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누가신학

Page 1


| 목차 |

추천사

6

헌정

9

세부 목차

10

시리즈 서문

22

저자 서문

24

약어

26

1부 서론적 주제

1장 자주 간과되는 누가 -행전의 중요성과 본 연구의 방향

31

2장 누가 - 행전의 문맥: 짧은 서론

37

3장 ‌ 누가 - 행전의 통일성의 근거, 그리고 두 책을 ‘누가 - 행전’으로,

67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으로 읽기

4장 누가 - 행전의 개요와 내러티브 분석

77

2부 주요 신학적 주제

5장 하나님의 계획, 활동, 성품: 내러티브 순서에 따른 분석

117

6장 약속, 성취, 구원의 하나님: 하나님의 계획에 대한 본문 종합

143

7장 주와 새 시대를 가져오는 자로서의 메시아 예수: 내러티브 순서

177

8장 메시아, 종, 선지자, 구원자, 인자, 주: 예수의 인격과 사역 종합

209

9장 ‌ 누가 - 행전에 나타난 성령: 약속을 위한 능력과 권능주심과

249

새 시대의 증인

10장 ‌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구원과 이를 생생하게 보여 주는 치유:

269

내러티브 순서

11장 누가 - 행전에 나타난 구원의 여러 차원들: 종합

283


12장 누가 - 행전에 나타난 이스라엘

329

13장 누가 - 행전에 나타난 이방인들과 “민족들”이라는 표현

343

14장 누가 - 행전에 나타난 교회와 길

357

15장 새 공동체에서의 제자도와 윤리

367

16장 예수에 ‌ 대한 분리된 반응: 누가 -행전에 나타난

393

사건들의 관찰자인 적대자들, 무리, 로마

17장 누가 - 행전에 등장하는 여자들, 가난한 자들, 그리고 사회적 차원들

405

18장 누가 - 행전의 율법

425

19장 누가 - 행전의 교회론

439

20장 누가 - 행전의 종말론, 심판, 미래에 대한 소망

461

21장 누가 - 행전의 구약 사용

481

3부 누가와 정경

22장 정경에서의 누가 - 행전

507

23장 결론

527

참고문헌

534


6

| 추천사 |

대럴 벅은 누가의 작품에 대해 평생 수고해서 얻은 열매를 한데 모았다. 그는 논쟁적인 이슈들 을 학문적으로 매우 꼼꼼하면서도 명쾌하고 간결하게 다루면서 누가의 신학을 광범위하게 설명 한다. 이 책은 학생들이 신약신학의 중심 분야에서 첫 번째로 방문해야 하는 놀랄 만한 성취다. I. 하워드 마셜, 애버딘 대학교 신약학 명예 교수

오늘날 누가 신학은 자주 간과되어 왔고, 학자들은 때때로 콘첼만의 연구와 같이 오래된 연구 의 부족한 점들을 단순히 재활용해 왔다. 누가의 신학적 접근과 주제들에 대한 벅의 탁월한 탐구 는 누가 신학에 있는 중요한 요구를 충족시켜 준다. 학자마다 이 주제 또는 저 주제에 좀 더 집중 하는 경향이 있지만, 누가의 주제들에 대한 벅의 접근은 일관되게 균형 잡혀 있고 누가 자신의 강 조점을 따라 진행된다. 크레이그 키너, 애즈베리 신학대학원 신약학 교수

대럴 벅은 이 주제에 30년 이상을 쏟아 부은 경력으로 누가 -행전을 안다. 그는 누가 -행전의 문 헌과 이슈들과 무엇이 정말 중요한지를 안다. 벅은 추상적으로 접근하지 않고 성경 본문, 누가 행전의 내러티브를 상세히 다루는 데 초점을 맞춘다. 그는 누가 -행전의 주요 주제들을 따라 접근 하며, 이 주제들의 발전 양상과 중요성이 무엇인지를 설득력 있게 설명한다. 그 결과로 신약의 주 요 저술인 누가 -행전에 관심이 있는 교회와 모든 사람을 위한 유용하고도 실제적인 안내자 역할 을 한다. 이것은 목회자들과 학생들과 교회 도서관이 ‘반드시 소장해야 하는’ 책이다. 클라인 스노드그래스, 노스파크 신학대학원 신약학 교수


7

복음주의 세계에서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에 대한 성경신학을 대럴 벅보다 더 수준 높게 쓸 수 있는 사람은 없다. 두 책에 대한 주요 주석서와 누가의 구약 기독론에 대한 단행본을 저술한 벅은 누가의 신학과 내러티브의 목적에 대한 풍부한 식견과 통찰력으로 연구를 수행한다. 하나님의 말 씀을 연구하는 학생들은 이 책보다 더 좋은 누가 -행전의 주요 주제에 대한 입문서를 찾을 수 없 을 것이다. 마크 L. 스트라우스, 베델 신학대학원 신약학 교수

누가의 저술 배후에 있는 성경의 세계와 사상을 다루는 이 책은 반드시 필요하며 광범위하면서 도 읽기가 쉽다. 이 책은 누가가 신학의 실가닥으로 수를 놓은 누가 -행전이라는 융단을 이해하기 를 원하는 학자들, 목회자들, 성경 공부 교사들에게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나는 성경을 진지하 게 연구하는 학생 모두에게 이 책을 적극적으로 추천한다. 벅은 누가의 두 걸작에 담긴 본래의 풍 성한 깊이로 우리에게 모든 것을 제공하며, 나는 상당히 중요한 주제를 이처럼 철두철미하고도 명확하게 다루는 것을 본 적이 없다. 그랜트 오즈번, 트리니티 복음주의신학교 신약학 교수

누가의 두 작품에 있는 신학을 광범위하고 탁월하게, 참으로 위엄 있게 다루는 이 책은 독자들 에게 신학의 모든 핵심적인 영역에 대해 간결하면서도 상세한 연구를 제공한다: 하나님의 사역과 성품,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과 인격, 성령의 사역, 구원, 이스라엘, 유대인과 이방인, 교회, 윤리, 반대와 핍박, 사회적 질문들, 율법, 구약 성경, 종말론. 학자들의 논쟁보다는 본문에 초점을 맞추 는 대럴 벅의 연구는 누가가 그의 독자들이 이해하기 원했던 것, 즉 이스라엘의 메시아이면서 세 상의 구원자인 예수를 통한, 그리고 예수 안에서 하나님의 약속들이 성취된 것에 대해 독자들이 배울 수 있게 해 준다. 에크하르트 슈나벨, 고든-콘웰 신학대학원 교수, ZECNT 시리즈 사도행전 저자


8

박사 학위 연구, 수많은 소논문, 여러 학술서, 자그마치 네 권의 단독 저술 주석서가 입증하듯 이,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을 수십 년 동안 연구해 온 세계 최고의 누가 학자 중 한 사람이 신약 성 경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고대 기독교 문헌의 신학에 대한 원숙미 넘치는 학문을 오늘 우리에게 제공한다. 학자들은 이 저자의 이름을 알지 못하고서는 누가 신학자라고 말할 수 없으며, 누가 신 학 분야를 연구하는 사람은 아무도 그와 소통하지 않고서는 연구를 시도할 수 없을 것이다. 50년 전에는 한스 콘첼만을 거론했다면, 누가 -행전 연구의 다음 몇십 년 동안은 대럴 벅을 거론할 것 이다. 더글라스 S. 후프만, 바이올라 대학교, 탈봇 신학대학원 성경과 신학과 교수 및 학과장

1970년대와 80년대에 누가 신학에 대한 열풍이 지난 이후,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에 있는 누가 신학의 주요 주제들을 상세하고 상당히 광범위하게 다룬 연구가 등장한 지가 한참이 되었다. 드 디어 따끈따끈하고 철두철미하고 복음주의적이며, 누가의 두 책에 있는 내용을 주로 내러티브 순 서에 따라 분석한 것을 보너스로 제공하는 책이 여기 나왔다. 벅은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을 개별 적으로 연구한 최근의 새로운 주석가로서 자신의 연주 목록에 추가한다. 이 책은 존더반 출판사 가 시작하는 BTNT 시리즈의 첫 번째 책인 안드레아스 쾨스텐베르거의 『요한신학』의 가치 있는 후속작이다. 크레이그 L. 블롬버그, 덴버 신학대학원 신약학 교수


9

| 헌정 |

마틴 헹엘에게 학문과 주를 향한 사랑의 결합을 보여 준 나의 멘토와 모본


| 세부 목차 |

시리즈 서문 저자 서문 약어

22 24 26

1부 서론적 주제

1장 자주 간과되는 누가 - 행전의 중요성과 본 연구의 방향

31

2장 누가 - 행전의 문맥 : 짧은 서론

37

2.1. 누가  -행전의 저자와 저작 시기

38

2.1.1. 사도행전의 저자

39

2.1.2. 사도행전의 저작 시기와 배경

45

2.2. 기록 장소

50

2.3. 누가  -행전 신학을 위한 저작 시기와 저작설의 중요성

50

2.4.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장르에 대한 이슈들

51

2.4.1. 역사가 누가와 그의 자료 사용

51

2.4.2. 누가복음의 장르

53

2.4.3. 사도행전의 장르

55

2.4.4. 역사철학과 사도행전에 대해

58

2.4.5. 사도행전에 나타난 설교들

61

2.5. 결론

64

3장 누가 - 행전의 통일성의 근거, 그리고 두 책을 ‘누가 - 행전’으로,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으로 읽기

67

3.1. 누가  -행전은 통일된 작품인가?

67

3.2. 누가  -행전의 통일성에 대한 반대 입장 평가

69

3.3. 누가  -행전을 단일체로 읽는 것에 대해

73

3.4. 우리의 연구를 위한 범주 선택

74


4장 누가 - 행전의 개요와 내러티브 분석

77

4.1. 누가복음의 개요

78

4.2. 사도행전의 개요

79

4.3. 누가  -행전의 내러티브 개관

81

4.3.1. I. 누가의 서문과 요한과 예수에 대한 소개 ( 눅 1:1~2:52 )

81

4.3.1.1. 서문: 누가는 이전 자료를 주의 깊게 살핀다 ( 눅 1:1~4 )

81

4.3.1.2. B. 탄생 내러티브: 선구자와 성취 ( 눅 1:5~2:40 )

82

4.3.1.3. C. 예수의 자기 이해에 대한 계시 ( 눅 2:41~52 )

83

4.3.2. II. 사역을 위한 준비 : 하나님의 기름부음을 받음 ( 눅 3:1~4:13 )

83

4.3.2.1. A. 세례 요한: 앞에 오는 자 ( 눅 3:1~20 )

83

4.3.2.2. B. 예수: 뒤에 오는 자 ( 눅 3:21~4:13 )

83

4.3.3. III. 갈릴리 사역 : 예수의 계시 ( 눅 4:14~9:50 )

84

4.3.3.1. 예수의 사역 개관 ( 눅 4:14~44 )

84

4.3.3.2. 제자들의 부름과 논쟁들 ( 눅 5:1~6:16 )

84

4.3.3.3. C. 예수의 가르침 ( 눅 6:17~49 )

85

4.3.3.4. D. 믿음을 향한 첫 번째 움직임들과 기독론적 질문들 ( 눅 7:1~8:3 )

85

4.3.3.5. E. 믿음으로의 부름, 기독론적 계시, 질문들 ( 눅 8:4~9:17 )

86

4.3.3.6. F. 기독론적 고백과 제자도에 대한 가르침 ( 눅 9:18~50 )

87

4.3.4. IV. 예루살렘 여행 : 유대인들의 배척과 새로운 길 ( 눅 9:51~19:44 )

87

4.3.4.1. A. 결단의 복: 특권, 선교, 헌신 ( 눅 9:51~10:24 )

88

4.3.4.2. B. 제자도: 이웃, 예수, 하나님을 보는 것 ( 눅 10:25~11:13 )

88

4.3.4.3. C. 논쟁, 교정, 믿음으로의 부르심 ( 눅 11:14~54 )

88

4.3.4.4. D. 제자도: 하나님을 신뢰하는 것 ( 눅 12:1~48 )

89

4.3.4.5. E. 시대의 본질을 아는 것: 이스라엘은 외면하지만, 복은 여전히 임한다

89

( 눅 12:49~14:24 )

