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읽으면 좋은 책들
성경신학의 5가지 유형 에드워드 클링크 3세 & 대리언 라킷 공저 | 신윤수 옮김 | 296페이지 | 14,000원
오늘날 성서학계는 성경신학의 개념 및 방법론과 관련하여 심각한 혼란을 겪고 있다. 탁월한 학자들의 독자적인 방법론과 신학에 매료되 면서도 정작 다른 방법들에는 상당한 무지와 오해를 갖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이 책은 지금까지 수행되어 온 성 경신학 전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해 주는 지도와 같은 책
지난 2천년 동안 기독교는 끊임없이 구약과 신약 모두를 성경으로 받아들이는 문제에 대한 도전에 직면했다. 물론 이 도전들 가운데 어떤 것도 성공적이지 못했 다. 21세기인 현재까지도 기독교 교회들은 서로 다른 전통들 사이에 약간의 차이 가 있을 뿐, 초기 교회와 동일한 책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도 의심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질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된다. 오늘날 우리에게 구약이 필요한가? 이 고대 저술의 모음집은 우리의 포스트모 던 세계와 점차적으로 대두되는 포스트모던 문학 세계에도 여전히 적실한 것일 까? 신약 성경이 기독교 신앙의 충분한 토대가 되지 않는가? 구약에 나타난 권능
이다.
과 영광의 하나님은 신약에서 예수님이 ‘아버지’라고 부르는 사랑의 하나님과 무 슨 관계가 있는가? 매우 다른 구약과 신약이 정말로 한 성경인가?
성경신학이란 무엇인가
데이비드 베이커의 박사논문 ( Two
Testaments, One Bible ) 을
확장하고 최신화한 이번
개정3판은 구약과 신약의 관계 연구를 통해 어떤 신학적 토대 위에서 구약이 기독
성경은 창조로부터 시작해서 그리스도의
교 경전으로 수용되는지를 탐구한다. 먼저, 저자는 주요 이슈들을 소개하고, 성경
재림과 그 이후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삶
해석의 역사를 탐구하며, 기존의 네 가지 주요 접근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그리
전체를 둘러싼 하나의 이야기를 제시한다. 이 책은 성경
고 나서 ‘모형론’, ‘약속과 성취’, ‘연속성과 불연속성’, ‘언약’ 등 네 가지 핵심 주제
전체를 연결짓는 주요 패턴, 상징, 주제를 그려 주면서 성 경의 통일된 메시지를 이해시켜 줄 뿐 아니라 거대한 구 속의 이야기에서 우리가 서 있는 자리를 알려 줄 것이다.
를 고려하면서 구약과 신약을 한 성경의 맥락에서 기독교적으로 해석하는 틀을 제 시한다. 결론에서는 이 책의 주요 주제들을 요약하고 이 주제들이 오늘날 성경을 사용하는 방식에 어떤 함의를 갖는지를 살핀다.
임 | 요한 옮김
성경신학 토머스 슈라이너 지음 | 강대훈 옮김 | 656페이지 | 34,000원
학문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학자인 토머
Two Testaments, One Bible The The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Old and New Testaments
구약과 신약의 관계
지은이
데이비드 베이커( David L. Baker ) 영국 셰필드 대학교에서 구약과 신약의 관계 연구로
데이비드 베이커 지음 | 임요한 옮김
박사학위를 받았고, 캠브리지 대학교 내에 있는 틴데 일 하우스의 대표 책임자였다. 최근까지 호주 퍼스 지역에 있는 트리니티 신학교의 구약 조교수로 재직 하다가 현재는 캠브리지 대학교에서 강사로 활동 중 이다.
데이비드 베이커 지음
제임스 해밀턴 지음 | 김희정 옮김 | 120페이지 | 6,000원
구약과 신약의 관계
Two Testaments, One Bible
옮긴이
임요한 서울대학교 종교학과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 업했고, 미국의 고든 콘웰 신학교에서 구약학 석사를, 남아공에 있는 프레토리아 대학교에서 구약학 박사 학위 (Ph.D.) 를 받았다. 『구약 주해와 텍스트 언어학』 을 저술했고, 『한 권으로 읽는 조나단 에드워즈 신학』 (부 흥과개혁사) 을
번역했다.
스 슈라이너의 최신작이 나왔다. 이 책 은 성경 전권에 대한 신학적 개관으로, 정경인 최종 본문 의 각 권 내용을 성경신학적 주제를 따라 설명하면서 성 경 전체의 흐름에 주목하게 한다.
ISBN 978-89-6092-436-9 www.rnrbook.com 값 22,000원
표지 Hans Holbein the Younger, An Allegory of the Old and New Testaments
Two Testaments,
목차
서문
10
약어
13
2.4. 17~19세기•48 a. 정통주의 | b. 정통주의에 대한 반응 | c. 프리드리히 슐라이에르마허 | d. 역사비평 | e. 보수주의의 반응
제1부
문제
1장 성경적 토대•22
1.1. 서론•22
1.2. 구약의 관점•25
1.3. 신약의 관점•33
a. 예수님과 구약 | b. 기독교 신학의 토대 | c. 구약에 대한 신약의 해석 |
d. 성취와 해결
2장 성경 해석의 역사•38
a. 커크패트릭 | b. 오틀리 | c. 분석 | d. 보수주의
2.6. 신마르키온주의•58 a. 나치 성경 | b. 구약에 대한 변호 | c. 암묵적 마르키온주의
2.7. 중요한 네 시기•62 a. 1930년대 | b. 1950년대 | c. 1970년대 | d. 1990년대
a. 미래에 대한 기대의 발전 | b. 예언적 종말론 | c. 묵시적 종말론 | d. 기대와 긴장
2.5. 발전론적 접근•51
2.1. 초기 교회•38
제2부
현대의 네 가지 해결책
3장 본질적인 성경으로서의 신약•74
3.1. 루돌프 불트만•74 a. 구약과 기독교 신앙 | b. 예언과 성취
a. 속사도들 | b. 마르키온 | c. 마르키온에 대한 반응 |
d. 데오도레와 아우구스티누스
a. 실존 | b. 역사 | c. 율법과 복음 | d. 실패와 약속 | e. 하나님의 백성 |
f. 대조의 관계
2.2. 중세•42
2.3. 종교개혁 시대•43
a. 마틴 루터 | b. 존 칼빈 | c. 재세례파 | d. 트리엔트 공의회
One Bible
3.2. 비판•87
3.3. 비교•97
a. 엠마누엘 허쉬 | b. 프리드리히 바움개르텔 | c. 프란츠 헤세 |
d. 안토니우스 군네벡
Two Testaments,
목차
서문
10
약어
13
2.4. 17~19세기•48 a. 정통주의 | b. 정통주의에 대한 반응 | c. 프리드리히 슐라이에르마허 | d. 역사비평 | e. 보수주의의 반응
제1부
문제
1장 성경적 토대•22
1.1. 서론•22
1.2. 구약의 관점•25
1.3. 신약의 관점•33
a. 예수님과 구약 | b. 기독교 신학의 토대 | c. 구약에 대한 신약의 해석 |
d. 성취와 해결
2장 성경 해석의 역사•38
a. 커크패트릭 | b. 오틀리 | c. 분석 | d. 보수주의
2.6. 신마르키온주의•58 a. 나치 성경 | b. 구약에 대한 변호 | c. 암묵적 마르키온주의
2.7. 중요한 네 시기•62 a. 1930년대 | b. 1950년대 | c. 1970년대 | d. 1990년대
a. 미래에 대한 기대의 발전 | b. 예언적 종말론 | c. 묵시적 종말론 | d. 기대와 긴장
2.5. 발전론적 접근•51
2.1. 초기 교회•38
제2부
현대의 네 가지 해결책
3장 본질적인 성경으로서의 신약•74
3.1. 루돌프 불트만•74 a. 구약과 기독교 신앙 | b. 예언과 성취
a. 속사도들 | b. 마르키온 | c. 마르키온에 대한 반응 |
d. 데오도레와 아우구스티누스
a. 실존 | b. 역사 | c. 율법과 복음 | d. 실패와 약속 | e. 하나님의 백성 |
f. 대조의 관계
2.2. 중세•42
2.3. 종교개혁 시대•43
a. 마틴 루터 | b. 존 칼빈 | c. 재세례파 | d. 트리엔트 공의회
One Bible
3.2. 비판•87
3.3. 비교•97
a. 엠마누엘 허쉬 | b. 프리드리히 바움개르텔 | c. 프란츠 헤세 |
d. 안토니우스 군네벡
Two Testaments, 4장 동등한 기독교 경전으로서의 구약과 신약•108
6장 하나의 구원사로서의 구약과 신약•182
4.1. 빌헬름 피셔•108 a. 그리스도에 대한 구약의 증언 | b. 구약 해석 | c. 모든 곳에서 성경은 오직 그리스도에 대한 것이다.
4.2. 비판•117
a. 방법 | b. 구약의 그리스도로서의 예수님 | c. 기독론적 구약 해석 |
d. 초시간적인 계시 | e. 동일성의 관계
4.3. 비교•123
6.1. 게르하르트 폰 라트•182 a. 실현 ( Actualization ) | b. 세상과 인간 | c. 구원 사건 | d. 율법
6.2. 비판•190
a. 역사와 사실성 | b. 역사와 이야기 | c. 전승사 | d. 구원사 |
e. 실재의 문제 | f. 실현의 관계
6.3. 비교•205 a. 오스카 쿨만과 조지 어네스트 라이트 | b. 새뮤얼 암슬러 |
a. 칼 바르트 | b. 에드몽 자콥 | c. 조지 나이트 | d. 브레바드 차일즈 |
c.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 d. 위르겐 몰트만 |
e. 크리스토퍼 자이츠
e. 하르트무트 게제와 페터 슈툴마허
5장 본질적인 성경으로서의 구약•139
5.1. 아놀트 판 룰러•139 a. 구약 자체 | b. 구약과 그리스도 | c. 구약과 교회
5.2. 비판•154 a. 부조화 | b. “잔여분” | c. 하나님의 “비상조치”로서의 예수 그리스도 | d. 창조와 구원 | e. 하나님 나라 | f. 우선순위의 관계
제3부
5.3. 비교•165 a. 코르넬리스 미스코테 | b. 제임스 바 | c. 월터 브루그만 | d. 존 골딩게이 | e. “분파주의적 조급함”
네 가지 핵심 주제
7장 모형론•220
7.1. 현대 학계에서의 모형론•220
a. 모형론의 현대적 정의 | b. 구약의 모형론 | c. 신약의 모형론 |
d. 구약과 신약의 관계
7.2. 모형론의 토대•228 a. 모범과 패턴 | b. 유비와 상응 | c. 예증 ( illustration )
7.3. 모형의 특성•235 a. 원리와 정의 | b. 모형론에 대한 잘못된 개념 | c. 모형에 대한 제안된 특성 | d. 공상적인 해석과의 혼동 |
One Bible 6
구약과 신약의 관계
e. “더 충만한 의미” | f. 모형과 패러다임 | g. 유비의 관계
7
Two Testaments, 4장 동등한 기독교 경전으로서의 구약과 신약•108
6장 하나의 구원사로서의 구약과 신약•182
4.1. 빌헬름 피셔•108 a. 그리스도에 대한 구약의 증언 | b. 구약 해석 | c. 모든 곳에서 성경은 오직 그리스도에 대한 것이다.
4.2. 비판•117
a. 방법 | b. 구약의 그리스도로서의 예수님 | c. 기독론적 구약 해석 |
d. 초시간적인 계시 | e. 동일성의 관계
4.3. 비교•123
6.1. 게르하르트 폰 라트•182 a. 실현 ( Actualization ) | b. 세상과 인간 | c. 구원 사건 | d. 율법
6.2. 비판•190
a. 역사와 사실성 | b. 역사와 이야기 | c. 전승사 | d. 구원사 |
e. 실재의 문제 | f. 실현의 관계
6.3. 비교•205 a. 오스카 쿨만과 조지 어네스트 라이트 | b. 새뮤얼 암슬러 |
a. 칼 바르트 | b. 에드몽 자콥 | c. 조지 나이트 | d. 브레바드 차일즈 |
c.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 d. 위르겐 몰트만 |
e. 크리스토퍼 자이츠
e. 하르트무트 게제와 페터 슈툴마허
5장 본질적인 성경으로서의 구약•139
5.1. 아놀트 판 룰러•139 a. 구약 자체 | b. 구약과 그리스도 | c. 구약과 교회
5.2. 비판•154 a. 부조화 | b. “잔여분” | c. 하나님의 “비상조치”로서의 예수 그리스도 | d. 창조와 구원 | e. 하나님 나라 | f. 우선순위의 관계
제3부
5.3. 비교•165 a. 코르넬리스 미스코테 | b. 제임스 바 | c. 월터 브루그만 | d. 존 골딩게이 | e. “분파주의적 조급함”
네 가지 핵심 주제
7장 모형론•220
7.1. 현대 학계에서의 모형론•220
a. 모형론의 현대적 정의 | b. 구약의 모형론 | c. 신약의 모형론 |
d. 구약과 신약의 관계
7.2. 모형론의 토대•228 a. 모범과 패턴 | b. 유비와 상응 | c. 예증 ( illustration )
7.3. 모형의 특성•235 a. 원리와 정의 | b. 모형론에 대한 잘못된 개념 | c. 모형에 대한 제안된 특성 | d. 공상적인 해석과의 혼동 |
One Bible 6
구약과 신약의 관계
e. “더 충만한 의미” | f. 모형과 패러다임 | g. 유비의 관계
7
Two Testaments, 8장 약속과 성취•249
8.1. 예견, 예언, 약속•249 a. 세 영국 학자 | b. 세 독일 학자 |
c. 성경 주석 ( Biblischer Kommentar ) 그룹 | d. 일치된 합의 | e. 정의
a. 용어 | b. 기본적인 약속 | c. 다윗에게 한 약속 | d. 선지서
d. 완성이 없는 성취 | e. 상호의존 관계
9장 연속성과 불연속성•287
10.3. 새 언약•337 a. 예언 메시지 | b. 새 언약의 새로움 | c. 신약에서의 새 언약
제4부
8.3. 약속의 성취•272 a. 용어 | b. 구약 안에서의 성취 | c.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성취 |
a. 초기 | b. 군주제 | c. 포로기 이후
8.2. 구약에서의 약속•264
10.2. 언약 파기와 갱신•327
11장 구약과 신약의 신학적 관계•352
9.1. 연속성과 불연속성•287 a. 계속되는 역사 | b. 중간기 | c. 유대교와 기독교 | d. 역사적 불연속성
9.2. 이스라엘과 교회•294
a. 신학적 통일성 | b. 신학적 다양성 | c. 긴장 관계
11.1. 문제 요약•352 a. 성경의 토대 | b. 역사적 개관 | c. “신약” 해결책 | d. “구약” 해결책 | e. “성경적” 해결책의 필요성
a. 새 이스라엘 | b. 하나님의 한 백성 | c. 팔레스타인, 유대인, 유대교
9.3. 다양성 내의 통일성•303
결론
11.2. “성경적” 해결책을 향해•357 a. 기독론 | b. 구원사 | c. 모형론 | d. 약속과 성취 | e. 연속성과 불연속성 | f. 언약
11.3. 신학과 교회를 위한 함의•365 a. 구약의 권위 | b. 구약과 신약 해석 | c. 성경신학
10장 언약•311
10.1. 구약•311
a. 용어 | b. 구약에서의 언약 | c. 하나님과 아브라함이 맺은 언약 |
d. 언약의 확증 | e. 언약과 예배
One Bible 8
구약과 신약의 관계
참고문헌
372
9
Two Testaments, 8장 약속과 성취•249
8.1. 예견, 예언, 약속•249 a. 세 영국 학자 | b. 세 독일 학자 |
c. 성경 주석 ( Biblischer Kommentar ) 그룹 | d. 일치된 합의 | e. 정의
a. 용어 | b. 기본적인 약속 | c. 다윗에게 한 약속 | d. 선지서
d. 완성이 없는 성취 | e. 상호의존 관계
9장 연속성과 불연속성•287
10.3. 새 언약•337 a. 예언 메시지 | b. 새 언약의 새로움 | c. 신약에서의 새 언약
제4부
8.3. 약속의 성취•272 a. 용어 | b. 구약 안에서의 성취 | c.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성취 |
a. 초기 | b. 군주제 | c. 포로기 이후
8.2. 구약에서의 약속•264
10.2. 언약 파기와 갱신•327
11장 구약과 신약의 신학적 관계•352
9.1. 연속성과 불연속성•287 a. 계속되는 역사 | b. 중간기 | c. 유대교와 기독교 | d. 역사적 불연속성
9.2. 이스라엘과 교회•294
a. 신학적 통일성 | b. 신학적 다양성 | c. 긴장 관계
11.1. 문제 요약•352 a. 성경의 토대 | b. 역사적 개관 | c. “신약” 해결책 | d. “구약” 해결책 | e. “성경적” 해결책의 필요성
a. 새 이스라엘 | b. 하나님의 한 백성 | c. 팔레스타인, 유대인, 유대교
9.3. 다양성 내의 통일성•303
결론
11.2. “성경적” 해결책을 향해•357 a. 기독론 | b. 구원사 | c. 모형론 | d. 약속과 성취 | e. 연속성과 불연속성 | f. 언약
11.3. 신학과 교회를 위한 함의•365 a. 구약의 권위 | b. 구약과 신약 해석 | c. 성경신학
10장 언약•311
10.1. 구약•311
a. 용어 | b. 구약에서의 언약 | c. 하나님과 아브라함이 맺은 언약 |
d. 언약의 확증 | e. 언약과 예배
One Bible 8
구약과 신약의 관계
참고문헌
372
9
| 서문 |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도 의심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질문이 지속 적으로 제기된다. 실제로 많은 그리스도인이 구약을 거의 읽지 않으 며, 설교는 성경에 근거한다고 하지만 대체로 신약 본문과 주제에만 근거한다. 동시에 교회에서 “구약”이라고 부르는 것이 유대교에서 는 유일한 성경으로 인식되며, 그래서 어떤 그리스도인은 그것을 “히브리 성경”이라고 부르며, 기독교의 방식보다는 유대교의 방식 으로 해석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느낀다. 이 책은 “구약”을 신약과의 관계 연구를 통해 구약을 기독교 성경 으로 지속적으로 수용할 만한 신학적 토대를 조사한다. 학자들은 다 양한 측면에서 이 주제에 대해 어마어마한 분량의 책을 썼으나, 이 책에서는 네 가지 주요 접근을 대표하는 가장 중요한 저술들을 분 석하고 비평하고 비교하면서, 독자들에게 주요 이슈들을 소개할 것
오늘날 우리는 구약이 필요한가? 이 고대 저술의 모음집은 우리
이다. 그리고 나서 “모형론,” “약속과 성취,” “연속성과 불연속성,”
의 포스트모던 세계와 점차적으로 대두하는 포스트모던 문학 세계
“언약” 등의 네 가지 핵심 주제를 소개할 것인데, 이 주제들은 한 성
에도 여전히 적실한 것일까? 적어도 우리에게 책이 필요하다면, 신
경이라는 맥락에서 구약과 신약을 기독교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틀
약 성경이 기독교 신앙에 대한 충분한 토대가 되지 않는가? 이스라
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오늘날 성경을 사용하는 데 이 틀들이 지
엘의 영웅과 반 ( 反 ) 영웅이 등장하는 훨씬 오래된 고대 세계에서 그
니는 함축적 의미에 대한 주요 결론과 고려 사항을 요약할 것이다.
