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작 표지
에드워드 전집 편집 위원회 존 스미스, 편집장, 예일 대학교 시드니 알스트롬, 예일 대학교 롤런드 베인튼, 예일 대학교 에드먼드 모건, 예일 대학교 리처드 니부어, 하버드 대학교 노먼 홈스 피어슨, 예일 대학교 폴 램지, 프린스턴 대학교 토머스 셰이퍼, 맥코믹 신학교 아모스 윌더, 하버드 대학교
c
o
n
4
원작 표지
5
편집 위원회
8
발간사
t
e
n
편집자 서문
17
1. 뉴잉글랜드의 원죄론 논쟁
33
2. 에드워즈의 생애와 문헌 자료
47
3. 에드워즈의 주장에 대한 해설
99
4. 에드워즈의 인용 자료
122
5. 원고와 본문에 대한 설명
140
6. 『원죄론』에 대한 반응과 평가
151
s
『원죄론』 이해를 위한 길잡이 글
13
t
『원죄론』 본문 저자 서문 제1부 관찰과 경험으로 발견할 수 있는 원죄의 증거에 대한 고찰
157 1. 인류의 죄악 된 실상에 드러나는 원죄의 증거 282 2. 죽음의 보편성이 증명하는 원죄
제2부 원죄 교리를 증명하는 성경의 특정 부분들에 대한 고찰
1. 창세기 첫 세 장의 내용에 대한 고찰
303
2. 구약 성경 구절들에 대한 고찰
353
3. 신약 성경 구절들에 대한 고찰
369
4. 로마서 5장 12~21절에 대한 고찰
410
제3부 그리스도의 구속에 나타난 원죄 교리의 증거에 대한 고찰
1. 구속의 성격에 나타난 원죄 교리의 증거
469
2. 구속의 적용에 나타난 원죄 교리의 증거
480
제4부 반론들에 대한 답변
1. 타고난 원죄가 죄의 본질과 모순된다는 주장에 대하여
495
2. 타고난 부패 교리를 반대하는 주장에 대하여
502
3. 아담의 죄가 후손에게 전가된다는 것을 반대하는 주장에 대하여
4. 다른 여러 반론들에 대한 고찰
514 543
결론: 반대자들이 사용하는 교묘한 방법에 대한 간략한 고찰
571
색인
576
발간사
하나, 조나단 에드워즈를 한국 교회에 전문적, 체계적, 종합적으로 소 개하는 것은 저의 꿈 가운데 하나입니다. 조나단 에드워즈는 교회사가 배 출한 인물 가운데 성경 지식과 성령 체험, 신학 이론과 생활 실천, 냉철 한 지성과 뜨거운 감정이 가장 탁월하게 균형잡힌 인물이라 믿기 때문입 니다. 또한 조나단 에드워즈의 글들이 오늘 우리 시대의 솜털처럼 가벼운 신앙과 왜곡된 체험을 치유해 줄 수 있는 가장 좋은 치료약이며, 건강하 고 성숙한 내일의 한국 교회를 위한 가장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우리 영 혼의 먹거리요 영적 건강식품이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둘, 조나단 에드워즈에 대한 여러 사람의 평가를 들어 보면 이러한 제 말이 결코 과장이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새뮤얼 데이비스는 “에드 워즈는 미국이 배출한 가장 심오한 사상가이며 위대한 신학자”라고 말하 며, 페리 밀러는 “청교도주의는 프로테스탄티즘의 진수요, 조나단 에드워 즈는 청교도주의의 정수”라고 말합니다. 심지어 로이드 존스는 “청교도들 을 알프스 산에 비유하고, 루터와 칼빈을 히말라야 산에 비유한다면, 조 나단 에드워즈는 에베레스트 산에 비유하고 싶은 사람”이라고 극찬합니 다. 참으로 신학자, 목회자, 부흥사, 설교자, 선교사, 철학자, 윤리학자, 심 리학자, 사회학자, 역사학자 등의 천의 얼굴을 가진 조나단 에드워즈는 이 여러 분야에서 모두 뛰어난 업적과 통찰력을 남김으로써 8,000미터 이상 의 고봉을 14개나 가지고 있는 히말라야 산맥과 같은 인물입니다. 셋, “좋은 목회자, 좋은 성도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라고 묻는 분들이 있다면 언젠가 20세기 최고의 복음주의 설교자인 로 이드 존스와 한 신학생이 나눈 대화를 소개해 주고 싶습니다. “앞으로 목 회자가 되기 위해서 준비해야 할 것이 무엇입니까?” “조나단 에드워즈를 8
| 조나단 에드워즈의 원죄론
읽으십시오.” “다음에는 무엇을 할까요?” “조나단 에드워즈를 읽으십시 오.” “그러면 그 다음에는 무엇을 해야 합니까?” “조나단 에드워즈를 읽으 십시오.” 넷, 전체 27권의 분량으로 기획된 예일 대학교 출판부의 조나단 에드워 즈 결정판 전집은 1957년부터 시작되어 2008년에 완간되었습니다. 이 결 정판 전집은 조나단 에드워즈 연구의 획기적인 전환점과 비옥한 토양이 되어 앞으로 에드워즈 연구의 풍성한 열매를 예고해 주고 있습니다. 그 동안 조나단 에드워즈 탄생 300주년인 2003년을 조나단 에드워즈를 한 국 교회에 알리는 원년으로 삼고 에드워즈를 다방면으로 소개하고 있는 저희 부흥과개혁사는 이제 예일대 결정판 『조나단 에드워즈 전집』 발간의 발걸음을 한 걸음씩 내딛고 있습니다. 그러나 에드워즈 전집의 완간까지 는 아직 갈 길이 너무 멀고 험합니다. 독자들의 지속적인 기도와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2016년 1월 에드워즈 연구의 새 아침이 한국 교회에 밝아 오기를 바라며 백금산 드림
발간사 |
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 조나단 에드워즈의 원죄론
●●●●●●●●●●●●●●●●●●●●●●●●●●●●●●●●●●●●●●●●●●●●●●●●●●●●●●●●●●●●●●●●●●●●●●●●●●●●●●●●●●●●●●●●●●●●●●●●●●●●●●●●●●●●●●●●●●●●●●●●●●●●●●●● ●●●●●●●●●●●●●●●●●●●●●●●●●●●●●●●●●●●●●●●●●●●●●●●●●●●●●●●●●●●●●●●●●●●●●●●●●●●●●●●●●●●●●●●●●●●●●●●●●●●●●●●●●●●●●●●●●●●●●●●●●●●●●●●● ●●●●●●●●●●●●●●●●●●●●●●●●●●●●●●●●●●●●●●●●●●●●●●●●●●●●●●●●●●●●●●●●●●●●●●●●●●●●●●●●●●●●●●●●●●●●●●●●●●●●●●●●●●●●●●●●●●●●●●●●●●●●●●●● ●●●●●●●●●●●●●●●●●●●●●●●●●●●●●●●●●●●●●●●●●●●●●●●●●●●●●●●●●●●●●●●●●●●●●●●●●●●●●●●●●●●●●●●●●●●●●●●●●●●●●●●●●●●●●●●●●●●●●●●●●●●●●●●●
1
●●●●●●●●●●●●●●●●●●●●●●●●●●●●●●●●●●●●●●●●●●●●●●●●●●●●●●●●●●●●●●●●●●●●●●●●●●●●●●●●●●●●●●●●●●●●●●●●●●●●●●●●●●●●●●●●●●●●●●●●●●●●●●●● ●●●●●●●●●●●●●●●●●●●●●●●●●●●●●●●●●●●●●●●●●●●●●●●●●●●●●●●●●●●●●●●●●●●●●●●●●●●●●●●●●●●●●●●●●●●●●●●●●●●●●●●●●●●●●●●●●●●●●●●●●●●●●●●● ●●●●●●●●●●●●●●●●●●●●●●●●●●●●●●●●●●●●●●●●●●●●●●●●●●●●●●●●●●●●●●●●●●●●●●●●●●●●●●●●●●●●●●●●●●●●●●●●●●●●●●●●●●●●●●●●●●●●●●●●●●●●●●●● ●●●●●●●●●●●●●●●●●●●●●●●●●●●●●●●●●●●●●●●●●●●●●●●●●●●●●●●●●●●●●●●●●●●●●●●●●●●●●●●●●●●●●●●●●●●●●●●●●●●●●●●●●●●●●●●●●●●●●●●●●●●●●●●● ●●●●●●●●●●●●●●●●●●●●●●●●●●●●●●●●●●●●●●●●●●●●●●●●●●●●●●●●●●●●●●●●●●●●●●●●●●●●●●●●●●●●●●●●●●●●●●●●●●●●●●●●●●●●●●●●●●●●●●●●●●●●●●●● ●●●●●●●●●●●●●●●●●●●●●●●●●●●●●●●●●●●●●●●●●●●●●●●●●●●●●●●●●●●●●●●●●●●●●●●●●●●●●●●●●●●●●●●●●●●●●●●●●●●●●●●●●●●●●●●●●●●●●●●●●●●●●●●● ●●●●●●●●●●●●●●●●●●●●●●●●●●●●●●●●●●●●●●●●●●●●●●●●●●●●●●●●●●●●●●●●●●●●●●●●●●●●●●●●●●●●●●●●●●●●●●●●●●●●●●●●●●●●●●●●●●●●●●●●●●●●●●●● ●●●●●●●●●●●●●●●●●●●●●●●●●●●●●●●●●●●●●●●●●●●●●●●●●●●●●●●●●●●●●●●●●●●●●●●●●●●●●●●●●●●●●●●●●●●●●●●●●●●●●●●●●●●●●●●●●●●●●●●●●●●●●●●● ●●●●●●●●●●●●●●●●●●●●●●●●●●●●●●●●●●●●●●●●●●●●●●●●●●●●●●●●●●●●●●●●●●●●●●●●●●●●●●●●●●●●●●●●●●●●●●●●●●●●●●●●●●●●●●●●●●●●●●●●●●●●●●●● ●●●●●●●●●●●●●●●●●●●●●●●●●●●●●●●●●●●●●●●●●●●●●●●●●●●●●●●●●●●●●●●●●●●●●●●●●●●●●●●●●●●●●●●●●●●●●●●●●●●●●●●●●●●●●●●●●●●●●●●●●●●●●●●● ●●●●●●●●●●●●●●●●●●●●●●●●●●●●●●●●●●●●●●●●●●●●●●●●●●●●●●●●●●●●●●●●●●●●●●●●●●●●●●●●●●●●●●●●●●●●●●●●●●●●●●●●●●●●●●●●●●●●●●●●●●●●●●●● ●●●●●●●●●●●●●●●●●●●●●●●●●●●●●●●●●●●●●●●●●●●●●●●●●●●●●●●●●●●●●●●●●●●●●●●●●●●●●●●●●●●●●●●●●●●●●●●●●●●●●●●●●●●●●●●●●●●●●●●●●●●●●●●● ●●●●●●●●●●●●●●●●●●●●●●●●●●●●●●●●●●●●●●●●●●●●●●●●●●●●●●●●●●●●●●●●●●●●●●●●●●●●●●●●●●●●●●●●●●●●●●●●●●●●●●●●●●●●●●●●●●●●●●●●●●●●●●●●
『원죄론』 이해를 위한 길잡이 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The Works of Jonathan Edwards
Original Sin
12
| 조나단 에드워즈의 원죄론
편집자 서문
인간의 부패에 대한 18세기의 논쟁은 신학자들끼리의 말싸움에 불과 한 것이 아니었다. 이 논쟁은 인간의 본성과 잠재력에 대한 서구인들의 평가에 일어나고 있던 혁명의 중대 국면이었다. 신학만이 아니라 문학, 철 학, 경제와 정치 이론도 이런 혁명의 결정적인 영향력을 느끼고 있었다. 인간은 근본적으로 합리적이고 자애로운 성향을 지닌 개인이라는 생각 이 서구 팽창주의 문화의 의심할 여지없는 공리로 떠오르고 있었다. 그러 나 원죄 교리는 인간을 치켜세우는 이런 이미지에 손상을 가했다. 원죄 교리는 계몽주의 정신이 혐오한 그야말로 모든 것을 주장했다. 자신의 체 계를 이성의 밝은 빛으로 전개하기에 여념이 없던 신학자들과 철학자들 은 “다음 세대에게 지워진 원죄 개념”은 완전히 터무니없고, “논리학과 윤 리학의 제1법칙에 대한 모욕”이라고 확신했다.1) 따라서 에드워즈가 이 미움받는 교리의 옹호자로 나섰을 때, 그는 자 신이 단순히 특정 교리를 옹호하고 있다고만 생각한 것이 아니라, 유럽과 영국 대부분을 이미 삼켰고 이제는 미국도 위태로울 만큼 잠식했다고 느 1) E. Cassirer, The Philosophy of the Enlightenment , trans. F. C. A. Koelln and J. P. Pettigrov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1), pp. 141, 159.