4.3.4.6. F. 배척을 당할 때의 제자도: 기본적인 요소들 ( 눅 14:25~35 )

90

4.3.4.7. G. 죄인들을 찾으심: 천국의 실례들 ( 눅 15:1~32 )

90

4.3.4.8. H. 관대함: 돈과 소유를 다루는 것 ( 눅 16:1~31 )

90

4.3.4.9. I. 거짓 가르침, 용서, 섬김 ( 눅 17:1~10 )

91

4.3.4.10. J. 신실하게 왕, 하나님 나라, 하나님 나라의 완성을 추구함 ( 눅 17:11~18:8 )

91


4.3.4.11. K. 성부께 겸손히 모든 것을 맡김 ( 눅 18:9~30 )

91

4.3.4.12. L. 예루살렘을 향함: 메시아의 권능, 인격의 변화, 책임성을 묻는 경고,

92

슬픔으로 입성 ( 눅 18:31~19:44 )

4.3.5. V. 예루살렘: 죽임당하고 부활한 무죄한 자 ( 눅 19:45~24:53 )

93

4.3.5.1. A. 예루살렘에서의 논쟁 ( 눅 19:45~21:4 )

93

4.3.5.2. B. 예루살렘의 멸망과 종말 ( 눅 21:5~38 )

94

4.3.5.3. C. 배반과 고별 ( 눅 22:1~38 )

94

4.3.5.4. D. 예수의 체포, 재판, 죽음 ( 눅 22:39~23:56 )

94

4.3.5.5. E. 예수의 부활과 승천 ( 눅 24:1~53 )

95

4.3.6. I. 서론: 예수는 성부에게로 승천하시고 사명을 부여하신다 ( 행 1:1~11 )

96

4.3.6.1. A. 첫 번째 책의 요약과 승천 ( 행 1:1~5 )

96

4.3.6.2. B. 승천과 마지막 당부: 현재 제자들을 위한 약속과 재림의 약속 ( 1:6~11 )

96

4.3.7. II. 예루살렘의 초기 교회 ( 행 1:12~6:7 )

97

97

4.3.7.1. A. 공동체 생활: 하나님께 의존해서 유다를 대체하고 열둘을 다시 구성함  ( 행 1:12~26 )

4.3.7.2. B. 오순절: 그리스도는 새 시대의 성령을 주신다 ( 행 2:1~41 )

97

4.3.7.3. C. 요약: 공동체 생활 ( 행 2:42~47 )

97

4.3.7.4. D. 걷지 못하는 사람의 치유와 베드로와 요한의 체포 ( 행 3:1~4:31 )

98

4.3.7.5. E. 공동체 생활과 문제들 ( 행 4:32~5:11 )

98

4.3.7.6. F. 요약: 표적과 기사들 ( 행 5:12~16 )

99

4.3.7.7. G. 베드로와 요한에게 더해지는 핍박 ( 5:17~42 )

99

4.3.7.8. H. 공동체 생활: 헬라계 과부들을 돕기 위해 일곱을 임명 ( 행 6:1~6 )

99

4.3.7.9. I. 예루살렘 공동체의 요약 ( 행 6:7 )

100

4.3.8. III. 새 증인이 나오면서 예루살렘의 핍박은 복음 메시지가

100

유대와 사마리아로 이동하게 한다 ( 행 6:8~9:31 )

4.3.8.1. A. 체포, 설교, 스데반의 순교 ( 행 6:8~8:1a )

100

4.3.8.2. B. 핍박자 사울과 말씀의 확장 ( 행 8:1b~4 )

101

4.3.8.3. C. 사마리아의 빌립과 에디오피아 내시 ( 행 8:5~40 )

101

4.3.8.4. D. 사울의 회심과 초기의 수용 ( 행 9:1~30 )

101

4.3.8.5. E. 결론적 요약 ( 행 9:31 )

102

4.3.9. IV. 이방인에게 전해지는 복음과 예루살렘에서 계속되는 핍박

102


( 행 9:32~12:25 )

4.3.9.1. A. 베드로가 룻다와 욥바에서 두 가지 기적을 행한다 ( 행 9:32~43 )

102

4.3.9.2. B. 베드로와 고넬료: 이방인에게 전해지는 복음 ( 행 10:1~11:18 )

102

4.3.9.3. C. 안디옥 교회: 바나바, 사울, 아가보 ( 행 11:19~30 )

103

4.3.9.4. D. 예루살렘의 핍박 ( 행 12:1~23 )

103

4.3.9.5. E. 요약 ( 행 12:24~25 )

104

4.3.10. V. 안디옥에서 시작한 선교와 전적인 이방인 수용 ( 행 13:1~15:35 )

104

4.3.10.1. A. 1차 선교 여행 ( 행 13:1~14:28 )

104

4.3.10.2. B. 예루살렘 총회 ( 행 15:1~35 )

105

4.3.11. VI. 2차와 3차 선교 여행 ( 행 15:36~21:16 )

106

4.3.11.1. A. 두 번째 선교 여행 ( 행 15:36~18:23 )

106

4.3.11.2. B. 3차 선교여행, 예루살렘에서 마침 ( 행 18:24~21:16 )

107

4.3.12. VII. 체포: 복음의 메시지는 변호를 받고 로마에 이른다 ( 행 21:17~28:31 )

108

4.3.12.1. A. 예루살렘에서 ( 행 21:17~23:35 )

108

4.3.12.2. B. 가이사랴에서 ( 행 24:1~26:32 )

110

4.3.12.3. C. 로마로 가는 긴 바다 여행 ( 행 27:1~28:16 )

111

4.3.12.4. D. 로마에 있는 방문자들: 전파된 복음 ( 행 28:17~31 )

112

4.4. 결론

113

2부 주요 신학적 주제

5장 하나님의 계획, 활동, 성품 : 내러티브 순서에 따른 분석

117

5.1. 탄생기사에 나타난 하나님

118

5.2. 세례 요한의 사역에 대한 누가의 묘사에 나타난 하나님

122

5.3. 예수의 사역에 나타난 하나님

123

5.4. 사도행전에 나타난 하나님

128

5.5. 결론

141

143

6장 약속, 성취, 구원의 하나님 : 하나님의 계획에 대한 본문 종합


6.1. 하나님의 구원 계획: 계획과 관심의 하나님

145

6.2. 계획을 이끌어 가시는 하나님

150

6.3. 약속과 성취: 일반적 의미

152

6.4. 히브리 성경의 성취: 구체적 의미

154

6.5. 계획의 실행을 나타내는 주제들

158

6.5.1. “오늘”이 들어가 있는 단락들

159

6.5.2. 세례 요한

159

6.5.3. 예수의 사명

160

6.5.4. 지리적 진전

161

6.5.5. “마땅하다”

165

6.5.6. 하나님 나라

165

6.5.7. 성령

168

6.5.8. 새 공동체의 윤리

171

6.5.9.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직접적인 개입

173

6.6. 결론

174

7장 주와 새 시대를 가져오는 자로서의 메시아 예수 : 내러티브 순서

177

7.1. 탄생기사의 서곡 : 보냄받은 메시아 - 주를 소개

178

7.2. 누가복음의 본론 : 권위의 행사와 새 시대의 도래

189

7.3. 사도행전의 묘사 : 선포와 행위에 나타난 주 메시아

200

7.4. 결론

207

8장 메시아, 종, 선지자, 구원자, 인자, 주 : 예수의 인격과 사역 종합

209

8.1.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 메시아 - 종 - 선지자에서 주까지

209

8.2. 누가  -행전에 나타난 예수의 칭호들

218

8.2.1. 구주

218

8.2.2. 그리스도

219

8.2.3. 다윗의 아들

221


8.2.4. 하나님의 아들과 왕

222

8.2.5. 선지자

224

8.2.6. 인자

228

8.2.7. 주

232

8.2.8. 종

234

8.2.9. 드물게 사용된 칭호들

235

8.3. 예수의 사역: 구원과 새 시대의 기틀을 마련함

237

8.3.1. 지상 사역

237

8.3.2. 십자가

239

8.3.3. 부활 - 승천

241

8.3.4. 예수의 두 단계 나라 통치

241

8.4. 결론

246

9장 누가 - 행전에 나타난 성령 : 약속을 위한 능력과 권능주심과 새 시대의 증인

249

9.1. 탄생기사에 나타난 성령

250

9.2. 누가복음 본론에 묘사된 성령

251

9.3. 사도행전에 나타난 성령

259

9.4. 성령과 권능

265

9.5. 결론

265

10장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구원과 이를 생생하게 보여 주는 치유 : 내러티브 순서

269

10.1. 탄생기사에 나타난 구원

270

10.2. 누가복음 전체에 나타난 구원

272

10.3. 사도행전에 나타난 구원

276

10.4. 결론

281

283

11장 누가 -행전에 나타난 구원의 여러 차원들 : 종합


11.1. 좋은 소식을 선포하는 행위

284

11.1.1. 복음

284

11.1.2. 설교

288

11.1.3. 가르침

289

11.2. 구원의 범위

290

11.2.1. 유대인과 이방인을 위한 약속

290

11.2.2. 가난한 자, 죄인, 버림받은 자에게

293

11.3. 메시지의 진정성

294

11.3.1. 진정성의 세 단계

294

11.3.2. 예수와 제자들의 기적들

296

11.3.3. 구원의 사역 : 십자가와 예수의 부활 - 승천

299

11.4. 구원의 객관적인 측면

303

11.4.1. 구원에 사용되는 단어들

303

11.4.2. 긍휼과 심판

309

11.5. 구원의 주관적인 측면

309

11.5.1. 회개

309

11.5.2. 돌이킴

313

11.5.3. 믿음

315

11.6. 구원의 혜택들

317

11.6.1. 죄 용서

317

11.6.2. 생명

317

11.6.3. 선물

320

11.6.4. 평화

320

11.6.5. 은혜

320

11.6.6. 의롭다 하다

321

11.7. 구원론의 다른 핵심 내용

322

11.7.1. 구원과 약속의 메시지

322

11.7.2. 율법

323


11.8. 결론

326

12장 누가 - 행전에 나타난 이스라엘

329

12.1. 탄생기사에 나타난 이스라엘

330

12.2. 누가복음의 본론에 나타난 이스라엘

333

12.3. 사도행전에 나타난 이스라엘

337

12.4. 결론

341

13장 누가 - 행전에 나타난 이방인들과 “민족들”이라는 표현

343

13.1. 누가복음에 나타난 이방인들과 민족들

344

13.2. 사도행전에 나타난 이방인들과 민족들

350

13.3. 결론

354

14장 누가 - 행전에 나타난 교회와 길

357

14.1. 누가복음에 나타난 주제인 “길”

