 부르는”( 딤후 2:22 ) 모든 사람과 함께 주님께 드리는 나의 헌신의 표시다. 또한 내가 속한 학교인 남동침례신학교의 지원 및 너그러운 안식년 정책에 대해서도 감사를 드 린다. 이 책의 많은 부분이 그런 안식년 기간에 완성됐기 때문이다. 안식년이 소중한 이유는 학자 가 일상의 의무에서 물러나 성경 및 자신의 연구를 더 깊이 숙고할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인데, 이 책은 바로 그런 숙고를 요구했다. 아내와 아이들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내게 아내와 아이들은 이 땅의 나그네 여정 및 하 나님이 맡기신 소중한 청지기직의 동반자다. 부모님 ( 하네스와 마리아 ) 과 처부모님 ( 밥 제라드와 매리 제라 드 ),

우리 교회인 리치랜드 크릭 공동체교회, 특히 헌신적인 목회자들과 킹덤 패밀리 주일학교에

감사를 드린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집필 및 BTNT 시리즈 전체를 의뢰한 존더반의 포부에 찬사를 보낸다. 특 히 스탠 건드리와 카티아 카브렛의 지원과 편집 작업을 한 베르린 버브러지, 그리고 BTNT 시리 즈의 다른 기고자들에게 감사를 드린다. 많은 진지한 성경 학도가 이 시리즈를 통해 양육을 받고 신약신학에 더 깊이 들어가게 되기를 바란다.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Soli Deo gloria ).

33


│ 약어 │

˛

34

2 Baruch 4 Baruch 2 Clement 1 Enoch Anchor Bible Anchor Bible Dictionary Anchor Bible Reference Library Ancient Christian Commentary on Scripture: New Testament Acta theologica Against Apion (Josephus) Arbeiten zur Geschichte des antiken Judentums und des Urchristentums Analecta biblica Jewish Antiquities (Josephus) Abingdon New Testament Commentary Apocalypse of Abraham Abhandlungen zur Theologie des Alten und Neuen Testaments Anglican Theological Review Babylonian Talmud, Bekorot ˛ Babylonian Talmud, Erubin Babylonian Talmud, Kerithot Babylonian Talmud, Ketubbot Babylonian Talmud, Megillah Babylonian Talmud, Sukkah Babylonian Talmud, Taanit Babylonian Talmud, Yebamot Bonner biblische Beiträge Beiträge zur biblischen Exegese und Theologie Bulletin for Biblical Research Blass, Debrunner, Funk, A Greek Grammar of the New Testament Baker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Bibliotheca ephemeridum theologicarum lovaniensium Bulletin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Beiträge zur historischen Theologie ˛

2 Bar. 4 Bar. 2 Clem. 1 En. AB ABD ABRL ACCSNT AcT Ag. Ap. AGJU AnBib Ant. ANTC Apoc. Ab. ATANT AThR b. Bek. ˛ b. Erub. b. Ker. b. Ketub. b. Meg. b. Sukkah b. Taan. b. Yebam. BBB BBET BBR BDF BECNT BETL BETS BHT


약어 Bib Biblica BibLeb Bibel und Leben BIS Biblical Interpretation Series BJRL Bulletin of the John Rylands University Library of Manchester BJS Brown Judaic Studies BR Biblical Research BRev Bible Review BSac Bibliotheca sacra BSL Biblical Studies Library BT The Bible Translator BTB Biblical Theology Bulletin BTNT Biblical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series BZ Biblische Zeitschrift CBET Contributions to Biblical Exegesis and Theology CBQ Catholic Biblical Quarterly CBQMS Catholic Biblical Quarterly Monograph Series ConBNT Coniectanea biblica: New Testament series CS Chicago Studies CT Christianity Today CTR Criswell Theological Review CurBR Currents in Biblical Research CurTM Currents in Theology and Mission DBSJ Detroit Baptist Seminary Journal Did. Didache DSB Daily Study Bible DSS Dead Sea Scrolls EBib Etudes bibliques EBS Encountering Biblical Studies EDNT Exeget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MS Evangelical Missiological Society EMSS Evangelical Missiological Society Series ERT Evangelical Review of Theology EstBib Estudios biblicos ESV English Standard Version ETL Ephemerides theologicae lovanienses EvQ Evangelical Quarterly EvT Evangelische Theologie ExpTim Expository Times FAT Forschungen zum Alten Testament FRLANT Forschungen zur Religion und Literatur des Alten und Neuen Testaments GNTE Guides to New Testament Exegesis Haer. Against Heresies (Irenaeus) HBS Herders Biblische Studien HBT Horizons in Biblical Theology

35


요한신학 HCSB Holman Christian Standard Bible Hist. eccl. Ecclesiastical History (Eusebius) HNT Handbuch zum Neuen Testament HTKNT Herders theologischer Kommentar zum Neuen Testament HTR Harvard Theological Review HUCA Hebrew Union College Annual ICC International Critical Commentary IKZ Internationale kirchliche Zeitschrift Int Interpretation IRT Issues in Religion and Theology ISV International Standard Version ITQ Irish Theological Quarterly IVPNTC InterVarsity Press New Testament Commentary J.W. Jewish War (Josephus) JBL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JETS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JSNT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JSNTSup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Supplement Series JSOT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JSOTSup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Supplement Series JTS Journal of Theological Studies Jub. Jubilees KD Kerygma und Dogma LEC Library of Early Christianity Lev. Rab. Leviticus Rabbah Life Life (Josephus) LNTS Library of New Testament Studies LS Louvain Studies LXX Septuagint (Greek translation of the OT) Mishnah, Abot m. Abot m. Ber. Mishnah, Berakot Mishnah, Ohalot m. Ohal. m. Pesah.̣ Mishnah, Pesahim m. Roš Haš. Mishnah, Roš Haššanah m. Šabb. Mishnah, Šabbat m. Sukkah Mishnah, Sukkah m. Yebam. Mishnah, Yebamot Mart. Pol. Martyrdom of Polycarp MNTC Moffatt New Testament Commentary ModTheol Modern Theology MT Masoretic Test NABPR National Association of Baptist Professors of Religion NAC New American Commentary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