리스도인에게 지속적으로 가치 있는 것을 찾아내려고 노력하지 않
이 연구는 박사 논문 주제로 시작했으며, 1975년 셰필드 대학교
고서는, 예수님과 바울의 가르침을 상황화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
에서 통과되었고, 1976년 IVP에서 출판됐다. 상당한 개정을 거친
이 분명하다. 구약에 나타난 권능과 영광의 하나님은 신약에서 예수
2판은 1991년 아폴로스에서 출간됐다. 어떤 항목은 축약하거나 생
님이 “아버지”라고 부르는 사랑의 하나님과 무슨 관계가 있는가?
략하면서, 자료를 재구성하고 최신 정보로 수정한 반면, 어떤 항목
매우 다른 구약과 신약이 정말로 한 성경인가?
은 확장하고 몇 가지 완전히 새로운 항목을 포함시켰다. 인도네시아
지난 2천년 동안 교회는 끊임없이 구약과 신약 모두를 성경으로
어 판은 더 많이 수정했으며 1993년에 출판됐다. 영어로 된 이번 개
받아들이는 문제에 대한 도전에 직면했다. 이 도전 가운데 어떤 것
정3판은 완전히 개정됐으며, 각주와 참고문헌도 최신화했다. 몇 가
도 성공적이지 못했다. 21세기가 시작할 즈음, 성경에 대한 견해는
지 완전히 새로운 항목 ( 1990년대의
다른 전통들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초기 교회와 동일한 책을
골딩게이[Goldingay] ) 과
10
구약과 신약의 관계
동향, 자이츠[Seitz], 브루그만[Brueggemann],
새로운 장 ( 언약에 대한 ) 을 추가했다.
서문
11
| 서문 |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도 의심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질문이 지속 적으로 제기된다. 실제로 많은 그리스도인이 구약을 거의 읽지 않으 며, 설교는 성경에 근거한다고 하지만 대체로 신약 본문과 주제에만 근거한다. 동시에 교회에서 “구약”이라고 부르는 것이 유대교에서 는 유일한 성경으로 인식되며, 그래서 어떤 그리스도인은 그것을 “히브리 성경”이라고 부르며, 기독교의 방식보다는 유대교의 방식 으로 해석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느낀다. 이 책은 “구약”을 신약과의 관계 연구를 통해 구약을 기독교 성경 으로 지속적으로 수용할 만한 신학적 토대를 조사한다. 학자들은 다 양한 측면에서 이 주제에 대해 어마어마한 분량의 책을 썼으나, 이 책에서는 네 가지 주요 접근을 대표하는 가장 중요한 저술들을 분 석하고 비평하고 비교하면서, 독자들에게 주요 이슈들을 소개할 것
오늘날 우리는 구약이 필요한가? 이 고대 저술의 모음집은 우리
이다. 그리고 나서 “모형론,” “약속과 성취,” “연속성과 불연속성,”
의 포스트모던 세계와 점차적으로 대두하는 포스트모던 문학 세계
“언약” 등의 네 가지 핵심 주제를 소개할 것인데, 이 주제들은 한 성
에도 여전히 적실한 것일까? 적어도 우리에게 책이 필요하다면, 신
경이라는 맥락에서 구약과 신약을 기독교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틀
약 성경이 기독교 신앙에 대한 충분한 토대가 되지 않는가? 이스라
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오늘날 성경을 사용하는 데 이 틀들이 지
엘의 영웅과 반 ( 反 ) 영웅이 등장하는 훨씬 오래된 고대 세계에서 그
니는 함축적 의미에 대한 주요 결론과 고려 사항을 요약할 것이다.
리스도인에게 지속적으로 가치 있는 것을 찾아내려고 노력하지 않
이 연구는 박사 논문 주제로 시작했으며, 1975년 셰필드 대학교
고서는, 예수님과 바울의 가르침을 상황화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
에서 통과되었고, 1976년 IVP에서 출판됐다. 상당한 개정을 거친
이 분명하다. 구약에 나타난 권능과 영광의 하나님은 신약에서 예수
2판은 1991년 아폴로스에서 출간됐다. 어떤 항목은 축약하거나 생
님이 “아버지”라고 부르는 사랑의 하나님과 무슨 관계가 있는가?
략하면서, 자료를 재구성하고 최신 정보로 수정한 반면, 어떤 항목
매우 다른 구약과 신약이 정말로 한 성경인가?
은 확장하고 몇 가지 완전히 새로운 항목을 포함시켰다. 인도네시아
지난 2천년 동안 교회는 끊임없이 구약과 신약 모두를 성경으로
어 판은 더 많이 수정했으며 1993년에 출판됐다. 영어로 된 이번 개
받아들이는 문제에 대한 도전에 직면했다. 이 도전 가운데 어떤 것
정3판은 완전히 개정됐으며, 각주와 참고문헌도 최신화했다. 몇 가
도 성공적이지 못했다. 21세기가 시작할 즈음, 성경에 대한 견해는
지 완전히 새로운 항목 ( 1990년대의
다른 전통들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초기 교회와 동일한 책을
골딩게이[Goldingay] ) 과
10
구약과 신약의 관계
동향, 자이츠[Seitz], 브루그만[Brueggemann],
새로운 장 ( 언약에 대한 ) 을 추가했다.
서문
11
많은 교사와 동료, 학생, 친구들이 직간접적으로 이 책의 다양한
| 약어 |
개정판에 기여했으며, 여기서 모두 이름을 불러가며 감사할 수 없을 정도다. 내 아내 엘리자베스만 언급하겠는데, 아내는 초고를 읽어 주었으며, 이 계획을 마칠 수 있도록 권하고 단순히 곁에 있어 주기 도 하면서 상당한 기여를 했다. 내 부모님은 내 인생 모든 순간에 끊임없이 나를 지지하고 격려해 주셨다. 나는 이 책을 내 어머니, 그리고 이 책이 인쇄소로 넘겨졌을 즈음에 돌아가신 아버지께 바친다.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자는 죽어도 살겠고 무릇 살아서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죽지 아니하리니”( 요 11:25~26 ). 데이비드 L. 베이커 ( David L. Baker )
성경역본 AV Authorized ( King James ) Version ( 1611 ) ESV English Standard Version ( 2001 ) LXX Septuagint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 1984 ) NJB New Jerusalem Bible ( 1985 ) NRSV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Anglicized edition ( 1989, 1995 ) REB Revised English Bible ( 1989 )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 1952 ) TEV 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 1976 ) TNIV Today’s New International Version ( 2005 ) 일러두기: 성경구절 인용은 별도의 언급이 없을 경우 개역개정을 사용했다 ( 원서는
NRSV 사용 ).
구약 성경을 인용할 때는 히브리 성경을
사용하는 독자들이 차이를 알아볼 것을 고려하여 우리말 성경의 장 절 번호를 따랐다.
12
구약과 신약의 관계
약어
13
많은 교사와 동료, 학생, 친구들이 직간접적으로 이 책의 다양한
| 약어 |
개정판에 기여했으며, 여기서 모두 이름을 불러가며 감사할 수 없을 정도다. 내 아내 엘리자베스만 언급하겠는데, 아내는 초고를 읽어 주었으며, 이 계획을 마칠 수 있도록 권하고 단순히 곁에 있어 주기 도 하면서 상당한 기여를 했다. 내 부모님은 내 인생 모든 순간에 끊임없이 나를 지지하고 격려해 주셨다. 나는 이 책을 내 어머니, 그리고 이 책이 인쇄소로 넘겨졌을 즈음에 돌아가신 아버지께 바친다.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자는 죽어도 살겠고 무릇 살아서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죽지 아니하리니”( 요 11:25~26 ). 데이비드 L. 베이커 ( David L. Baker )
성경역본 AV Authorized ( King James ) Version ( 1611 ) ESV English Standard Version ( 2001 ) LXX Septuagint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 1984 ) NJB New Jerusalem Bible ( 1985 ) NRSV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Anglicized edition ( 1989, 1995 ) REB Revised English Bible ( 1989 )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 1952 ) TEV 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 1976 ) TNIV Today’s New International Version ( 2005 ) 일러두기: 성경구절 인용은 별도의 언급이 없을 경우 개역개정을 사용했다 ( 원서는
NRSV 사용 ).
구약 성경을 인용할 때는 히브리 성경을
사용하는 독자들이 차이를 알아볼 것을 고려하여 우리말 성경의 장 절 번호를 따랐다.