358

14.2. 사도행전에 나타난 교회, 길, 그리고 그리스도인들

360

14.3. 결론

365

15장 새 공동체에서의 제자도와 윤리

367

15.1. 예수를 따르는 자들인 새 공동체와 활동

368

15.1.1. 새 공동체의 활동

368

15.1.2. 새 공동체의 기능들

370

15.1.3. 공동체 구성원들에 대한 묘사

371

15.2. 누가  -  행전의 제자들

372

15.3. 새 공동체의 윤리

381

15.3.1. 전적인 헌신

381

15.3.2.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

382

15.3.3. 기도

383


15.3.4. 고난 중에서 인내함

384

15.3.5. 깨어있음, 인내, 담대함

384

15.3.6. 믿음과 의존

386

15.3.7. 기쁨과 찬송

386

15.3.8. 증언과 증인

386

15.3.9. 부와 소유

387

15.3.10. 제자도를 방해하는 것

388

15.3.11. 잃어버린 자들에 대한 헌신

389

15.4. 누가와 제국

390

15.5. 결론

391

16장 예수에 대한 분리된 반응 : 누가 - 행전에 나타난 사건들의 관찰자인 적대자들, 무리, 로마

393

16.1. 예수에 대한 유대인들의 공식적인 반발

394

16.1.1. 누가  - 행전에 등장하는 유대인 그룹

394

16.1.2. 유대교 종파들에 대한 결론

396

16.2. 무리와 큰 무리

397

16.2.1. 누가복음의 무리와 큰 무리

397

16.2.2. 사도행전의 무리

400

16.3. 사도행전에서 사건의 관찰자인 로마의 역할

401

16.4. 결론

403

17장 ‌ 누가 - 행전에 등장하는 여자들, 가난한 자들, 그리고 사회적 차원들

405

17.1. 누가복음의 여자들

407

17.1.1. 탄생 내러티브에 등장하는 여자들

407

17.1.2. 예수의 갈릴리 사역에 등장하는 중요한 여자들

408

17.1.3. 예루살렘 여행 단락에 등장하는 여자들

409

17.1.4. 수난 주간에 등장하는 여자들

412

17.2. 사도행전에 등장하는 여자들

413


17.2.1. 사도행전 1~2장에 등장하는 여자들

413

17.2.2. 사도행전 13~28장에 등장하는 여자들

415

17.3. 누가  -행전에 등장하는 가난한 자들

416

17.4. 다른 그룹들 : 못 걷는 사람과 맹인

421

17.5. 결론 : 누가  -행전의 사회적 차원

422

18장 누가 - 행전의 율법

425

18.1. 누가복음의 율법

427

18.2. 사도행전의 율법

432

18.3. 결론

437

19장 누가 - 행전의 교회론

439

19.1. 교회 : 오래되고 새로운 것

440

19.2. 교회는 구별된다

440

19.3. 새 일: 성령이 내주하시는 공동체로서의 교회

441

19.4. 교회와 예수의 역할

443

19.5. 사도들과 교회

444

19.6. 이스라엘과 교회

445

19.7. 초기 교회의 핵심 인물들

450

19.7.1. 베드로

450

19.7.2. 스데반

452

19.7.3. 빌립

453

19.7.4. 바나바

453

19.7.5. 야고보

453

19.7.6. 바울

454

19.8. 교회의 구조, 활동, 예배

457

19.9. 결론

458


20장 ‌ 누가 - 행전의 종말론, 심판, 미래에 대한 소망

461

20.1. 누가 종말론의 기본 구조 : 하나님 나라가 성취된다

462

20.1.1. 성취 시대의 두 가지 구조 : 이미 -그러나 아직

462

20.1.2. 완성의 때

466

20.2. 종말론과 책임성: 신실함에 이르는 동기

468

20.3. 메시아의 방문과 사탄과의 전투

471

20.4. 임박과 지연 사이의 긴장

472

20.5. 예루살렘의 멸망과 종말 : 종말의 모형론

474

20.6. 소망

477

20.7. 개인적 종말론

478

20.8. 결론

479

21장 누가 - 행전의 구약 사용

481

21.1. 해석학적 원리들의 정의

483

21.2. 원리 1  : 하나님의 계획과 실현된 새 시대

484

21.3. 원리 2  : 중심인 그리스도

486

21.4. 원리 3 : 신적인 사건과 당시의 중요한 논의에 대한 해석자로서의

486

구약 성경 : 누가   -  행전에 나타난 약속  -  성취에 대한 변호 21.5. 누가   -  행전에 사용된 구약의 다섯 가지 중심 주제들

489

21.5.1. 언약과 약속

489

21.5.2. 기독론

493

21.5.3. 공동체 선교, 공동체 인도, 윤리적 방향

495

21.5.4. 이방인 선교

498

21.5.5. 이스라엘을 향한 경고

499

21.6. 결론

503


3부 누가와 정경

22장 정경에서의 누가 - 행전

507

22.1.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정경 내 수용

508

22.2. 누가가 정경에 기여하는 점

510

22.2.1. 하나님, 예수, 성령과 관련된 기여점들

510

22.2.2. 교회의 활동과 관련된 기여점

515

22.3. 신약의 다른 부분과 누가의 유사성

516

22.3.1. 공관복음서와의 유사성

516

22.3.2. 요한복음과의 유사성

518

22.3.3. 바울과의 유사성

519

22.3.4. 공동서신과의 유사성

521

22.3.5. 요한계시록, 베드로후서, 유다서와의 유사성

521

22.4. 마지막 이슈: 누가  -행전은 얼마나 규범적인가?

522

22.5. 결론

524

23장 결론

527

23.1. 누가 신학에 대한 여섯 가지 핵심 주제들

528

23.1.1. 하나님의 방향, 구원사, 약속의 연속성, 선교

528

23.1.2. 이스라엘의 이야기는 열방을 포함하며 반유대적이지 않다

528

23.1.3. 새 시대의 표적인 성령

529

23.1.4. 구원과 예수의 사역과 연결된 정체성

529

23.1.5. 새 시대와 삼위일체의 이야기 속에 있는 구조

530

23.1.6. 예언에서 실현된 약속과 패턴

531

23.2. 결론  : 구원하시고 화해시키시는 권능의 하나님

531

참고문헌 534


│ 시리즈 서문 │

신약성경신학 시리즈 ( BTNT )는 신약 전체를 망라하는 여덟 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권은 주어 진 신약 저작 한 권이나 여러 권을 신약신학의 맥락에서,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성경 전체의 맥락 에서 깊이 있게 탐구한다. 시리즈 각 권마다 연구하는 문서에 맞는 접근법을 필요로 하지만, 모든 책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 1 ) 최근의 학문 및 연구 동향 개관 ( 2 ) 관련된 서론적인 쟁점들에 대한 논의 ( 3 ) 문서의 내러티브 흐름에 따른 주제 해설 ( 4 ) 중요한 개별 주제들에 대한 논의 ( 5 ) 특정 문서와 신약 및 성경의 나머지 책들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 성경신학이 비교적 새로운 학문 분야인 데다 의심스러운 가설들과 확실치 않은 방법론이나 결 함 있는 실행으로 인해 자주 방해받아 왔지만, 성경신학 분야는 오늘날 성경 및 신학 연구에서 가 장 유망한 길 가운데 하나다. 본질적으로 성경신학은 성경 본문 연구에 관여하는 한편 주어진 문 서가 기원한 역사적 배경을 면밀하게 고찰한다. 성경신학은 그리스도의 오심과 구원 사역을 중심 으로 하는 하나님의 구속사 계획의 연속선상에서 성경 각 문서가 기여하는 바를 찾아내며 설명하 려고 애쓴다. 또한 내러티브든지 강화든지 다른 문학 형태든지 주어진 문서에 대한 신학적 탐구 의 기초를 각 본문을 면밀하게 읽는 데 두려고 노력한다. 신약성경신학 시리즈는 신약 문서에 대한 다양하면서도 보완적인 견해들을 깊이 있게 연구함 으로 서로 관련된 성경의 중요한 주제들을 전체적으로, 문맥을 중시하면서, 영적으로 유익이 되 도록 연구하는 일에 중대한 공헌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각 권은 해당 문서에 대한 중요 한 주석이나 논문을 쓴 학자가 집필하며, 깊이 있는 연구를 위해 충분한 지면을 할애한다. 학문 배경이나 소속 기관이 다양하지만 필자들은 동일하게 복음주의 신앙에 헌신하며 성경의 권위를 존중한다. 또한 성경 정경이 모순 없이 궁극적인 통일성을 지녔다는 공통된 확신을 갖고 있다.

22


시리즈 서문

또한 이 시리즈는 신약의 개별 문서에 대한 연구 및 신약과 궁극적으로 성경 전체에 대한 연구 에 기여할 뿐 아니라, 성경신학이 어떻게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보여줌으로 방법론 면에도 기여하 려고 노력한다. 각 권의 구상 방식은 주어진 문서의 일부나 전체의 특성에 대한 면밀한 고찰을 반 영한다. 이른바 ‘공관복음’이라고 부르는 세 권 사이의 복잡한 상호 관계, 누가 -행전의 2부작으로 서의 특성, 요한복음과 요한 서신, 요한계시록과의 관계, 바울의 저작인 열세 편지, 베드로서와 야 고보서와 유다서, 히브리서의 신학 등 각 권은 특유의 도전과 기회를 제공한다. 끝으로 아래에 인용된 케어드 ( G. B. Caird )의 말처럼 각 권이 성경에 담긴 하나님의 계시의 다면 적인 특성에 찬사를 보내게 되기를 바란다. 우리가 물어야 할 질문은 이 책들 모두가 같은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여부가 아니라 모든 책이 같은 예수를 증언하는지 그리고 예수를 통해 한 하나님의 다양하고 찬란한 지혜를 증 언하는지 여부다……우리는 우리의 모든 증인을 하나의 틀에 집어넣으려 하지 말아야 하 며, 한 사람을 다른 사람과 비교해 볼 때 어떤 면에서 결함이 있어 보인다고 트집을 잡으며 불평하지도 말아야 한다. 우리가 할 일은 하나님이 수많은 증인 개개인의 입을 통해 자신의 복음을 확증하기로 결정하셨음을 기뻐하는 것이다. 신약 합창단의 악곡은 제창으로 부르도 록 쓴 것이 아니다. 1 )

이런 마음으로 필자들은 하나님의 웅장한 성경 교향곡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겸 허하게 자신들의 저작을 기고한다. 시리즈 편집자 안드레아스 쾨스텐베르거 노스캐롤라이나 웨이크 포리스트에서.

1 ) G. B. Caird, New Testament Theology, compl. and ed. L. D. Hurst(Oxford: Clarendon, 1995), p.24

23


│ 저자 서문 │

안드레아스 쾨스텐베르거의 친절한 초대로 나는 누가 -행전에 대한 성경신학을 집필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고, 지난 30년 이상 즐거운 마음으로 연구한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을 연결하게 됐다. 쾨스텐베르거는 이 연구를 내게 의뢰했으며, 나는 그의 연구와 나에 대한 신뢰에 감사한다. 또한 연구하는 내내 알찬 조언으로 도와준 쾨스텐베르거의 수고에 감사한다. 그는 자신의 임무를 잘 수행했다. 애버딘 대학교에서 나는 누가 -행전의 기독론을 위한 구약 사용에 대한 주제로 박사학위 논문 을 썼다. 또한 나는 다양한 수준의 누가복음 주석들을, 한 권의 사도행전 주석을 출판했다. 어떤 면에서는 매 십년마다 나는 새로운 누가 -행전 책을 쓴 셈이다. 나는 누가 -행전의 풍성함을 분석 하고 두 책의 교훈에 담긴 심오함을 보여 주는 새로운 내용들을 찾아내는 작업 때문에 지친 적이 없다. 본 책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나는 이 책을 계기로 이전에 여러 책들을 통해 말했던 내용 들을 한 곳에 모을 수 있게 됐다. 나는 이 연구가 다른 사람들에게 유익을 주고, 그들은 내가 교회 의 신학을 위해 왜 누가 -행전을 무척 중요하게 생각하는지를 엿볼 수 있기를 소망한다. 내가 이 책에 담은 연구는 많은 곳에서, 그리고 달라스 신학대학원과 탈봇 신학대학원의 여러 강의에서 누가 -행전을 가르친 기간에 이뤄진 수많은 대화를 통해 얻은 것이다. 학생들과 그들의 질문은 종종 교수에게 풍성한 배움의 기회를 제공한다. 내가 바로 이것을 경험한 사람이다. 단 한 권의 책만으로는 결코 수많은 사람에게 헌정할 수 없다. 다만 지난 30년 이상 내게 배운 학생들에 게 깊은 감사를 표할 뿐이다. 여러분 덕분에 나의 강의는 내게 기쁨과 배움의 기회가 됐고, 교육 이 지향하는 바가 바로 이것이다. 또한 나는 이 연구를 마칠 수 있도록 안식 기간을 허락해 준 달라스 신학대학원의 행정 당국에 감사를 표한다. 또한 이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해 준 독일의 훔볼트 재단에 감사한 다. 나를 초청해 준 독일의 튀빙겐 대학교에, 초청 교수 담당자인 헤르만 리히텐베르거에게, 튀빙 겐에서 1년 동안 머물면서 충전할 수 있게 도와 준 것에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내가 말하려고 한 것을 좀 더 적절하게 다듬어 준 존더반 출판사의 유능한 편집팀에게 감사를 표하고 싶다. 내게 엄청나게 영향을 끼쳤고, 나와 아내 샐리가 튀빙겐에서 모두 네 번의 안식년을 보낸 동안