˛

˛

˛

36


약어 NDBT New Dictionary of Biblical Theology Neot Neotestamentica NET New English Translation NIBC New International Bible Commentary NICNT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NICOT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NIDNTT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NIVAC NIV Application Commentary NKJV New King James Version NKZ Neue kirchliche Zeitschrift NLT New Living Translation NovT Novum Testamentum NovTSup Novum Testamentum Supplements NRSV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NS New Series NSBT New Studies in Biblical Theology NTAbh Neutestamentliche Abhandlungen NTD Das Neue Testament Deutsch NTG New Testament Guides NTL New Testament Library NTOA Novum Testamentum et Orbis Antiquus NTS New Testament Studies NTSI The New Testament and the Scriptures of Israel OBO Orbis biblicus et orientalis Pesiq. Rab. Pesiqta Rabbati PNTC Pillar New Testament Commentary Pss. Sol. Psalms of Solomon QD Quaestiones disputatae Rab. Lev. Rabbah Leviticus RB Revue biblique RechBib Recherches bibliques ResQ Restoration Quarterly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RTR Reformed Theological Review SANT Studien zum Alten und Neuen Testament SB La Sainte Bible SBET Scottish Bulletin of Evangelical Theology SBJT Southern Baptist Journal of Theology SBL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SBLABib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Academica Biblica SBLD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Dissertation Series SBLM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Monograph Series SBLRB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Resources for Biblical Study

37


38

요한신학 SBLSB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Sources for Biblical Studies SBLSym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Symposium Series SBS Stuttgarter Bibelstudien SBT Studies in Biblical Theology SBTS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Scr Scripture SE Studia Evangelica SHR Studies in the History of Religion Sib. Or. Sibylline Oracles SJT Scottish Journal of Theology SNTSMS Society for New Testament Studies Monograph Series SNTU Studien zur neutestamentlichen Umwelt SP Sacra pagina T. Abr. Testament of Abraham T. Benj. Testament of Benjamin T. Jos. Testament of Joseph T. Jud. Testament of Judah t. Sukkah Tosefta Sukkah TDN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hem Themelios ThTo Theology Today TNIV Today’s New International Version TNTC Tyndale New Testament Commentary TOTC Tyndale Old Testament Commentary TrinJ Trinity Journal TS Theological Studies TU Texte und Untersuchungen TynBul Tyndale Bulletin TZ Theologische Zeitschrift VE Vox Evangelica Vir. ill. De viris illustribus (Jerome) VT Vetus Testamentum WBC Word Biblical Commentary WF Wege der Forschung WMANT Wissenschaftliche Monographien zum Alten und Neuen Testament WTJ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WUNT Wissenschaftliche Untersuchungen zum Neuen Testament y. Ber. Jerusalem Talmud, Berakot y. Sanh. Jerusalem Talmud, Sanhedrin ZIBBC Zondervan Illustrated Bible Backgrounds Commentary ZKT Zeitschrift für katholische Theologie ZNW Zeitschrift für die neutestamentliche Wissenschaft ZRGG Zeitschrift für Religions- und Geistesgeschichte ZTK Zeitschrift für Theologie und Kirche


약어

39


40

요한신학


약어

Part

1

요한 신학의 역사적 틀

41



요한 신학 및 요한복음과 요한 서신의 역사적 배경

Chapter

1

참고문헌 Bauckham, Richard, ed. The Gospels for All Christians: Rethinking the Gospel Audiences. Grand Rapids: Eerdmans, 1998. Idem. Jesus and the Eyewitnesses: The Gospels as Eyewitness Testimony. Grand Rapids: Eerdmans, 2006. Blomberg, Craig L. The Historical Reliability of John’s Gospel. Leicester, UK: Inter-Varsity Press, 2002. Bockmuehl, Markus N. A. Seeing the Word: Refocusing New Testament Study. Studies in Theological Interpretation. Grand Rapids: Baker, 2006. Warren Carter. John and Empire: Initial Explorations. London: T&T Clark, 2008. Cook, W. Robert. The Theology of John. Chicago: Moody Press, 1979. Hengel, Martin. Die johanneische Frage. WUNT 67. Tübingen: MohrSiebeck, 1993. Idem. “Das Johannesevangelium als Quelle fur die Geschichte des antiken Judentums.” Pp. 293 – 334 in Judaica, Hellenistica et Christiana: Kleine Schriften II. WUNT 109. Tübingen: Mohr-Siebeck, 1999. Idem. “Eye-Witness Memory and the Writing of the Gospels.” Pp. 70 – 96 in The Written Gospel. Ed. Markus Bockmuehl and Donald A. Hagner.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Hill, Charles E. The Johannine Corpus in the Early Church.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Hoehner, Harold W. Chronological Aspects of the Life of Christ. Grand Rapids: Zondervan, 1977. Idem. “Chronology.” Pp. 118 – 22 in Dictionary of Jesus and the Gospels. Ed. Joel B. Green, Scot McKnight, and I. Howard Marshall.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2. Jackson, Howard M. “Ancient Self-Referential Convention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Authorship and Integrity of the Gospel of John.” JTS 50 (1999): 1 – 34. Kealy, Seán P. John’s Gospel and the History of Biblical Interpretation. 2 vols. Mellen Biblical Press Series 60a – b. Lewiston, NY:

43


44

1부 요한 신학의 역사적 틀

Mellen, 2002. Keefer, Kyle. The Branches of the Gospel of John: The Reception of the Fourth Gospel in the Early Church. LNTS 332. London: T&T Clark, 2006. Keener, Craig S. The Gospel of John: A Commentary. 2 vols. Peabody, MA: Hendrickson, 2003. Klink, Edward W. III. The Sheep of the Fold: The Audience and Origin of the Gospel of John. SNTSMS 141.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Koester, Craig R. The Word of Life: A Theology of John’s Gospel. Grand Rapids: Eerdmans, 2008. Köstenberger, Andreas J. “John.” Pp. 1 – 216 in Zondervan Illustrated Bible Backgrounds Commentary. Ed. Clinton E. Arnold. Vol. 2: John – Acts. Grand Rapids: Zondervan, 2002. Idem. “Early Doubts of the Apostolic Authorship of the Fourth Gospel in the History of Modern Biblical Criticism.” Pp. 17 – 47 in Studies on John and Gender: A Decade of Scholarship. Studies in Biblical Literature 38. New York: Peter Lang, 2001. Malatesta, Edward. St. John’s Gospel 1920 – 1965. AnBib 32. Rome: Pontifical Biblical Institute, 1967. Morris, Leon. Studies in the Fourth Gospel. Grand Rapids: Eerdmans, 1969. Stevens, George B. The Johannine Theology: A Study of the Doctrinal Contents of the Gospel and Epistles of the Apostle John. New York: Scribner, 1894. Taylor, Michael J., ed. A Companion to John: Readings in Johannine Theology (John’s Gospel and Epistles). New York: Alba House, 1977. Thatcher, Tom, ed. What We Have Heard from the Beginn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Johannine Studies. Waco, TX: Baylor University Press, 2007. Idem. Greater than Caesar: Christology and Empire in the Fourth Gospel. Minneapolis: Fortress, 2009. Van Belle, Gilbert. Johannine Bibliography 1966 – 1985: A Cumulative Bibliography on the Fourth Gospel. BETL 132. Leuven: Leuven University Press/Peeters, 1988.

1. 요한 신학과 성경신학 1.1. 서론 요한 신학을 집필하는 일은 정말 굉장한 도전이자 기회다! 요한 신학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 트가 “영적인 복음서”( pneumatiko¿n eujagge¿lion, 프뉴마티콘 유앙겔리온 ) 라고 불렀던 복음서에 뿌리박고 있 는 성경의 주요 부분이며, 1 ) 따라서 요한복음은 무수한 심령을 감동시켜 그리스도의 필요성을 인 식하게 하고 영적인 여정에 있는 많은 사람을 더 높은 수준으로 성장시켜 왔다. 최근 마르쿠스 보

1 ) Eusebius, Hist. eccl, 6.14에 나오는 Clement, Hypotyposeis에 대한 언급을 보라. 인용문 전체는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복음서들

이 외적인 사실을 제시해 왔음을 알고 있던 요한은 제자들의 간 청과 성령의 감동을 받아 맨 마지막으로 영적인 복음서를 썼다.”


1장 요한 신학 및 요한복음과 요한 서신의 역사적 배경

45

크뮤엘은 성서학에 있어 영향사 ( Wirkungsgeschichte, 어떤 저작이 후대의 해석자들에게 미친 “영향의 역사”에 대한 연 구 ) 의

중요성을 주장했는데, 2 ) 요한의 저술은 성경 안에서나 밖에서나 버금가는 저작이 거의 없을

정도로 ( 혹 있다 해도 ) 기독교 신학과 영성에 참으로 깊은 영향을 미쳤다. 3 )

1.2. “영적인 복음서” 1.2.1. 학문의 역사 근래의 해석사에서는 종종 요한복음을 “영적인 복음서”라고 한 클레멘트의 언급에 대해 요한 복음이 공관복음에 비해 역사적인 문제에 관심이 적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 왔으며, 따라서 “영적인”( 즉 비역사적인 ) 복음서인 요한복음과 보다 신뢰할 만한 역사적 기사인 공관복음 사이에 틈 이 벌어지기 시작했다. 4 ) 그러나 “영적”이란 말을 “비역사적”이란 뜻으로 이해하는 것은 별로 바 람직해 보이지 않는다. 5 ) 오히려 클레멘트는 요한이 이미 “[공관?]복음서들이 외적인 사실을 제시 해 왔음을 알고 있었다”고 밝힘으로써, 요한의 기사의 역사성을 폄하하려 한 것이 아니라 요한복 음이 제시하는 깊은 신학적인 성찰에 관심을 기울이게 하려 했을 가능성이 더 크다. 실제로 요한 은 예수의 정체, 믿음의 필요성,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의 우주적 범위 같은 소수의 중요한 항목에 초점을 맞춤으로 독자가 예수의 생애 및 사역의 의미를 더 깊이 이해하게 해 준다. 이렇게 보면 “영적인 복음서”인 요한복음 ( 다루는 사건과 교훈의 영적인 의미를 더 분명하게 보여 주는 해석적인 기사라는 뜻에서 ) 은

실제 역사적 사건들에 확고하게 근거하는데, 이는 오직 실제 역사적 사건만이 신

학적 성찰의 정당한 근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6 ) 요한은 자신의 신학적 성찰에서 공관복음이

2 ) Markus N. A. Bockmuehl, Seeing the Word: Refocusing New Testament Study (Studies in Theological Interpretation; Grand Rapids: Baker, 2006). 3 ) 참조, J. N. Sanders, The Fourth Gospel in the Early Church:

University Press, 2004). 4 ) 물론 역사비평학자들은 공관복음의 역사적 신뢰성에 대해서도 여 러 면에서 의문을 제기해 왔다. 요한복음의 역사성에 대한 도전 은 적어도 Karl Gottlieb Bretschneider, Probabilia de evangelii