12
구약과 신약의 관계
약어
13
간행물, 시리즈, 관련서적 AB Anchor Bible ABD The Anchor Bible Dictionary, ed. David Noel Freedman (6 vols.; New York: Doubleday, 1992) AER American Ecclesiastical Review AmUS American University Studies AnBib Analecta biblica ASNU Acta Seminarii Neotestamentici Upsaliensis ATM Altes Testament und Moderne ATR Anglican Theological Review AUSS Andrews University Seminary Studies BA Biblical Archaeologist BCOTWP Baker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Wisdom and Psalms BETL B i b l i o t h e c a e p h e m e r i d u m t h e o l o g i c a r u m lovaniensium BETS Bulletin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BEvT Beiträge zur evangelischen Theologie BGBH Beiträge zur Geschichte der biblischen Hermeneutik BGLRK Beiträge zur Geschichte and Lehre der Reformierten Kirche Bib Biblica BibInt Biblical Interpretation BIS Biblical Interpretation Series BJRL Bulletin of the John Rylands University Library of Manchester BKAT Biblischer Kommentar Altes Testament BR Biblical Research BRev Bible Review BSac Bibliotheca sacra
14
구약과 신약의 관계
BSem Biblical Seminar BT Bible Translator BTB Biblical Theology Bulletin BTS Biblisch-theologische Studien BU Biblische Untersuchungen BWANT Beiträge zur Wissenschaft vom Alten und Neuen Testament BZ Biblische Zeitschrift BZAW Beihefte zur Zeitschrift für die alttestamentliche Wissenschaft BZNW Beihefte zur Zeitschrift für die neutestamentliche Wissenschaft CahNRT Cahiers de la Nouvelle Revue Théologique CBQ Catholic Biblical Quarterly CBQMS Catholic Biblical Quarterly Monograph Series CBR Currents in Biblical Research CHB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Bible, ed. G. W. H. Lampe et al.(3 vol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3–70) CQR Church Quarterly Review CR:BS Currents in Research: Biblical Studies CRINT C o m p e n d i a r e r u m i u d a i c a r u m a d N o v u m Testamentum CTJ Calvin Theological Journal EAJT East Asia Journal of Theology ERev Ecumenical Review ERT Evangelical Review of Theology ETL Ephemerides theologicae lovanienses ETR Etudes théologiques et religieuses EuroJTh European Journal of Theology EvQ Evangelical Quarterly EvT Evangelische Theologie
약어
15
간행물, 시리즈, 관련서적 AB Anchor Bible ABD The Anchor Bible Dictionary, ed. David Noel Freedman (6 vols.; New York: Doubleday, 1992) AER American Ecclesiastical Review AmUS American University Studies AnBib Analecta biblica ASNU Acta Seminarii Neotestamentici Upsaliensis ATM Altes Testament und Moderne ATR Anglican Theological Review AUSS Andrews University Seminary Studies BA Biblical Archaeologist BCOTWP Baker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Wisdom and Psalms BETL B i b l i o t h e c a e p h e m e r i d u m t h e o l o g i c a r u m lovaniensium BETS Bulletin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BEvT Beiträge zur evangelischen Theologie BGBH Beiträge zur Geschichte der biblischen Hermeneutik BGLRK Beiträge zur Geschichte and Lehre der Reformierten Kirche Bib Biblica BibInt Biblical Interpretation BIS Biblical Interpretation Series BJRL Bulletin of the John Rylands University Library of Manchester BKAT Biblischer Kommentar Altes Testament BR Biblical Research BRev Bible Review BSac Bibliotheca sacra
14
구약과 신약의 관계
BSem Biblical Seminar BT Bible Translator BTB Biblical Theology Bulletin BTS Biblisch-theologische Studien BU Biblische Untersuchungen BWANT Beiträge zur Wissenschaft vom Alten und Neuen Testament BZ Biblische Zeitschrift BZAW Beihefte zur Zeitschrift für die alttestamentliche Wissenschaft BZNW Beihefte zur Zeitschrift für die neutestamentliche Wissenschaft CahNRT Cahiers de la Nouvelle Revue Théologique CBQ Catholic Biblical Quarterly CBQMS Catholic Biblical Quarterly Monograph Series CBR Currents in Biblical Research CHB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Bible, ed. G. W. H. Lampe et al.(3 vol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3–70) CQR Church Quarterly Review CR:BS Currents in Research: Biblical Studies CRINT C o m p e n d i a r e r u m i u d a i c a r u m a d N o v u m Testamentum CTJ Calvin Theological Journal EAJT East Asia Journal of Theology ERev Ecumenical Review ERT Evangelical Review of Theology ETL Ephemerides theologicae lovanienses ETR Etudes théologiques et religieuses EuroJTh European Journal of Theology EvQ Evangelical Quarterly EvT Evangelische Theologie
약어
15
ExpTim Expository Times FAT Forschungen zum Alten Testament FRLANT Forschungen zur Religion und Literatur des Alten und Neuen Testaments GBS Guides to Biblical Scholarship GNS Good News Studies GPBS Global Perspectives on Biblical Scholarship HBT Horizons in Biblical Theology HeyJ Heythrop Journal HT History and Theory HTR Harvard Theological Review HTS Harvard Theological Studies ICC International Critical Commentary IDB 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 ed. G. A. Buttrick (4 vols.; Nashville: Abingdon, 1962) IDBSup T h e I n t e r p re t e r ’ s D i c t i o n a r y o f t h e B i b l e : Supplementary Volume, ed. K. Crim (Nashville: Abingdon, 1976) IJT Indian Journal of Theology Int Interpretation IRT Issues in Religion and Theology ITC International Theological Commentary JAOS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JBC The Jerome Biblical Commentary, ed. Raymond E. Brown et al. (Englewood Cliff s, N. J.: Prentice-Hall, 1968) JBL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JBR Journal of Bible and Religion JBT Jahrbuch für Biblische Theologie JCBRF Journal of the Christian Brethren Research Fellowship JCPS Jewish and Christian Perspectives Series
16
구약과 신약의 관계
JES Journal of Ecumenical Studies JETS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JR Journal of Religion JSNT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JSNTSup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Supplement Series JSOT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JSOTSup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Supplement Series JSS Journal of Semitic Studies JTC Journal for Theology and the Church JTS Journal of Theological Studies KD Kerygma und Dogma LCC Library of Christian Classics LD Lectio divina LEC Library of Early Christianity LHBOTS Library of Hebrew Bible/Old Testament Studies LNTS Library of New Testament Studies LQ Lutheran Quarterly MCNT Modern Concordance to the New Testament, ed. Michael Darton(London: Darton Longman & Todd, 1976) MdB Le monde de la Bible NCB New Century Bible NFT New Frontiers in Theology NICNT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NIDB The New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 ed. Katharine Doob Sakenfeld et al. (5 vols.; Nashville: Abingdon, 2006–) NIDNTT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 ed. C. Brown (3 vols.; Paternoster: Exeter,
약어
17
ExpTim Expository Times FAT Forschungen zum Alten Testament FRLANT Forschungen zur Religion und Literatur des Alten und Neuen Testaments GBS Guides to Biblical Scholarship GNS Good News Studies GPBS Global Perspectives on Biblical Scholarship HBT Horizons in Biblical Theology HeyJ Heythrop Journal HT History and Theory HTR Harvard Theological Review HTS Harvard Theological Studies ICC International Critical Commentary IDB 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 ed. G. A. Buttrick (4 vols.; Nashville: Abingdon, 1962) IDBSup T h e I n t e r p re t e r ’ s D i c t i o n a r y o f t h e B i b l e : Supplementary Volume, ed. K. Crim (Nashville: Abingdon, 1976) IJT Indian Journal of Theology Int Interpretation IRT Issues in Religion and Theology ITC International Theological Commentary JAOS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JBC The Jerome Biblical Commentary, ed. Raymond E. Brown et al. (Englewood Cliff s, N. J.: Prentice-Hall, 1968) JBL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JBR Journal of Bible and Religion JBT Jahrbuch für Biblische Theologie JCBRF Journal of the Christian Brethren Research Fellowship JCPS Jewish and Christian Perspectives Series
16
구약과 신약의 관계
JES Journal of Ecumenical Studies JETS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JR Journal of Religion JSNT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JSNTSup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Supplement Series JSOT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JSOTSup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Supplement Series JSS Journal of Semitic Studies JTC Journal for Theology and the Church JTS Journal of Theological Studies KD Kerygma und Dogma LCC Library of Christian Classics LD Lectio divina LEC Library of Early Christianity LHBOTS Library of Hebrew Bible/Old Testament Studies LNTS Library of New Testament Studies LQ Lutheran Quarterly MCNT Modern Concordance to the New Testament, ed. Michael Darton(London: Darton Longman & Todd, 1976) MdB Le monde de la Bible NCB New Century Bible NFT New Frontiers in Theology NICNT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NIDB The New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 ed. Katharine Doob Sakenfeld et al. (5 vols.; Nashville: Abingdon, 2006–) NIDNTT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 ed. C. Brown (3 vols.; Paternoster: Exeter,
약어
17
1975, 1976, 1978) NIDOTT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and Exegesis, ed. W. A. VanGemeren (5 vols.; Grand Rapids: Zondervan; Carlisle: Paternoster, 1997) NKZ Neue kirchliche Zeitschrift NovTSup Supplements to Novum Testamentum NRTh La nouvelle revue théologique NSBT New Studies in Biblical Theology NTL New Testament Library NTS New Testament Studies OBT Overtures to Biblical Theology OED Oxford English Dictionary, ed. John Simpson & Edmund Weiner(2nd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plus online revisions up to 2008 OTE Old Testament Essays OTL Old Testament Library OTM Old Testament Message OTS Old Testament Studies OtSt Oudtestamentische Studiën PBTM Paternoster Biblical and Theological Monographs PFES Publications of the Finnish Exegetical Society PIBA Proceedings of the Irish Biblical Association Presb Presbyterion QD Quaestiones disputatae RB Revue biblique RevExp Review and Expositor RHPR Revue d’histoire et de philosophie religieuses RTP Revue de theologie et de philosophie RTR Reformed Theological Review SBA Stuttgarter biblische Aufsatzbande SBET Scottish Bulletin of Evangelical Theology
18
구약과 신약의 관계
SBL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SBLD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Dissertation Series SBLM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Monograph Series SBLSym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Symposium Series SBS Stuttgarter Bibelstudien SBT Studies in Biblical Theology SBTS Sources for Biblical and Theological Study Scr Scripture SEÅ Svensk Exegetisk Årsbok SECT Sources of Early Christian Thought SHANE Studies in the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SHBC Smyth & Helwys Bible Commentary SHS Scripture and Hermeneutics Series SJOT Scandinavian Journal of the Old Testament SJT Scottish Journal of Theology SNTSMS Society for New Testament Studies Monograph Series SOTBT Studies in Old Testament Biblical Theology SSN Studia semitica neerlandica TBl Theologische Blätter TDN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d. Gerhard Kittel and Gerhard Friedrich (10 vols.; Grand Rapids, Michigan: Eerdmans, 1964–76; tr. from German, 1933–73) TDO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ed. G. Johannes Botterweck & Helmer Ringgren (15 vols.; Grand Rapids, Michigan: Eerdmans, 1977–2006; tr. from German, 1970-95) Them Themelios ThQ Theologische Quartalschrift ThSt Theologische Studien ThTo Theology Today
약어
19
1975, 1976, 1978) NIDOTT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and Exegesis, ed. W. A. VanGemeren (5 vols.; Grand Rapids: Zondervan; Carlisle: Paternoster, 1997) NKZ Neue kirchliche Zeitschrift NovTSup Supplements to Novum Testamentum NRTh La nouvelle revue théologique NSBT New Studies in Biblical Theology NTL New Testament Library NTS New Testament Studies OBT Overtures to Biblical Theology OED Oxford English Dictionary, ed. John Simpson & Edmund Weiner(2nd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plus online revisions up to 2008 OTE Old Testament Essays OTL Old Testament Library OTM Old Testament Message OTS Old Testament Studies OtSt Oudtestamentische Studiën PBTM Paternoster Biblical and Theological Monographs PFES Publications of the Finnish Exegetical Society PIBA Proceedings of the Irish Biblical Association Presb Presbyterion QD Quaestiones disputatae RB Revue biblique RevExp Review and Expositor RHPR Revue d’histoire et de philosophie religieuses RTP Revue de theologie et de philosophie RTR Reformed Theological Review SBA Stuttgarter biblische Aufsatzbande SBET Scottish Bulletin of Evangelical Theology
18
구약과 신약의 관계
SBL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SBLD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Dissertation Series SBLM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Monograph Series SBLSym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Symposium Series SBS Stuttgarter Bibelstudien SBT Studies in Biblical Theology SBTS Sources for Biblical and Theological Study Scr Scripture SEÅ Svensk Exegetisk Årsbok SECT Sources of Early Christian Thought SHANE Studies in the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SHBC Smyth & Helwys Bible Commentary SHS Scripture and Hermeneutics Series SJOT Scandinavian Journal of the Old Testament SJT Scottish Journal of Theology SNTSMS Society for New Testament Studies Monograph Series SOTBT Studies in Old Testament Biblical Theology SSN Studia semitica neerlandica TBl Theologische Blätter TDN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d. Gerhard Kittel and Gerhard Friedrich (10 vols.; Grand Rapids, Michigan: Eerdmans, 1964–76; tr. from German, 1933–73) TDO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ed. G. Johannes Botterweck & Helmer Ringgren (15 vols.; Grand Rapids, Michigan: Eerdmans, 1977–2006; tr. from German, 1970-95) Them Themelios ThQ Theologische Quartalschrift ThSt Theologische Studien ThTo Theology Today
약어
19
TJ Trinity Journal TLZ Theologische Literaturzeitung TNTC Tyndale New Testament Commentaries TTS Trierer theologische Studien TUGAL Texte und Untersuchungen zur Geschichte der Altchristlichen Literatur TynBul Tyndale Bulletin TZ Theologische Zeitschrift VE Vox evangelica VT Vetus Testamentum VTSup Supplements to Vetus Testamentum WBC Word Biblical Commentary WMANT Wissenschaftliche Monographien zum Alten und Neuen Testament WTJ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WUNT Wissenschaftliche Untersuchungen zum Neuen Testament ZABR Zeitschrift für altorientalische und biblische Rechtsgeschichte ZAW Zeitschrift für die alttestamentliche Wissenschaft ZKTh Zeitschrift für katholische Theologie ZRG Zeitschrift für Religions- und Geistesgeschichte ZSTh Zeitschrift für systematische Theologie ZTK Zeitschrift für Theologie and Kirche
20
구약과 신약의 관계
제1부
문제
약어
21
TJ Trinity Journal TLZ Theologische Literaturzeitung TNTC Tyndale New Testament Commentaries TTS Trierer theologische Studien TUGAL Texte und Untersuchungen zur Geschichte der Altchristlichen Literatur TynBul Tyndale Bulletin TZ Theologische Zeitschrift VE Vox evangelica VT Vetus Testamentum VTSup Supplements to Vetus Testamentum WBC Word Biblical Commentary WMANT Wissenschaftliche Monographien zum Alten und Neuen Testament WTJ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WUNT Wissenschaftliche Untersuchungen zum Neuen Testament ZABR Zeitschrift für altorientalische und biblische Rechtsgeschichte ZAW Zeitschrift für die alttestamentliche Wissenschaft ZKTh Zeitschrift für katholische Theologie ZRG Zeitschrift für Religions- und Geistesgeschichte ZSTh Zeitschrift für systematische Theologie ZTK Zeitschrift für Theologie and Kirche
20
구약과 신약의 관계
제1부
문제
약어
21
1장
과 같이 역설했다.
성경적 토대
다음 글에서 다뤄진 문제만큼 더 긴박하게 집중해야 할 문제 는 없다. 즉 구약과 신약의 관계 문제다.……어떤 전문적인 신 학자나 회중을 이끄는 목사나 평신도든지, 교회의 모든 그리스 도인이라면 직면하는 문제다. 이 문제에 기독교 신앙의 의미가 달려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12년 후 세군도 ( Segundo, 1976 ) 는 다음과 같이 이 문제가 여전히 분 명하게 해결되지 않고 있다고 여겼다.
예를 들어 신약에 나오는 예수님의 계시와 구약에 나오는 하
1.1. 서론
나님의 계시는 정확하게 무슨 관계인가? 믿기 어렵겠지만, 사 실 지난 20세기 동안 기독교인의 삶 가운데 이 기본적이고도
기독교는 기독교의 창시자인 예수 그리스도의 삶, 죽음과 부활, 기독교 교회의 형성을 기록하고 증언한 신약 성경을 가지고 있다.
중요한 질문에 좀처럼 분명한 대답이 제시되지 않았다. 그리고 이 사실은 신학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모든 시대에 신학과 교회가 직면해 있으며, 여전히 오늘날까지도 해 결되어야 할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기독교에도 구약이 필요한가 그
이 문제가 얼마나 복잡한지는 구약과 신약의 관계의 특별한 측면
렇지 않은가의 문제다. 구약을 쓸모없는 것으로 버려야 하는가, 옛
을 연구한 자료들이 매우 방대함에도 불구하고, 21세기에 이르러
시대의 유물로 보존해야 하는가, 학자들이 고전으로 귀하게 여기고
출간된 책들 가운데 극히 일부만이 종합적으로 이 문제에 관여했다
읽어야 하는가, 가끔씩 신약과는 달리 색다르게 사용해야 하는가,
는 점에서도 드러난다. 1 )
아니면 언젠가 필요할 경우를 대비해 상자에 보관해야 하는가? 아
구약과 신약의 관계를 다루는 데 많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가장
니면 구약은 신약와 같이 지속적인 권위와 타당성을 지닌, 기독교 성경의 본질에 속하는가? 버나드 앤더슨 ( Bernhard Anderson, 1964a ) 은 이 문제의 중요성을 기독 교 신앙을 위한 구약의 중요성에 대한 심포지엄의 개회사에서 다음
22
구약과 신약의 관계
1 ) 이 책의 이전 판과는 별도로 다음을 지적할 수 있다. Amsler 1960a; Barr 1966; J. Bright
1967; Gunneweg 1977; Oeming 1987; Childs 1992. 또한 일부 심포지엄이 이 문제를 다룬다, Westermann 1960; B. W. Anderson 1964c; Dohmen & So¨ding 1995; Dimitrov 2004.
1장 성경적 토대
23
1장
과 같이 역설했다.
성경적 토대
다음 글에서 다뤄진 문제만큼 더 긴박하게 집중해야 할 문제 는 없다. 즉 구약과 신약의 관계 문제다.……어떤 전문적인 신 학자나 회중을 이끄는 목사나 평신도든지, 교회의 모든 그리스 도인이라면 직면하는 문제다. 이 문제에 기독교 신앙의 의미가 달려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12년 후 세군도 ( Segundo, 1976 ) 는 다음과 같이 이 문제가 여전히 분 명하게 해결되지 않고 있다고 여겼다.