편집자 서문 |
13
낀, 점차 지배적이 되어 가는 사상의 흐름에도 맞서 싸우고 있다고 생각 했다. 이전부터 대외적 상황이 에드워즈에게 경보를 울렸다. 에드워즈는 『구속사』 설교에 착수한 1739년에 이미 사탄이 개신교 종교개혁에 반대 해 유럽 대륙이 일어나게 하기 위해 분주했다고 말했다. “그리스도는 단 지 인간일 뿐”이라고 주장하고 “그리스도의 만족케 하심과 기독교의 근 본 교리 대부분을 부인한” 소시누스주의가 폴란드, 독일, 네덜란드에 거 점을 확보했다. 아르미니우스주의는 도르트 회의에서 정죄되었음에도 불 구하고, “널리 퍼져 성행했다.” 2) 무엇보다 심각한 일은 “종교개혁의 으 뜸 나라”인 영국마저 복음의 대의를 크게 해치는 이단적인 견해에 빠져 들어 가고 있었다는 사실이었다. 이미 찰스 1세 통치 때 영국 국교회 대 부분이 느슨한 견해에 굴복했고, 결국 영국 국교회 신학자들 “거의 모두 가 아르미니우스주의자들이 되고” 말았다. 또한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아들임을 부인하고, 그리스도는 사기꾼에 지나지 않고 …… 하나님은 인 류 자신의 이성 외에는 인류가 따라야 할 다른 빛을 주지 않았다고 말 하는”, 이단이라기보다 “종교적 믿음 자체를 공개적으로 거부하는” 자들 의 운동인 이신론이 사방에 만연했다. 잉글랜드로부터 이런 소식을 접해 읽은 에드워즈는 이런 배교, 복음에 대한 이 같은 조롱과 비웃음은 이제 껏 한 번도 없었던 일이라고 느꼈다. “경건의 능력이 달려 있는 원리가 크 게 깨어졌다.” 생명력 넘치는 경건이 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생명력 넘 치는 경건을 옹호하는 자들은 “미쳤거나 제 정신이 아닌 사람으로 흔히 여겨졌다.” 3) 이 와중에도 에드워즈는 격려가 되는 소식이 있을지 모른다 는 기대 속에, 1748년 8월 한 편지에서, 스코틀랜드 목사 존 어스킨 ( John Erskine ) 에게
자신이 영국의 종교 상태에 대해서 들은 모종의 고무적인 소
식을 확인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 건에 대해서, 그리고 현재 영국의 불신
2) The Works of President Edwards (8 vols. Worcester, 1808~1809, 이하 우스터판으로 표시),
2, pp. 304~305. 3) Ibid., pp. 304~306, 311~312.
14
| 조나단 에드워즈의 원죄론
앙 상태에 대해서 다음번에 더 소상히 알려 주면 고맙겠습니다.” 4) 에드워즈가 이미 받은 소식으로도 영국의 복음적 기독교가 극히 위태 로운 상태라고 확신하기에 충분했고, 확신하지 않을 수 없었다. 에드워즈 는 어스킨에게 쓴 이 동일한 편지에서, 존 테일러 ( John Taylor ) 의 원죄에 대 한 논문을 포함해, 테일러의 책들을 선물로 보내 준 것에 대해 감사했다. 테일러의 논문에는 계몽주의적 인간 이해와 아주 모순되는 원죄 교리에 대한 가장 인상적이고 가장 파괴적인 비판이 대담하게 전개되었다. 테일러는 진지하게 평가되어야 하는 인물임에 틀림없다. 테일러의 『원 죄가 성경의 교리인가에 대한 자유롭고 솔직한 검토』 ( The Scripture - Doctrine of Original Sin, Proposed to Free and Candid Examination ) 는
견실한 논문이었다.5)
이 논문은 철저한 학식의 표징을 지녔고, 분명한 이성, 상식적 도덕, 그리 고 곡해 없는 성경과 더불어, 호감 가는 열린 마음을 공기처럼 호흡했다. 이 논문은 반박할 수 없을 만큼 완벽하다는 이야기가 돌 만큼, 이 논문 의 영향은 광범위하고 강력했다. 북아일랜드의 한 칼빈주의 목사는 테일 러의 논문을 “나쁜 책, 위험한 책, 이단적인 책”이라고 칭하며, 그 치명적 가르침을 자기 양들에게 경고했으나, 통탄스럽게도 이 논문에 반박할 순 없음을 시인했다고 한다.6) 그러나 잉글랜드의 몇몇 신학자들은 그리 쉽 게 항복하지 않았다. 아이작 왓츠 ( Isaac Watts ) 는 『인류의 멸망과 회복』 ( Ruin
4) The Works of President Edwards (10 vols. New York, 1829~1830, 이하 드와이트판으로 표 시), 1, p. 252. 5) 이하 테일러의 이 대표작은 『원죄 교리 검토』로, 조나단 에드워즈의 원죄 교리에 대한 논문은 『원 죄론』으로 지칭할 것이다. 스미스(H. S. Smith)는 테일러의 책이 1740년에 출판되었다고 주장 하지만(Changing Conceptions of Original Sin ,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55, p. 13), 페리 밀러, 파우스트와 존슨은 1738년이라는 전통적 연도를 고수한다(Miller, Jonathan
Edwards , New York, William Sloane Associates, 1949, p. 110; Clarence H. Faust and Thomas H. Johnson, Jonathan Edwards, Representative Selections, with Introduction,
Bibliography, and Note , New York, American Book Co., 1935, p. lxvi). 6) 이 이야기는 테일러의 History of the Octagon Church, Norwich (London, 1848), p. 27에 있 는 각주에 나온다. 그러나 드와이트는 테일러가 아무도 자신의 책을 반박하지 못하리라고 경솔히 뽐낸 다른 이야기를 말해 준다. 조나단 에드워즈의 반박에 따른 굴욕감이 테일러의 생명을 단축시 킬 만큼 에드워즈의 반박은 압도적이고 통렬한 것이었다! (드와이트판, 1, p. 613).
편집자 서문 |
15
and Recovery of Mankind, 1740 ) 을 Jennings ) 는
내놓았고, 같은 해에 데이비드 제닝스 ( David
『성경의 원죄 교리 변호』 ( The
Original Sin ) 를
Vindication of the Scripture Doctrine of
출판했다.7) 테일러는 1741년에 나온 자기 책 제2판에 첨부
한 긴 부록에서 위 두 책에 존경을 표했다. 부록 대부분이 왓츠를 강하게 그러나 정중하게 논박하는 내용이었고, 이에 비해 제닝스에 대해서는, 논 전을 벌이는 방식과 일관성 없는 추론에 대한 몇 가지 예리한 지적과 함 께 간단히 일축했다. 사실 왓츠는 원죄 교리를 잘 변호하지 못했고, 현대 의 한 해석자는 왓츠의 논문을 “우물쭈물하는 칼빈주의에 대한 연구”라 고 평했다.8) 존 웨슬리 ( John
Wesley ) 도
테일러에게 응수하고자 시도했다.
그러나 스스로 아르미니우스주의자인 웨슬리에게, 한편으로 칼빈주의 예 정론과 원죄론이라는 극과 다른 한편으로 과격 아르미니우스주의의 안 이한 도덕주의라는 극 사이에서 완전한 확신을 갖고 분석해 나가는 일은 적합한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이 와중에 아일랜드, 벨파스트에서 테일러 의 책 제3판이 출판되었고, 에드워즈가 어스킨에게 받은 것은 이 제3판 이었다. 테일러가 영국에 일으킨 소란은 영국에만 오래 한정될 수 없는 운명이 었다. 테일러의 견해는 대서양을 넘어서까지 살아남아, 동부 매사추세츠 의 목회자들 사이에 단단히 자리 잡게 되었고, 어떤 이들에게는 희열을, 또 어떤 이들에게는 고통을 안겨 주었다. 식민지 시대 뉴잉글랜드에서의 불꽃 튀는 소책자 전쟁이 머지않아 증명해 준 것처럼, 인간의 본성과 잠 재력에 대한 재평가의 혁명은 맹렬히 일어났고, 테일러는 이 혁명의 반영 이면서 동시에 이 혁명의 동인이었다.
7) 조나단 에드워즈는 테일러에 대한 제닝스의 응답이 출판되었음을 들었으나 제닝스의 책을 한 번도 본 적이 없고, “뉴잉글랜드에 그 책이 있음도 들어 보지 못했고, 따라서 설령 제닝스 박사의 책이 아무리 충분할지라도 여기 우리 목적에는 아무 소용이 없었다”고 주장했다(뒤에 있는 저자 서문). 8) Roland N. Stromberg, Religious Liberalism in Eighteenth Century Engl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54), p. 116.