24


저자 서문

튀빙겐이 우리에게 제2의 고향처럼 느끼게 만들어 준 사람들에게 이 책을 헌정한다. 마틴 헹엘은 몇 년 전에 돌아가셨지만, 그는 기독교 신앙의 진리를 추구하고 연구하는 것이 위대한 부르심이 라고 말해 준 모범적인 멘토로서 그의 음성과 격려는 여전히 나와 함께 살아 움직인다. 나는 신학 과 교회의 상황에 대해 그와 함께 나눈 수많은 대화를 기억한다. 네카르 강이 보이는 그의 가정에 서 주고받았던 우리의 대화는 은혜로웠다. 주의 깊은 연구에서 물러서지 않고, 어떤 학문적 상황 에서 자주 유행하는 도전적인 주장들에서 물러서지 않기를 원했던 마틴 헹엘의 열망은 내 마음속 에 항상 머물러 있다. 그래서 나는 이 연구를 마틴 헹엘에게 헌정한다. 나는 집필에 몰두할 수 있도록 기꺼이 고향 문화의 평안함을 벗어나 다른 문화와 언어를 경험 한 아내 샐리의 헌신에 특별히 감사한다. 샐리의 사랑과 인내는 하나님이 주신 선물이다. 대럴 L. 벅 독일 튀빙겐에서 2011년 5월 16일

25


│ 약어 │

성경의 목록에 대한 약어, 위경, 랍비 문헌, 파피루스, 고전적 저술 등은 이미 SBL의 서식 매뉴 얼을 따라 참고할 수 있으며, 그 밖의 것들은 다음과 같다. AB Anchor Bible ABD Anchor Bible Dictionary ABRL Anchor Bible Reference Library AnBib Analecta biblica ANTC Abingdon New Testament Commentaries BAGD ‌ W. Bauer, W. F. Arndt, F. W. Gingrich (2nd ed.; and F. W. Danker),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BBR Bulletin of Biblical Research BDF F. ‌ Blass, A. Debrunner, and R. W. Funk, A Greek Grammar of the New Testament BDAG W. Bauer, F. W. Danker (ed., 3rd ed.),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BECNT Baker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BETL Bibliotheca ephemeridum theologicarum lovaniensium Bib Biblica BibSac Bibliotheca sacra BR Biblical Research BZNW Beiheft zur Zeitschrift für die neutestamentliche Wissenschaft CBQ Catholic Biblical Quarterly CurTM Currents in Theology and Mission Eccl. Hist. Ecclesiastical History EDNT H. Balz and G. Schneider (eds.), Exeget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KKNT Evangelisch-katholischer Kommentar zum Neuen Testament GNS Good News Studies HCSB Holman Christian Standard Bible HTKNT Herders theologischer Kommentar zum Neuen Testament HTR Harvard Theological Review ICC International Critical Commentary IVPNTC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JETS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JPTSup Journal for Pentecostal Theology Supplement JSNT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26


약어 JSNTSup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Supplement JSOTSup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Supplement KJV King James Version LXX Septuagint NAC New American Commentary NCBC New Century Bible Commentary NEB New English Bible NET New English Translation NICNT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NIGTC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NLT New Living Translation NovTSup Novum Testamentum Supplement NRSV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NTD Das Neue Testament Deutsch NTL New Testament Library NTS New Testament Studies REB Rheims English Bible RB Revue biblique RevExp Review and Expositor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SacPag Sacra Pagina SBLDS SBL Dissertation Series SBLMS SBL Monograph Series SBT Studies in Biblical Theology SNTSMS Society for New Testament Studies Monograph Series SNTSU Studien zum Neuen Testament und seiner Umwelt Str-B H. Strack and P. Billerbeck, Kommentar zum Neuen Testamentaus Talmud und Midrasch SwJT Southwestern Journal of Theology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EV Today’s English Version THKNT Theologischer Handkommentar zum Neuen Testament TNTC Tyndale New Testament Commentaries TUGAL Texte und Untersuchungen zur Geschichte der altchristlichen Literatur TynBul Tyndale Bulletin WBC Word Biblical Commentary WMANT Wissenschaftliche Monographien zum Alten und Neuen Testament WUNT Wissenschaftliche Untersuchungen zum Neuen Testament WW Word & World

27


28


29

Part

1

서론적 주제



자주 간과되는 누가 -행전의 중요성과 본 연구의 방향

Chapter

1

참고문헌 Barrett, C. K. Luke the Historian in Recent Study. London: Epworth, 1961. Bovon, F. Luke the Theologian. 2nd ed. Waco TX: Baylor University Press, 2006. Idem. “Studies in Luke-Acts: Retrospect and Prospect.” HTR 85 (1992): 175 – 96. Fitzmyer, J. A. Luke the Theologian: Aspects of His Teaching. New York: Paulist, 1989. Gasque, W. A History of the Criticism of the Acts of the Apostles. Tübingen: Mohr/Siebeck, 1975. Gregory, A. F. The Reception of Luke and Acts in the Period before Irenaeus: Looking for Luke in the Second Century. WUNT. Tübingen: Mohr/ Siebeck, 2003. Hengel, Martin. Acts and the History of Earliest Christianity. London: SCM, 1979. Johnson, L. T. “Luke-Acts, Book of.” ABD, 4:404 – 20. Kurz, W. S. Reading Luke-Acts: Dynamics of Biblical Narrative.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1993. Marshall, I. Howard. Luke: Historian and Theologian. 3rd ed. Exeter: Paternoster, 1993. Mills, W. E., and A. J. Mattill. A Bibliography of the Periodical Literature on the Acts of the Apostles (1962 – 1984). Leiden: Brill, 1986. Rowe, C. Kavin. “History, Hermeneutics and the Unity of Luke-Acts.” JSNT 28 (2005): 131 – 57. Idem. “Literary Unity and Reception History: Reading Luke-Acts as Luke and Acts.” JSNT 29 (2007): 449 – 57. Talbert, C. H. “Shifting Sands: The Recent Study of the Gospel of Luke.” Pp. 197 – 213 in Interpreting the Gospels. Ed. J. L. Mays. Philadelphia: Fortress, 1981. 누가 -행전의 성경 자료는 신약 성경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면서도 가장 등한시된 부분 일 것이다. 신약의 7,947절 가운데 누가 -행전은 2,157절로 27퍼센트를 차지한다. 이에 비해서

31


32

1부 서론적 주제

바울 서신은 모두 2,032절이며 요한 문헌은 1,407절이다. 1 ) 또한 누가 -행전만 탄생부터 시작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이야기와 교회의 시작과 바울의 사역을 언급한다. 이와 같은 연결 고리는 이 사 건들의 순서에 대한 관점을 보여 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많은 그리스도인이 마태복음과 사도행전 을 함께 다룬다. 왜냐하면 마태복음은 정경적으로 첫 번째 복음서이고 사도행전은 사도적 교회의 역사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누가가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을 저술했기 때문에 정경적 고리 는 ‘마태-행전’이 아니라 ‘누가 -행전’이다. 따라서 성경적으로 생각한다면, 누가복음과 사도행전 을 함께 다루고, 누가복음의 시각으로 사도행전의 이야기를 말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다면 왜 누가복음과 사도행전, 특별히 두 책을 한 묶음으로 읽는 것이 등한시됐을까? 첫째, 예수를 논의할 때 누가복음은 다른 복음서에 비해 관심을 덜 받았기 때문이다. 누가복음은 공관 복음서에서 언제나 세 번째 위치를 차지했다. 초대 교회에서, 마태복음은 처음에 나오는 복음서 로 이해했고, 사도적 기원을 갖고 있으며 첫 번째로 기록된 복음서로 받아들여졌다. 지난 두 세기 동안에는 마가복음이 마태복음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했다. 최근 예수 연구에서 첫 번째로 기록된 복음서로 이해되기 때문에 마가복음은 주목을 받고 있다. 마가복음의 개요는 예수, 특별히 역사 적 예수 논의의 렌즈 역할을 한다. 요한복음은 언제나 ‘영적인’ 복음서로서 최상의 위치에 있다. ‘영적인’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 2세기 )로 거슬러 올라가는 표현이다. 2 ) 반면 누가복음은 관심 을 받지 못했다. 둘째, 정경은 복음서와 초기 교회의 역사를 구분했기 때문에 사도행전은 누가복음과 분리됐다. 정경은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을 나눴고 사람들은 두 책을 따로 떨어진 작품으로 읽어 왔다. 이로 인해 독자들은 두 책을 연결하지 않으며 두 책이 함께 들려주는 신학적 이야기를 놓쳐 버리고 만 다. 누가복음은 다른 복음서와 함께 묶였고, 사도행전은 초기 교회의 이야기를 전해 주는 별개의 장르로 배치됐다. 예수와 초기 공동체의 출발 사이에 있는 연속성은 혼잡함 속에 묻혀 버렸다. 누가 -행전을 탐구하는 우리의 목표는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을 다시 연결하는 것이며, 예수가 시작한 공동체의 이야기를 이해하지 않고서는 예수를 알 수 없는, 누가의 신학적 이야기를 말하 는 것이다. 누가의 신학에서 주연은 하나님 자신이다. 하나님의 계획이 바로 예수가 실행하는 것 이다. 예수가 성취한 것은 하나님의 계획, 오래 전에 계시됐고 이제 실현된 하나님의 약속이다. 누가 신학의 중심은 하나님과, 하나님의 약속을 성취하도록 보냄받으신 예수를 연결하는 것이다.

1 ) Kurt and Barbara Aland,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trans. Erroll R. Rhoads; Grand Rapids: Eerdmans, 1987), p. 29. 비교 하기에는 투박한 방법이긴 하지만 분량을 비교해 보자. 두 번째로 긴 복음서인 마태복음은 네슬-알란트 본문에서 87페이지, 마가복 음은 60페이지, 요한복음은 73페이지인 반면, 누가복음은 96페이 지다. 사도행전은 88페이지 길이다.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을 합친 누가의 자료는 총 184페이지가 된다. 바울의 서신들은 153페이지 를 차지한다.

2 ) 이 표현은 유세비우스(Eusebius, Eccl. Hist. 6.14.7)가 기록한 것 으로, 그는 이 표현을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AD 150~211)가 Hypotyposes에서 사용했다고 본다. 유세비우스는 클레멘스와 요 한복음에 대해 이렇게 쓴다. “그러나 최후에 요한은 외적인 사실 들이 이 복음서에 분명히 나타난 것을 알고 있으며, 그의 친구들 에 의해 요청을 받고 성령의 영감을 받아 영적인 복음서 하나를 집필했다. 이것은 클레멘스의 설명이다.”