Its Origin and Influence on Christian Theology up to Irenaeu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43); FrançoisMarie Braun, Jean le théologien, Vol. 1: Jean le théologien et son évangile dans l’église ancienne (Paris: J. Gabalda, 1959); T. E. Pollard, Johannine Christology and the Early Church (SNTSMS 13;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0); Alois Grillmeier, Christ in Christian Tradition , Vol. 1: From the Apostolic Age to Chalcedon (431) (trans. John Bowden; 2nd rev. ed.; Atlanta: John Knox, 1975); R. Alan Culpepper, John, the Son of Zebedee: The Life of a Legend (Columbia: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994; repr. Minneapolis: Fortress, 2000); Annette Volfing, John the Evangelist in Medieval German Writing: Imitating the Inimitabl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Charles E. Hill, The Johannine Corpus in the Early Church (Oxford/New York: Oxford

et epistolarum Joannis Apostoli indole et orgine eruditorum judiciis modeste subjicit (Leipzig: A. Barth, 1820)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William J. Baird, History of New Testament Research (2 vols.; Minneapolis: Fortress, 1992, 2003), 1:312~314의 요 약을 보라. 더 최근 것으로는, Maurice Casey, Is John’s Gospel True? (London/New York: Routledge, 1996)를 보라. 5 ) 참조, Marianne Meye Thompson, “The ‘Spiritual Gospel’: How John the Theologian Writes History,” in John, Jesus, and History , Volume 1: Critical Appraisals of Critical Views (ed. Paul N. Anderson, Felix Just, and Tom Thatcher; SBLSymS 44; Atlanta: SBL, 2007), pp. 103~107. 뒤의 논의도 참조하라. 6 ) 요한복음의 “증인” 모티프를 주목하라. 증인 모티프에 대해서는 다음 책을 보라. Richard Bauckham, Jesus and the Eyewitnesses: The Gospels as Eyewitness Testimony (Grand Rapids: Eerdmans, 2006). 행 2:36과 고전 15:12~20도 참조하라.


46

1부 요한 신학의 역사적 틀

제시하는 “외적인 사실”을 무시하거나 부인한 것이 아니라 거기에서 출발했을 가능성이 가장 크 다. 요한의 기사는 예수에 대한 세례 요한의 증언 ( 요 1:6~8, 15 ) 과 성육신 ( 1:14 ) 으로 시작한다. 그리 고 결과적으로 볼 때 이 사건들은 성막 ( 1:4 ) 이나 모세를 통한 율법 수여 ( 1:17 ) 같은 이전의 구속사 에 근거하고 있다. 게다가 요한은 자신의 내러티브를 구성하면서 이 사건들을 확증하기 위해 증 인 ( 목격자 ) 의 언어를 사용한다.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의 영광을 보 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율법은 모세로 말미암아 주어진

것이요 은혜와 진리는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온 것이라”( 강조는 저자가 한 것 ). 7 ) 따라서 이런 의미에서 요한복음은 “영적인 복음서”다. 즉 요한복음은 깊은 신학적 성찰의 산물 이며, 이 신학적 성찰은 구속사 가운데서 하나님이 일하신 실제 역사적 사건들에 근거하고 있는 것이다. 8 ) 그러나 지난 오백 년 동안 인류의 사상은 성서학에 여러 가지 부적절한 이분법을 물려 주었다. 역사와 신학의 분리는 요한복음의 역사적 신빙성에 점진적인 훼손을 낳았으며 요한복음 의 장르를 신화나 전설에 근접하게 만들었다. 9 ) 현대의 해석자가 물려받은 또 다른 이분법은 종교와 신학의 분열이다. 신학은 실제적인 하나님 의 계시에 대한 성찰로 이해하는 반면 이와 대조적으로 종교는 인간의 의미 추구의 결과이자 더 큰 힘에 대한 인간 의식의 발전이 낳은 산물로 여기는 것이다. 그래서 요한 잘로모 제믈러는 역사 적이고 객관적이며 학문적인 분야인 신학과 그가 생각하기에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경험에 근거 하는 종교를 구분함으로 경건주의와 합리주의를 조화시키려 했다. 10 ) 마찬가지로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도 임마누엘 칸트의 형이상학과 실천적인 도덕의 구분을 발판으로 삼아 “하나님에 대한 절대적인 의존감”, 즉 감정 및 경험의 현상인 종교와 하나님에 대 한 지적인 성찰인 신학을 구분했다. 슐라이어마허의 뒤를 이어 칼 브렛슈나이더 ( 1820년에 요한복음의 역사적 신빙성에 이의를 제기하며 도전했던 ) 11 ) 와

튀빙겐 학파 ( 요한복음의 연대를 2세기로 늦게 잡는 입장을 선호했던 ) 등

은 성경 문서의 역사적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비평적인 논거를 적용한 반면, 다른 이들은 요 한복음을 비롯한 성경 책들의 영적인 적실성을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12 )

7 ) “우리가 그의 영광을 보았다”는 제4복음서 저자의 확언은 아마 요한복음 전체에서 가장 전형적인 진술에 해당할 것이다. “우리 가 보았다”는 목격자의 차원을 담고 있는 한편, 예수의 선재적인 영광에서 인자의 “들림”과 영광스러운 재림에 이르기까지 요한이 예수를 말씀과 메시아, 하나님의 아들로 소개하는 데는 “영광”이 가득 차 있다. 8 ) 현재까지도 유용한 다음 논의를 보라. Leon Morris, “History and Theology in the Fourth Gospel,” in Studies in the Fourth Gospel (Grand Rapids: Eerdmans, 1969), pp. 165~138. D. Moody Smith, “John-Historian or Theologian?” BRev 20 (2004), pp. 22~31, 45도 참조하라. 9 ) 예를 들어 다음을 보라. David Friedrich Strauss, The Christ of Faith and the Jesus of History (trans. and ed. Leander E. Keck;

Philadelphia: Fortress, 1977 [1865]), p. 161: “복음서들은 이 핵 심적인 인물[즉 예수]을 둘러싸고 덧붙여진 신화들의 가장 오랜 모음집으로 간주해야 한다”; Rudolf Bultmann, The History of the Synoptic Tradition (trans. John Marsh; New York: Harper & Row, 1963 [1957]), pp. 370~371: “따라서 그리스도에 대한 케리그마는 제의적 전설이며 복음서들은 확대된 제의적 전설들이 다.” 신약 연구사에 대한 탁월한(항상 공정하지만은 않지만) 설명 은 다음을 보라. Baird, History of New Testament Research. 요 한복음의 장르에 대해서는 2장 3단락 이하를 보라. 10 ) 참조, Baird, History of New Testament Research, 1:117~127. 11 ) Bretschneider, Probabilia. 12 ) 1790년과 1810년 사이에 있었던 요한복음의 사도 저작권 논쟁 에 대한 논의는 다음을 보라. Andreas J. Kö stenberger, “Early