16
| 조나단 에드워즈의 원죄론
1. 뉴잉글랜드의 원죄론 논쟁 테일러의 견해가 떨어져 싹을 틔운 미국의 토양은 전문적 의미의 아 르미니우스주의와 펠라기우스주의가 영국에서 수입되기 전에 이미 준비 되어 있었다.9) 이 해독 ( 害毒 ) 은 윌리엄 퍼킨스 ( William 임스 ( William
Ames ),
리처드 십스 ( Richard
Sibbes ),
Perkins ),
윌리엄 에
그리고 존 프레스턴 ( John
9) “아르미니우스주의”라는 용어에 대한 조나단 에드워즈의 용법은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램 지는 에드워즈의 “아르미니우스주의”를 “칼빈주의의 혹독한 교리에 침해당한 도덕적 본성의 온 갖 불평을 가리키는 느슨한 용어”로 언급했다(The Works of Jonathan Edwards ,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57~, 1, 3. 이하 예일판으로 표시). 토머스 쉐퍼(Thomas Shafer)는 에 드워즈가 대면한 아르미니우스주의를 “언약신학의 형식으로 여전히 표현된 인간자충족성의 자 생적인 미국적 변형”으로 일컬었다(“Jonathan Edwards and Justification by Faith,” Church
History, 20 [1951], 55). 크리스티(F. A. Christie, “The Beginnings of Arminianism in New England,” Papers of the American Society of Church History , Ser. 2, 3 [1912], 153ff.) 는 “에드워즈가 보고 두려워한 것은 회중교회 안에서의 아르미니우스주의 확산이나 옛 정통주의 의 파기가 아니라, 감독제주의의 발흥이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크리스티는, 1740년 코네티컷에 서 아르미니우스주의 목회자를 발견할 수 없었고 뉴잉글랜드에 그런 목회자가 있었을지 의문이 었다는 에즈라 스틸스(Ezra Stiles)의 말을 인용했다. 그러나 크리스티는 에드워즈가 “논쟁적 저 작들에서 그들을 짐짓 언급해 주지” 않았음을 인정했다(p. 165). 분명 에드워즈는 윌리엄 맥컬 럭(William McCulloch) 목사에게 쓴 편지(1750년 6월 6일)에서, 아르미니우스주의와 펠라기우 스주의의 “기이한 진전”에 대해 말하고 나서 곧바로 “나는 뉴잉글랜드의 영국 국교회는 칠년 전 이 전성기였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에드워즈가 아르미니우스주의라고 일컬은 것에로 기운 이들 대다수가 대각성 기간 동안 또는 대각성 이후에 감독제주의자가 되지 않았고, 오히려 옛빛파(Old Lights), 침례교도, 그리고 감리교도가 되거나, 유니테리언주의와 보편주의에 가까 워졌다(C. C. Goen, Revivalism and Separatism, 1740~1800,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62). 페리 밀러는 크리스티의 판단에 일부 동의하면서, 초창기 뉴잉글랜드는 아르미니 우스주의를 감독제주의와 동일시했으나, 18세기 중반에 에드워즈를 두렵게 한 것은 감독제주의 자가 아닌 테일러와 같은 유명한 비국교도들이 아르미니우스주의로 넘어가고 있다는 것이었다 고 제안했다( Jonathan Edwards , pp. 106, 110, 112). 또한 Conrad Wright, The Beginnings
of Unitarianism in America (Boston, Beacon Press, 1955), p. 6과 Clifford K. Shipton, “The New England Clergy of the ‘Glacial Age,’” Publications of the Colonial Society of
Massachusetts, 32 (1933~1937), p. 25도 보라. 따라서 “아르미니우스주의”라는 용어는 선택의 자유에 대한 높은 확신, 인간 본성에 대해 상향적으로 대폭 수정된 평가, 상식적 도덕주의(이 모두 가 칼빈주의에 대한 극도의 불만족과 관계가 있다)를 포함하는 개념들의 복합체를 의미하는 것으 로 남아 있어야 한다. 마크 커티스(Mark H. Curtis)는, 16세기 후반과 17세기 초반 영국 대학에서 의 아르미니우스주의라는 용어의 기원에 대해 기술했는데, 아르미니우스주의를 “부정확하지만 없 어서는 안 되는 명칭”이라고 일컬었고, 커티스는 아르미니우스주의의 근본 주장은 “아르미니우스 가 자신의 명제와 교리를 명확히 진술하기 전에” 이미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에서 융성하고 있었 음을 발견했다(Oxford and Cambridge in Transition, 1558~1642, Oxford, Clarendon Press, 1959, pp. 166, 226).
편집자 서문 |
17
Preston ) 과
같은 언약신학자들의 가르침에서부터 악의 없이 그런대로 무해
하게 시작되었다. 초기 매사추세츠 목회자들의 스승인 이들은 죄악 된 인 간과 공의롭고 주권적인 하나님 사이의 견딜 수 없는 긴장을 현저히 완 화할 수 있는 그런 종류의 정통주의를 발전시켰다.10) 하나님이 사람과의 언약에 친히 자신을 묶으셨다는 개념은 신세계에 큰 위로가 되었다. 물 론 사람은 죄인이지만, 아담은 타락으로 말미암아 이성의 적절한 사용이 나 덕에 대한 본래 성향을 완전히 박탈당하진 않았다. 따라서 아담은 하 나님이 자비로이 내미신 은혜 언약을 자신이 “체결함으로써”, 자신의 구 원을 향해 비틀거리는 걸음이나마 내디딜 수 있었다. 여기서 아담의 우울 한 대실패는 계약적 또는 법적 관점에서 주로 해석되었다. 아담은 계약을 깨트렸고, 따라서 아담이 에덴동산에서 추방당한 것은 마땅한 것이었으 나, 본성의 오염을 형벌로 받진 않았다는 것이다. “그것은 횡령 또는 유용 의 죄로 형을 선고받은 사람이 당해야 하는 그런 능력 상실에 불과했다” 고 밀러는 지적했다. 그래서 아담의 형벌은 “본성의 병으로가 아니라 법 적 책임으로서” 아담의 후손들에게 전달되었다.11) 만약 하나님이 새로운 언약, 즉 사람이 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은혜 언약을 제공해 주시지 않았 다면, 아담의 후손들은 그 조상의 범법 행위에서 대물림된 빚 때문에 궁 지에 빠져 있었을 것이다. 이 새로운 협약은, 아담의 첫 불순종에도 불구 하고 아직 훼손되지 않은 인간 능력과 기능에 호소하도록 섭리에 따라 정해졌다. 이런 교리에서는 인간 구원에 대한 아주 희망적 전망이 가능했 다. 그래서 새뮤얼 윌러드 ( Samuel Willard ) 는 하나님 앞에서 자신의 처지에 대해 확신 없이 갈팡질팡하는 영혼에게 이런 든든한 말을 해 줄 수 있었
10) Perry Miller, “The Marrow of Puritan Divinity,” Pub. of Col. Soc. Mass., 32 (1933~1937), 247ff. 11) Ibid., pp. 281~292. H. S. 스미스는 밀러가 법적 전가 개념은 강하게 강조하면서 오염의 유전 은 축소하는 것에 이의를 제기했다. 원죄에 대한 언약론은 뒤따르는 세대에 원죄를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법적 전가만이 아니라 자연적인 출생도 생각했다고 스미스는 주장한다(Changing Conceptions , p. 34).
18
| 조나단 에드워즈의 원죄론
다. “당신의 많은 약함과 결점이 당신의 안전을 훼손하거나 파괴할 수 없 다. 당신의 많은 약함과 결점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과 당신 사이에 이루어진 화평을 파괴하거나 깨트릴 수 없다. 당신이 의무를 무시하고 영 적으로 깨어 있는 것에 태만하게 행동한다면, 그것은 아버지의 노염을 사 고, 당신은 아버지가 고난으로 당신을 징계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 러나 당신의 미덕이 약해지고 당신의 부패가 강해질지라도, 아버지의 마 음을 당신에게서 멀어지게 할 순 없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후에는 모든 것이 잘 될 것이다.” 12) 크신 하나님이 배경으로는 여전히 등장했다. 하나님의 능력과 공의는 하나님의 자비만큼이나 헤아릴 수 없는 것이었으나, 아르미니우스주의를 가까스로 모면한 사고 방향이 뉴잉글랜드에 정해졌다. 하나님이 사람에 게 구원의 길을 열어 놓으셨기 때문에, 사람은 자신의 구원에 대해서 어 떤 일을, 적어도 준비하는 일은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인간이 자 신의 운명을 더 견고히 제어할 수 있는 영역에 이르는 길을 열어 준, 인간 상황에 대한 이해가 존재한다. 당시 뉴잉글랜드의 종교적 삶에는 궁극적 으로 미국의 정신을 형성시킨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었다. “사람들이 하 나님의 영광을 위해 힘써야 하는 목적론적 우주, 사람들이 자기 나름의 목적이 아닌, 오로지 하나님이 정하신 목적을 추구해야 하는 목적론적 우주가, 사람들이 자신의 행복을 위해 회심을 시작할 수 있을 정도로 스 스로를 신뢰할 수 있고, 하나님이 이들을 영생으로 보상하시리라 예상할 수 있는 그런 우주로 어느샌가 개조되었다.” 13) 뿐만 아니라, 천국의 보상 은 고단하고 현실적인 뉴잉글랜드 사람들에게 충분하지 못했다. 언약신 학의 실용적 정신은 18세기 초반에 싹튼 뉴잉글랜드의 자기 충족성과 깔 끔히 결합되었다. 강경 칼빈주의자가 아닌 코튼 매더 ( Cotton Mather ) 는 이렇
12) A Brief Discourse of Justification (Boston, 1686), pp. 163~164. 13) Perry Miller, “Preparation for Salvation in Seventeenth Century New England,” Journal
of the History of Ideas, 4 ( June 1943), p. 286.