예를 들어 신약에 나오는 예수님의 계시와 구약에 나오는 하
1.1. 서론
나님의 계시는 정확하게 무슨 관계인가? 믿기 어렵겠지만, 사 실 지난 20세기 동안 기독교인의 삶 가운데 이 기본적이고도
기독교는 기독교의 창시자인 예수 그리스도의 삶, 죽음과 부활, 기독교 교회의 형성을 기록하고 증언한 신약 성경을 가지고 있다.
중요한 질문에 좀처럼 분명한 대답이 제시되지 않았다. 그리고 이 사실은 신학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모든 시대에 신학과 교회가 직면해 있으며, 여전히 오늘날까지도 해 결되어야 할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기독교에도 구약이 필요한가 그
이 문제가 얼마나 복잡한지는 구약과 신약의 관계의 특별한 측면
렇지 않은가의 문제다. 구약을 쓸모없는 것으로 버려야 하는가, 옛
을 연구한 자료들이 매우 방대함에도 불구하고, 21세기에 이르러
시대의 유물로 보존해야 하는가, 학자들이 고전으로 귀하게 여기고
출간된 책들 가운데 극히 일부만이 종합적으로 이 문제에 관여했다
읽어야 하는가, 가끔씩 신약과는 달리 색다르게 사용해야 하는가,
는 점에서도 드러난다. 1 )
아니면 언젠가 필요할 경우를 대비해 상자에 보관해야 하는가? 아
구약과 신약의 관계를 다루는 데 많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가장
니면 구약은 신약와 같이 지속적인 권위와 타당성을 지닌, 기독교 성경의 본질에 속하는가? 버나드 앤더슨 ( Bernhard Anderson, 1964a ) 은 이 문제의 중요성을 기독 교 신앙을 위한 구약의 중요성에 대한 심포지엄의 개회사에서 다음
22
구약과 신약의 관계
1 ) 이 책의 이전 판과는 별도로 다음을 지적할 수 있다. Amsler 1960a; Barr 1966; J. Bright
1967; Gunneweg 1977; Oeming 1987; Childs 1992. 또한 일부 심포지엄이 이 문제를 다룬다, Westermann 1960; B. W. Anderson 1964c; Dohmen & So¨ding 1995; Dimitrov 2004.
1장 성경적 토대
23
명료한 방법은 역사적인 방법인데, 이는 구약과 신약은 역사적으로 관련성을 지니며, 신약이 역사적으로 후대에 속하면서 어느 정도 구 2 )
교회에 대한 이 연구의 함의를 논할 것이다. 이 시점에서 용어를 다루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구약”과 “신
약에서 유래했다는 사실이 매우 자명하기 때문이다. 또한 언어학
약”이라는 용어는 “옛 언약”( 팔라이아 디아데케 ) 과 “새 언약”( 카이네 디아데
적, 문학적, 사회학적, 심리학적, 윤리적 또는 철학적 접근도 가능하
케 ) 에서
다. 하지만 구약과 신약의 관계에 대해 이 모든 관점을 망라하는 포
31절에서 처음 발견된다. 그렇지만 이 용어는 2세기 말 이레나이우
괄적인 연구는 실행할 수 없다는 점이 분명하다.
스 ( Irenaeus ) 의 시기에 즈음해서 정경의 두 부분을 가리키는 명칭으
유래하며, 각각 고린도후서 3장 14절과 예레미야 31장
이 책에서 필자는 이 문제의 신학적 수준에 집중할 것인데 이는
로 사용됐다. 3 ) 최근에는 대안으로 제시된 용어에 대해 많은 논의가
현대 성경학계에서 점차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바, 구약과 신약은 무
있으며, 많은 학자들이 “구약” 대신에 중립적으로 여겨지는 용어인
엇보다도 신학적인 저술이며, 또한 구약과 신약의 언어학적, 역사
“히브리 성경”을 선호하지만, 반면에 다른 학자들은 “첫 언약”( First
적, 윤리적 측면은 이 중심적인 관심에 종속되기 때문이다. 그렇지
Testament ) 을
만 구약과 신약의 관계에 대한 신학적 문제 역시 한 권의 책으로 충
는 대안을 자세히 조사하면서, 이 대안이 심하게 만족스럽지 않다는
분히 다루기엔 너무 복잡하다. 그래서 필자는 자세한 주해적, 역사
것을 보여 준다. 4 ) “신약”을 “둘째 언약”( Second
적 또는 신학적 이슈는 다루지 않고, 그동안 제안되어 왔던 주요
르는 한, “첫 언약”이라는 대안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전통
측면들과 주요 해결책들, 그리고 이와 관련된 주요 이슈들에 초점을
적인 용어에 비해 장점이 있는지가 의심스럽다. “첫째/둘째”의 대
맞출 것이다. 이것은 때때로 중요한 사안들을 오로지 간략하게 다뤄
조는 “옛/새”의 대조보다 더 정확하지도 않고, 더 포괄적이거나 흥
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더 자세한 논의를 위한 참고
미롭지도 않다. 필자에게는 잘 확립된 기존의 용어들을 수정할 필요
사항은 각주에서 제공할 것이다.
가 있다는 주장이 그다지 설득력이 없어 보인다.
선호한다. 자이츠 ( Seitz, 1998: 61~74 ) 는 “히브리 성경”이라 Testament ) 이라고
부
이 책의 1부는 성경적·역사적 개관을 통해 구약과 신약의 신학 적 관계에 대한 문제를 소개할 것이다. 2부는 이 문제에 대한 네 가
1.2. 구약의 관점
지 현대적인 해결책을 연구하는 데 할애할 것이다. 각 경우마다 해 결책을 제시하는 가장 중요한 저자의 저술을 자세히 분석하며 비평
구약과 신약의 관계 문제에 대한 가장 이른 시기의 접근, 그래서
하고, 동일한 범주에 속하는 다른 저술들을 간단히 논의할 것이다.
가장 신뢰할 만한 접근은 신약의 접근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3부는 구약과 신약의 관계와 관련한 네 가지 핵심적인 주제를 다룰
이것이 중요하긴 해도, 역사를 더 거슬러 올라갈 필요가 있다. 이미
것이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연구 결과들을 요약하고 오늘날 신학과 3 ) Trigg 2003: 327; L. M. McDonald 2007: 15. 참고, McKane 1993; Kinzig 1994. 영어 용
어 “testament”는 헬라어 ‘디아데케’의 라틴어 번역인 ‘테스타멘툼’에서 유래한다. 2 ) 예, Noth 1954; Bruce 1969. 아래 9.1.a(287쪽)를 보라.
24
구약과 신약의 관계
4 ) 다음을 또한 보라, B. W. Anderson 1999: 5~7.
1장 성경적 토대
25
명료한 방법은 역사적인 방법인데, 이는 구약과 신약은 역사적으로 관련성을 지니며, 신약이 역사적으로 후대에 속하면서 어느 정도 구 2 )
교회에 대한 이 연구의 함의를 논할 것이다. 이 시점에서 용어를 다루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구약”과 “신
약에서 유래했다는 사실이 매우 자명하기 때문이다. 또한 언어학
약”이라는 용어는 “옛 언약”( 팔라이아 디아데케 ) 과 “새 언약”( 카이네 디아데
적, 문학적, 사회학적, 심리학적, 윤리적 또는 철학적 접근도 가능하
케 ) 에서
다. 하지만 구약과 신약의 관계에 대해 이 모든 관점을 망라하는 포
31절에서 처음 발견된다. 그렇지만 이 용어는 2세기 말 이레나이우
괄적인 연구는 실행할 수 없다는 점이 분명하다.
스 ( Irenaeus ) 의 시기에 즈음해서 정경의 두 부분을 가리키는 명칭으
유래하며, 각각 고린도후서 3장 14절과 예레미야 31장
이 책에서 필자는 이 문제의 신학적 수준에 집중할 것인데 이는
로 사용됐다. 3 ) 최근에는 대안으로 제시된 용어에 대해 많은 논의가
현대 성경학계에서 점차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바, 구약과 신약은 무
있으며, 많은 학자들이 “구약” 대신에 중립적으로 여겨지는 용어인
엇보다도 신학적인 저술이며, 또한 구약과 신약의 언어학적, 역사
“히브리 성경”을 선호하지만, 반면에 다른 학자들은 “첫 언약”( First
적, 윤리적 측면은 이 중심적인 관심에 종속되기 때문이다. 그렇지
Testament ) 을
만 구약과 신약의 관계에 대한 신학적 문제 역시 한 권의 책으로 충
는 대안을 자세히 조사하면서, 이 대안이 심하게 만족스럽지 않다는
분히 다루기엔 너무 복잡하다. 그래서 필자는 자세한 주해적, 역사
것을 보여 준다. 4 ) “신약”을 “둘째 언약”( Second
적 또는 신학적 이슈는 다루지 않고, 그동안 제안되어 왔던 주요
르는 한, “첫 언약”이라는 대안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전통
측면들과 주요 해결책들, 그리고 이와 관련된 주요 이슈들에 초점을
적인 용어에 비해 장점이 있는지가 의심스럽다. “첫째/둘째”의 대
맞출 것이다. 이것은 때때로 중요한 사안들을 오로지 간략하게 다뤄
조는 “옛/새”의 대조보다 더 정확하지도 않고, 더 포괄적이거나 흥
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더 자세한 논의를 위한 참고
미롭지도 않다. 필자에게는 잘 확립된 기존의 용어들을 수정할 필요
사항은 각주에서 제공할 것이다.
가 있다는 주장이 그다지 설득력이 없어 보인다.
선호한다. 자이츠 ( Seitz, 1998: 61~74 ) 는 “히브리 성경”이라 Testament ) 이라고
부
이 책의 1부는 성경적·역사적 개관을 통해 구약과 신약의 신학 적 관계에 대한 문제를 소개할 것이다. 2부는 이 문제에 대한 네 가
1.2. 구약의 관점
지 현대적인 해결책을 연구하는 데 할애할 것이다. 각 경우마다 해 결책을 제시하는 가장 중요한 저자의 저술을 자세히 분석하며 비평
구약과 신약의 관계 문제에 대한 가장 이른 시기의 접근, 그래서
하고, 동일한 범주에 속하는 다른 저술들을 간단히 논의할 것이다.
가장 신뢰할 만한 접근은 신약의 접근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3부는 구약과 신약의 관계와 관련한 네 가지 핵심적인 주제를 다룰
이것이 중요하긴 해도, 역사를 더 거슬러 올라갈 필요가 있다. 이미
것이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연구 결과들을 요약하고 오늘날 신학과 3 ) Trigg 2003: 327; L. M. McDonald 2007: 15. 참고, McKane 1993; Kinzig 1994. 영어 용
어 “testament”는 헬라어 ‘디아데케’의 라틴어 번역인 ‘테스타멘툼’에서 유래한다. 2 ) 예, Noth 1954; Bruce 1969. 아래 9.1.a(287쪽)를 보라.
24
구약과 신약의 관계
4 ) 다음을 또한 보라, B. W. Anderson 1999: 5~7.
1장 성경적 토대
25
구약 자체가 구약과 미래의 신앙 간의 관계에 대해 많은 내용을 언
후대에 나타났다. 이 신앙은 “역사가 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하나님
급했다. 정말로 불트만 ( Bultmann ) 과 폰 라트 ( von Rad ), 그리고 그 밖의
이 이 방향을 설정하시며, 이 방향을 확실히 이루기 위해 하나님이
사람들은 구약의 “미래에 대한 개방성”이 하나님, 인간, 역사에 대
역사 안에서 행하신다”는 확신에 근거했다. 10 ) 이런 신앙을 종종
한 구약의 전망에서 지배적인 요소라고 여겼다. 5 ) 한편 구약은 과거
“종말론”이라고 부르는데, 물론 구약에서는 “마지막 때 있을 일들
와 현재에 속한 실재들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기 때문에 이렇게 미래
에 대한 교리”라는 면밀한 이해가 좀처럼 나타나지 않는다. 11 )
를 전망하는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해서는 안 된다. 6 ) 물론 구약의 신
이스라엘의 종말론의 기원과 토대를 설명하려는 여러 시도가 있
앙 및 종교의 중요한 측면은 구약이 미래를 기대한다는 점에 있다. 7 )
었다. 스멘트 1세 ( Smend, 1893 ) 와 볼츠 ( Volz, 1897 ) 는 그 기원이 민족주 의라고 제안했다. 궁켈 ( Gunkel, 1895 ) 과 그레스만 ( Gressmann, 1905 ) 은 신
a. 미래에 대한 기대의 발전
화적 요소들을 지적하며, 고대 동방의 신화적 사유에 기원한다고 주
이른 시기부터 이스라엘은 미래에 대한 모종의 희망을 품고 있었
장했다. 모빙켈 ( Mowinckel, 1922 ) 은 구약의 기대 사상의 토대가 왕의 즉
다. 이것은 창세기 12장 1~3절, 49장, 출애굽기 3장 8절, 민수기
위식 축제에서, 그리고 이스라엘 왕들이 왕에 대한 이상과 크게 다른
24장, 신명기 33장, 사무엘하 7장, 23장 3~5절, 아모스 5장 18절,
것으로 드러날 때 수반되었던 실망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해한다.
시편 2, 45, 68, 110편 등과 같은 곳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침멀
이런 관찰들이 어느 정도 사실일 수도 있겠지만, 이런 설명들은 이스
리 ( Zimmerli, 1968 ) 는 이 구약의 희망을 아주 자세히 추적하며, 원시 역
라엘의 독특한 미래적 기대 사상을 설명하기에는 부적절하다. 12 )
사에서만 미래에 대한 기대의 일곱 가지 예를 지적한다 ( 창
1:26, 2:17,
구약 종말론은 역사와 신학에 대한 독특한 시각에 근거하는데, 이
이스라엘은 정치적 및 가족
독특한 시각에서 하나님은 이스라엘 역사 가운데 활동하는 것으로
영역 모두에서 물질적이고 영적인 복을 기대하면서 대체로 미래에
보인다. 그래서 구약이 미래에 대해 갖는 희망은 다음과 같은 것들
대해 낙관적인 시각을 가졌다. 이 초기의 구원에 대한 희망은 주로
에 기초한다.
3:14~20, 4:11~15, 6:5~8, 8:21~22, 11:4 ). 8 ) 초기
현 질서가 지속되는 것에 관심을 가졌으며, 예언서에서 발견되는 것 처럼 근본적인 갱신을 예견하지는 않았다. 9 ) 하나님이 미래에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킬 것이라고 믿는 신앙은
• 삶이 어려울 수 있지만 하나님은 실제라는 확신 ( Vriezen 1953 ). • 하나님의 내재성과 숨어계심 사이의 긴장, 그리고 이 긴
5 ) 다음을 보라, Bultmann 1949a: 183. 참고, 15~56; von Rad 1960: 319~322, 332, 361~363,
passim; Zimmerli 1975: 238~240. 참고, Brueggemann 1987; Preuss 1992: 305~307. 6 ) 다음을 보라, Vriezen 1966: 431~432.
10 ) P. R. Davies 1980: 38.
7 ) 구약 종말론에 대한 일반적인 입문서로는 다음을 보라, Petersen 1992; Cook 2007.
11 ) 다음을 보라, Vriezen 1953: 200~203; Jenni 1962; J. Bright 1963; Clements 1965:
8 ) 구약에서 희망에 대한 최근 연구서로는 다음을 보라, Knierim 1995: 244~268. 9 ) 다음을 보라, Eichrodt 1933: 472~480; Jacob 1955b: 319~325; Preuss 1968.