1장 요한 신학 및 요한복음과 요한 서신의 역사적 배경

47

그러나 요한의 영적인 메시지를 구해 내는 일은, 루돌프 불트만의 비신화화 프로그램 ( 뒤에서 더 자세히 살펴볼 것이다 ) 을

통해서든 역사적 예수 탐구에서 요한복음을 제외함을 통해서든, 오로지 요한

의 역사적 신빙성을 포기해야만 가능한 것처럼 여겨졌다. 따라서 오랜 세월 동안 매우 강한 영향 력을 발휘했고 적어도 초기 기독교 신조들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이 복음서는 점점 무시당하 게 되었다. 요한복음은 경건과 신학 면에서 커다란 가치가 있지만 적절한 역사적 근거가 부족하 다는 여론이 대두되었다. 요한복음은 자료비평이나 양식비평, 편집비평 등 여러 ‘고등’비평을 적 용하는 온갖 비평을 통해 낱낱이 해부하는 비평학자들의 손에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당한 것처 럼 보였다. 그러나 지난 몇십 년 동안 일부 학자들이 요한복음의 최종 본문 ( final text ) 에 대한 연구를 주장하 면서 요한복음에 대한 이런 접근법이 잘못된 것이라고 여기게 되었다. 새롭게 나타난 문학비평, 서사비평 학자들은 요한복음의 내러티브적 특징을 정당하게 평가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요한복음 을 전체적으로 읽는다. 13 ) 그러나 한편으로 요한복음 읽기의 이 ‘새로운’ 방식은 ( 사실 이 문학비평 학자 들이 결코 처음으로 요한복음을 이야기로 읽은 것은 아니다 )

종종 해석자가 역사 비평가들에게 양 ‘다리’를 잘린

다음에야 착수됐으며, 따라서 문학적인 읽기는 요한복음의 역사적인 성격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는 아니더라도 스스로 취한 불가지론에 기초해 수행되었다. 14 )

1.2.2. 나아갈 길 요한 신학은 여기서 어디로 가야 하는가? 앞에서 언급했듯이 현대의 학문은 요한복음의 역사 성을 크게 손상시켜 왔다. 일부에서 요한복음의 문학적인 성격을 강조함으로 요한복음이 역사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가정을 극복하려고 애써 왔지만, 그런 노력은 결과적으로 만족스럽지 않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만약 요한복음 내러티브가 불확실한 역사적 토대에 의거하고 있음이 드러났 다면, 이는 요한복음의 신학적, 기독론적, 구원론적 주장의 진실성에 대단히 부정적인 결과를 낳 았을 것이다. 따라서 문학적인 읽기만으로는 기독교의 역사성 및 목격자의 증언이라는 요한복음 의 주장을 공정하게 평가할 수 없다는 것도 무시할 수 없는 이유지만, 요한복음의 역사적 가치를 평가하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다. 또한 학자의 연구에서 필수적인 사항은 앞에서 언급한 영적인 것과 역사적인 것, 신학과 종교의 이분법을 뛰어넘는 일, 그리고 요한복음이 예수 그리스도의 생

Doubts of the Apostolic Authorship of the Fourth Gospel in the History of Modern Biblical Criticism,” in Studies on John and Gender: A Decade of Scholarship (Studies in Biblical Literature 38; New York: Peter Lang, 2001), pp. 17~47. 13 ) 특히 이제는 고전이 된 R. Alan Culpepper, Anatomy of the Fourth Gospel: A Study in Literary Design (Philadelphia: Fortress, 1983)를 보라. 참조, Tom Thatcher and Stephen D. Moore, eds., Anatomies of Narrative Criticism: The Past,

Present, and Futures of the Fourth Gospel as Literature (SBLRBS 55; Atlanta: SBL, 2008). 14 ) 예를 들어 특히 다음 책에 나오는 ‘신비평’ 전반 및 컬페퍼 (Culpepper)의 저작에 대한 비판을 보라. D. A. Carson,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PNTC; Grand Rapids: Eerdmans, 1991), pp. 63~68 (카슨이 TrinJ 4 NS [1983], pp. 122~126에 실린 자신의 평론을 개정한 것).


48

1부 요한 신학의 역사적 틀

애에서 실제로 발생한 일에 대한 정확한 역사적인 묘사에 근거하고 있으므로 영적으로 정확하고 깊이 있게 가르치고 있을 가능성을 고려하는 일일 것이다. 15 ) 이 말은 역사적 방법론이나 문학적 접근법을 반드시 거부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그런 방법론이 요한 문헌의 배경 및 요한의 메시지 의 정황을 밝히는 데 기여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학자가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또한 중요한 점은 비판적인 기성 권위나 현대의 학회와 학문상의 패러다임 및 방법론에 일차적인 충성심을 갖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사실 오늘날 요한 신학 연 구의 상태를 살펴보면 누구나 이 분야가 대단히 혼란스런 상태에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카슨은 요한 연구의 ‘발칸화’( balkanization, 분화 ), 즉 여러 해석 진영으로 점점 나뉘고 분열하는 추세에 대해 이야기했다. 16 ) 여러 면에서 요한 신학 연구의 상태는 조지 거스리의 유쾌한 패러디가 묘사하는 “만 ( 灣 ) 의 분 주한 배들”을 닮았다. 만이 혼잡해지면 우리는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물어야 한다. 그런데 만의 부산한 움 직임을 관찰해 보면 배들 사이에 존재하는 어떤 관계를 발견한다. 때로는 배들이 서로 미끼 를 훔치고 있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뱃사람들은 멀리서 보기에 아주 적어 보이는 다른 배들의 어획량을 얕잡아보며 무시하거나 잠시 힐끗거리면서 만의 자기 구역 에서 고기를 잡는다. 17 )