편집자 서문 |
19
게 개탄했다. “토지와 이 땅의 거처에 대한 만족할 줄 모르는 욕망”이 많 은 사람을 사로잡아 버렸고, “우리 조상들이 이런 환경에 들어왔던 것이 종교 이외의 어떤 세속적 고려 사항 때문이 아니었다는 점에서, 우리는 우리 조상들과 다르다 …… 이제 종교가 세속적 관심사에 종속하게 되었 다.” 14) 그러나 매더는 무엇을 예상했는가? 사람들은 하나님이 자신과 언 약을 맺은 사람들에게 자신을 동여매셨을 뿐만 아니라, 신세계에서 청교 도적인 전체 사회계획을 뒷받침하고 선하게 끝마치시리라 약속하셨다고 생각했다. 사람들은 하나님이 언약에 신실한 자들에게 물질적 보상, 즉 안전, 번영, 건강, 성공을 약속하셨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코튼 매더와 동 료 신학자들은 물질적 보상이 보상을 주시는 분과 보상이 주어지는 조 건으로부터 사람들의 마음을 흔히 돌려 버린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 와 같이 한 세대 동안이나 매사추세츠와 코네티컷을 세우는 일을 언약적 이해와 연결시켰던 목회자에게는 가혹한 딜레마가 존재했다. 물질적 혜택 이 하나님에 대한 정당한 충성에서 꾀어내는 유혹인 것은 분명하지만, 그 럼에도 물질적 혜택은 하나님과 맺은 협약의 일부였고, 하나님이 자신의 약속에 신실하시다는 가시적인 표였다.15) 목회자들은 전능하신 하나님이 베푼 총애의 표가 어떤 것이든, 비록 총애의 표가 사람의 마음을 더 경건 하게 하지 않고 더 속되게 할지라도, 전능하신 하나님을 비난할 수 없었 다. 또한 회중들은 테일러가 대변한 아르미니우스주의와 펠라기우스주의 이단에 대한 접근을 훨씬 더 용이하게 하는 아르미니우스주의와 펠라기 우스주의 교리 강좌 같은 것을 요구하지도 않았다. 신적 주권에 대한 감각은 결코 사라지지 않았고, 죄의 무시무시한 성격 에 대한 강조도 전혀 줄어들지 않았다. 그럼에도 여하튼, 18세기 초반에 이르러 전통적 교리들은 그 힘을 상실했다. 낯익은 칼빈주의 교리와 고
14) Magnalia Christi Americana (Hartford, 1855), p. 324. 15) Perry Miller, The New England Mind (New York, Macmillan Company, 1939), pp. 422~481.
20
| 조나단 에드워즈의 원죄론
백에 신선한 활력을 불어넣는 일과, 언약신학에 의해 임시방편적인 이론 적 설명이 주어졌던 안전에 의문을 제기하는 일은 에드워즈와 동료 부흥 사들의 몫으로 남았다. 인간의 이익과 편리하게 결합되는 하나님에 대한 상, 위로를 주는 솔깃한 하나님 이미지는 깨트려져야 했고, 사람들은 하 나님의 초월적 영광 앞에서 죄악 된 상태의 불가피한 비참함 가운데 또 다시 놓였다. 법적 장치에 의해서가 아니라, 공로 없이 은혜로만 구원받 을 수 있었다. 물론 찰스 촌시 ( Charles Chauncy ) 는 에드워즈가 너무 맹렬하 고, 감정적이고, 심지어 비인간적인 방식으로 계속 설교했다고 생각했으 나, 에드워즈는 이에 저항하며 이렇게 반문했다. “어째서 우리가 무한히 비참한 상태에 있는 사람들로 하여금 진리를 알게 하거나 또는 그들이 마땅히 무서워해야 하는 무서운 것을 밝히 보여 주게 될까 두려워해야 하는가?” 16) 그러나 바로 이것 자체가 논쟁거리였다. 사람들은 정말 “무한히 비참한 상태”에 있는가? 그리고 만약 그렇다고 할 때, 이런 비참한 상태가 그들 자신의 개인적 행위 이외의 다른 것에 의해 초래된 것인가? 인간의 부패 에 대한 대각성의 줄기찬 북소리가 잦아들기 시작하면서, 비판적 정신을 가진 몇몇 이들은 심란한 소위 영혼을 광란케 하고 인간의 존엄성에 오명 을 남기는 교리를 더 철저히 조사하길 원했고, 이것은 이해할 만한 것이 었다. 관련된 설교와 글들이 보스턴 근방의 목사들 사이에 금세 퍼져 나 갔다. 원죄 교리에 대한 아르미니우스주의와의 논쟁이 시작되었을 때 이 미 테일러 책의 영향력은 십분 감지되었다.17) 엄격한 칼빈주의와 엄격한 아르미니우스주의 양극의 중간 입장을 추구 하는 전형은 메이휴 ( Experience
Mayhew ) 의
『중요한 진리에 겸손히 호소해
16) 우스터판, 3, pp. 195~196. 17) 이 논쟁에 대해서 여기 제시된 것보다 상세한 연구를 Joseph Haroutunian, Piety Versus
Moralism: The Passing of the New England Theology (New York, Henry Holt, 1932)에 서 발견할 수 있다.
편집자 서문 |
21
은혜를 변호함』 ( Grace
18)
Defended in a Modest Plea for an Important Truth ) 이었다.
메이휴는 자신은 칼빈주의 자체를 뒤집어엎길 원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칼빈주의 주요 조항들에서 전혀 필요 없는 것들을 제거하길 원한다고 천 명했다. “나는 이 글에서 원죄 교리, 하나님의 영원한 작정 교리 …… 그리 고 인간 구원에 있어 하나님의 주권 교리를 손상시키려는 의도를 전혀 품 지 않았다”( p. v ). 메이휴는 인간의 부패를 지적하는 데 망설이지 않았으 나, 아담과 인류의 관계를 처음부터 끝까지 언약적으로 설명했다. 아담과 하와는 타락했다. 이에 하나님은 죽음을 선언하시고, 아담과 아담의 후손 들에게서 자신의 성령을 거두어 가심으로써 자신의 선고를 즉각 시행해 나가셨다. 성령이 거두어짐으로써, “아담에게 그 어떤 죄악 된 성향을 불 어넣으시는 하나님의 적극적 행위 없이도 [아담은] 아주 지독한 악인이 되었다”( pp. 7~8 ). 언약으로 말미암아 인류 전체가 아담 안에 있었기 때문 에, 모든 사람이 죄인으로서 세상에 태어난다. “모든 사람이 날 때부터 죄 의 종이고, 전적으로 죄의 지배 아래 있다”( p. 29 ). 그러나 메이휴는 바로 이 지점에서 아르미니우스주의 입장으로 방향을 선회하기 시작하는데, 왜냐하면 또한 메이휴는 사람이 “구원받을 수 있는 상태”로 태어난다고 도 주장했기 때문이다 ( p. 22 ). 물론 사람은 자신의 힘으로 구원을 이룰 수 없지만, 구원의 길에 스스로 서도록 정진하게 북돋우어져야 한다. 메이휴 는 자신을 반대한 자들과 자신의 차이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그 차이는] 자연인의 능력을 그들보다 내가 더 높인다는 데 있 지 않고, 하나님의 은혜를 그들보다 내가 더 높인다는 데 있다. 왜 냐하면 그들은, 하나님이 은혜 언약의 조건으로 요구하신 신앙 과 회개는 선하고 거룩한 사람이 되기 전에는 아무도 행할 수 없 18) H. S. 스미스는 메이휴의 글이 테일러에 대한 직접적 응답이었다고 생각하나, 본인은 메이휴의 책에서 이런 가정의 근거를 전혀 발견하지 못했다. 에드워즈는 이 책의 사본을 갖고 있었음에 분명하다. 에드워즈의 1744년 1월 5일자 『메모북』(Memo Book)은 이 책을 Mr. Billing[?][판 독하기 어려움]에게 빌려 준 것에 대해 언급한다.
22
| 조나단 에드워즈의 원죄론
다고 잘라 말하는 데 반해 …… 나는 하나님이 새 언약의 조건으로 요구하신 신앙과 회개는, 내 반대자들이 인정하는 것보다 낮은 종 류의 신앙과 회개라고 힘써 주장하며, 사람이 성령에 의해 새로워 져서 참된 성도가 되기 전에도 하나님의 보조를 받아 행할 수 있 는 그런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 나는 하나님이 은혜 언약 에서 내 반대자들이 상상하는 조건, 비참하고 보잘 것 없는 상태 의 죄인이 결코 준수할 없는 그런 조건을 요구하지 않으시고, 그 런 조건은 안전한 상태에 들어와 영생을 이미 얻은 자들에게 비 로소 요구하신다고 생각한다 ( pp. 136~137 ).
분명 메이휴는 양쪽의 가장 좋은 부분을 원했다. 메이휴는 인간의 의 지가 널리 발휘될 수 있는 더 큰 자유를 추구했으나, 원죄 교리 역시 유 지하길 원했다. 사람이 스스로를 구원할 수 없는 것은 맞다. 하지만 칼빈 주의 교리를 반대하는 자들이 원죄 교리가 위대한 진리라는 것을, 그리고 하나님은 사람이 하나님의 도움으로 그 조건에 부응할 수 있는 새 언약 을 통해서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사람을 구원하는 데서 자신의 은 혜와 자비를 영화롭게 하고자 하셨음을 이해하게 된다면, “많은 사람이 원죄 교리를 지금 싫어하는 만큼 싫어하진 않으리라고 나[메이휴]는 생각 한다”( p. 196 ) . 1749년, 젊은 레뮤얼 브라이언트 ( Lemuel Briant ) 가 자신의 직설적인 설교 를 출판한 때는 훨씬 덜 절충적인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설교 제목 자체 에서 인간의 부패성과 그것의 함의에 대한 브라이언트의 반감이 분명히 드러난다. “도덕적인 덕을 폄하하는 부조리와 신성모독.” 그러나 정통주 의자들의 관점에서 볼 때, 이것은 정통주의자들이 특히 좋아하는 본문, “우리의 의는 다 더러운 옷 같으며”( 사
64:6 ) 의
악랄한 오용에 불과했다.