1장 자주 간과되는 누가 -행전의 중요성과 본 연구의 방향

33

누가는 하나님의 계획이 하나님의 약속의 성취로 실행됐음을 묘사한다. 하나님의 계획은 예수와 교회를 통해 성취되기 시작했고, 교회는 유대인과 이방인으로 구성된다. 이 성취는 예수가 다시 올 때 완성될 것이다 ( 행 3:18~26 ). 누가 -행전은 하나님이 주신 약속의 연속성을 강조하며, 가르치 고 위로하는 목양의 방식으로 약속의 진전을 보여 준다. 또한 예수 자신이 가져오시는 성령 역시 이 이야기에서, 특별히 새로운 공동체의 설교와 선교 활동에서 핵심 부분을 차지한다. 그래서 누가 -행전에서는 삼위일체적 활동의 윤곽이 드러난다. 새 시대의 도래의 선물로 주어진 성령의 권능도 중심 주제 중 하나다. 우리는 주제들을 문맥과 상 관없이 추출해 내기보다는 내러티브에 집중하면서 이 이야기와 신학을 연구할 것이다. 누가는 데오빌로가 이미 배운 것들에 대해 확신할 수 있도록 기록했다 ( 눅 1:4 ). 3 ) 확신해야 할 핵 심 내용은 하나님은 최근의 사건들, 즉 하나님의 약속들이 성취됐음을 보여 주는 사건들 가운데 일하고 계시다는 사실이다 ( 1~2절 ). 그러나 누가가 성취를 주장할 때 두 가지 특징은 설명하기 어 렵다. 하나는 구원자가 죽었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이스라엘이 약속을 소망했을 때 이방인들 을 포함한 하나님의 공동체가 핍박을 받는다는 점이다. 사도행전이 매우 생생하게 묘사하는 대 로 교회는 핍박을 받고 있던 중이었으므로 데오빌로 또는 데오빌로와 같은 사람들은, 교회가 인 종적으로 너무 광범위하게 하나님의 구원을 적용했기 때문에 교회는 이와 같은 핍박을 심판으로 받는다고 생각했을 수 있다. 하나님은 정말 교회 안에 역사하고 계시는가? 예수는 정말 하나님의 계획의 중심인가? 하나님의 약속이 어떻게 광범위할 수 있고 어떻게 죽은 구원자가 이 계획을 실 현할 수 있는가? 누가 -행전은 공동체의 정체성과 관련된 이런 핵심적인 질문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누가 -행전은 데오빌로에게 교회의 핍박은 심판의 표시가 아니라고 확신시킨다. 핍박은 이미 예고된 것이었고 복음의 메시지가 온 세상의 더 많은 사람에게 뻗어나갈 수 있게 만든 수단이다. 누가 -행전은 예수가 어떻게 하나님의 계획에서 중심이 되는가를 자세히 설명한다. 히브리 성경 에 나타난 하나님의 계획은 예수의 죽음을 예고했을 뿐 아니라 하나님의 우편에 앉게 만든 그의 부활-승천을 더 중요하게 예고했다. 4 ) 예수는 하나님의 우편에 있는 주로서, 예수에게 오는 자는 누구든지 구원의 혜택들을 얻는다. 이방인의 사도인 바울은 하나님의 약속이 광범위한 선교를 통 해 실현되는 것을 보여 준다. 교회에서 다른 목격자들이 수행한 역할처럼 바울의 역할도 자신이 먼저 시작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인도하신 결과로 주어졌다. 따라서 하나님과 그의 행위가 누 가 -행전의 중심이다. 우리는 누가복음을 소개할 때 핵심이 되는 몇 가지 서론적 이슈들과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통

3 ) Darrell L. Bock, Luke 1:1~9:50 (BECNT 3a; Grand Rapids: Baker, 1994)『BECNT: 누가복음 1』(부흥과개혁사 역간), pp. 15~16. 나 는 누가복음의 목적이라는 관점에서 이 주제를 논의한다.

4 ) ‘부활-승천’이라는 표현은, 비록 두 사건이 분리된 것이라 할지라 도, 누가가 두 사건을 본질적으로는 하나의 사건으로 생각하고 있 음을 반영한다. 행 2:20~36은 누가가 두 사건을 얼마나 밀접하게 연결하는지를 보여 준다.


34

1부 서론적 주제

일성을 논의하는 것부터 시작할 것이다. 그 다음에 우리는 누가의 신학을 단계별로 진행하면서 누가가 다루는 주요 주제들을 검토할 것이다. 우리는 주로 내러티브 순서를 따라 하나의 주제를 검토한 다음, 별도로 장을 만들어서 이 주제를 검토한 결과를 종합하는 연구 방식을 취할 것이다. 우리는 개관하거나 종합하는 도중에 때때로 멈춰서 구체적인 구절들을 검토하고 그 부분에서 주 제와 관련된 주석적인 이슈들을 자세히 검토할 것이다. 누가의 전반적인 목표는 중요한 주제들을 논하는 것이다. 누가 -행전은 예수, 하나님의 아들, 그 리스도의 오심으로 오래 전에 약속된 하나님의 새 운동이 시작했음을 보여 주길 원한다. 구약에 약속된 하나님의 계획은 예수의 사역을 통해 시작한 새 공동체, 신자들이 경험하고 있는 고난, 이 방인들이 포함된 사건을 포함한다. 현대와 달리 고대 세계에서는 새로운 것이 아니라 오래된 것 이 가치 있게 받아들여졌다. 그래서 누가는 새롭게 보이는 운동이 실제로 오래된 약속들에 기원 을 두며, 하나님이 약속하셨고 이제 예수, 즉 하나님이 약속대로 보내신 자를 통해 실행하신 섭리 에 기원을 두고 있다고 설명한다. 예수와 연결된 공동체는 고난을 받는데, 이는 심판이 아니라 섭 리에 의한 것이다. 왜냐하면 영광 전에 고난이 먼저 오기 때문이다. 논쟁 중에서도 이방인들을 포함시킨 것은 기독교라는 배교 신학자들의 반역적인 행위가 아니 라 하나님이 직접 개입하신 결과였다. 이방인 선교와 모든 사람을 향한 전도의 예가 된 바울의 사 역은 실패가 아니었다. 그의 사역을 통해 예수에 대한 말씀이 세계의 중심인 로마에 들어갔다. 바 울은 핍박 중에서도 하나님의 부르심을 신실하게 따랐다. 바울의 선교는, 예수의 메시지를 자주 배척하고 이 메시지를 믿는 자들을 핍박하는 세상에서 새 공동체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를 보여 준다. 하나님의 말씀과 메시지의 힘은 배척받는 신자들이 그리스도의 배척과 신실하심을 따 라 신실하게 살고 윤리적으로 살아갈 때 최고로 발휘된다. 힘은 의존하는 정도가 강할 때 최고조로 나타난다. 힘을 사용하는 세상의 기준이 아니라, 하나 님이 자기 백성 가운데 형성되기를 원하시는 성품으로, 하나님의 부르심과 선교를 수행하고 하나 님께 신실하게 의존할 때, 메시지의 힘은 효력을 강력하게 발휘할 수 있다. 이 능력과 강함은 성 령에게서 오고, 성령은 예수가 부활을 통해 하나님의 신원을 받은 결과로 온다. 그래서 누가 -행 전은 하나님의 이야기를 전하는데, 하나님은 하나님의 백성이 적대적인 세상 가운데서 하나님의 백성이 될 수 있도록, 약속의 새 시대와 성령의 능력을 공급해서 예수를 통해 일하신다. 이는 오 늘날 교회에도 여전히 적용되는 메시지이며, 바로 누가 -행전이 신약에서 이와 같이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이유이며, 교회가 누가 -행전의 메시지를 등한시할 수 없는 이유다.


1장 자주 간과되는 누가 -행전의 중요성과 본 연구의 방향

35



누가 -행전의 문맥: 짧은 서론

Chapter

2

참고문헌 이 목록에서 나는 서론적 논의도 담겨 있는 핵심 주석들을 강조하고자 한다.

Barrett, C. K.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Acts of the Apostles I: Preliminary Introduction and Commentary on Acts I – XIV. ICC. Edinburgh: T&T Clark, 1994. Idem.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Acts of the Apostles II: Introduction and Commentary on Acts XV – XXVIII. ICC. Edinburgh: T&T Clark, 1998. Bock, Darrell L. Acts. BECNT 5. Grand Rapids: Baker, 2007. Idem. Luke 1:1 – 9:50. BECNT 3a. Grand Rapids: Baker, 1994. Idem. Luke 9:51 – 24:53. BECNT 3b. Grand Rapids: Baker, 1996. Bruce, F. F. The Acts of the Apostles: Greek Text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3rd ed. Grand Rapids: Eerdmans, 1990. Cadbury, H. J. The Making of LukeActs. New York: Macmillan, 1927. Fitzmyer, J. A. The Acts of the Apostles. Anchor Bible. Garden City: Doubleday, 1998. Idem. The Gospel of Luke I-IX: Introduction, Translation and Notes. Anchor Bible. Garden City: Doubleday, 1982. Green, Joel. The Gospel of Luke. NICNT. Grand Rapids: Eerdmans, 1997. Haenchen, E. Acts of the Apostles: A Commentary. London: Blackwell, 1987. Hemer, C. The Book of Acts in the Setting of Hellenistic History. WUNT. Tübingen: Mohr-Siebeck, 1989. Hengel, Martin. Acts and the History of Earliest Christianity. London: SCM, 1979. Jervell, J. Die Apostlegeschichte. Gö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98. Johnson, Luke Timothy. The Gospel of Luke. SacPag. Collegeville, MN: Liturgical, 1991. Idem. The Acts of the Apostles. SacPag. Collegeville, MN: Liturgical, 1992. Marguerat, D. The First Christian

37


38

1부 서론적 주제

Historian: Writing the “Acts of the Apostles.” SNTSM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Marshall, I. H. The Acts of the Apostles: An Introduction and Commentary. TNTC. Grand Rapids: Eerdmans, 1980. Idem. The Gospel of Luke. NIGTC. Grand Rapids: Eerdmans, 1978. Nolland, John. Luke 1:1 – 24:53. WBC. 3 vols. Dallas: Word, 1989 – 1993. Polhill, John. Acts. NAC. Nashville: Broadman, 1992. Witherington, Ben. The Acts of the Apostles: A SocioRhetorical Commentary. Grand Rapids: Eerdmans, 1997. 나는 이미 다른 곳에서 누가 -행전의 서론을 광범위하게 다뤘다. 1 ) 본 장의 목표는 누가 -행전의 역사적 배경에 대한 핵심적인 정보를 전달해서 두 책에 나타난 신학의 문맥을 맛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2.1. 누가 -행전의 저자와 저작 시기 2 ) 누가 -행전의 저자와 저작 시기를 판단하는 데는 네 가지 핵심적인 이슈가 있다. ( 1 ) 1세기부 터 4세기까지, 누가가 저자임을 알려 주는 일관된 초기 교회의 증언은 무엇인가? ( 2 ) 사도행전에 서 “우리”라고 언급하는 단락들 ( 이하 “우리” 단락 )의 특징, ( 3 ) 순서 면에서 누가와 다른 복음서들 간 의 관계, ( 4 ) 사도행전의 결말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 구체적으로 말해서 이 결말이 사도행전의 저작 시기의 열쇠인가, 아니면 열린 상태로 끝나게 하는 문학적 장치로서의 결말을 의미하기에 사도행전의 시기를 파악하는 데는 도움을 주지 못하는가? 내적 특징은 두 가지 점에 집중한다. 첫째, 저자는 누가 -행전에 나오는 대부분의 사건들, 특히 예수의 사역과 관련된 사람들에 대한 목격자는 아니다 ( 눅 1:1~2 ). 저자는 전승들에 대한 연구에 의 존했으며, 이 전승들은 “목격자와 말씀의 일꾼 된 자들”에게서 온 것이었다 ( 눅

1:2~4 ).