그렇다면 요한복음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N. T. 라이트는 ‘비판적 실재론’( critical realism ) 의 채 택 및 다름 아닌 ‘새로운 인식론’의 개발을 대담하게 제안한다. 18 ) 여기는 이런 제안을 구체적으로 다룰 자리가 아니지만, 나는 여러 면에서 이런 의견에 동감한다. 미래를 향해 나아가면서 요한 신

15 ) 참조, David Steinmetz, “The Superiority of Pre-critical Exegesis,” ThTo 37 (1980), pp. 27~38; Stephen E. Fowl, ed.,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Classic and Contemporary Readings (Blackwell Readings in Modern Theology; Oxford: Blackwell, 1997), pp. 26~38에 재게재. 물 론 이 말은 비평 이전의 학문이 반드시 더 정확했다는 의미가 아 니며 다만 그때는 역사와 신학의 이런 이분법에 의지하지 않았 다는 것이다. 16 ) D. A. Carson, “The Challenge of the Balkanization of Johannine Studies,” in John, Jesus, and History, Vol. 1: Critical Appraisals of Critical Views (ed. Paul N. Anderson, Felix Just, S.J., and Tom Thatcher; SBLSymS 44; Atlanta: SBL, 2007), pp. 133~159; 같은 저자, “Reflections upon a Johannine Pilgrimage,” in What We Have Heard from the Beginn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Johannine Studies (ed. Tom Thatcher; Waco, TX: Baylor University Press, 2007), pp.

90~92. “발칸화”(balkanization)라는 말은 ‘발칸’이라 불리는 이전의 유고슬라비아를 포함하는 유럽 지역이 20세기에 들어 와 서로 반목하며 훨씬 작은 지역들로 나뉜 것을 가리킨다. 마찬 가지로 요한 신학 분야도 자료비평학자, 편집비평학자, 문학비 평학자, 해체주의자, 포스트모더니스트나 기타 방법론의 실천자 등 여러 진영으로 분열해 왔다. 17 ) George H. Guthrie, “Boats in the Bay: Reflections on the Use of Linguistics and Literary Analysis in Biblical Studies,” in Linguistics and the New Testament: Critical Junctures (ed. Stanley E. Porter and D. A. Carson; JSNTSup 168;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9), p. 24 (강조는 필자가 한 것). 18 ) 비슷한 입장의 매우 예리하고 철저한 논의에 대해서는 다음 을 보라. N. T. Wright, The New Testament and the People of God (Christian Origins and the Question of God 1; Minneapolis: Fortress, 1992), pp. 31~144.


1장 요한 신학 및 요한복음과 요한 서신의 역사적 배경

49

학 연구는 역사-비평적인 선진들의 미심쩍은 유산을 비판 없이 발판으로 삼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요한의 저작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구조상 견고하지 않은 토대 위에 새로운 건축물을 세우 려 하지 말고, 슬기롭게 잘못된 이분법을 피하며 성경적인 학문에 있어 부정할 수 없는 믿음의 차 원을 인정하고 적절한 균형과 조화 가운데 해석 과정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긍정하는 해석 모델 을 채택해야 한다. 19 )

1.3. 서설 1.3.1. 해석의 삼요소 성경 해석자 앞에는 성경을 해석하면서 다루어야 할 불가피한 세 가지 실재가 놓여 있다. ( 1 ) 성경에 있는 하나님과 하나님의 계시 ( 신학 ) 의 실재, ( 2 ) 해석이 필요한 그 계시가 들어 있는 본문 의 존재 ( 언어와 문학 ), ( 3 ) 역사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구속사의 실재, 즉 성경 본문을 통해 전달되 는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계시가 인간 역사 가운데 발생했다는 사실. 성경의 저작들은 진공에서 생성되지 않았으며 구체적인 믿음과 확신, 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기록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질적으로 해석 작업은 해석의 삼요소의 세 가지 중요한 각 요소 즉 역사, 언어나 문 학, 신학을 적절히 균형 있게 다루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처음 두 요소는 토대가 되고 신 학은 정점을 차지한다. 20 )

표 1.1: 해석학의 삼요소

성경의 영적인 메시지를 식별해 내는 신학이 성경 해석의 정점을 차지하기는 하지만, 특정 본 문의 역사-문화적 배경 및 성경의 언어적이고 문학적인 특징에 대한 이해는 필수불가결하다. 해 석의 역사는 해석의 삼요소의 세 기둥 가운데 어느 한두 가지를 무시하는 접근법에 결함이 있음

19 ) 해석 과정에 있어 믿음의 역할에 대해서는 다음을 보라. Adolf Schlatter, “Atheistic Methods in Theology,” in Werner Neuer,

Adolf Schlatter: A Biography of Germany’s Premier Biblical Theologian (trans. Robert W. Yarbrough; Grand Rapids:

Baker, 1996 [1905]). 20 ) 참조, Andreas J. Kö stenberger and Richard D. Patterson, Invitation to Biblical Interpretation (Grand Rapids: Kregel, 2011).