존 포터 ( John Porter ) 목사와 토머스 폭스크로프트 ( Thomas Foxcroft ) 목사는 1750년에 동일한 본문을 사용하여, 인간의 의는 그리스도의 의를 대신하 편집자 서문 |
2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8
| 조나단 에드워즈의 원죄론
●●●●●●●●●●●●●●●●●●●●●●●●●●●●●●●●●●●●●●●●●●●●●●●●●●●●●●●●●●●●●●●●●●●●●●●●●●●●●●●●●●●●●●●●●●●●●●●●●●●●●●●●●●●●●●●●●●●●●●●●●●●●●●●● ●●●●●●●●●●●●●●●●●●●●●●●●●●●●●●●●●●●●●●●●●●●●●●●●●●●●●●●●●●●●●●●●●●●●●●●●●●●●●●●●●●●●●●●●●●●●●●●●●●●●●●●●●●●●●●●●●●●●●●●●●●●●●●●● ●●●●●●●●●●●●●●●●●●●●●●●●●●●●●●●●●●●●●●●●●●●●●●●●●●●●●●●●●●●●●●●●●●●●●●●●●●●●●●●●●●●●●●●●●●●●●●●●●●●●●●●●●●●●●●●●●●●●●●●●●●●●●●●● ●●●●●●●●●●●●●●●●●●●●●●●●●●●●●●●●●●●●●●●●●●●●●●●●●●●●●●●●●●●●●●●●●●●●●●●●●●●●●●●●●●●●●●●●●●●●●●●●●●●●●●●●●●●●●●●●●●●●●●●●●●●●●●●●
2
●●●●●●●●●●●●●●●●●●●●●●●●●●●●●●●●●●●●●●●●●●●●●●●●●●●●●●●●●●●●●●●●●●●●●●●●●●●●●●●●●●●●●●●●●●●●●●●●●●●●●●●●●●●●●●●●●●●●●●●●●●●●●●●● ●●●●●●●●●●●●●●●●●●●●●●●●●●●●●●●●●●●●●●●●●●●●●●●●●●●●●●●●●●●●●●●●●●●●●●●●●●●●●●●●●●●●●●●●●●●●●●●●●●●●●●●●●●●●●●●●●●●●●●●●●●●●●●●● ●●●●●●●●●●●●●●●●●●●●●●●●●●●●●●●●●●●●●●●●●●●●●●●●●●●●●●●●●●●●●●●●●●●●●●●●●●●●●●●●●●●●●●●●●●●●●●●●●●●●●●●●●●●●●●●●●●●●●●●●●●●●●●●● ●●●●●●●●●●●●●●●●●●●●●●●●●●●●●●●●●●●●●●●●●●●●●●●●●●●●●●●●●●●●●●●●●●●●●●●●●●●●●●●●●●●●●●●●●●●●●●●●●●●●●●●●●●●●●●●●●●●●●●●●●●●●●●●● ●●●●●●●●●●●●●●●●●●●●●●●●●●●●●●●●●●●●●●●●●●●●●●●●●●●●●●●●●●●●●●●●●●●●●●●●●●●●●●●●●●●●●●●●●●●●●●●●●●●●●●●●●●●●●●●●●●●●●●●●●●●●●●●● ●●●●●●●●●●●●●●●●●●●●●●●●●●●●●●●●●●●●●●●●●●●●●●●●●●●●●●●●●●●●●●●●●●●●●●●●●●●●●●●●●●●●●●●●●●●●●●●●●●●●●●●●●●●●●●●●●●●●●●●●●●●●●●●● ●●●●●●●●●●●●●●●●●●●●●●●●●●●●●●●●●●●●●●●●●●●●●●●●●●●●●●●●●●●●●●●●●●●●●●●●●●●●●●●●●●●●●●●●●●●●●●●●●●●●●●●●●●●●●●●●●●●●●●●●●●●●●●●● ●●●●●●●●●●●●●●●●●●●●●●●●●●●●●●●●●●●●●●●●●●●●●●●●●●●●●●●●●●●●●●●●●●●●●●●●●●●●●●●●●●●●●●●●●●●●●●●●●●●●●●●●●●●●●●●●●●●●●●●●●●●●●●●● ●●●●●●●●●●●●●●●●●●●●●●●●●●●●●●●●●●●●●●●●●●●●●●●●●●●●●●●●●●●●●●●●●●●●●●●●●●●●●●●●●●●●●●●●●●●●●●●●●●●●●●●●●●●●●●●●●●●●●●●●●●●●●●●● ●●●●●●●●●●●●●●●●●●●●●●●●●●●●●●●●●●●●●●●●●●●●●●●●●●●●●●●●●●●●●●●●●●●●●●●●●●●●●●●●●●●●●●●●●●●●●●●●●●●●●●●●●●●●●●●●●●●●●●●●●●●●●●●● ●●●●●●●●●●●●●●●●●●●●●●●●●●●●●●●●●●●●●●●●●●●●●●●●●●●●●●●●●●●●●●●●●●●●●●●●●●●●●●●●●●●●●●●●●●●●●●●●●●●●●●●●●●●●●●●●●●●●●●●●●●●●●●●● ●●●●●●●●●●●●●●●●●●●●●●●●●●●●●●●●●●●●●●●●●●●●●●●●●●●●●●●●●●●●●●●●●●●●●●●●●●●●●●●●●●●●●●●●●●●●●●●●●●●●●●●●●●●●●●●●●●●●●●●●●●●●●●●● ●●●●●●●●●●●●●●●●●●●●●●●●●●●●●●●●●●●●●●●●●●●●●●●●●●●●●●●●●●●●●●●●●●●●●●●●●●●●●●●●●●●●●●●●●●●●●●●●●●●●●●●●●●●●●●●●●●●●●●●●●●●●●●●●
『원죄론』 본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편집자 서문 |
149
The Works of Jonathan Edwards
Original Sin
150
| 조나단 에드워즈의 원죄론
저자 서문
이 논문은 원죄 교리를 반대하는 단지 특정한 어떤 책에 대한 답변으 로가 아니라, 지극히 중요한 원죄 교리를 종합적으로 변호할 목적으로 작 성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원죄 교리를 종합적으로 변호하는 와 중에, ( 내가 읽은 ) 유명한 원죄 교리 반대자들의 주요 주장들에 대해 논평 했다. 근래 다른 누구보다 턴불 박사와 노리치의 테일러 박사의 주장에 대해, 이 가운데서도 특히 테일러 박사가 자신의 두 책, 『원죄가 성경의 교리인가에 대한 자유롭고 솔직한 검토』와 『사도적 저술의 열쇠, 그리고 로마서 주해』에서 발표한 주장에 대해 논평했다. 내가 살펴본 바로는, 테 일러 박사가 원죄 교리에 반대해서 쓴 이 책만큼, 이 땅에 처음 정착했던 경건하고 탁월한 우리 신앙의 선조, 신학자들, 그리고 그리스도인들이 견 지한 기독교 원리와 체계를 뉴잉글랜드 서부에서 뿌리째 없애고 수많은 사람의 생각을 복음의 중심 교리들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 책은 없었다. 테일러 박사의 책은 오랫동안 해독제 없이 아무런 응 수 없이 이 땅에 퍼져 나갔고, 따라서 테일러 박사의 책은 거의 아무 제 한 없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런던의 제닝스 박사가 테일러 박사의 책에 응수하는 글을 출판했다는 소식을 들은 적이 있지만, 나는 그 책을 실제 저자 서문 |
151
로 본 적도 없고 뉴잉글랜드에 그 책이 있다는 얘기도 듣지 못했다. 따라 서 설령 제닝스 박사의 책이 아무리 충분하다 할지라도, 여기 우리 목적 에는 아무 소용이 없었다. 사람들이 테일러 박사의 글을 접한 지 15년 ( 내 계산이 틀리지 않다면 ) 이나
지났음을 고려해 볼 때, 이 땅에 사는 사람들을 위
한 해독제가 있어야 한다는 것은 아주 명백하다. 이 논문에서 내가 시도 한 작업이 이 해독제를 제공하는 일이다. 나는 테일러 박사의 글 모든 부 분에 상세한 주의를 기울였고, 원죄 교리와 관련된 논쟁에서 중요한 것은 어떤 것도 언급하지 않은 채 지나치지 않도록 진력했고, 원죄 교리를 반 대하는 그 어떤 주장도 답변 ( 또는 반박 ) 없이 내버려 두지 않고자 심혈을 기 울였다. 나는 원죄 교리를 지극히 중요한 교리로 본다. 원죄 교리가 사실 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원죄 교리를 지극히 중요한 교리로 인정할 것임에 틀림없다. 모든 인류가 본성적으로 완전한 파멸 상태에 있 다면, 즉 모든 인류가 도덕적 악에 종속되어 있고 고통을 주는 물리적 악 에 노출되어 있다면 ( 고통을 주는 악은 도덕적 악의 결과이며 도덕적 악에 대한 형벌이다 ),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위대한 구원은 치료와 질병의 관계처럼, 이런 본성 적 파멸 상태와 직접적 연관성이 있음에 틀림없다. 따라서 복음 전체 혹 은 구원 교리 전체가 원죄 교리를 전제하고 있음에 틀림없다. 그리고 복 음에 대한 모든 실제적 믿음과 참된 개념은 원죄 교리 위에 세워져 있다. 따라서 원죄 교리는 가장 참되고 가장 중요한 교리이기 때문에 (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
나는 이 논문을 읽는 수고를 감수할 모든 이들에게 원죄 교리의
옳음을 입증하는 내 시도를 공정하게 해석하고 원죄 교리에 대한 내 변호 를 편견 없이 고찰해 주기를 바란다.
첨언. 나일스 목사님이 테일러 박사에 대한 응답으로 어떤 것을 집필하
려 한다거나 집필했다는 최소한의 소식이나마 접한 때는, 내가 원죄 교 리를 변호하는 이 글을 완성하고, 출판 원고 ( 독자 여러분이 갖고 있는 것과 동일 한 ) 를
152
마련하고, 앞의 저자 서문도 쓴 이후였다. 그리고 내가 들은 바에
| 조나단 에드워즈의 원죄론
따르면, 나일스 목사님의 글은 테일러 박사의 『원죄 교리 검토』의 1, 2부 에 주로 한정되고, 세 번째 부분과 상당한 분량의 부록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는다. 이에 비해 나의 이 논문은 테일러 박사의 『원죄 교리 검토』 전체의 모든 내용과 “사도적 저술의 열쇠”와 “로마서 주해”가 담긴 테일러 박사의 다른 책도 검토했다. 또한 그 밖에 다른 몇몇 현대적 저자 들이 원죄 교리에 반대하여 쓴 많은 것들에 대해서도 검토했다. 더욱이 나의 이 논문은 테일러 박사와 여타 원죄 교리 반대자들에 대한 단지 응 답으로서만이 아니라, 원죄 교리에 대한 종합적 변증서로서 원죄 교리에 대한 반대들에 답하고 원죄 교리가 참되다는 증거를 제시할 목적 ( 위에서 언 급한 것처럼 ) 으로
작성되었다. 이런 사실들을 고려할 때, 독자들이 내 논문
을 불필요하거나 무익한 것으로 취급하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나 와 나일스 목사가 같은 주제와 주장을 다룬 (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다 ) 부분 에서조차 내 책과 나일스 목사의 책은 서로를 비쳐 주고, 서로의 주장을 확증해 줄지 모르고, 그리하여 테일러 박사의 글을 반박하는 공통의 목 표에 한층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이 논문의 포괄적인 목적을 염두에 두고 부디 이 논문의 분량을 양해 해 주기 바란다. 다음의 것들을 생각해 보라. 이 논문의 목적을 충분히 성취하는 데 필요한 내용들이 얼마나 많은지, 원죄 교리에 반대하여 쓰 인 글이 얼마나 많은지, 그리고 그럴듯해 보이는 반대들이 얼마나 많은지, 원죄 교리에 대한 반대 주장들을 지지하는 많은 이들이 고수하는 편견 이 얼마나 심한지, 예상할 수 있는 대로 주된 반대자들 중 특히 꽤 그럴 듯한 주장을 펴는 테일러 박사의 거의 모든 주장을 십분 검토하지 않은 답변에 많은 독자들이 만족하지 못하리라는 사실, 원죄 교리를 뒷받침하 는 논거들을 충분히 다루기 위해서 말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얼마나 많 은지, 그리고 원죄 교리가 사실이라면 이 교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말 이다. 이런 것들을 고려해 본 독자라면, 본 논문의 길이가 현실적으로 필 요한 분량을 초과했다고 생각하지 않으리라고 나는 믿어 의심치 않는다. 저자 서문 |
153
물론 이것은 지적이고 편견 없는 독자들의 판단에 맡겨져야 한다.