26
구약과 신약의 관계
103~106. 12 ) Eichrodt 1933: 494~499.
1장 성경적 토대
27
구약 자체가 구약과 미래의 신앙 간의 관계에 대해 많은 내용을 언
후대에 나타났다. 이 신앙은 “역사가 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하나님
급했다. 정말로 불트만 ( Bultmann ) 과 폰 라트 ( von Rad ), 그리고 그 밖의
이 이 방향을 설정하시며, 이 방향을 확실히 이루기 위해 하나님이
사람들은 구약의 “미래에 대한 개방성”이 하나님, 인간, 역사에 대
역사 안에서 행하신다”는 확신에 근거했다. 10 ) 이런 신앙을 종종
한 구약의 전망에서 지배적인 요소라고 여겼다. 5 ) 한편 구약은 과거
“종말론”이라고 부르는데, 물론 구약에서는 “마지막 때 있을 일들
와 현재에 속한 실재들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기 때문에 이렇게 미래
에 대한 교리”라는 면밀한 이해가 좀처럼 나타나지 않는다. 11 )
를 전망하는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해서는 안 된다. 6 ) 물론 구약의 신
이스라엘의 종말론의 기원과 토대를 설명하려는 여러 시도가 있
앙 및 종교의 중요한 측면은 구약이 미래를 기대한다는 점에 있다. 7 )
었다. 스멘트 1세 ( Smend, 1893 ) 와 볼츠 ( Volz, 1897 ) 는 그 기원이 민족주 의라고 제안했다. 궁켈 ( Gunkel, 1895 ) 과 그레스만 ( Gressmann, 1905 ) 은 신
a. 미래에 대한 기대의 발전
화적 요소들을 지적하며, 고대 동방의 신화적 사유에 기원한다고 주
이른 시기부터 이스라엘은 미래에 대한 모종의 희망을 품고 있었
장했다. 모빙켈 ( Mowinckel, 1922 ) 은 구약의 기대 사상의 토대가 왕의 즉
다. 이것은 창세기 12장 1~3절, 49장, 출애굽기 3장 8절, 민수기
위식 축제에서, 그리고 이스라엘 왕들이 왕에 대한 이상과 크게 다른
24장, 신명기 33장, 사무엘하 7장, 23장 3~5절, 아모스 5장 18절,
것으로 드러날 때 수반되었던 실망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해한다.
시편 2, 45, 68, 110편 등과 같은 곳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침멀
이런 관찰들이 어느 정도 사실일 수도 있겠지만, 이런 설명들은 이스
리 ( Zimmerli, 1968 ) 는 이 구약의 희망을 아주 자세히 추적하며, 원시 역
라엘의 독특한 미래적 기대 사상을 설명하기에는 부적절하다. 12 )
사에서만 미래에 대한 기대의 일곱 가지 예를 지적한다 ( 창
1:26, 2:17,
구약 종말론은 역사와 신학에 대한 독특한 시각에 근거하는데, 이
이스라엘은 정치적 및 가족
독특한 시각에서 하나님은 이스라엘 역사 가운데 활동하는 것으로
영역 모두에서 물질적이고 영적인 복을 기대하면서 대체로 미래에
보인다. 그래서 구약이 미래에 대해 갖는 희망은 다음과 같은 것들
대해 낙관적인 시각을 가졌다. 이 초기의 구원에 대한 희망은 주로
에 기초한다.
3:14~20, 4:11~15, 6:5~8, 8:21~22, 11:4 ). 8 ) 초기
현 질서가 지속되는 것에 관심을 가졌으며, 예언서에서 발견되는 것 처럼 근본적인 갱신을 예견하지는 않았다. 9 ) 하나님이 미래에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킬 것이라고 믿는 신앙은
• 삶이 어려울 수 있지만 하나님은 실제라는 확신 ( Vriezen 1953 ). • 하나님의 내재성과 숨어계심 사이의 긴장, 그리고 이 긴
5 ) 다음을 보라, Bultmann 1949a: 183. 참고, 15~56; von Rad 1960: 319~322, 332, 361~363,
passim; Zimmerli 1975: 238~240. 참고, Brueggemann 1987; Preuss 1992: 305~307. 6 ) 다음을 보라, Vriezen 1966: 431~432.
10 ) P. R. Davies 1980: 38.
7 ) 구약 종말론에 대한 일반적인 입문서로는 다음을 보라, Petersen 1992; Cook 2007.
11 ) 다음을 보라, Vriezen 1953: 200~203; Jenni 1962; J. Bright 1963; Clements 1965:
8 ) 구약에서 희망에 대한 최근 연구서로는 다음을 보라, Knierim 1995: 244~268. 9 ) 다음을 보라, Eichrodt 1933: 472~480; Jacob 1955b: 319~325; Preuss 1968.
26
구약과 신약의 관계
103~106. 12 ) Eichrodt 1933: 494~499.
1장 성경적 토대
27
장은 하나님의 임재가 다가올 미래에 완전해질 것이라는
1:7, 14; 슥 14:1 ),
희망으로 이어진다 ( Jacob 1955b: 317 ).
고, 사 2:11~12; 렘 3:16~18; 암 3:14 ) 와
• 하나님의 은혜로만 극복될 수 있는 인간의 근본적인 죄와
“보복하시는 날”( 사 34:8, 61:2; 렘 46:10 ), “그날에”( 겔 29:21. 참 같이 관련된 형태의 용어로 독특하게
14 )
표현됐다.
불신앙에 대한 인식 ( Bultmann 1933 ). • 전적으로 새로운 방법일지라도 과거에 하나님이 행했던 것처럼 미래에도 행할 것이라는 예언자적 확신 ( von Rad
영적 회복
선지자들은 하나님의 백성의 회복을 기대한다. 심판 후에 회복이 있을 것이다 ( 렘 29:14, 30:3; 겔 16:53; 습 3:30 ). 민족이 추방될 것이지만 남
1960: 116 ).
은 자들은 돌아올 것이다 ( 사 7:3, 10:20~22; 렘 23:3; 미 2:12; 슥 8장 ). 남은 자 들은 새로운 출애굽에 참여할 것이며 ( 사 4:5, 10:24~27, 35, 51:9~11, 52:12; 호
b. 예언적 종말론
11:10~11; 슥 10:8~11 ) ,
이스라엘의 종말론이 발전한 대표적인 시기는 선지자들의 시대
34:25~31 ),
다. 13 ) 선지자들의 기록 가운데 어느 면을 보더라도 이해할 수 있겠
새 언약을 맺고 ( 렘
30, 33장. 참고, 사 55:3; 겔 16:60,
하나님은 새 영을 주실 것이다 ( 겔 11:19, 36:26, 37:1~14; 욜 2:28. 참
고, 사 11:2; 겔 18:31; 호 6:1~3 ). 15 )
지만, 선지자들의 메시지에는 심판과 구원이 비할 데 없이 분명하게 그려진다. 포로기 이전 선지자들은 이스라엘에 만연한 낙관주의를
물질주의적 희망
공격하며, 하나님의 근본적인 심판을 선언한다. 반면에 포로기의 선
또한 예언적 종말론에는 특히 장소 문제와 관련해 물질주의적 측
지자들은 새로운 시작과 새로운 창조, 새로운 구원을 가리키면서,
면이 존재한다. 이것은 세상의 회복이라는 유토피아적인 개념으로
낙관적 전망을 소개한다. 미래에 대한 선지자적 기대 사상은 최소한
표현되며, 두 가지 주된 흐름이 있다. 하나는 되풀이되는 주제인 낙
네 가지 주요 특징, 즉 시간, 백성, 장소, 인물 등으로 구분하여 다룰
원의 회복이며 ( 사 11:6~9; 25:8; 51:3; 미 4:3 ), 다른 하나는 이와 더불어 회
수 있다.
복되는 거룩한 땅 ( 사 62:4. 참고, 65:17; 렘 30:3, 32:6~15; 겔 20:40~42 ) 과 거룩 한 성읍 ( 사 60~62장; 겔 40~48장; 미 4:1~2; 슥 2장 ) 에 대한 기대다. 16 )
여호와의 날
예언 시대의 시작에서부터, 하나님이 이스라엘 역사에 개입할 시 간 ( “날” ) 이 있을 것임을 믿는 신앙이 있었다 ( 암
5:18~20 ).
이 신앙은
“여호와의 날”( 다음을 또한 보라, 사 13:6, 9; 겔 13:5; 욜 1:15, 2:1, 11, 31, 3:14; 옵 15; 습
ˇ erný 1948; Rowley 1956: 177~201; von Rad 14 ) “여호와의 날”에 대해 다음을 보라, C 1959; Gray 1974; van Leeuwen 1974; House 2007. 참고, Everson 1974. 15 ) 하나님의 백성의 회복에 대해 다음을 보라, Hebert 1941: 58~65; Zimmerli 1960; B. W.
Anderson 1962; 1964b; Ackroyd 1968; Buis 1968; Hasel 1972; Weinfeld 1976. 참고, Barstad 1989. 새 언약을 더 깊이 논의한 것에 대해 아래 10.3.(337쪽)을 보라.
13 ) 다음을 보라, Vriezen 1953; Clements 1965: ch. 6; Zimmerli 1968: 86~137; J. Bright
1976; Hubbard 1983; Gowan 1986.
28
구약과 신약의 관계
16 ) 물질주의적 희망에 대해 다음을 보라, Hebert 1941: 44~52; H. Gross 1956; Porteous
1961.
1장 성경적 토대
29
장은 하나님의 임재가 다가올 미래에 완전해질 것이라는
1:7, 14; 슥 14:1 ),
희망으로 이어진다 ( Jacob 1955b: 317 ).
고, 사 2:11~12; 렘 3:16~18; 암 3:14 ) 와
• 하나님의 은혜로만 극복될 수 있는 인간의 근본적인 죄와
“보복하시는 날”( 사 34:8, 61:2; 렘 46:10 ), “그날에”( 겔 29:21. 참 같이 관련된 형태의 용어로 독특하게
14 )
표현됐다.
불신앙에 대한 인식 ( Bultmann 1933 ). • 전적으로 새로운 방법일지라도 과거에 하나님이 행했던 것처럼 미래에도 행할 것이라는 예언자적 확신 ( von Rad
영적 회복
선지자들은 하나님의 백성의 회복을 기대한다. 심판 후에 회복이 있을 것이다 ( 렘 29:14, 30:3; 겔 16:53; 습 3:30 ). 민족이 추방될 것이지만 남
1960: 116 ).
은 자들은 돌아올 것이다 ( 사 7:3, 10:20~22; 렘 23:3; 미 2:12; 슥 8장 ). 남은 자 들은 새로운 출애굽에 참여할 것이며 ( 사 4:5, 10:24~27, 35, 51:9~11, 52:12; 호
b. 예언적 종말론
11:10~11; 슥 10:8~11 ) ,
이스라엘의 종말론이 발전한 대표적인 시기는 선지자들의 시대
34:25~31 ),
다. 13 ) 선지자들의 기록 가운데 어느 면을 보더라도 이해할 수 있겠
새 언약을 맺고 ( 렘
30, 33장. 참고, 사 55:3; 겔 16:60,
하나님은 새 영을 주실 것이다 ( 겔 11:19, 36:26, 37:1~14; 욜 2:28. 참
고, 사 11:2; 겔 18:31; 호 6:1~3 ). 15 )
지만, 선지자들의 메시지에는 심판과 구원이 비할 데 없이 분명하게 그려진다. 포로기 이전 선지자들은 이스라엘에 만연한 낙관주의를
물질주의적 희망
공격하며, 하나님의 근본적인 심판을 선언한다. 반면에 포로기의 선
또한 예언적 종말론에는 특히 장소 문제와 관련해 물질주의적 측
지자들은 새로운 시작과 새로운 창조, 새로운 구원을 가리키면서,
면이 존재한다. 이것은 세상의 회복이라는 유토피아적인 개념으로
낙관적 전망을 소개한다. 미래에 대한 선지자적 기대 사상은 최소한
표현되며, 두 가지 주된 흐름이 있다. 하나는 되풀이되는 주제인 낙
네 가지 주요 특징, 즉 시간, 백성, 장소, 인물 등으로 구분하여 다룰
원의 회복이며 ( 사 11:6~9; 25:8; 51:3; 미 4:3 ), 다른 하나는 이와 더불어 회
수 있다.
복되는 거룩한 땅 ( 사 62:4. 참고, 65:17; 렘 30:3, 32:6~15; 겔 20:40~42 ) 과 거룩 한 성읍 ( 사 60~62장; 겔 40~48장; 미 4:1~2; 슥 2장 ) 에 대한 기대다. 16 )
여호와의 날
예언 시대의 시작에서부터, 하나님이 이스라엘 역사에 개입할 시 간 ( “날” ) 이 있을 것임을 믿는 신앙이 있었다 ( 암
5:18~20 ).
이 신앙은
“여호와의 날”( 다음을 또한 보라, 사 13:6, 9; 겔 13:5; 욜 1:15, 2:1, 11, 31, 3:14; 옵 15; 습
ˇ erný 1948; Rowley 1956: 177~201; von Rad 14 ) “여호와의 날”에 대해 다음을 보라, C 1959; Gray 1974; van Leeuwen 1974; House 2007. 참고, Everson 1974. 15 ) 하나님의 백성의 회복에 대해 다음을 보라, Hebert 1941: 58~65; Zimmerli 1960; B. W.
Anderson 1962; 1964b; Ackroyd 1968; Buis 1968; Hasel 1972; Weinfeld 1976. 참고, Barstad 1989. 새 언약을 더 깊이 논의한 것에 대해 아래 10.3.(337쪽)을 보라.
13 ) 다음을 보라, Vriezen 1953; Clements 1965: ch. 6; Zimmerli 1968: 86~137; J. Bright
1976; Hubbard 1983; Gowan 1986.
28
구약과 신약의 관계
16 ) 물질주의적 희망에 대해 다음을 보라, Hebert 1941: 44~52; H. Gross 1956; Porteous
1961.