둘째, “우

리” 단락으로 알려진 사도행전의 일부 본문에서 저자는 자신이 바울의 동료임을 분명하게 밝힌 다 ( 행 16:10~17, 20:5~15, 21:1~18, 27:1~28:16 ). 저자를 파악하는 점에서, 자신을 바울의 동료로 표현한 부 분의 역사적 신뢰성과 역할과 관련된 논쟁이 있기는 하지만, 이런 특징은 저자의 정체에 대한 선 택지를 줄일 수 있게 도와준다. 만일 “우리” 단락이 저자 자신을 일관되게 표현하는 자증 자료라

1 ) Bock, Luke 1:1~9:50 , pp. 1~44와 나의 사도행전 주석(Acts [BECNT 5; Grand Rapids: Baker, 2007], pp. 1~46)을 보라. 나 는 2장에서 누가복음과 사도행전 저자의 통일성을 가정하고 있 다. 두 책의 통일성에 대한 이슈는 다음 장에서 다룰 주제다. 요 약하자면, 통일성을 위한 근거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내 적 증거는 무엇보다도 두 책을 두 부분으로 된 하나의 이야기로, 사도행전을 누가복음과 연결된 책으로 제시한다(H. J. Cadbury, The Making of Luke-Acts [New York: Macmillan, 1927]). 몇 몇 학자들이 이 견해를 비판하지만(Mikeal Parsons and Richard Pervo, Rethinking the Unity of Luke-Acts [Minneapolis:

Fortress, 1993]), 눅 24장과 행 1장의 승천 기록은 두 책 이 맞물 려 있음을 알려주며, 두 책의 서문은 단일 저자에 의한 단일 저술 임을 암시한다. 두 책에는 문체상의 차이가 일부 나타나지만 이 차이는 주제가 바뀌는 데서 오는 것이다. 누가복음의 주제가 개인 에게 초점을 맞췄다면 사도행전의 주제는 공동체의 선교를 논하 는 것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 차이는 저자가 사용한 전승의 기원 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기도 하다. 예수, 베드로, 바울 의 유사성 역시 저술 계획의 통일성을 의미한다. 2 ) 누가복음이 정경에 수용된 역사에 대해서는 22장에서 논의할 것 이다.


2장 누가 -행전의 문맥: 짧은 서론

면, 바울의 동료들 이름이 언급되는 장면들은 저자를 밝히는 선택지에서 제외된다. 잠재적 후보 들을 고려하는 최선의 방법은 바울의 동료들과 누가 -행전의 저자, 즉 우리의 첫 번째 핵심 이슈 에 대한 외적 증거를 관찰하는 것이다.

2.1.1. 사도행전의 저자 바울의 동료들을 잠재적 후보들로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교회의 전승은 누가 -행전의 저 자로 단 한 사람, 누가에 집중한다. 이 전승은 AD 200년까지 초기 교회에 확실히 굳어져 있었으 며, 반대 의견이 존재했다는 흔적 없이 그대로 받아들여졌다. 우리에게 있는 가장 이른 시기의 누 가복음 사본은 AD 200년경의 보드머 파피루스 XIV으로, 저자를 누가로 지목하는 제목이 이 사 본의 결론에 나온다. 이 사본은 p75로 더 널리 알려져 있다. 두 번째 책을 사도행전이라고 칭한 제 목은 p 74에 들어 있는 필사본의 끝머리에 등장한다. 그러나 저자의 이름은 그곳에 나오지 않는다. 사도행전의 저자를 누가로 기록한 곳은 후대의 33 ( 9세기 ), 189 ( 14세기 ), 1891 ( 10세기 ), 2344 ( 11세기 ) 사 본들이다. 초기 몇 세기 동안에는 저자에 대해 어떤 반대 입장도 없었다는 사실은 우리가 이 전 승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중요한 이유다. 누가복음에 대한 암시는 일찍이 클레멘스 1서 13.2 ( 눅 6장의 평지설교를 요약한 내용 ),

48.4 ( 눅 13장의 좁은 문 이미지를 암시하는 그리스도인의 문으로 보임. AD 95~96년경 ); 클

레멘스 2서 13.4 ( 누가의 평지설교에 근거한 네 이웃을 사랑하라는 내용. AD 100년경 )에 나온다. 또한 디모데전서 5장 18절에는 예수의 가르침을 사용한 자료가 나오는데, 이 자료는 누가복음 10장 7절의 내용을 반영한 것이다. 저자에 대해 논평하는 많은 본문이 남아 있다. 순교자 저스틴 ( 160년경 )은 트리포와의 대화 ( Dial. ) 103.19에서, 누가복음에만 있는 언어라고 가리키면서 누가복음과 이 표현을 연결함으로써 누가 가 예수에 대한 “사도적 회고록”을 기록했다고 말한다. 이 관련성은 모호하고 구체성을 결여하 고 있지만, 이후의 자료들은 좀 더 구체적으로 누가를 지목한다. 『무라토리 정경』 ( 170~180년경 )은 이 복음서의 저자로 누가, 의사, 바울의 동료를 지목한다. 이레나이우스 ( 175~195년경 )는 『이단 논 박』 ( Haer. ) 3.1.1와 3.14.1에서 이 복음서의 저자를 누가, 바울의 제자로 보면서, “우리”라는 표현이 들어가는 단락이 이 관계와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언급한다. 이레나이우스는 누가를 변함이 없 고, 헤어지기 힘든 동료라고 묘사하는데, 우리는 이것이 누가와 바울이 얼마나 가까운 사람인지 를 과장하는 표현일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해야 한다 ( Haer. 3.14.1 ). 사도행전은 누가가 바울과 이곳저 곳에 늘 동행했다고 알린다. 이른바 『반 ( 反 )-마르키온 프롤로그』 ( 175년경 )의 누가복음 부분 ( 175년경 ) 은 누가를 시리아의 안디옥 태생으로 묘사한다 ( 행 11:19~30, 13:1~3, 15:30~35 ). 이 책은 누가가 84년을 살았고, 의사였고, 미혼이었고, 아가야에서 저술을 했고, 보이오티아에서 죽었다고 기록한다. 테 르툴리아누스 ( 3세기 초 )는 마르키온을 반박하며 4.2.2와 4.5.3에서 누가복음을 바울 복음의 요약본 이라고 말한다 ( 그는 누가를 사도적 인물이라고 말하며, 저자에 대해서는 4.3에, 마르키온이 누가복음만 사용한다고 테르툴리 아누스가 말하는 내용은 4.5과 4.7; 4.8에 언급된다 ).

『모나키안 프롤로그』 ( Monarchian, 연대는 논쟁 중이며, 3세기 또는

39


40

1부 서론적 주제

4세기 경으로 추정 )는

누가가 74세에 죽었다고 기록한다. 오리게네스 ( De Principiis 2.6 )는 탄생기사를 논

하면서 누가를 저자로 명명한다. 마지막으로, 유세비우스 ( 4세기

초 )는

『교회사』 ( Ecclesiastical

History )

3.4.2에서 누가가 안디옥 태생이며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저자로서 바울의 동료라고 언급한다. 사도행전에 대한 내용도 비슷하다. 이레나이우스는 『이단 논박』 3.13.3에서 누가를 저자로 밝 힌다. 테르툴리아누스는 『금식에 대해』 ( On Fasting ) 10에서 사도행전에 나타난 베드로의 금식을 논 하면서 사도행전을 “누가에 의한 주석”이라고 말한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도 누가 저작설 을 지지한다 ( Stromata 5.12.82.4: “사도들의 행전에 있는 누가” ). 이 저자들은 2세기 후반과 3세기 초반에 저 술했다. 『무라토리 정경』은 2절 ( “복음서의 세 번째 책은 누가에 따른 복음서다.” )과 34~39절에서 누가의 이 름을 기록한다. 3 ) “[34] 또한 사도들의 행위들은 [35] 하나의 책에 기록됐다. ‘가장 탁월한 데오빌 로’를 위해 누가는 [36] 자신이 보는 데서 일어난 개별 사건들을 모았다. [37] 이는 그가 베드로 의 순교와 [38] 바울이 [로마] 시에서 떠난 것을 누락시키고 있음을 보여 준다. [39] 이 시기에 그 는 스페인으로 여행 갔다.” 이처럼 우리의 자료들은 2세기 말에 시작해서 일관되게 사도행전의 저자를 누가와 관련된 것으로 가리킨다. 이제 “우리 단락들”의 중요성을 논해 보자. 이 자료는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저자를 알려 주 는 점에서 가장 중요한 내적 단서가 될 수 있다. 4 ) “우리” 단락들은 16장 10~17절 ( 빌립보 도착과 루 디아의 회심 ),

20장 5~15절 ( 드로아에서

밀레도까지 ),

21절 1~18절 ( 밀레도에서

예루살렘까지 ),

27장 1절~28장

16절 ( 가이사랴에서 로마까지 )에 등장한다. 이 단락들은 사도행전에서 무작위로 사용된 것으로 보일 수 도 있으나, 5 ) 결코 그렇지 않다. 각 본문은 바다 여행을 포함한다. 예외가 되는 빌립보 여행의 경 우에 두 구절에만 “우리”가 단순히 언급되고 바다 여행보다는 루디아의 회심을 주로 다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그저 수사적 표현과 단지 극적 효과를 위해 고안한 것이라는 6 ) 주 장은 “우리”라는 인물이 항해 장면에만 나오며 다른 핵심적인 장면들에는 사용되지 않는다는 사 실에 의해 약화된다. 만일 수사적 표현만이 저자의 관심이었다면 다른 핵심적인 장면들에도 “우 3 ) 이 책은 로마의 성 피우스 1세의 감독직을 언급하고 있기 때문 에 AD 170경에 기록된 것으로 보인다. 피우스는 AD 157에 죽었 다. 이 본문에 대해서는 Bruce Metzger, The Canon of the New Testament (Oxford: Clarendon, 1987), pp. 191~201을 보라. 4 ) 이것은 사도행전에서 누가의 작업 중 매우 논쟁이 되는 부분이 다. 핵심적인 논의로는 다음을 보라. Hans Conzelmann, Acts of the Apostles (Hermeneia; trans. James Limburg, A Thomas Krabel, and Donald H Juel; Philadelphia: Fortress, 1987), pp. xxxiv~xl, 215, 221; J. Wehnert, Die Wir-Passagen der

Apostelgeschichte: Ein lucanisches Stilmittel aus judischer .. Tradition (Go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89); Claus J. Thornton, Der Zeuge des Zeugen: Lukas als Historiker .. der Paulusreisen (WUNT; Tubingen: Mohr-Siebeck, 1991); Vernon K. Robbins, “The We-Passages in Acts and Ancient Sea Voyages,” BR 20 (1975): pp. 5~18; idem, “By Land and

By Sea: The We-Passages and Ancient Sea Voyages,” in Perspectives on Luke-Acts (ed. C. H. Talbert; Perspectives in Religious Studies, Special Studies Series 5; Macon, GA: Mercer Univ Press/Edinburgh: T&T Clark, 1978), pp. 215~242; Claire K. Rothschild, Luke-Acts and the Rhetoric of History (WUNT; Tubingen: Mohr-Siebeck, 2004), pp. 264~267. 로스차일드는 여기서 공상에 의한 역사 기록의 수사법을 언급하는데, 이 수사법 은 믿음에 대한 논쟁에서 벗어나게 하고 자료의 무작위성은 문제 가 되지 않음을 주장하기 위한 것이다. 5 ) Joseph A. Fitzmyer, The Acts of the Apostles (AB 31; Garden City: Doubleday, 1998), pp. 1~26. 6 ) Philip Vielhauer, “The Paulinism of the Acts of the Apostles,” in L. E. Keck and J. L. Martyn, eds., Studies in Luke-Acts: Essays Presented in Honor of Paul Schubert (London: SPCK, 1966), pp. 33~34, 47~48.