1757년 5월 26일 스톡브리지에서
154
| 조나단 에드워즈의 원죄론
제1부 관찰과 경험으로 발견할 수 있는 원죄의 증거에 대한 고찰
저자 서문 |
155
The Works of Jonathan Edwards
Original Sin
156
| 조나단 에드워즈의 원죄론
1. 인류의 죄악 된 실상에 드러나는 원죄의 증거
1 ) 모든 시대에 모든 인류는 하나의 예외도 없이 도덕적인 악으로 한결같이 뛰 어드는데, 이 도덕적인 악으로 인해서 하나님의 총애를 완전히 박탈당하고 하나님의 보복과 진노를 당하게 되는, 전적인 그리고 영원한 멸망이 인류에 게 초래된다.
신학자들에 의해 가장 흔히 사용되어 온 원죄라는 말의 의미는 마음의 죄악 된 타고난 부패다. 그러나 원죄 교리를 말할 때는 본성의 부패뿐 아
니라 아담의 첫 죄의 전가, 다시 말해서 하나님의 판단에 따라 아담의 첫 죄에 대한 형벌을 아담의 후손도 받아야 될 책임 또는 상태도 범위에 포 함시켜 이해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내가 아는 한, 본성의 부패와 아담 죄 의 전가 둘 중 하나를 견지한 사람 대부분이 다른 하나도 주장했다. 그리 고 둘 중 하나를 반대한 사람 대부분이 다른 하나도 반대했다. 아래 논의 에서 우리가 주된 주의를 기울일 대상인 테일러 박사는 원죄 교리를 반 대한 자기 책에서 본성의 부패와 죄의 전가 둘 다 반대했다. 원죄 교리에 대한 우리 논의에서 장차 드러나겠지만, 본성의 부패와 죄의 전가는 긴밀 히 관련되어 있어서, 하나를 증명하는 논거는 다른 하나를 확립시켜 주 고, 하나를 인정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면 다른 하나를 인정하는 데도 별 어려움이 없다. 1. 인류의 죄악 된 실상에 드러나는 원죄의 증거 |
157
먼저 나는 다른 무엇보다 본성의 부패와 관련해 원죄 교리를 고찰해 볼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본성의 부패를 다루어 감에 따라서, 본성의 부 패와 연결되어 있는 죄의 전가도 자연스레 고찰하게 될 것이다. 사람의 도덕적 자질, 도덕적 원리, 그리고 미덕과 악덕은 모두 그 마음 의 성향에 달려 있기 때문에, 나는 사람의 마음이 본성적으로 부패하고 악한 성향을 갖고 있다는 증거가 있는지 어떤지를 살펴볼 것이다. 원죄 교리를 반대하는 최근의 많은 저자들, 그리고 특히 테일러 박사가 1) 사람 의 마음이 본성적으로 부패했음을 완강히 부인한다. 우리는 어떤 결과가 한결같이 또는 보편적으로 일어나는지를 봄으로써 성향 또는 경향에 대한 개념을 얻는다. 특히 아주 다양한 상황에서, 그리 고 무엇보다 크고 다양한 반대들에도 불구하고 ( 해당 결과를 저지할 만큼 우세하 고 유효하진 않지만, 해당 결과에 반하는 많고 다양한 힘과 수단들이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
해
당 결과나 사건이 동일하게 계속될 때 경향에 대한 개념을 얻는다. 나는 특정 결과가 그토록 우세함에도 불구하고, 특정 결과의 그런 우세함이 해당 원인과 행위자 안에 유효한 경향이 있다는 증거가 아니라고 거부되 는 이유를 도무지 모르겠다. 즉, 원죄 교리 반대자들이 다음을 부인하는 이유를 도무지 모르겠다. 만약 인류가 실제로 부패해 있음이 보편적으로 또는 일반적으로 증명된다면, 당연히 이것은 그에 앞서 부패의 성향이 인 류에게 있다는 증거가 될 것인데, 원죄 교리 반대자들은 이것을 명백히 부인한다. 또 어떤 이들은 뭐라 많은 말을 하지만, 이들의 명백한 귀결을 고려할 때, 인류에게 부패의 성향이 있음을 부인하는 것 같다 ( 이것은 나중에 살펴볼 것이다 ).
많은 이들이 다음 사실을 부인한다. 즉, 부패와 도덕적 악이
세상에 공통적으로 우세하다는 사실을 부인하고, 반대로 세상에 선이 우 세하고 덕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런 취지로 턴불 박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2) 1) [앞에 있는 편집자 서문, 4절을 보라.] 2) [Ibid.]
158
| 조나단 에드워즈의 원죄론
세상에 악이 편만하다는 것과 관련해, 사람들은 걸핏하면 자신 이 들었거나 역사 가운데 읽었던 온갖 강도질, 해적질, 살인, 위 증, 사기, 대학살, 암살을 상상하면서 모든 인류가 매우 사악하다 고 결론짓곤 한다. 마치 인류의 도덕성을 평가하기에 적절한 장소 가 법정이고, 그 지역의 건강함을 짐작해 볼 수 있는 적절한 장소 가 병원이기라도 한 것처럼 말이다. 그러나 다음 사실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어떤 나라든지 정직한 시민과 농부의 수가 그 나 라 모든 범죄자의 수를 훨씬 능가하고, 심지어 범죄자들조차 범 죄보다 악의 없고 친절한 행동을 더 많이 행한다. 악의 없고 선한 행동에 비해 범죄 행위가 훨씬 드물기에, 범죄가 주목받고 역사에 기록되는 것이다. 반면, 정직하고 관대하고 교양 있는 행동은 아 주 일반적이라는 이유로 간과된다. 마치 한 번의 큰 위험이나 한 달간 앓은 병이 건강하고 안전하게 산 생애 내내 회자되는 것처 럼 말이다. 인류의 악을 과장하거나 늘리지 말아야 한다. 인간의 삶을 공정하게 평가해 보자. 그리고 시기를 막론하고 저질러진 야 만적이고 사악한 경악스런 일들을, 역사 가운데 빛나는 매우 관대 하고 용감한 행동들뿐만 아니라 인류 대부분이 늘 보여 주는 악 의 없음, 온화함, 근면, 화합, 유쾌함과 대조해 보라. 그러면 우리 는, 모든 사람이 극히 부패했고 세상에는 덕 같은 것이 거의 존재 하지 않는다고 신의 섭리에 이의를 제기하는 자들이 외치는 것처 럼 외칠 이유를 찾지 못할 것이다. 공정하게 평가하는 바로 그 순 간, 다음 사실이 드러나게 된다. 심대한 악행들은 전체 역사에서 아주 드문 일이었고, 심대한 악행은 어처구니없고 터무니없는 행 동으로 치부되었고, 오히려 덕에 대한 감각과 존중이 매우 일반적 이었다.3)
3) Mor [al ] Phil [osophy ], pp. 289~290.
1. 인류의 죄악 된 실상에 드러나는 원죄의 증거 |
159
턴불 박사의 위 주장은 테일러 박사의 다음 견해와 일맥상통한다. “우 리의 건강과 기쁨을 나병원 ( 癩病院 ) 에서, 우리의 이해력을 정신병원에서, 또한 우리의 도덕성을 감옥에서 측정해서는 안 된다.” 4) 아래 내용들을 고찰하고 나면, 이런 진술이 적절하고 타당한지 이들이 의도한 결론에 도달할 만큼 설득력이 있는지를 더 잘 판단할 수 있고, 인 류의 타고난 마음의 성향이 부패했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어느 정도 판결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논의를 훨씬 더 분명히 하기 위해서 한 가지 고려 사항을 미리 설명하 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이것은 우리 논의에 있어 아주 중요한 것이고, 원 죄 교리 반대자들이 원죄 교리에 이의를 제기할 때 아주 많이 간과하는 것이다. 고려해야 할 것은 바로 이것이다. 신적인 은혜의 개입 없이, 그 자체로 또는 그 자체의 본성에서 고려될 때
인간 마음의 성향으로 보이는 것이 인간 마음의 고유한 또는 타고난 본 성의 실제 성향으로 여겨져야 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인간 본성의 상태 와 마음의 성향은 그 자체로 볼 때 극히 악한 결과로 기우는 경향을 갖 는데, 하나님의 값없는 자비와 동정이 그런 결과가 초래되지 않도록 개입 하지 않으셨다면 틀림없이 악한 결과로 끝나고 말았을 것이기 때문에, 인 간 본성의 상태와 마음의 성향은 사악하고 악랄한 것으로 여겨져야 한 다. 만약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순전한 은혜와 동정이 악으로 기우는 이런 경향에 개입해 맞섬으로써 이런 애석한 결과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 것인데도 악한 경향 자체가 없다고 주장한다면, 이는 매우 기이한 주장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인간의 본성 안에 사람으로 하여금 도덕적 악에 대 해서 보편적이고 틀림없는 경향 ( 이 경향 자체의 성격과 허물로 인해 이 경향에는 사람 의 철저한 멸망이 반드시 수반된다 ) 을
지니게 하는 뭔가가 있다면, 그 뭔가는 악
한 경향 또는 성향으로 여겨져야 할 것이다. 그런데 신적인 은혜가 개입 4) [ John Taylor, The Scripture-Doctrine of Original Sin, Proposed to Free and Candid
Examination (3d ed., Belfast, 1746)], p. 353. [앞에 있는 편집자 서문, 3절, 특히 p. 61을 보라.]