1장 성경적 토대
29
것에 동의한다. 19 )
메시아
마지막으로, 이스라엘의 사상이 미래를 주목할 때, 때때로 이 사
이 발전을 야기한 최초의 동인은, 포로생활에서 큰 희망을 안고
상은 하나님이 보낼 인물에 초점을 두었다. 하나님이 선지자, 사사,
약속의 땅에 돌아왔지만 여전히 외세의 지배를 받고 있으며 다시
제사장, 왕의 형태로 민족의 정치적 또는 영적 필요를 충족시키려
독립국이 될 가망이 거의 없는 자들이 경험한 실망감에서 확인할
고 사람들을 보내신다는 것을 믿는 신앙을 고려할 때, 이것은 그리
수 있다. 유다는 페르시아의 속주로서 이스라엘의 이전 왕국의 그림
놀라운 일이 아니다. 메시아 개념은 구약에서 그것이 유래한 히브
자에 불과했으며, 특별하게 상상력을 펼칠 때라야 영광스러운 회복
리어 단어 ( 마쉬아흐 ) 와 잘 연결되지 않을지라도, 다양한 시대에, 특히
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이 성취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어떻게
다윗의 자손 ( 삼하
42,
예언적 종말론이 포로기 이후 생활의 혹독한 현실과 조화를 이룰
인물과 관련지어 인식될 수 있다. 분명히 메시아
수 있겠는가? 국가의 역사를 넘어 하나님이 시작할 새로운 구원의
에 대한 기대는 구약이 신약을 기대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 가운데
시대를 볼 수 있는 선견자들 ( visionaries ) 이 이 문제를 해결했고, 따라
하나다. 17 )
서 초월주의 ( 하나님의
7장; 사 9, 11장. 참고, 시편 89, 132편 ) 과
49, 50, 53장 ) 이라는
여호와의 종 ( 사
목적이 궁극적으로 이 세상 역사 너머에 성취된다고 이해함 ) 와
이원론 ( 현 시대와 다가올 시대를 대조시킴 ) 으로 향하는 발전이 있었다.
c. 묵시적 종말론 구약 시대의 마지막에 이르러, 묵시가 예언을 대신하기 시작했다. 이 변화의 시작은 이사야 24~27장, 56~66장, 다니엘 7~12장 및 스
이 묵시적 종말론의 독특한 두 가지 특징은 “인자”라는 인물 ( 단 7:13~14 ) 과
죽은 자의 부활에 대한 묘사인데 ( 사 26:19; 단 12장 ), 이 두 가
지 특징은 후기 유대교와 기독교 사상에서 매우 중요해진다. 20 )
가랴 9~14장과 같은 본문에서 볼 수 있으며, 많은 묵시가 신구약 중 간기에 기록됐다. 폰 라트는 묵시 사상의 기원이 지혜 전승에서 발견
d. 기대와 긴장
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18 ) 학자들은 대부분 묵시가 지혜와 연결된
그러므로 현대 성경 연구의 결과 중 하나는 미래에 대한 구약의 기
다는 점을 부인하지는 않지만, 주로 예언에서 발전한다고 이해하는
대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부각시킨 것이었다. 구약이 단지 미래만을 가리킨다고 극단적으로 해석할 필요는 없지만, 미래에 대한 구약의
17 ) 메시아에 대해 다음을 보라, Gressman 1929; Klausner 1950; Mowinckel 1951; Ellison
1953a; Ringgren 1956; Coppens 1968; 1974; Rehm 1968; Becker 1977; Clements
19 ) 예, D. S. Russell 1964; P. D. Hanson 1975; Bauckham 1978.
1989; Struppe 1989; van Groningen 1990; de Jonge 1992; Dassmann & Stemberger
20 ) 묵시록에 대해 다음을 또한 보라, Funk 1969; Koch 1970; Mays 1971; Morris 1973;
1993; J. E. Smith 1993; Kaiser 1995; Satterthwaite et al. 1995; Alexander 1998;
Collins 1979; 1998; Rowland 1982; 2006; P. D. Hanson 1983; 1987; Hellholm 1983;
Horbury 1998; H. G. M. Williamson 1998; Sailhamer 2001; Hess & Carroll Rodas
Hanson et al. 1992; Carey 1993; D. S. Russell 1994; Dumbrell 1997; Cook 2003;
2003; Hossfeld et al. 2004; Mihoc 2004; Porter 2007. 특히 여호와의 종에 대해 다음을
Sandy & O’Hare 2007: 191~233. “인자”(Son of Man)에 대해서는 다음을 보라,
보라, Rowley 1952a; 1952b; Zimmerli & Jeremias 1952; R. F. Johnson 1993; Scobie
Borsch 1967; Ferch 1979; Caragounis 1986; Nickelsburg 1992; 또한 많은 신약신학
2003: 301~466; Dempster 2007.
들. 성경 이외의 묵시록에 대한 번역과 주석은 다음에서 찾을 수 있다, Charlesworth
18 ) Von Rad 1960: 301~308; 1970: 263~282.
30
구약과 신약의 관계
1983.
1장 성경적 토대
31
것에 동의한다. 19 )
메시아
마지막으로, 이스라엘의 사상이 미래를 주목할 때, 때때로 이 사
이 발전을 야기한 최초의 동인은, 포로생활에서 큰 희망을 안고
상은 하나님이 보낼 인물에 초점을 두었다. 하나님이 선지자, 사사,
약속의 땅에 돌아왔지만 여전히 외세의 지배를 받고 있으며 다시
제사장, 왕의 형태로 민족의 정치적 또는 영적 필요를 충족시키려
독립국이 될 가망이 거의 없는 자들이 경험한 실망감에서 확인할
고 사람들을 보내신다는 것을 믿는 신앙을 고려할 때, 이것은 그리
수 있다. 유다는 페르시아의 속주로서 이스라엘의 이전 왕국의 그림
놀라운 일이 아니다. 메시아 개념은 구약에서 그것이 유래한 히브
자에 불과했으며, 특별하게 상상력을 펼칠 때라야 영광스러운 회복
리어 단어 ( 마쉬아흐 ) 와 잘 연결되지 않을지라도, 다양한 시대에, 특히
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이 성취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어떻게
다윗의 자손 ( 삼하
42,
예언적 종말론이 포로기 이후 생활의 혹독한 현실과 조화를 이룰
인물과 관련지어 인식될 수 있다. 분명히 메시아
수 있겠는가? 국가의 역사를 넘어 하나님이 시작할 새로운 구원의
에 대한 기대는 구약이 신약을 기대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 가운데
시대를 볼 수 있는 선견자들 ( visionaries ) 이 이 문제를 해결했고, 따라
하나다. 17 )
서 초월주의 ( 하나님의
7장; 사 9, 11장. 참고, 시편 89, 132편 ) 과
49, 50, 53장 ) 이라는
여호와의 종 ( 사
목적이 궁극적으로 이 세상 역사 너머에 성취된다고 이해함 ) 와
이원론 ( 현 시대와 다가올 시대를 대조시킴 ) 으로 향하는 발전이 있었다.
c. 묵시적 종말론 구약 시대의 마지막에 이르러, 묵시가 예언을 대신하기 시작했다. 이 변화의 시작은 이사야 24~27장, 56~66장, 다니엘 7~12장 및 스
이 묵시적 종말론의 독특한 두 가지 특징은 “인자”라는 인물 ( 단 7:13~14 ) 과
죽은 자의 부활에 대한 묘사인데 ( 사 26:19; 단 12장 ), 이 두 가
지 특징은 후기 유대교와 기독교 사상에서 매우 중요해진다. 20 )
가랴 9~14장과 같은 본문에서 볼 수 있으며, 많은 묵시가 신구약 중 간기에 기록됐다. 폰 라트는 묵시 사상의 기원이 지혜 전승에서 발견
d. 기대와 긴장
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18 ) 학자들은 대부분 묵시가 지혜와 연결된
그러므로 현대 성경 연구의 결과 중 하나는 미래에 대한 구약의 기
다는 점을 부인하지는 않지만, 주로 예언에서 발전한다고 이해하는
대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부각시킨 것이었다. 구약이 단지 미래만을 가리킨다고 극단적으로 해석할 필요는 없지만, 미래에 대한 구약의
17 ) 메시아에 대해 다음을 보라, Gressman 1929; Klausner 1950; Mowinckel 1951; Ellison
1953a; Ringgren 1956; Coppens 1968; 1974; Rehm 1968; Becker 1977; Clements
19 ) 예, D. S. Russell 1964; P. D. Hanson 1975; Bauckham 1978.
1989; Struppe 1989; van Groningen 1990; de Jonge 1992; Dassmann & Stemberger
20 ) 묵시록에 대해 다음을 또한 보라, Funk 1969; Koch 1970; Mays 1971; Morris 1973;
1993; J. E. Smith 1993; Kaiser 1995; Satterthwaite et al. 1995; Alexander 1998;
Collins 1979; 1998; Rowland 1982; 2006; P. D. Hanson 1983; 1987; Hellholm 1983;
Horbury 1998; H. G. M. Williamson 1998; Sailhamer 2001; Hess & Carroll Rodas
Hanson et al. 1992; Carey 1993; D. S. Russell 1994; Dumbrell 1997; Cook 2003;
2003; Hossfeld et al. 2004; Mihoc 2004; Porter 2007. 특히 여호와의 종에 대해 다음을
Sandy & O’Hare 2007: 191~233. “인자”(Son of Man)에 대해서는 다음을 보라,
보라, Rowley 1952a; 1952b; Zimmerli & Jeremias 1952; R. F. Johnson 1993; Scobie
Borsch 1967; Ferch 1979; Caragounis 1986; Nickelsburg 1992; 또한 많은 신약신학
2003: 301~466; Dempster 2007.
들. 성경 이외의 묵시록에 대한 번역과 주석은 다음에서 찾을 수 있다, Charlesworth
18 ) Von Rad 1960: 301~308; 1970: 263~282.
30
구약과 신약의 관계
1983.
1장 성경적 토대
31
기대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인식해야 한다. 구약은 구약 자체로는 불
1.3. 신약의 관점
완전하며 구약의 한계선 밖에 나타난 하나님의 행위에 의해 완성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이 분명하다. 물론 묵시 문학에는 하나님이 주
구약이 신약을 고대하듯이, 신약은 구약을 회고한다. 25 ) 신약 저자
관하는 역사를 순수하게 이스라엘의 민족 역사나 심지어 이 세상의
들은 메시아가 태어났고 오랫동안 기다려 온 인자가 왔다고 확신했
역사보다 훨씬 종합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암시가 있지만, 이
다. 여호와의 날, 즉 주의 날이 시작됐으며, 곧이어 세상과 하나님의
행위는 구약에서 묘사된 행위와 동일한 역사의 맥락에서 동일한 하
백성이 회복되기 시작했다.
나님이 행한 것이다. 새로운 행위는 많은 면에서 이전 행위와 비슷 하지만, 동시에 새로운 행위는 근본적으로 다르고 더욱 광범위할 것
a. 예수님과 구약
이라고 기대된다. 이와 같이 구약은 미래를 고대하며, 기독교 신앙
프랜스 ( France,
에 따르면 신약을 고대한다.
1971 ) 는
예수님의 구약 사용에 모형 ( types ) 과 예
견 ( Prediction ) 이라는 두 가지 주요한 특징이 있었음을 보여 준다. 예
그렇지만 구약은 미래에 대한 기대뿐만 아니라 해결되지 않은 채
수님은 구약 이스라엘의 인물, 제도, 경험에서 자신의 인격과 사역
남아 있는 내적 긴장으로 끝난다. 유대교의 배타주의와 보편적 선교
의 “모형”을 보았으며, 이는 과거와 현재에 있었던 하나님의 행위들
의 관심 사이에 긴장이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이스라엘의 선택과
사이의 연속성을 입증했다. 그리고 예수님은 하나님의 사역에 대한
한 하나님의 세상을 향한 주권을 믿는 신앙에서 도출된다. 21 ) 이스
더 일반적인 단락들뿐만 아니라 구약의 메시아 예언에서 “예
라엘의 지도자 즉 선지자와 제사장과 지혜자 22 ) 사이의 역할, 그리
견”( Prediction ) 을 찾았는데, 이것을 자신의 삶과 미래의 영광으로 성
고 카리스마적인 지도자와 왕조에 속한 군주들 사이의 역할에서 또
취했다.
23 )
한 긴장이 있다.
무엇보다 구약에는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책
그러나 예수님의 구약에 대한 관심은 자신의 생애와 사역에 구체
임 사이에 긴장이 있다. 24 ) 아마도 모든 구약의 저자는 창조 세계와
적으로 반영되거나 성취될 구절들에만 제한되지 않았다. 예레미아
역사에 대한 하나님의 궁극적인 주권을 확신하지만, 실제로는 종종
스 ( Jeremias,
하나님의 목적이 인간이 저지른 죄와 반역 때문에 성취되지 않은
았다.” 예수님은 구약에서 하나님과 인간, 예배, 윤리에 대해 배웠으
채 남겨진 것처럼 보인다.
며, 종종 자신의 가르침에서 구약 언어를 사용했다. 때때로 예수님은
1971: 205 ) 의
표현에 따르면, “예수님은 구약 성경에서 살
25 ) 예수님과 그의 제자들이 아는 “구약”은 1세기 회당에서 읽히고 연구됐던, 주로 히브리
성경의 두루마리일 것이다. 그러나 신약은 헬라어로 기록됐고 헬라어로 된 이전 성경을 21 ) J. Bright 1981: 442~446.
인용했으며, 그래서 저자들은 일반적으로 오늘날 70인역으로 알려진 번역본을 사용했
22 ) 다음을 보라, Whitley 1963: ch. 4; McKane 1965; Clements 1965: ch. 5; 1975: ch. 6.
다. 불가피하게 원 본문과 그 번역 사이에는 차이점이 있지만, 현재의 논쟁에 크게 영향
23 ) 다음을 보라, Eichrodt 1933: 441~442; von Rad 1957: 93~102.
을 미치지는 않는다. 더 깊은 논의를 위해 다음을 보라, Bruce 1988: 27~67; Jobes &
24 ) 다음을 보라, Seeligmann 1963.
Silva 2000; Hengel 2002; Greenspoon 2003; McLay 2003.
32
구약과 신약의 관계
1장 성경적 토대
33
기대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인식해야 한다. 구약은 구약 자체로는 불
1.3. 신약의 관점
완전하며 구약의 한계선 밖에 나타난 하나님의 행위에 의해 완성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이 분명하다. 물론 묵시 문학에는 하나님이 주
구약이 신약을 고대하듯이, 신약은 구약을 회고한다. 25 ) 신약 저자
관하는 역사를 순수하게 이스라엘의 민족 역사나 심지어 이 세상의
들은 메시아가 태어났고 오랫동안 기다려 온 인자가 왔다고 확신했
역사보다 훨씬 종합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암시가 있지만, 이
다. 여호와의 날, 즉 주의 날이 시작됐으며, 곧이어 세상과 하나님의
행위는 구약에서 묘사된 행위와 동일한 역사의 맥락에서 동일한 하
백성이 회복되기 시작했다.
나님이 행한 것이다. 새로운 행위는 많은 면에서 이전 행위와 비슷 하지만, 동시에 새로운 행위는 근본적으로 다르고 더욱 광범위할 것
a. 예수님과 구약
이라고 기대된다. 이와 같이 구약은 미래를 고대하며, 기독교 신앙
프랜스 ( France,
에 따르면 신약을 고대한다.
1971 ) 는
예수님의 구약 사용에 모형 ( types ) 과 예
견 ( Prediction ) 이라는 두 가지 주요한 특징이 있었음을 보여 준다. 예
그렇지만 구약은 미래에 대한 기대뿐만 아니라 해결되지 않은 채
수님은 구약 이스라엘의 인물, 제도, 경험에서 자신의 인격과 사역
남아 있는 내적 긴장으로 끝난다. 유대교의 배타주의와 보편적 선교
의 “모형”을 보았으며, 이는 과거와 현재에 있었던 하나님의 행위들
의 관심 사이에 긴장이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이스라엘의 선택과
사이의 연속성을 입증했다. 그리고 예수님은 하나님의 사역에 대한
한 하나님의 세상을 향한 주권을 믿는 신앙에서 도출된다. 21 ) 이스
더 일반적인 단락들뿐만 아니라 구약의 메시아 예언에서 “예
라엘의 지도자 즉 선지자와 제사장과 지혜자 22 ) 사이의 역할, 그리
견”( Prediction ) 을 찾았는데, 이것을 자신의 삶과 미래의 영광으로 성
고 카리스마적인 지도자와 왕조에 속한 군주들 사이의 역할에서 또
취했다.
23 )
한 긴장이 있다.
무엇보다 구약에는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책
그러나 예수님의 구약에 대한 관심은 자신의 생애와 사역에 구체
임 사이에 긴장이 있다. 24 ) 아마도 모든 구약의 저자는 창조 세계와
적으로 반영되거나 성취될 구절들에만 제한되지 않았다. 예레미아
역사에 대한 하나님의 궁극적인 주권을 확신하지만, 실제로는 종종
스 ( Jeremias,
하나님의 목적이 인간이 저지른 죄와 반역 때문에 성취되지 않은
았다.” 예수님은 구약에서 하나님과 인간, 예배, 윤리에 대해 배웠으
채 남겨진 것처럼 보인다.