11장 누가 -행전에 나타난 구원의 여러 차원들: 종합

327



누가 -행전에 나타난 이스라엘

Chapter

12

참고문헌 Bachmann, Michael. “Jerusalem and Rome in Luke-Acts.” Pp. 60 – 83 in Luke-Acts and Empire: Essays in Honor of Robert L. Brawley. Ed. David Rhoads, David Esterline, and Jae Won Lee. Princeton Theological Monographs. Eugene, OR: Pickwick, 2011. Brawley, Robert. Luke-Acts and the Jews: Conflict, Apology, Reconciliation. SBLMS. Atlanta: Scholars Press, 1987. Evans, Craig. “Prophecy and Polemic: Jews in Luke’s Scriptural Apologetic.” Pp. 171 – 211 in Luke and Scripture: The Function of Sacred Tradition in Luke-Acts. Ed. C. A. Evans and J. A. Sanders. Minneapolis: Fortress, 1993. Fuller, Michael E. The Restoration of Israel: Israel’s Regathering and the Fate of the Nations in Early Jewish Literature and Luke-Acts. BZNW. Berlin: DeGruyter, 2006. Jervell, Jacob. Luke and the People of God. Minneapolis: Augsburg, 1972. Idem. The Theology of the Acts of the Apostl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Moessner, David. Jesus and the Heritage of Israel: Luke’s Narrative Claim upon Israel’s Legacy. Harrisburg, PA: Trinity International, 1999. Rese, Martin. “The Jews in Luke-Acts: Some Second Thoughts.” Pp. 185 – 201 in The Unity of Luke-Acts. Ed. J. Verheyden. BETL. Leuven: Leuven University Press, 1999. Rhoads, David, David Esterline, and Jae Won Lee, eds. Luke-Acts and Empire: Essays in Honor of Robert L. Brawley. Princeton Theological Monographs. Eugene, OR: Pickwick, 2011. Seccombe, David Peter. “The New People of God.” Pp. 349 – 72 in A Witness to the Gospel: The Theology of Acts. Ed. I. Howard Marshall and David Peterson. Grand Rapids: Eerdmans, 1998. Tannehill, Robert. The Narrative Unity of Luke-Acts. 2 vols. Minneapolis: Fortress, 1986, 1990. Tiede, David. Prophecy and History in Luke-Acts. Philadelphia: Fortress,

329


330

2부 주요 신학적 주제

1980. Tyson, Joseph, ed. Luke-Acts and the Jewish People: Eight Critical Perspectives. Minneapolis: Augsburg, 1988. Tyson, Joseph. Images of Judaism in Luke-Acts. Columbia: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992. 다음 몇 개의 장에서 우리는 이스라엘, 이방인, 교회, 제자도와 윤리, 여성, 가난한 자들, 율법에 대한 누가의 견해를 포함하는 독립적인 주제를 내러티브 순서에 따라 분석할 것이다. 이어서 우 리는 이 모두를 교회론을 다루는 장에서 종합할 것이다. 누가는 이스라엘의 이야기로 시작하고 복음이 먼저 이스라엘에 전해지기 때문에, 우리는 이스 라엘 ( Ἰσραήλ )에서 시작한다. 이 점에서 누가는 바울과 같다 ( 롬

1:6~17 ).

사실상, 누가의 관점에서

예수의 이야기 전체는 이스라엘의 이야기다. 1 ) 우리는 ‘이스라엘’이라는 용어와 ‘유대인들’에 대 한 내용 둘 다를 논의할 것이다. 하나님은 원래 이스라엘에게 약속을 주셨다. 아브라함에게 주신 하나님의 약속이 보여 주는 것처럼, 하나님은 이스라엘이 복의 수혜자가 되도록, 그리고 하나님 의 복이 이스라엘을 통해 온 세상에 주어지도록 계획하셨다 ( 창 12:3 ). 사실상, 누가는 좋은 유대인 이라면 하나님이 보내신 메시아를 받아들여 새로운 길의 구성원이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스라 엘이 그렇게 할 때, 세상은 하나님의 복을 목격하고 받아들인다. 또한 누가는 교회가 뭔가 달라지게 될 목적을 가진 예수의 추종자들로 형성된 것이 아니며, 오 히려 유대인들의 현저한 반대가 있을 때 그들이 다르게 반응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이 부 분에서 “유대인” ( Ιουδαῖος, 이우다이오스 )라는 단어가 중요하게 된다. 왜냐하면 우리는 분리된 백성 을 볼 것인데, 많은 백성이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행하신 것에 반대한다. 또한 본 주제를 위 해 “백성” ( λαός, 라오스 )이라는 용어는 몇 가지 용례에서 중요하다. 이 주제는 사도행전과 바울이 이 용어를 사용하는 곳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사도행전의 마지막에서 바울은 자신을 유대인 이라고 한다 ( 행 21:39, 22:3 ). 바울은 유대 백성을 거스르는 일을 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 25:8 ), 그들 을 “우리의 백성”이라고 부른다 ( 26:23, 28:17 ).

12.1. 탄생기사에 나타난 이스라엘 누가복음에서 이스라엘에 대한 내용은 탄생기사 이후에는 많이 나오지 않는다. 누가복음의 12회의 내용 중 7회가 첫 두 장에 등장한다. 사도행전은 15회에 걸쳐 사용한다. 그러나 이 용어는 누가복음의 핵심적인 첫 두 장에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1 ) 캐롤은 누가의 하나님 나라 묘사는 “이스라엘이라는 모티프 와 서로 떼어 놓을 수 없는 관계로 묶여” 있다고 말한다. John T. Carroll, Response to the End of History: Eschatology and Situation in Luke-Acts (SBLDS 92; Atlanta: Scholars Press, 1988), p. 84. 풀러는 열방이 결코 “이스라엘의 내러티브와 분리된

관심의 주제가 아니라”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를 보여 준다(강 조는 원래의 책에 있는 것임). Michael E. Fuller, The Restoration of Israel: Israel’s Regathering and the Fate of the Nations in Early Jewish Literature and Luke-Acts (BZNW 138; Berlin: DeGruyter, 2006), p. 204, n. 30.


12장 누가 -행전에 나타난 이스라엘

331

첫 번째 내용은 세례 요한의 사명을 묘사하는 부분에 나타난다. 요한은 “이스라엘 자손을 주 곧 그들의 하나님께로 많이 돌아오게” 할 것이다 ( 눅 1:16 ). 이런 돌이킴은 엘리야의 심령과 능력으로 가능하며, 자녀와 부모를 함께 모으고 불순종하는 자들과 의로운 자들을 함께 모은다. 여기서 우 리는 백성 사이에 일어나는 화해를 강조하는 것을 보게 되는데, 이 화해는 하나님께 반응한 결과 로 주어지는 것이다. 이런 윤리적 삼각관계는 구원의 결과물이다. 이 소망은 말라기 3장 1절과 4장 5절과 같은 본문과 시락서 48장 10절에 표현된 유대의 소망을 반영한다. 그래서 누가의 진술은 이스라엘의 소망과 이스라엘이 영적인 포로 생활에서 벗어난 상 태에 대한 이슈들과 잘 들어맞는다. 그 결과는 핵심 용어인 ‘라오스’ ( λαός, “백성” )로 나타난다. 왜 냐하면 주의 오심에 반응하는 자들은 “준비된 백성”이기 때문이다 ( 1:17 ). 이 본문 전체는 이스라엘 에서 하나님께 반응하는 일부 사람들이 나올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또한 다른 사람들은 반 응하지 않을 것을 암시하며, 혈통이 복을 자동적으로 보장해 주지 않기에 백성이 두 부류로 나눠 질 것을 보여 준다 ( 또한 3:7~9, 14:15~24을 보라 ). 2 ) 마리아의 찬가 ( Magnificat )는 또한 이스라엘에게 주신 하나님의 약속을 강조한다. 마리아는 하 나님이 겸손한 자들, 궁핍한 자들, 하나님의 긍휼 때문에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들에게 응답해 주 시는 것으로 인해 하나님을 찬송한다. 마리아는 배고픈 자들과 낮은 지위에 속한 사람들을 높이 는 반면 교만한 자들, 강한 자들, 부유한 자들을 낮추게 할 종말론적인 역전을 이룰 공의를 기대 한다 ( 눅 1:46~53 ). 마리아는 하나님이 아브라함과 그의 씨에 대해 약속하신 것에 나타난 긍휼을 기 억하시기 때문에 이 모두는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도우신 것이라고 말한다 ( 1:54~55 ). 그래서 하나 님의 자비는 공의와 신실하심을 통해 나타난다. 자비는 마리아가 기대하는 핵심 부분으로 구원과 함께 주어진다.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감사하는 비슷한 표현이 사가랴의 찬가 ( Benedictus )에도 나온다. 사가랴 의 찬송은 다윗의 집에서 나오는 “구원의 뿔”을 위한 것이다. 이 뿔은 하나님의 찾아오심과 구 속을 뜻한다. 이 구원은 하나님의 백성을 해방시켜 의로움과 거룩함으로 하나님을 섬길 수 있 게 한다 ( 눅 1:67~75 ). 사가랴의 찬송은 “이스라엘의 하나님”으로 확장된다 ( 1:68 ). 세례 요한의 메시 지를 통해 이미 전달된 이 구원에서, 하나님의 백성은 메시아를 가리키는 새벽을 준비하는 것으 로 ( 1:78~79 ) 죄 용서의 지식을 얻는다 ( 1:77 ). 사가랴의 찬송 내용이 세례 요한의 탄생 예고에서 우리

2 ) Jervell, Theology of the Acts of the Apostles, pp. 34~43. 예르 벨은 이스라엘이 누가-행전에서 사라지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이 스라엘은 메시아에게 반응하는 이스라엘 사람들 속에서 그 생명 을 유지한다. 거절하는 이스라엘과 받아들이는 이스라엘이 존재 한다. 교회에는 받아들이는 자들, 즉 유대 그리스도인들이 포함된 다. 이들은 이스라엘의 약속을 받는 합법적인 상속자들이며 히브 리 성경이 소망한 것을 완성한다. 누가-행전에서 이스라엘과 교 회의 관계는 복잡하다. 이스라엘은 오래됐고 옛 약속들에 뿌리를

둔다. 반면 교회는 새것이며, 이스라엘의 수많은 사람이 거절하면 서 생겨나게 됐지만, 여전히 옛 약속들과 연결돼 있다. 바울이 롬 9~11장에서 “남은 자”라고 불리는 존재는 옛 존재와 새 존재 사 이의 연결고리다. 반응한 유대인들은 교회에 속하게 됐을 때에도 결코 자신들을 이스라엘을 떠난 자들로 이해하지 않았다. 이들은 자신들을 메시아와 부활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과 소망에 신실한 자들로 이해했다. 이스라엘과 교회 사이의 복잡성 때문에 한 장을 마련해 별도로 다뤄야 한다(14장을 보라).


332

2부 주요 신학적 주제

가 보았던 주제들을 암시하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이스라엘에게는 갱신이 필요하며, 메시아 가 갱신을 가져온다. 세례 요한의 성장에 대한 내용이 “이스라엘에 나타나는 날까지” 빈들에 있 다는 구절로 마감하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 1:80 ). 왜냐하면 광야는 계시가 임하고 이스라엘 이 출애굽을 재현할 수 있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탄생기사의 세 번째 찬송은 시므온의 노래 ( Nunc Dimittis )다. 시므온은 “이스라엘의 위로”를 기다 리던 사람으로, 누가복음 1~2장이 자세히 묘사하고 있는 메시아의 오심과 하나님의 구원을 보고 기쁨을 노래한다 ( 눅 2:25 ). 시므온은 의인으로서, 예수에 대한 또 한 명의 경건한 증인이다. “이스 라엘의 위로” ( παράκλησιν τοῦ Ἰσραήλ, 파라클레신 투 이스라엘 )는 구약과 유대 종말론의 많은 흐름 중 에서 핵심적인 요소이며, 이스라엘을 위한 구원의 소망을 의미한다 ( 사 40:1, 49:13, 51:3, 57:18, 61:2; 2 Bar. 44.7 ).

후대에, 랍비들은 므나헴 ( ‘위로자’ )을 메시아로 이해했을 것이다 ( y. Ber. 5a [2.4] ). 3 ) 왜냐하면 그

들은 므나헴을 이런 위로를 가져올 사람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구약에서는 다양한 중개자들이 하나님의 위로를 가져다주었으나, 종말론적 문맥에서 중심적인 중개자는 하나님의 종이었다. 4 ) 위로를 향한 갈망은 누가복음에서 신자 또는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의 특징이었다 ( 행

6:23~24, 17:22~37, 21:25~36 ).