160
| 조나단 에드워즈의 원죄론
해서 마땅한 멸망에서 사람을 구원하고, 그 자체로 내버려 두면 반드시 도달하게 되는 것과 반대되는 결과가 일어나도록 사태를 뒤엎을 수 있다. 은혜는 하나님의 기쁘신 선한 뜻에 따라 발휘되는 주권적인 것으로서 악 에서 선을 끌어낸다. 그런데 질병의 치료가 질병 자체에 속한 것이 아니 듯이, 악에서 선을 끌어내는 은혜의 영향은 은혜 없인 나쁜 경향을 드러 내는 인간 본성 자체에 속한 것이 아니다. 은혜는 인간 본성에 완전히 독 립해 있는 것으로서, 본성의 성향을 막고 그 흐름을 역전시키기 위해 들 어온 것이다. 해당 사물이 그 자체의 공과에 따라서, 그리고 은혜가 아닌 신적 공의에 따라서 기울어지는 결과가 바로 그것의 본성적 경향이다. 이 것은 테일러 박사 자신의 말에도 분명히 내포되어 있는데, 테일러 박사 는 이렇게 말했다. “오직 하나님만이 그 자체로는 벌 받아 마땅한 인류의 불경과 불의를 용서할지 벌할지를 선언하실 수 있다.” 5) 신적 공의보다 사 물 그 자체의 실상에 부합하는 것이란 없다. 신적 공의는 공평한 저울로 무게를 단다. 신적 공의는 사물 자체의 본성 그대로를 보고 평가한다. 그 러므로 신적 공의에 의해서 멸망에로 기우는 경향이 있다고 평가된 것은 그 자체 본성 안에 그런 경향이 실제로 있음에 틀림없다. 따라서 다음을 유념해야 한다. 우리가 말하고 있는 것은 도덕적 부패이 고, 그러므로 우리가 이런 부패가 나쁜 결과나 결말로 기울어지는 경향 에 의해서 드러나는지 그렇지 않는지를 살필 때 고려해야 할 쟁점은 다 름 아닌 도덕적 경향이다. 도덕적 경향은 보응에 의해서 드러난다. 인간의 본성이 비참과 멸망의 보응이 마땅한 것에로 기울어지는 경향을 가질 때, 인간의 본성 또는 인간의 상태는 도덕적 의미에서 치명적인 또는 파괴적 인 경향을 동반한다고 말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것은, 인류의 본성이 실제 시행된 멸망의 보응에로 보편적으로 유효하게 기울어지든, 아니면
5) [ John Taylor, Key to the Apostolic Writings, with a Paraphrase and Notes on the Epistle
to the Romans (Dublin, 1746). 에드워즈는 테일러의 이 책을 Key , Notes on Romans , 또는 Pref. to Par. on Rom 과 같이 여러 가지로 지칭했다.], p. 187. 1. 인류의 죄악 된 실상에 드러나는 원죄의 증거 |
161
비참과 멸망이 마땅하고 파멸 아래 그대로 노출되는 것이 정당하지만 은 혜로 말미암아 치명적인 결과를 면한 것에로 기울어지든, 즉 실제 결과가 어떠하든 상관없이, 현 상태의 인류 본성이 도덕적으로 부패해있음을 증 명한다. 여기서 주시해야 할 것이 하나 더 있다. 원죄 교리 반대자들이 아담 죄 의 전가를 반대할 때, 그리고 사람들이 자신의 개인적 잘못으로 창조주 의 노를 사지 않고도 부패한 타락한 본성을 지닌 채 세상에 태어나도록 그렇게 정해짐에 대해서 반대할 때, 주로 주장하는 주제는 하나님의 공의 다. 그러나 만약 사람이, 그야말로 전적인 은혜의 개입과 막아섬이 없었다 면, 자신의 죄로 인해 초래되고 말 비참과 파멸로 기우는 경향을 지닌 채 태어나는 것이 가능하고 실제로 그렇게 태어난다면, 후자 ( 자신의 개인적 잘못 으로 창조주의 노를 사지 않고도 부패하고 타락한 본성을 지닌 채 세상에 태어나도록 정해짐 ) 는
하나님의 공의와 모순되지 않는다. 이것이 인정된다면, 공의로부터 원죄 교리를 반대하는 논증은 중단될 것이다. 왜냐하면 비참과 멸망을 당해야 할 책임이 공의에 의한 것이 아니라면, 비참과 멸망에서 구하는 신적인 은혜의 개입이 필요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은혜 없이 공의만 행사되어 도 충분했을 것이다. 공의에 대한 지금의 논쟁에서, 사람이 실제로 그리고 정당하게 뒤따르는 멸망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을 지닌 비참한 상태로 태 어나느냐와 은혜가 막지 않았다면 정당하게 그리고 실제로 뒤따랐을 마 땅한 멸망에로 기울어지는 경향을 지닌 상태로 태어나느냐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 왜냐하면 여기서의 쟁점은 은혜가 무엇을 할 것이냐가 아니 라 공의가 무엇을 할 수 있었느냐이기 때문이다. 내가 이 문제를 상술한 이유는 이것이 테일러 박사의 체계의 많은 추 론들과 결론들을 약화시키기 때문이다. 테일러 박사는 신적인 은혜로 말미암은 인류의 상태 ( 게다가 는 ) 로부터
테일러 박사 자신도 신적인 은혜로 말미암았다고 가정하
주장을 펼친다. 그러나 테일러 박사는 이를 조금도 인정하지 않
고, 인류가 타락으로 말미암아 처한 참담하고 파멸적인 상태에 대해서 상 162
| 조나단 에드워즈의 원죄론
반되는 결론을 도출해 낸다.6) 테일러 박사의 몇몇 주장과 결론의 타당성 6) [에드워즈는 테일러의 『원죄 교리 검토』를 지칭할 때, 그냥 쪽만 밝혀 지칭했다.] 테일러는 아담의 죄 때문에 아담의 후손들에게 죽음과 고통이 임했다고 자주 말했다. 테일러는 pp. 20~21과 다른 여러 곳에서, 아담 죄의 결과로 들어오는 죽음과 고통이 형벌이나 재앙으로가 아니라 유익으로 들어온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p. 23에서 테일러는 만약 부활이 없다면 죽음과 고 통이 큰 재앙과 비참일 것이라고 가정한다. p. 23과 뒤이은 쪽들, 그리고 다른 여러 곳에서 테일러 는 부활을 그리스도로 말미암는 것으로,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는 것으로 종 종 말한다. pp. 63~64. 테일러는 우리가 아담의 죄 때문에 슬픔, 수고, 죽음을 겪게 되었다고 말하는데, 이런 슬픔, 수고, 죽음을 그리스도 안에 있는 은혜를 통해서 역전되어 유익으로 바뀌는 악으로, 그리스 도 안에 있는 은혜를 통해서 해방되는 악으로 묘사한다. 그리고 pp. 65~67에서는, 하나님이 그리 스도 안에 있는 은혜를 통해서 이와 같이 죽음을 유익으로 바꾸시는 것을, 아담으로 말미암은 죽 음을 들어오게 하심에 있어 하나님의 공의를 입증하시는 것으로 말한다. pp. 152, 156. 테일러는 우리가 본질상 사탄의 노예고, 세상의 시작부터 지금까지 하나님은 사탄 으로부터 인류를 보존하고 구하기 위한 여러 수단과 방침을 제공해 오셨다는 [웨스트민스터 회의, 1645~1646년] 회의 신학자들의 주장에 반대했다. pp. 168, 169, 170. 테일러는 자신의 가르침과 반대되는 것으로 우리가 아담보다 열악한 처지에 있다는 주장에 맞서,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값없는 은혜를 통해 제공된 방편들로 인해 복된 상황에 있다고 주장한다. p. 228. 테일러는 자신의 가르침에 맞서는 논증으로서 사람은 날 때부터 부패한 존재임을 보여 주 는 논증, 즉 로마서 7장에 말씀된 대로, 우리 지체 속에 …… 우리로 하여금 죄와 사망의 법에 사로 잡히게 하는 다른 법이 존재함을 보여 주는 논증에 답하는 가운데 다음 사실을 인정하기도 한다. 테일러는 모든 죄에 대해 죽음으로 위협하는 율법(다른 곳에서 테일러는 율법이 우리에게 죄의 본래 지당한 죄과를 보여 주고, 율법은 영원한 진리 그리고 영원한 공의와 완전히 일치한다고 말 한다) 아래 있는 자들의 처지는, 만약 율법 제정자의 자비를 얻지 못한다면, 극히 비참함에 틀림없 다는 것을 인정한다. pp. 367~370. 인류가 아담의 죄로 말미암아 빠진 비참한 상태에 대한 일반적 주장에 반대해, 테일 러는 이렇게 주장한다. 하나님은 자기 아들의 순종과 의에 기초한 새롭고 복된 경륜을 추진하심으 로써 사랑의 고귀한 계획을 드러내 보이셨다. 이 새롭고 복된 경륜 안에서, 아담으로 말미암아 사 망에 종속된 우리에게 부활이 제공된다. 따라서 아담의 후손들은 은혜의 온화한 경륜 아래 있다. pp. 388, 389. 테일러는 처음 하나님이 아담을 “범하면 죽는다”는 엄한 율법 아래 두신 것(테일러 의 표현에 따르면, 이것은 아담의 행복을 지극히 위태로운 토대 위에 두신 것이다)에 있어, 하나님 은 완전히 다른 토대에 기초한, 즉 은혜에 기초한 언약을 곧이어 세우실 것을 진작 결정해 놓으셨 다고 말함으로써 아담을 다루시는 하나님 방식의 정당성을 옹호한다. pp. 398, 399. 하나님은 아담이 타락하자 아담을 버리셨고, 아담 타락 이후의 인류는 하나님의 총애 없이 태어난다는 R. R. [Isaac Watts, The Ruin and Recovery of Mankind in Collected
Works by David Jennings and Philip Doddridge, 1753]의 주장에 맞서, 테일러는 반론을 제 기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그리스도는 온 세상의 죄를 위한 화목제물이 되기 위해 오셨고 …… 하 나님이 넘치는 자비로서 마귀의 일을 멸하시는 구속자에 대한 약속을 주셨고, 하나님이 죄를 지어 타락한 피조물을 은혜의 팔로 붙잡고 계신다고 반박했다. 테일러는 로마서 5장 20절에 대한 자신의 주해[Taylor, Key ] p. 379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 다. “내 생각에, 율법은 현 상태의 연약한 인간 본성에 적합한 경륜이 아니다. 율법 외에 다른 구원 의 방법을 제공해 주지 않으신다는 것, 그래서 율법을 한 번 범하면 영원히 멸망받게 된다는 것은 하나님의 선하심과 맞지 않는 것 같다. 그렇다면 세상의 시작부터 대체 누가 구원될 수 있단 말인
1. 인류의 죄악 된 실상에 드러나는 원죄의 증거 |
163
은 다음 가정에 달려 있음에 틀림없다. 하나님의 은혜의 경륜은 단지 법 적인, 하나님의 이전 규정과 처리의 정정 또는 수정이라는 것. 마치 이전 의 법적 경륜은 그 자체만으론 부당하고 적어도 인류를 매우 가혹하게 다루는 방식이라는 인식이 내포되어 있기나 한 것처럼, 은혜의 경륜은 순 전히 법적인 경륜을 대체한다는 것. 그리고 은혜의 경륜은 인류가 전에 받은 해 ( 害 ) 또는 가혹한 대우에 대한 보상의 성격을 갖는다는 것. 따라 서 해와 보상, 법적인 유해한 경륜과 뒤이은 좋은 경륜 ( 테일러 박사가 은혜라고 일컫는 것 ),
그리고 이전 경륜의 부당함 또는 부적절한 엄함과 이후 경륜의
선함에 의한 이전 경륜의 정정, 이런 양자가 합쳐 하나의 의로운 경륜을 이룬다는 것이다. 독자들은 내가 신적 은혜의 개입이 사물 그 자체로서의 본성을 변경하 지 않는다고 말한 것에 대해서 명심해 주길 바란다. 따라서 내가 인류의 현 본성과 상태에 속한 이러저러한 악한 경향에 대해 말할 때 의미하는 것은, 하나님의 주권적이고 무한한 은혜가 제공해 준 치료를 조금도 전혀 고려하지 않은, 본래 그 자체의 경향이다. 이런 것들을 전제한 후에 이제 나는 인류의 상태에 대해 이렇게 말하 려고 한다. 모든 인류는 죄 때문에 하나님의 최종적인 저주와 진노의 대 상으로서, 완전하고 영원한 멸망을 초래하는 것에로 보편적으로 뛰어 들 어가는 결과를 어김없이 가져오는 그런 상태에 날 때부터 있다. 이 명제로부터, 인간 마음의 본래 상태는 앞서 언급한 그런 결과를 유 효하게 초래하는 본성의 경향을 수반한다는 것, 따라서 인간의 본성은 완전한 멸망을 내포하고 결국 완전한 멸망에 이르는 도덕적 부패로 부패 되어 있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가? 그러므로 내 생각엔, 율법은 낙원 같은 에덴동산의 아담에게조차 생명을 얻는 규칙으로 의도 된 것이 결코 아니었고, 하나님이 인류로 하여금 그 아래 머물도록 의도하신 경륜은 바로 은혜다. 그래서 하나님은 그리스도를 창세 전에 예정하셨다.” 테일러의 저술들 다른 여러 곳에 이와 유사 한 내용들이 나타난다.