며, 종종 자신의 가르침에서 구약 언어를 사용했다. 때때로 예수님은
1971: 205 ) 의
표현에 따르면, “예수님은 구약 성경에서 살
25 ) 예수님과 그의 제자들이 아는 “구약”은 1세기 회당에서 읽히고 연구됐던, 주로 히브리
성경의 두루마리일 것이다. 그러나 신약은 헬라어로 기록됐고 헬라어로 된 이전 성경을 21 ) J. Bright 1981: 442~446.
인용했으며, 그래서 저자들은 일반적으로 오늘날 70인역으로 알려진 번역본을 사용했
22 ) 다음을 보라, Whitley 1963: ch. 4; McKane 1965; Clements 1965: ch. 5; 1975: ch. 6.
다. 불가피하게 원 본문과 그 번역 사이에는 차이점이 있지만, 현재의 논쟁에 크게 영향
23 ) 다음을 보라, Eichrodt 1933: 441~442; von Rad 1957: 93~102.
을 미치지는 않는다. 더 깊은 논의를 위해 다음을 보라, Bruce 1988: 27~67; Jobes &
24 ) 다음을 보라, Seeligmann 1963.
Silva 2000; Hengel 2002; Greenspoon 2003; McLay 2003.
32
구약과 신약의 관계
1장 성경적 토대
33
당대의 해석 방법을 따랐지만, 종종 구약을 해석할 때 매우 혁신적
pesher )
방법을 밝혀준 쿰란 문헌 연구의 결과. 이 방법에서 해석자
이었다. 26 ) 예수님은 한편으로는 구약의 절대적 권위를 확고하게 주
와 거의 동시대에 해당하는 중요한 사건들이 구약 예언이 고대하는
장했으며 ( 마 5:17~20, 22:34~40 ), 다른 한편으로는 구약의 조항들 중 일
실재라고 단언했다. 스텐달 ( Stendahl, 1954 ) 과 엘리스 ( Ellis, 1957 ) 는 이미
부를 더욱 분명히 하거나 중지시켰다 ( 마 5:21~48; 막 7:14~23 ). 27 )
이 방법이 마태와 바울의 성경 해석에 각각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 주었으며, 린다스는 신약 전반에 깔려 있는 이 방법의 영향을 찾는
b. 기독교 신학의 토대
다. 28 ) 특히 린다스는 신약이 구약 본문을 인용한 것에서 두 요인,
초기 교회는 구약의 특정 주요 본문 ( 특히, 이사야, 시편과 소선지서에서 ) 을
즉 적용의 전환과 본문의 수정에 집중하기 위해 양식 비평을 사용
그리스도에 대한 증언으로 해석한 성경 연구 방법을 발전시켰다. 이
한다. 이런 식으로 린다스는 예수님의 수난 및 지상에서의 삶과 탄
방법은 해리스 ( Harris,
생에 대한 묘사를 통해, 예수님의 부활 선언에서의 핵심 및 예수님
1916~1920 ) 와
도드 ( Dodd,
1952 ) 의
대표적인 저술
에서 입증되었으며, 최근에는 알블 ( Albl, 1999 ) 이 이를 검토하고 다듬
의 선재 ( 先在 ) 에 대한 확신까지 초기 교회의 변증을 추적한다.
었다. 이런 해석의 원리는 명료하고 일관되며, 신약의 주요 저자들 은 모두 이런 유형의 본문 선택 방식에 동의한다. 이 구약 본문들과
c. 구약에 대한 신약의 해석
이 본문들에 대한 신약의 해석은 기독교 신학의 토대를 이루는 그
거의 모든 신약 저자는 자주 구약을 인용했으며, 이런 인용은 불가
리스도에 대한 근본적인 개념을 담고 있다. 도드에 따르면, 이런 구
피하게 구약 본문에 대한 해석과 관련된다. 신약의 구약 해석에 대한
절들에서 온 문장들은 독립적인 증언으로서가 아니라 맥락을 지닌
많은 연구가 있었으며, 여기서는 그 상당한 내용을 자세히 다룰 수 없
더 긴 본문 단위를 가리키기 위해 인용된다. 물론 알블은 몇몇 초기
다. 29 ) 현재의 목적을 위해서는 한 가지 주요 요점, 곧 신약 기록을
그리스도인들이 발췌 모음집만을 알고서 폭넓은 성경의 맥락을 알 지 못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 점에 대해 경고한다. 린다스 ( Lindars, 1961 ) 는 자신의 자세한 연구에서, 신약의 구약 인용
28 ) 참고, Fitzmyer 1961; Longenecker 1970. 29 ) 현재 단락에서 논의하고 인용한 저술들뿐만 아니라, 다음을 보라, Shires 1974;
Longenecker 1975; 1987; A. T. Hanson 1980; 1983; Archer & Chirichigno 1983;
이 교리적으로 얼마나 중요한지에 초점을 두었다. 린다스의 연구는
Kaiser 1985; Ellis 1991; Juel 1988; Carson & Williamson 1988; Barrera 1993:
두 가지 주요 전제의 지배를 받는다: ( 1 ) 위에서 언급한 도드의 연
Moyise 2000; 2001; 2008; Juel 2003; C. A. Evans 2004; Osborne 2006: 323~344;
구 결과, ( 2 ) 성경 해석에 대한 독특한 미드라쉬 페셰르 ( midrash
490~513; Evans & Sanders 1993a; 1993b; 1997; Beale 1994; Evans & Stegner 1994; Porter 2006; Beale & Carson 2007; Berding & Lunde 2007. 특별한 신약 저자들이 구약을 사용한 상세한 연구는 다음을 포함한다, 마태복음에 대해 Stendahl(1954) 그리 고 R. H. Gundry(1967); 마가복음에 대해, Suhl(1965); 누가복음에 대해 Bock(1987); 요한복음에 대해 Freed(1965); 바울에 대해 Ellis(1957), A. T. Hanson(1974), R. B.
26 ) France 1971: 172~226.
Hays(1989), Stanley(1992; 2004), Rosner(1994) 그리고 Porter & Stanley(2008); 히
27 ) 다음을 보라, Jeremias 1971: 204~211; Goppelt 1975: 87~105. 구약을 보는 예수님의
브리서에 대해 Schro¨ger(1968). 신약에 있는 특별한 구약 인물, 주제, 본문 연구는 다음
견해에 대해 다음을 또한 보라, J. W. Wenham 1972; Powery 2003. 예수님과 구약의 관
을 포함한다, 아브라함에 대해 Siker(1991); 모세에 대해 Lierman(2004); 엘리야에 대 해 O¨hler(1997); 성막에 대해 Koester(1989); 신명기에 대해 Menken & Moyise(2007)
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연구에 대해 다음을 보라, C. J. H. Wright 1992.
34
구약과 신약의 관계
1장 성경적 토대
35
당대의 해석 방법을 따랐지만, 종종 구약을 해석할 때 매우 혁신적
pesher )
방법을 밝혀준 쿰란 문헌 연구의 결과. 이 방법에서 해석자
이었다. 26 ) 예수님은 한편으로는 구약의 절대적 권위를 확고하게 주
와 거의 동시대에 해당하는 중요한 사건들이 구약 예언이 고대하는
장했으며 ( 마 5:17~20, 22:34~40 ), 다른 한편으로는 구약의 조항들 중 일
실재라고 단언했다. 스텐달 ( Stendahl, 1954 ) 과 엘리스 ( Ellis, 1957 ) 는 이미
부를 더욱 분명히 하거나 중지시켰다 ( 마 5:21~48; 막 7:14~23 ). 27 )
이 방법이 마태와 바울의 성경 해석에 각각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 주었으며, 린다스는 신약 전반에 깔려 있는 이 방법의 영향을 찾는
b. 기독교 신학의 토대
다. 28 ) 특히 린다스는 신약이 구약 본문을 인용한 것에서 두 요인,
초기 교회는 구약의 특정 주요 본문 ( 특히, 이사야, 시편과 소선지서에서 ) 을
즉 적용의 전환과 본문의 수정에 집중하기 위해 양식 비평을 사용
그리스도에 대한 증언으로 해석한 성경 연구 방법을 발전시켰다. 이
한다. 이런 식으로 린다스는 예수님의 수난 및 지상에서의 삶과 탄
방법은 해리스 ( Harris,
생에 대한 묘사를 통해, 예수님의 부활 선언에서의 핵심 및 예수님
1916~1920 ) 와
도드 ( Dodd,
1952 ) 의
대표적인 저술
에서 입증되었으며, 최근에는 알블 ( Albl, 1999 ) 이 이를 검토하고 다듬
의 선재 ( 先在 ) 에 대한 확신까지 초기 교회의 변증을 추적한다.
었다. 이런 해석의 원리는 명료하고 일관되며, 신약의 주요 저자들 은 모두 이런 유형의 본문 선택 방식에 동의한다. 이 구약 본문들과
c. 구약에 대한 신약의 해석
이 본문들에 대한 신약의 해석은 기독교 신학의 토대를 이루는 그
거의 모든 신약 저자는 자주 구약을 인용했으며, 이런 인용은 불가
리스도에 대한 근본적인 개념을 담고 있다. 도드에 따르면, 이런 구
피하게 구약 본문에 대한 해석과 관련된다. 신약의 구약 해석에 대한
절들에서 온 문장들은 독립적인 증언으로서가 아니라 맥락을 지닌
많은 연구가 있었으며, 여기서는 그 상당한 내용을 자세히 다룰 수 없
더 긴 본문 단위를 가리키기 위해 인용된다. 물론 알블은 몇몇 초기
다. 29 ) 현재의 목적을 위해서는 한 가지 주요 요점, 곧 신약 기록을
그리스도인들이 발췌 모음집만을 알고서 폭넓은 성경의 맥락을 알 지 못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 점에 대해 경고한다. 린다스 ( Lindars, 1961 ) 는 자신의 자세한 연구에서, 신약의 구약 인용
28 ) 참고, Fitzmyer 1961; Longenecker 1970. 29 ) 현재 단락에서 논의하고 인용한 저술들뿐만 아니라, 다음을 보라, Shires 1974;
Longenecker 1975; 1987; A. T. Hanson 1980; 1983; Archer & Chirichigno 1983;
이 교리적으로 얼마나 중요한지에 초점을 두었다. 린다스의 연구는
Kaiser 1985; Ellis 1991; Juel 1988; Carson & Williamson 1988; Barrera 1993:
두 가지 주요 전제의 지배를 받는다: ( 1 ) 위에서 언급한 도드의 연
Moyise 2000; 2001; 2008; Juel 2003; C. A. Evans 2004; Osborne 2006: 323~344;
구 결과, ( 2 ) 성경 해석에 대한 독특한 미드라쉬 페셰르 ( midrash
490~513; Evans & Sanders 1993a; 1993b; 1997; Beale 1994; Evans & Stegner 1994; Porter 2006; Beale & Carson 2007; Berding & Lunde 2007. 특별한 신약 저자들이 구약을 사용한 상세한 연구는 다음을 포함한다, 마태복음에 대해 Stendahl(1954) 그리 고 R. H. Gundry(1967); 마가복음에 대해, Suhl(1965); 누가복음에 대해 Bock(1987); 요한복음에 대해 Freed(1965); 바울에 대해 Ellis(1957), A. T. Hanson(1974), R. B.
26 ) France 1971: 172~226.
Hays(1989), Stanley(1992; 2004), Rosner(1994) 그리고 Porter & Stanley(2008); 히
27 ) 다음을 보라, Jeremias 1971: 204~211; Goppelt 1975: 87~105. 구약을 보는 예수님의
브리서에 대해 Schro¨ger(1968). 신약에 있는 특별한 구약 인물, 주제, 본문 연구는 다음
견해에 대해 다음을 또한 보라, J. W. Wenham 1972; Powery 2003. 예수님과 구약의 관
을 포함한다, 아브라함에 대해 Siker(1991); 모세에 대해 Lierman(2004); 엘리야에 대 해 O¨hler(1997); 성막에 대해 Koester(1989); 신명기에 대해 Menken & Moyise(2007)
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연구에 대해 다음을 보라, C. J. H. Wright 1992.
34
구약과 신약의 관계
1장 성경적 토대
35
위한 역사적 신학적 토대가 구약이었다는 점을 확립하는 것으로 충
적 관점으로 인해 신약 저자들은 구약의 특정 부분을 인용하기를
분하며, 따라서 필자는 단지 한 주요 학자의 저술만을 언급할 것이다.
선호하는 데서 일치한다.
암슬러 ( Amsler,
1960a ) 는
의도적으로 해석이 가장 정교한 본문에서
시작해 가장 단순한 본문으로 진행하면서, 히브리서, 베드로전서,
d. 성취와 해결
요한복음, 바울 서신, 사도행전, 공관복음에 나타난 구약 해석을 탐
현대의 성경 연구는 신약이 구약에 의존하는 범위와 방법을 밝혔
구한다. 암슬러는 신약의 해석이 공관복음의 수난과 부활 선언의
다. 신약은 하나님의 새롭고 전례 없는 행위가 나사렛 예수의 인격을
“데이”( ~해야 한다 ) 에 근거한다고 결론 내리는데, 이것은 다음과 같이
통해 나타났다고 선언하지만, 이 선언의 핵심적인 측면은 예수님이
누가복음에 기록된 예수님의 말씀에 요약된다. “내가 너희와 함께
구약의 희망과 기대를 성취했다는 것이다. 게다가 구약 “성경”은 설
있을 때에 너희에게 말한 바 곧 모세의 율법과 선지자의 글과 시편
교, 가르침, 변증, 윤리에서 신약의 교회를 위한 근거와 기준이었다.
에 나를 가리켜 기록된 모든 것이 이루어져야 하리라 ( 데이. “해야 한다” ) 한 말이 이것이라”( 눅
24:44 ).
다른 신약 저자들은 각기 다른 해석에
강조점을 두지만, 다음과 같이 몇 가지 공통된 특징이 있다.
위의 논의는 주로 구약과 신약의 명시적인 관계, 다시 말해서 구 약의 미래적 기대, 신약의 과거에 대한 의존, 그리고 구약과 신약의 관계에 관심을 뒀다. 또한 구약과 신약 사이의 암묵적인 관계와 관 련된 자료를 분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약 내에 있는 암묵적인 긴
• 복음 사건의 중요성은 구약에 비춰볼 때라야 비로소 분명
장은 위에서 언급했으며 ( 1.2.d ), 이런 긴장이 얼마나 깊이 그리고 어
하게 보인다는 점을 인식하면서, 구약에 대해 동일한 기
떤 방법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오심에서 해결되는지를 물을 수도 있
본적인 지향점을 갖는다.
다. 새로운 긴장이 생겼으며, 이제 구약의 의미를 어떻게 새롭게 이
• 구약에서 신약 저자 자신들의 증언을 확증하는 증언을 인 식한다.
해할 수 있게 됐는가? 초기 교회의 한 가지 핵심 이슈는 유대인과 이방인, 이스라엘과 교회 사이의 긴장이며, 또 다른 이슈는 구약 해
• 구약은 사전 증언, 즉 사건이 일어나기 전 구원사에서 사
석이었는데, 그리스도인들은 구약이 예수님을 메시아로 확증한다고
건의 신학적 중요성을 보여 주는 약속이라고 주장한다.