50

1부 요한 신학의 역사적 틀

을 보여 준다. 계몽주의 시대에는 많은 사람이 모세나 예수가 행한 기적 같은 성경의 초자연적인 요소에 대해 환멸을 느꼈다. 21 ) 점차 기적의 가능성을 의문시했고 많은 경우 반 ( 反 ) 초자연주의가 우세했다. 과 학의 새로운 시각은 성경의 창조와 기적 이야기를 ‘신화’로 해석하도록 이끌었다. 바울과 다른 신 약 저자들이 부활이 기독교 신앙에 본질적이라고 주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예수의 부활도 신화로 해석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런 합리주의적 사고방식은 성경 자료에 대한 단호한 회의주의를 낳 았으며, 성경 본문의 역사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거기에 적합한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는 역사비평적 방법론의 발전을 가져왔다. 이런 접근법의 표출 가운데 특히 두드러지는 한 가지는 기독교 메시지의 실존주의적인 핵심을 건져 내기 위해 성경을 ‘비신화화’하려 했던 20세기 신학자 루돌프 불트만의 노력이다. 22 ) 역사비평적 방법론을 지지한 많은 사람에게는 역사 문제가 성경 본문과 상관없게 되었고, “실제로 그 것은 과연 어떠했는가?”( Wie es eigentlich gewesen ist ), 즉 “실제로 어떤 일이 일어났는가?” 독일 신학 자 폰 랑케의 역사에 대한 정의가 성서학자들의 최대 관심사가 되었다. 한스 프라이는 『성경의 서 사성 상실』 ( Eclipse of Biblical Narrative ) 에서 성경에 기록된 사건들의 역사성에 대한 평가가 성경의 실 제 본문에 대한 연구를 크게 대체했던 새로운 국면을 연대순으로 명쾌하게 기록했다. 23 ) 따라서 역사-비평적 방법론은 성경의 언어와 문학, 신학적인 차원을 희생하면서까지 역사를 지나치게 강조한 대표적인 예가 된다. 24 ) 그러나 프라이의 저술의 영향으로 반대편 극단으로 추가 기울었다. 성경이 묘사하는 사건들의 역사성에 대한 역사적 회의주의는 점차 다른 책과 마찬가지로 성경 역시 단순히 문학적으로 연구 하게 만들었다. 밴후저가 ‘미학적 신학’이라고 적절하게 이름 붙인 이 접근법에서 성경 연구자들 은 연구 영역에서 역사적 질문을 배제하는 한편 성경 본문의 다양한 문학적 특징에 일방적으로 초점을 맞추었다. 25 ) 성서학은 서사비평이나 여러 형태의 문학비평으로 변질됐으며, 또한 흥미로 운 문학적 통찰을 얻기는 했지만 성경의 역사적 의존성 ( mooring ) 을 지나치게 무시함으로 결국 또 다시 치우친 해석을 낳았다. 이에 포스트모더니즘 진영에서는 진리를 사실과 실재에 대응하는 것 으로 보기보다는 단순히 사회학적 요인들의 기능에 불과한 것으로 보는 개념을 제시한다. 26 )

21 ) 예를 들어 Baird, History of New Testament Research, 1:3~5 등을 보라. 22 ) 통찰력 있는 다음 논의를 보라. Stephen Neill and Tom Wright, The Interpretation of the New Testament 1861~1986 (2nd ed.; Oxford/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pp. 237~251. 23 ) Hans W. Frei, The Eclipse of Biblical Narrative (New Haven/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1974). 24 ) 이 점에 대해서는 다음을 보라. Tom Thatcher, “Anatomies of the Fourth Gospel: Past, Present, and Future Probes,” in

Anatomies of Narrative Criticism , pp. 2~4. 대처는 R. Alan Culpepper, Anatomy of the Fourth Gospel이 출간되기 전에 “요한 서사의 상실(eclipse)”이라는 비슷한 진단을 내렸다. 25 ) Kevin J. Vanhoozer, “A Lamp in the Labyrinth: The Hermeneutics of ‘Aesthetic Theology,’” TrinJ 8 NS (1987), pp. 25~56. 또한 Andreas J. Kö stenberger, “Aesthetic Theology—Blessing or Curse? An Assessment of Narrative Hermeneutics,” Faith & Mission 15/2 (1998), pp. 27~44도 보라. 26 ) 이 문제에 대해서는 Andreas J. Kö stenberger, ed., Whatever Happened to Truth? (Wheaton: Crossway, 2005)를 참조하라.


1장 요한 신학 및 요한복음과 요한 서신의 역사적 배경

51

성경에 대한 문학적 접근의 장점을 평가함에 있어 반드시 기억할 것은 본문이 아니라 사람 ( 저자 들 ) 에게

신학이 있다는 것이다. 27 ) 이는 주어진 문서의 저자 판정이나 역사적 배경에 본질적인 다

른 문제는 무시한 채 기록된 본문에만 초점을 맞추면서 저자 문제는 대체로 미결인 채로 놔두는 방법론에 한계가 있음을 보여 준다. 이는 터무니없는 저자의 존재를 이용해 본문이 명백히 진술 하고 있는 바를 뒤엎거나 무색하게 해야 한다는 말이 아니다. 본문은 저자가 자신의 신학을 표명 하는 장소로 여겨져야 한다. 하지만 본문은 자율적이지 않다. 즉 본문은 저절로 생겨나지 않았다. 저자들을 포함하여 사람들은 신앙과 삶을 형성하는 체험에 영향을 받는다. N. T. 라이트는 본문과 역사의 관계를 과일을 먹는 것에 비유하여 적절하게 설명한다. 즉 껍질에 과육이 하나도 붙어 있 지 않도록 말끔히 벗기는 일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28 ) 마찬가지로 본문에서 역사를 완전히 삭제 하거나 분리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하지만 또 다른 접근법들은 신학의 중심성을 유지하면서도 역사성 개념을 포기했다. 이런 학파 의 지지자들은 여러 가지 현상과 사건을 서술함에 있어 신학적 진리가 성경의 진실성 여부에 따 르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부활은 예수의 십자가 죽음에 이은 역사적 부활과는 별개로 개인 안에 생긴 믿음을 통해 새 생명을 실존적으로 경험한 일이라고 재정의되었다. 29 )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에 따른 개인의 중생은 성경 읽기를 통해 하나님을 실존적으로 만난 결과로 수정되었다. 이 런 예들은 성경 연구에 있어 역사의 근본적인 역할을 충분히 인정하지 않는 신학 접근법들을 잘 보여 준다. 이미 언급했듯이 신학이 성경 해석의 정상에 자리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타당하고 균 형 잡힌 해석 결과를 얻으려면 성경의 역사적, 언어적, 문학적 차원에 대한 올바른 평가의 토대 위에 신학을 세워야 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해석의 삼요소’는 요한복음과 요한 서신의 신학을 탐구하기 위한 출발점으 로서 가장 만족스럽고 종합적인 틀에 해당한다. 역사, 언어와 문학 및 신학은 서로 경쟁한다기보 다 성경 연구에 있어 각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만약 해석자가 성경 해석의 각 차원에 기꺼이 주의를 기울이고 자신의 일시적인 생각보다 본문이 가리키는 방향을 따라갈 준비가 되어 있다면, 해석자는 성경에 순종하여 자기에게 맞는 위치에 서서 어린 사무엘처럼 “말씀하옵소서. 주의 종이 듣겠나이다”( 삼상 3:10 ) 하고 확언할 수 있을 것이다.