164
| 조나단 에드워즈의 원죄론
먼저 나는 이 명제가 참인지 살펴볼 것이고, 그러고 나서 이 명제에서 도출한 결론들이 틀림없다는 것을 증명할 것이다. 이 명제와 이 명제에 서 도출된 결론들이 분명하고 확실하게 증명된다면, 사람이 본래 부패해 있다는 교리는 의문의 여지가 없고, 따라서 테일러 박사의 이론은 그릇 된 것임을 아무도 부인하지 못하리라고 나는 확신한다. 테일러 박사는 자 신의 『원죄 교리 검토』 대부분에서 본성의 부패 교리를 반대했다. 테일러 박사는 『원죄 교리 검토』 383쪽에서, 원죄 교리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부 패하고 죄악 된 본성이 아담의 후손에게로 전달되는 것이 주된 요점으로 서 증명되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위 명제에서 단언된 바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다음 두 가지만 밝혀지면 된다. 하나는 모든 인류가 어김없이 죄에 빠지는, 즉 죄를 보편적으로 범 하는 그런 상태로 세상에 태어난다는 사실, 또는 세상에서 도덕적 행위 자로 행하게 되는 이들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죄를 범한다는 사 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모든 죄는 하나님의 진노와 저주 아래 완전하고 영원한 멸망을 받아 마땅하고, 완전하고 영원한 멸망에 노출되어 있어서, 이런 결과를 막으시는 신적인 은혜의 개입이 없다면 완전한 멸망으로 끝 나고 말 것이라는 사실. 이 두 사실 모두 하나님의 말씀뿐 아니라 테일러 박사 자신의 가르침과도 부합한다는 것은 충분히 증명될 수 있다. 모든 사람이, 적어도 도덕적 행위자로 행할 수 있는 모든 이들이, 죄를 범한다는 것은 성경에서 가장 분명하고 매우 확실하게 밝혀지는 사실이 다. “범죄하지 아니하는 사람이 없사오니”( 왕상 8:46 ). “선을 행하고 전혀 죄 를 범하지 아니하는 의인은 세상에 없기 때문이로다”( 전 7:20 ). “진실로 내 가 이 일이 그런 줄을 알거니와 ( 즉, 바로 전에 빌닷이 말한 대로, 하나님은 순전한 사 람을 버리지 아니하신다 [ 욥 8:20 ], 등등 )
인생이 어찌 하나님 앞에 의로우랴 사람
이 하나님께 변론하기를 좋아할지라도 천 마디에 한 마디도 대답하지 못 하리라”( 욥 9:2~3 ). 같은 취지에서 “주의 종에게 심판을 행하지 마소서 주 의 눈앞에는 의로운 인생이 하나도 없나이다”( 시 143:2 ). 그래서 사도는 이 1. 인류의 죄악 된 실상에 드러나는 원죄의 증거 |
165
교회사 최고의 영적 거인
하나, 조나단 에드워즈를 한국 교회에 전문적, 체계적, 종합적으로 소개하는 것은 저의 꿈 가운데 하나 입니다. 조나단 에드워즈는 교회사가 배출한 인물 가운데 성경 지식과 성령 체험, 신학 이론과 생활 실천,
예일대 결정판 조나단 에드워즈 전집 목록
차가운 지성과 뜨거운 감정이 가장 탁월하게 균형 잡힌 인물이라 믿기 때문입니다. 또한 조나단 에드워즈
(The Works of Jonathan Edwards)
의 글들이 오늘 우리 시대의 솜털처럼 가벼운 신앙과 왜곡된 체험을 치유해 줄 수 있는 가장 좋은 치료약
조나단 에드워즈
이며, 건강하고 성숙한 내일의 한국 교회를 위한 가장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우리 영혼의 먹거리요 영적
(Jonathan Edwards 1703 ~ 1758)
건강식품이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청교도 신학의 완성자이자 부흥 신학과 현대 복음주의의 아버지로
신앙감정론
( Religious Affections )
의지의 자유
( Freedom of the Will )
구속사
( 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 )
둘, 조나단 에드워즈에 대한 여러 사람의 평가를 들어 보면 이러한 제 말이 결코 과장이 아님을 알 수 있
는 “청교도들을 알프스 산에 비유하고, 루터와 칼빈을 히말라야 산
원죄론
( Original Sin )
을 것입니다. 새뮤얼 데이비스는 “ 에드워즈는 미국이 배출한 가장 심오한 사상가이며 위대한 신학자 ” 라
에 비유한다면, 조나단 에드워즈는 에베레스트 산에 비유하고 싶은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생애
( The Life of David Brainerd )
고 생각하며, 페리 밀러는 “ 청교도주의는 프로테스탄티즘의 진수요, 조나단 에드워즈는 청교도주의의 정
사람”이라고 평한 바 있다. 『신앙감정론』, 『의지의 자유』, 『구속사』,
삼위일체, 은혜, 신앙론
( Writings on the Trinity, Grace, and Faith )
수 ” 라고 말합니다. 심지어 로이드 존스는 “ 청교도들을 알프스 산에 비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생애』, 『부흥론』 등 수많은 저서와 설교로
부흥론
( The Great Awakening )
유하고, 루터와 칼빈을 히말라야 산에 비유한다면, 조나단 에드
오늘날까지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일 대학교 출판부에서 에
윤리론
( Ethical Writings )
워즈는 에베레스트 산에 비유하고 싶은 사람 ” 이라고 극찬
교회론
( Ecclesiastical Writings )
합니다. 참으로 신학자, 목회자, 부흥사, 설교자, 선교사,
종말론
( Apocalyptic Writings )
철학자, 윤리학자, 심리학자, 사회학자, 역사학자 등
모형론
( Typological Writings )
의 천의 얼굴을 가진 조나단 에드워즈는 이 여러 분
과학 및 철학론
(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Writings )
성경주해
( Notes on Scripture )
여백성경
( The Blank Bible )
독서목록
( Catalogues of Reading )
자서전, 결심문, 일기, 편지
( Letters and Personal Writings )
신학묵상일기 1
( The “Miscellanies” a - 500 )
신학묵상일기 2
( The “Miscellanies” 501 - 832 )
신학묵상일기 3
( The “Miscellanies” 833 - 1152 )
신학묵상일기 4
( The “Miscellanies” 1153 - 1360 )
서 미국 교회가 배출한 최고의 신학자이며, 철학자다. 로이드 존스
원죄론
으로써 최근 에드워즈 연구에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T h e
야에서 모두 뛰어난 업적과 통찰력을 남긴, 8,000 미터 이상의 고봉을 14개나 가지고 있는 히말라
옮긴이 | 김찬영
o f
20세기 최고의 복음주의 설교자인 로이드 존스와 한 신학생이 나눈 대화를 소개해 주고 싶습니다. “ 앞으로
( Sermons and Discourses, 1720 - 1723 )
설교집 2
( Sermons and Discourses, 1723 - 1729 )
“ 조나단 에드워즈를 읽으십시오.” “ 다음에는 무엇을 할
설교집 3
( Sermons and Discourses, 1730 - 1733 )
까요? ” “ 조나단 에드워즈를 읽으십시오.” “ 그
설교집 4
( Sermons and Discourses, 1734 - 1738 )
러면 그 다음에는 무엇을 해야 합니까? ”
설교집 5
( Sermons and Discourses, 1739 - 1742 )
“ 조나단 에드워즈를 읽으십시오.”
설교집 6
( Sermons and Discourses, 1743 - 1758 )
J o n a t h a n
설교집 1
“
교회사 최고의 깊이 있는 신학과 체험을 보여 주는 조나단 에드워즈 전집 행진은
“
해마다 계속될 것입니다.
ISBN 978 - 89 - 6092 - 416 - 1 ISBN 89 - 88614 - 47 - X (전 27권)
E d w a r d s
백금산 목사의 발간사 중에서
VOLUME 4
게 하면 좋을까요? ” 라고 묻는 분들이 있다면 언젠가
업 ( M. Div.), 총신대학교 대학원 조직신학 전공 ( Th. M.), 현재 합동신
Original Sin
셋, “ 좋은 목회자, 좋은 성도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
경북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 ( B. 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졸
WORKS
W o r k s
야 산맥과 같은 인물입니다.
목회자가 되기 위해서 준비해야 할 것이 무엇입니까? ”
드워즈 결정판 전집을 발간 ( 1957년에 시작해 2008년에 완간됨 )함
WORKS Original Sin The
Works
of
Jonathan
조나단 에드워즈 전집 제4권
Edwards
학대학원대학교에서 조직신학으로 박사 과정을 이수하고 있다. 역서 로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해설』, 『칼빈과 복음주의 신학』, 『스위니 교수의 에드워즈 핵심 강의 시리즈 2~5』, 『한 권으로 읽는 워필드 신 학』 ( 이상 부흥과개혁사 ) 등 다수가 있다.
원죄론
클라이드 홀브룩 편집 | 김찬영 옮김
www.rnrbook.com 값 30,000원
www.designzip.co.kr 521 - 1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