흥미롭게도, 누가는 위로를 메시아와 연결하지만,

요한은 성령과 연결한다 ( 요 14~16장 ). 어떤 사람은 위로의 소망을 어둠에 있는 자들에게 주어진 메 시아의 위로라는 개념과 연결할 수도 있다 ( 눅 1:79 ). 5 ) 사람들은 하나님이 이 약속을 완성하시길 기 대했고, 시므온은 그날, 즉 이스라엘뿐 아니라 세상을 위한 복을 의미했던 날이 올 것을 기대하고 있었다. 6 ) 시므온의 말을 보면, “만민 앞에 예비하신 것이요”라고 말하기 때문에, 그가 생각하는 범위는 좀 더 보편적이다 ( 눅 2:31 ). 시므온은 또한 어떻게 이 사건이 “주의 백성 이스라엘의” 빛이요 영광 인지에 대해 말한다 ( 2:32 ). 그러나 이 사건은 또한 이방인들을 포함하며, 예수 안에 있는 구원의 빛은 이방인들을 위한 “계시” ( ἀποκάλυψις, 아포칼륍시스 )가 된다 ( 2:32 ). 이 노래의 마지막은 이스라엘 과 이방 민족 모두를 위한 복인 빛을 기대한다. 달리 표현하자면, 메시아의 오심은 이스라엘의 이 야기이며 동시에 이방 나라들이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일이 일어나면, 민족주의는 하나님 의 보편적인 복과 화해 아래서 무색하게 되거나, 적어도 메시아가 형성한 공동체 안에서는 무색 하게 될 기회가 생길 것이다. 이것은 빛이 된다는 사실이 의미하는 것에 해당한다. 그러나 하나님의 백성 안에는 분리가 생긴다. 이스라엘에 일어난 것처럼, 메시아의 오심은 “이 스라엘 중 많은 사람을 패하거나 흥하게 하며 비방을 받는 표적이 되기 위하여 세움을” 받는 것 을 의미한다 ( 2:34 ). 7 ) 이것이 바로 누가가 보여 주는 이야기로서, 우리는 하나님에 의해 진리로 인

3 ) Schmitz and Stahlin, TDNT, 5:793; Str-B, 1:66, 83, 195. 4 ) Schmitz and Stahlin, TDNT , 5:789~790, 792~793; Str-B, 2:124~125.

5 ) Plummer, St. Luke, p. 66. 6 ) Bock, Luke 1:1~9:50, pp. 238~239. 7 ) 우리는 7장에서 이 본문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12장 누가 -행전에 나타난 이스라엘

정받은 메시아가 어떻게 배척당하는지를 보게 된다. 사도행전에서 우리는 하나님이 사명을 맡기 신 자들이 어떻게 격렬한 저항에 직면하게 되는지를 볼 수 있다. 여기에는 갈라진 백성이라는 주 제가 드러난다. 그래서 하나님의 계획은 동시에 두 가지를 실행하고 있다. 하나님의 계획은, 우리 가 이스라엘에 대해 알고 있는 대로 이스라엘을 나누고 있으며, 이스라엘과 이방인으로 만들어진 새 백성을 형성하고 있다. 새로운 것은 누가가 교회라고 부르게 될 존재다. 교회는 메시아에게 반 응한 이스라엘의 신실한 자들 때문에 하나님의 옛 약속들에 여전히 그 뿌리를 두고 있다. 그래서 새로운 것은 또한 매우 오래된 것이다. 이스라엘의 소망이라는 주제가 끝나고, 나이 많은 여선지자인 안나가 예수에 대해 선언한다. 안나는 “예루살렘의 속량을 바라는” 자들에게 예수에 대해 말하고 있다 ( 눅

2:38 ).

안나는 여성을

대표하는 사람으로 남성인 시므온과 나란히 배치되며, 이스라엘을 위한 소망을 비슷한 관점으 로 묘사한다. 수도는 나라를 상징하기 때문에, “예루살렘의 속량” ( λύτρωσιν Ἰερουσαλήμ, 뤼트로신 예 루살렘 )은

이스라엘 민족 전체의 구속을 의미하는 표현이다. 이 표현은 “이스라엘의 위로”와 같으

며 ( 2:25 ), 자기 백성을 위한 하나님의 결정적인 구원 행위를 의미하므로 구약을 배경으로 한다 ( 사 40:9, 52:9, 63:4 ). 본문의 초점은 구속자와 그와 함께 올 구원의 특별한 시간에 맞춰져 있다. 8 )

누가복음에서 안나의 기대는 아리마대 요셉의 기대와 같다. 요셉은 “하나님의 나라를 기다리 는” 사람이었다 ( 눅 23:51 ). 이는 또한 엠마오로 가던 제자들에 대한 묘사와 유사하다. 그들은 이스 라엘의 구속을 기다리고 있었기 때문에 예수의 죽음으로 인해 낙심했다 ( 24:21 ). 9 ) 덧붙이자면, 안 나의 말에 담긴 내용과 분위기는 마리아의 찬가와 사가랴의 찬송에서 이미 표현된 개념들과 병행 을 이룬다 ( 1:46~55, 68~79; 또한 행 1:6, 26:6~7 ). 10 ) 누가복음에서 예수의 사역에 대한 궁극적인 기대는 복음서의 출발과 끝에서 별 차이가 없다. 11 ) 예수의 이야기는 이스라엘의 이야기다.

12.2. 누가복음의 본론에 나타난 이스라엘 누가복음의 나머지 부분에는 이스라엘을 언급하는 본문이 많이 나오지는 않는다. 예수가 나사 렛 회당에서 이사야 본문을 해석한 핵심적인 장면에 이스라엘에 대한 언급이 두 번 나타난다 ( 눅 4:16~30 ).

여기서 엘리야와 엘리사는 이스라엘에 보냄받은 선지자들로 언급된다 ( 4:25,

27 ).

그러나

이스라엘의 영적 상태 때문에 엘리야와 엘리사는 두 이방인, 사렙다의 과부와 아람 사람인 나아 만에게 복을 베풀게 된다. 예수가 선지자는 자신의 고향에서 환영을 받지 못한다고 말했던 것처 럼, 예수의 가르침은 격렬한 분노를 맞게 된다. 하나님이 두 선지자를 메신저로 보냈으나 이스라

..

8 ) Buchsel, TDNT, 4:351. .. 9 ) Danker, Jesus and the New Age , p. 72; Schu rmann, Lukasevangelium: Kommentar zu Kap. 1.1~9.50, p. 131.

10 ) Tiede, Luke, p. 78. 11 ) Bock, Luke 1:1~9:50, p. 253.

333


한다. 누가는 자신의 기록에서 약속의 새 시대를 가져오는 예수를 통해, 그리고 하나님의 백성이 적대적인 세상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백성이 될 수 있게 하는 성 령의 능력을 통해 일하시는 하나님의 이야기를 기록한다. 이것은 오늘날 교회에 여전히 필요한 메시지다. 벅은 누가 신학의 주요 주제들을 다루고 신약과 정경 전체에서 누가 - 행전의 독특한 공헌을 제시함으로써 독자들이 누가의 신학을 성 경의 더 큰 문맥에서 심도 있고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준다. 복음주의 세계에서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성경신학을 대럴 벅보다 더 수

누가의 저술 배후에 있는 성경의 세계와 사상을 다루는 없어서는 안 될 이

준 높게 쓸 수 있는 사람은 없다. 두 책에 대한 주요 주석서와 누가의 구약

책은 광범위하면서도 읽기가 쉽다. 이 책은 누가가 신학의 실가닥으로 직조

기독론에 대한 단행본을 저술한 벅은 누가의 신학과 내러티브의 목적에 대

해 낸 누가 - 행전이라는 융단을 이해하기를 원하는 학자, 목회자, 성경 교

한 풍부한 식견과 통찰력으로 연구를 수행한다. 하나님의 말씀을 연구하는

사에게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나는 성경을 진지하게 연구하는 모든 학생

학생들은 이 책보다 더 좋은 누가 - 행전의 주요 주제에 대한 입문서를 찾을

에게 이 책을 적극적으로 추천한다. 벅은 누가의 두 걸작에 담긴 본래의 풍

수 없을 것이다.

성한 깊이로 우리에게 모든 것을 제공하며, 나는 상당히 중요한 주제를 이

마크 L. 스트라우스, 베델 신학대학원 신약학 교수 대럴 벅은 이 주제에 30년 이상을 쏟아 부은 경력으로 누가 - 행전을 안다. 그는 누가 - 행전의 문헌과 이슈들과 무엇이 정말 중요한지를 안다. 벅은 추 상적으로 접근하지 않고 성경 본문, 누가 - 행전의 내러티브를 상세히 다루

그랜트 오즈번, 트리니티 복음주의신학교 신약학 교수 술 주석서가 입증하듯이,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을 수십 년 동안 연구해 온 세 계 최고의 누가 학자 중 한 사람이 신약 성경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고대 기 독교 문헌의 신학에 대한 원숙미 넘치는 학문을 우리에게 제공한다. 학자들 은 이 저자의 이름을 알지 못하고서는 누가 신학자라고 말할 수 없으며, 누

약의 주요 저술인 누가 - 행전에 관심이 있는 교회와 모든 사람을 위한 유용

가 신학 분야를 연구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도 그와 소통하지 않고서는 연구

하고도 실제적인 안내자 역할을 한다. 이것은 목회자들과 학생들과 교회 도

를 시도조차 할 수 없을 것이다. 50년 전에는 한스 콘첼만을 거론했다면, 누

서관이 ‘반드시 소장해야 하는’ 책이다.

가 - 행전 연구의 다음 몇십 년 동안은 대럴 벅을 거론할 것이다.

OF

THE

THEOLOGY AND

OF

ACTS

God’s Promised Prog ram,Realized for All Nation

더글라스 후프만, 바이올라 대학교 탈봇 신학대학원 성경과 신학과 교수

BTNT ( Biblical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 시리즈는 신약신학, 해석학, 주해를 배우는 학생들을 위한 신학대학원 수준의 교재 다. 이 시리즈는 이 분야의 권위 있는 전문가들이 학문적 탁월성 면에서 최고의 수준으로 저술해, 서론적인 이슈들과 주요 주 제들을 포함하여 신약의 모든 책에 있는 신학을 광범위하게 탐구할 뿐 아니라, 어떻게 신약 성경의 각 책이 신약신학이라는 큰

대럴 벅

그림과 연결되는지를 보여 준다.

지은이

대럴

벅 ( Darrell L. Bock )

대럴 벅은 달라스 신학교의 신약학 연구 교수다. 누가 - 행전 연구로 유명한 벅은 독일 튀빙겐 대학교의 훔볼트 학자, 크

대럴 벅 지음

리스채너티 투데이의 편집위원, 복음주의 신학회의 전 회장 ( 2000 - 2001 ) 이다. 벅은 뉴욕타임즈가 선정한 베스트셀러

강대훈 옮김

작가로서 NIV 적용주석 시리즈의 『 누가복음 』 ( 성서유니온선교회 ), BECNT 시리즈의 『 누가복음 』 ( 부흥과개혁사 ) 을 비롯 해 30권 이상의 책을 저술했다. 옮긴이

강대훈

경북대 ( BA, MA )와 총신대 신대원 ( M.Div ) 을 졸업하고, 고든 - 콘웰 신학대학원에서 신약학 석사학위 ( Th.M. ) 와 영 국 브리스톨 대학교 ( 트리니티 칼리지, Ph.D. ) 에서 마태복음의 하늘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개신대학 원대학교에서 신약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부흥과개혁사 전문 번역위원으로 동역하고 있다. 역서로는 『하나님의 아들 과 새 창조』 ( 부흥과개혁사 ) 가 있다.

ISBN 978-89-6092-424-6 ISBN 978-89-6092-405-5 (세트) www.rnrbook.com 값 34,000원

NEW

누가신학 LUKE

박사 학위 연구, 수많은 소논문, 몇 권의 단행본, 자그마치 네 권의 단독 저

주제들의 발전 양상과 중요성이 무엇인지를 설득력 있게 설명함으로써 신

BIBLICAL THEOLOGY

A

처럼 철두철미하고도 명확하게 다루는 것을 본 적이 없다.

는 데 초점을 맞춘다. 벅은 누가 - 행전의 주요 주제들을 따라 접근하며, 이

클라인 스노드그래스, 노스파크 신학대학원 신약학 교수

누가신 학

대럴 벅의 획기적인 이 연구는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신학을 철두철미하게 탐구

지음

ㅣ 강대훈 옮김

TESTAMENT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