1.3.2. 이 책의 개략 여느 견고한 구조물과 마찬가지로 성경신학도 확고한 토대 위에 세워야 한다. 따라서 앞의 고

27 ) Edward W. Klink III, The Sheep of the Fold: The Audience and Origin of the Gospel of John (SNTSMS 141;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에 대해 내가 쓴 논평을 참 조하라(JETS 51 [2008], pp. 654~656). 28 ) 참조, Wright, New Testament and the People of God, p. 20.

“Part II: Tools for the Task”에 있는 라이트의 전체 논의는 세 심하게 읽을 만한 가치가 있다. 29 ) 앞에서 언급한 불트만의 ‘비신화화’에 대한 논의 및 닐과 라이트 의 비판을 참조하라.


는 요한문헌에 대한 오랜 조사와 연구에 근거하여 요한복음과 요한 서신의 신학 을 포괄적으로 제시할 뿐 아니라, 중요한 주제들을 상세히 고찰하면서 그 주제 들을 공관복음 및 신약의 다른 책들과 연결시킨다. 독자는 성경의 광범위한 문맥 안에서 전체적이면서도 깊이 있게 요한신학을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책은 여러 면에서 ‘첫째’다. 존더반 출판사가 펴내는 새로운 신약

요한신학 분야에 대한 연구의 종합적 측면에서 이 저서와 비교할 만

성경신학 시리즈의 질과 형식에 있어서 모범이 되는 첫 번째 책이

한 것은 없다.

요한신 학

『요한신학』은 신약성경신학 시리즈의 첫 번째 책이다. 안드레아스 쾨스텐베르거

BIBLICAL THEOLOGY

OF

THE

요한신학

D. A. 카슨, 트리니티 복음주의신학교 신약학 연구 교수

며, 특히 요한복음과 요한 서신의 신학을 높은 학문적 수준에서 다 루고 있는 첫째가는 중요한 책이다. 또한 예수의 생애와 수난을 목 격한 사람의 신학에 대해 치밀한 해석을 제공하는 첫 번째 책이다.

이 방대하고 훌륭한 책은 백과사전과 같은 방대함으로 요한신학을

이미 요한복음에 대한 꼼꼼하고 상세한 주석을 통해 연구의 기반을

제시한다. 요한복음과 요한 서신의 사도성을 주장하는 안드레아스

닦은 안드레아스 쾨스텐베르거는 여기서 체계적이고 흠잡을 데 없

쾨스텐베르거는 다른 학자들과 세심하게 소통하면서 역사와 문학,

는 방식으로 복음서 저자의 사상을 결집한 독자적인 연구를 제시한

언어, 주제 문제에 중점을 둔다. 게다가 목회자와 상급 과정의 학생

다. 특히 나는 이 책이 취하는 방식, 즉 상세한 주제에 따른 연구를

들도 논의를 따라가기가 쉽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이 책에서 우

제시하기에 앞서 복음서와 서신이 담고 있는 요한의 신학적인 이야

리는 그리스도가 사랑하시는 제자가 쓴 매우 귀중한 글들을 종합적

기를 다루는 방법을 환영한다.

으로 다루는 새로운 기준을 발견한다.

하워드 마셜, 애버딘 대학교 신약 해석학 명예 교수

A

THEOLOGY

OF

JOHN’S GOSPEL AND LETTERS The Word, the Christ, the Son of God

로버트 야브루, 트리니티 복음주의신학교 신약학 교수

BTNT ( Biblical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 시리즈는 신약신학, 해석학, 주해를 배우는 학생들을 위해 신학대학원 수준의 교재 를 제공한다. 이 시리즈는 이 분야의 권위 있는 전문가들이 학문적 탁월성 면에서 최고의 수준으로 저술해, 서론적인 이슈들과 주요 주제들을 포함하여 신약의 모든 책에 있는 신학을 광범위하게 탐구한 내용을 제공할 뿐 아니라, 어떻게 신약 성경의 각

안드레아스 쾨스텐베르거

책이 신약신학이라는 큰 그림과 연결되는지를 보여 준다.

지은이

안드레아스

쾨스텐베르거 ( Andreas J. Ko..stenberger )

안드레아스 쾨스텐베르거 지음

노스캐롤라이나에 있는 사우스이스턴 침례신학교의 성경신학 및 신약학 교수이자 박사 과정 디렉터다. 저서로는 신약 의 구약사용 주석의 『 요한복음 』, 존더반 성경 배경 주석의 『 요한복음 』, BECNT 시리즈의 『 요한복음 』 등이 있다. 옮긴이

전광규 옮김

전광규

고려대학교 영문학과와 합동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 빛과 소금 」 과 「 목회와 신학 」 기자로 활동했다. 현재 한누리교회 담임목사와 도서출판 하나의 대표로 섬기고 있으며, LAB 시리즈의 『 에베소서 주석 』 ( 성서유니온선교회 ), BKC 시리즈 의 『 시편 주석 』 ( 두란노 ), 개혁주의 성경 강해 주석 시리즈의 『 히브리서 』, 『 종말론적 관점에서 본 성경 개관 』 ( 이상 부흥 과개혁사 ) 등 많은 책을 우리 말로 옮겼다.

ISBN 978-89-6092-406-2 ISBN 978-89-6092-405-5 (세트) www.rnrbook.com 값 35,000원

NEW

지음

ㅣ 전광규 옮김

TESTAMENT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