이해했지만, 반면에 유대인은 구약을 근거로 삼아 예수님이 신성을
• 구약을 역사에 나타난 하나님의 계시와 구원을 증언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모독했다고 주장했다. 성경 자료를 고려한 이 시점에서, 이제 우리는 구약과 신약의 관 계라는 신학적 문제를 기독교 성경 해석사에서 어떻게 이해했는지
이 역사적 관점은 당시 유대교의 법적 관점과 대조되며, 이 역사
를 고려할 차례다.
그리고 Allen(2008). 더 자세한 참고문헌에 대해 다음을 보라, Baker 1976a: 34~40; Carson & Williamson 1988; Litwak 1998; Childs 2004: 24~31.
36
구약과 신약의 관계
1장 성경적 토대
37
위한 역사적 신학적 토대가 구약이었다는 점을 확립하는 것으로 충
적 관점으로 인해 신약 저자들은 구약의 특정 부분을 인용하기를
분하며, 따라서 필자는 단지 한 주요 학자의 저술만을 언급할 것이다.
선호하는 데서 일치한다.
암슬러 ( Amsler,
1960a ) 는
의도적으로 해석이 가장 정교한 본문에서
시작해 가장 단순한 본문으로 진행하면서, 히브리서, 베드로전서,
d. 성취와 해결
요한복음, 바울 서신, 사도행전, 공관복음에 나타난 구약 해석을 탐
현대의 성경 연구는 신약이 구약에 의존하는 범위와 방법을 밝혔
구한다. 암슬러는 신약의 해석이 공관복음의 수난과 부활 선언의
다. 신약은 하나님의 새롭고 전례 없는 행위가 나사렛 예수의 인격을
“데이”( ~해야 한다 ) 에 근거한다고 결론 내리는데, 이것은 다음과 같이
통해 나타났다고 선언하지만, 이 선언의 핵심적인 측면은 예수님이
누가복음에 기록된 예수님의 말씀에 요약된다. “내가 너희와 함께
구약의 희망과 기대를 성취했다는 것이다. 게다가 구약 “성경”은 설
있을 때에 너희에게 말한 바 곧 모세의 율법과 선지자의 글과 시편
교, 가르침, 변증, 윤리에서 신약의 교회를 위한 근거와 기준이었다.
에 나를 가리켜 기록된 모든 것이 이루어져야 하리라 ( 데이. “해야 한다” ) 한 말이 이것이라”( 눅
24:44 ).
다른 신약 저자들은 각기 다른 해석에
강조점을 두지만, 다음과 같이 몇 가지 공통된 특징이 있다.
위의 논의는 주로 구약과 신약의 명시적인 관계, 다시 말해서 구 약의 미래적 기대, 신약의 과거에 대한 의존, 그리고 구약과 신약의 관계에 관심을 뒀다. 또한 구약과 신약 사이의 암묵적인 관계와 관 련된 자료를 분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약 내에 있는 암묵적인 긴
• 복음 사건의 중요성은 구약에 비춰볼 때라야 비로소 분명
장은 위에서 언급했으며 ( 1.2.d ), 이런 긴장이 얼마나 깊이 그리고 어
하게 보인다는 점을 인식하면서, 구약에 대해 동일한 기
떤 방법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오심에서 해결되는지를 물을 수도 있
본적인 지향점을 갖는다.
다. 새로운 긴장이 생겼으며, 이제 구약의 의미를 어떻게 새롭게 이
• 구약에서 신약 저자 자신들의 증언을 확증하는 증언을 인 식한다.
해할 수 있게 됐는가? 초기 교회의 한 가지 핵심 이슈는 유대인과 이방인, 이스라엘과 교회 사이의 긴장이며, 또 다른 이슈는 구약 해
• 구약은 사전 증언, 즉 사건이 일어나기 전 구원사에서 사
석이었는데, 그리스도인들은 구약이 예수님을 메시아로 확증한다고
건의 신학적 중요성을 보여 주는 약속이라고 주장한다.
이해했지만, 반면에 유대인은 구약을 근거로 삼아 예수님이 신성을
• 구약을 역사에 나타난 하나님의 계시와 구원을 증언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모독했다고 주장했다. 성경 자료를 고려한 이 시점에서, 이제 우리는 구약과 신약의 관 계라는 신학적 문제를 기독교 성경 해석사에서 어떻게 이해했는지
이 역사적 관점은 당시 유대교의 법적 관점과 대조되며, 이 역사
를 고려할 차례다.
그리고 Allen(2008). 더 자세한 참고문헌에 대해 다음을 보라, Baker 1976a: 34~40; Carson & Williamson 1988; Litwak 1998; Childs 2004: 24~31.
36
구약과 신약의 관계
1장 성경적 토대
37
2장
성경 해석의 역사
a. 속사도들 결코 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속사도들의 저술에서 구 약과 신약을 한 성경으로 인정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기 시작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때는 “구약”과 “신약”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고 정경의 범위를 정확하게 한정하지도 않았다. 그렇지만 성경 각 권은 나중에 정경으로 인정된, 본질적으로 같은 문서들이다. 속사도들의 글에서는 문자적 의미와 알레고리적 의미가 각각 자기 자리를 차지 했으면서도, 율법서과 선지서, 복음서와 서신서에서 온 본문을 권고 와 논증에서 인용한다. 2 )
b. 마르키온 이렇게 비판 없이 구약과 신약을 성경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불과
2.1. 초기 교회
몇십 년만 지속됐을 뿐이다. 2세기 중반 시노페 ( Sinope ) 의 마르키 온 ( Marcion ) 은 구약과 신약의 관계에 대한 교회의 관점에 문제를 제
신약 저자들은 예수님의 삶, 죽음, 부활을 히브리 성경에 기록된
기했는데, 이로 말미암아 마르키온은 가장 악명 높은 이단이 됐다.
말씀과 사건에 연결시키는 문제에 직면했다. 그렇지만 신약 자체와
마르키온을 영지주의자로 간주해야 하는가의 여부와 상관없이, 마
구약의 관계가 문제가 된 것은 오직 후대의 일이다. 아마도 가장 중
르키온의 사상은 이원론적 강조점이 분명하다는 점에서 영지주의
요한 측면은 구약이 차지하는 역할에서의 변화일 것이다. 예수님,
와 비슷하다. 마르키온에게는 영과 육, 율법과 복음, 이스라엘의 신
베드로, 바울은 구약이 자신들의 신앙의 토대라고 전제했으며, 이들
과 예수님의 성부 하나님 등 구약과 신약 사이에 근본적인 불연속
의 문제는 자신들이 결부된 새로운 사건을 이전 사건과 연결하는 것
성이 있다. 마르키온은 자신의 이론의 논리적 결론을 끝까지 밀고
이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신약의 교회 시대 이후에는 신약을 신앙의
나가서, 자신의 성경 목록에서 구약을 제거했으며, 자신의 이론과
토대로 채택하면서 구약이 문제가 됐다. 신약이 완성된 오늘날 구약 은 얼마나 타당하며 적절한 것으로 고려됐으며, 구약은 어떤 방식으 로 신약과 연결됐는가? 1 )
McKim 1979: 3~34, 55~72; Woodbridge 1982: 31~46; Grant & Tracy 1984: 39~82; Froehlich 1984; Kugel & Greer 1986; Horbury 1988; Dockery 1992; Barrera 1993: 513~544; Bray 1996: 77~128; Grech 2004; Karakolis 2004; C. J. H. Wright 2004: 388~391; Yarchin 2004: 31~92; O’Keefe & Reno 2005; Kannengiesser 2007b.
1 ) 초기 교회에서의 성경 해석에 대해 다음을 보라, R. M. Grant 1957; Kelly 1958: ch.
3; Danie¿lou 1964~77; Sundberg 1964; R. P. C. Hanson 1970; Hay 1973; Rogers &
38
구약과 신약의 관계
2 ) 속사도들의 성경 해석 논의에 대해 다음을 보라, von Campenhausen 1968: 62~74;
Hagner 1973; Trigg 2003: 305~315.
2장 성경 해석의 역사
39
2장
성경 해석의 역사
a. 속사도들 결코 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속사도들의 저술에서 구 약과 신약을 한 성경으로 인정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기 시작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때는 “구약”과 “신약”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고 정경의 범위를 정확하게 한정하지도 않았다. 그렇지만 성경 각 권은 나중에 정경으로 인정된, 본질적으로 같은 문서들이다. 속사도들의 글에서는 문자적 의미와 알레고리적 의미가 각각 자기 자리를 차지 했으면서도, 율법서과 선지서, 복음서와 서신서에서 온 본문을 권고 와 논증에서 인용한다. 2 )
b. 마르키온 이렇게 비판 없이 구약과 신약을 성경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불과
2.1. 초기 교회
몇십 년만 지속됐을 뿐이다. 2세기 중반 시노페 ( Sinope ) 의 마르키 온 ( Marcion ) 은 구약과 신약의 관계에 대한 교회의 관점에 문제를 제
신약 저자들은 예수님의 삶, 죽음, 부활을 히브리 성경에 기록된
기했는데, 이로 말미암아 마르키온은 가장 악명 높은 이단이 됐다.
말씀과 사건에 연결시키는 문제에 직면했다. 그렇지만 신약 자체와
마르키온을 영지주의자로 간주해야 하는가의 여부와 상관없이, 마
구약의 관계가 문제가 된 것은 오직 후대의 일이다. 아마도 가장 중
르키온의 사상은 이원론적 강조점이 분명하다는 점에서 영지주의
요한 측면은 구약이 차지하는 역할에서의 변화일 것이다. 예수님,
와 비슷하다. 마르키온에게는 영과 육, 율법과 복음, 이스라엘의 신
베드로, 바울은 구약이 자신들의 신앙의 토대라고 전제했으며, 이들
과 예수님의 성부 하나님 등 구약과 신약 사이에 근본적인 불연속
의 문제는 자신들이 결부된 새로운 사건을 이전 사건과 연결하는 것
성이 있다. 마르키온은 자신의 이론의 논리적 결론을 끝까지 밀고
이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신약의 교회 시대 이후에는 신약을 신앙의
나가서, 자신의 성경 목록에서 구약을 제거했으며, 자신의 이론과
토대로 채택하면서 구약이 문제가 됐다. 신약이 완성된 오늘날 구약 은 얼마나 타당하며 적절한 것으로 고려됐으며, 구약은 어떤 방식으 로 신약과 연결됐는가? 1 )
McKim 1979: 3~34, 55~72; Woodbridge 1982: 31~46; Grant & Tracy 1984: 39~82; Froehlich 1984; Kugel & Greer 1986; Horbury 1988; Dockery 1992; Barrera 1993: 513~544; Bray 1996: 77~128; Grech 2004; Karakolis 2004; C. J. H. Wright 2004: 388~391; Yarchin 2004: 31~92; O’Keefe & Reno 2005; Kannengiesser 2007b.
1 ) 초기 교회에서의 성경 해석에 대해 다음을 보라, R. M. Grant 1957; Kelly 1958: ch.
3; Danie¿lou 1964~77; Sundberg 1964; R. P. C. Hanson 1970; Hay 1973; Rogers &
38
구약과 신약의 관계
2 ) 속사도들의 성경 해석 논의에 대해 다음을 보라, von Campenhausen 1968: 62~74;
Hagner 1973; Trigg 2003: 305~315.
2장 성경 해석의 역사
39
함께 읽으면 좋은 책들
성경신학의 5가지 유형 에드워드 클링크 3세 & 대리언 라킷 공저 | 신윤수 옮김 | 296페이지 | 14,000원
오늘날 성서학계는 성경신학의 개념 및 방법론과 관련하여 심각한 혼란을 겪고 있다. 탁월한 학자들의 독자적인 방법론과 신학에 매료되 면서도 정작 다른 방법들에는 상당한 무지와 오해를 갖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이 책은 지금까지 수행되어 온 성 경신학 전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해 주는 지도와 같은 책
지난 2천년 동안 기독교는 끊임없이 구약과 신약 모두를 성경으로 받아들이는 문제에 대한 도전에 직면했다. 물론 이 도전들 가운데 어떤 것도 성공적이지 못했 다. 21세기인 현재까지도 기독교 교회들은 서로 다른 전통들 사이에 약간의 차이 가 있을 뿐, 초기 교회와 동일한 책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도 의심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질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된다. 오늘날 우리에게 구약이 필요한가? 이 고대 저술의 모음집은 우리의 포스트모 던 세계와 점차적으로 대두되는 포스트모던 문학 세계에도 여전히 적실한 것일 까? 신약 성경이 기독교 신앙의 충분한 토대가 되지 않는가? 구약에 나타난 권능
이다.
과 영광의 하나님은 신약에서 예수님이 ‘아버지’라고 부르는 사랑의 하나님과 무 슨 관계가 있는가? 매우 다른 구약과 신약이 정말로 한 성경인가?
성경신학이란 무엇인가
데이비드 베이커의 박사논문 ( Two
Testaments, One Bible ) 을
확장하고 최신화한 이번
개정3판은 구약과 신약의 관계 연구를 통해 어떤 신학적 토대 위에서 구약이 기독
성경은 창조로부터 시작해서 그리스도의
교 경전으로 수용되는지를 탐구한다. 먼저, 저자는 주요 이슈들을 소개하고, 성경
재림과 그 이후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삶
해석의 역사를 탐구하며, 기존의 네 가지 주요 접근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그리
전체를 둘러싼 하나의 이야기를 제시한다. 이 책은 성경
고 나서 ‘모형론’, ‘약속과 성취’, ‘연속성과 불연속성’, ‘언약’ 등 네 가지 핵심 주제
전체를 연결짓는 주요 패턴, 상징, 주제를 그려 주면서 성 경의 통일된 메시지를 이해시켜 줄 뿐 아니라 거대한 구 속의 이야기에서 우리가 서 있는 자리를 알려 줄 것이다.
를 고려하면서 구약과 신약을 한 성경의 맥락에서 기독교적으로 해석하는 틀을 제 시한다. 결론에서는 이 책의 주요 주제들을 요약하고 이 주제들이 오늘날 성경을 사용하는 방식에 어떤 함의를 갖는지를 살핀다.
임 | 요한 옮김
성경신학 토머스 슈라이너 지음 | 강대훈 옮김 | 656페이지 | 34,000원
학문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학자인 토머
Two Testaments, One Bible The The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Old and New Testaments
구약과 신약의 관계
지은이
데이비드 베이커( David L. Baker ) 영국 셰필드 대학교에서 구약과 신약의 관계 연구로
데이비드 베이커 지음 | 임요한 옮김
박사학위를 받았고, 캠브리지 대학교 내에 있는 틴데 일 하우스의 대표 책임자였다. 최근까지 호주 퍼스 지역에 있는 트리니티 신학교의 구약 조교수로 재직 하다가 현재는 캠브리지 대학교에서 강사로 활동 중 이다.
데이비드 베이커 지음
제임스 해밀턴 지음 | 김희정 옮김 | 120페이지 | 6,000원
구약과 신약의 관계
Two Testaments, One Bible
옮긴이
임요한 서울대학교 종교학과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 업했고, 미국의 고든 콘웰 신학교에서 구약학 석사를, 남아공에 있는 프레토리아 대학교에서 구약학 박사 학위 (Ph.D.) 를 받았다. 『구약 주해와 텍스트 언어학』 을 저술했고, 『한 권으로 읽는 조나단 에드워즈 신학』 (부 흥과개혁사) 을
번역했다.
스 슈라이너의 최신작이 나왔다. 이 책 은 성경 전권에 대한 신학적 개관으로, 정경인 최종 본문 의 각 권 내용을 성경신학적 주제를 따라 설명하면서 성 경 전체의 흐름에 주목하게 한다.
ISBN 978-89-6092-436-9 www.rnrbook.com 값 22,000원
표지 Hans Holbein the Younger, An Allegory of the Old and New Testa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