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 한 알 같으니 이는 모든 씨보다 작은 것이로되 자란 후에는 풀보다 커서 SSBT
하나님 백성 성경신학
나무가 되매 공중의 새들이 와서 그 가지에 깃들이느니라”
벤저민 글래드 지음 16,000원
- 마태복음 13장 31-32절 -
사탄 정복 성경신학 앤드루 나셀리 지음 근간
NSBT 구원의 역설 성경신학 그레고리 빌 지음 근간
왕 같은 제사장 성경신학 데이비드 슈락 지음 근간
욥기 성경신학
많은 그리스도인은 하나님 나라가 무엇이고 하나님 나라가 복음의 메시지와 어떤 관련이 있
에릭 오틀런드 지음 20,000원
는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이스라엘 역사 성경신학 크리스 브루노 등 지음 18,000원
하나님 나라 성경신학 패트릭 슈라이너 지음 12,000원
이사야서 성경신학 앤드루 애버네시 지음 18,000원
혼돈과 질서 성경신학 시드니 그레이다누스 지음 16,000원
하나님의 복 성경신학 윌리엄 오즈번 지음 12,000원
프랭크 틸만 지음 10,000원
하나님의 아들과 새 창조 그레임 골즈워디 지음 9,000원
결혼과 복음의 신비 레이 오틀런드 지음 8,000원
성찬 신학 가이 워터스 지음 9,000원
는 성경의 이야기 흐름에 나타나는 중요한 주제인 하나님 나라를 강조하는 성경의 핵심 사 건들, 예언들, 본문들을 분석한다. 이 연구는 독자들이 예수의 사명과 하나님 나라의 도래가
유배와 회복 성경신학
마이클 모랄레스 지음 18,000원
서던 침례 신학교에서 공부하고 ( Ph. D.), 웨스턴 신학교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지금은 미드웨스턴 침례 신학교에 서 신약과 성경신학 부교수로 있다. 『B&H 사도행전 주
“슈라이너는 하나님 나라, 예수의 십자가, 복음 메시지가 분리될 수 없음을 정확하게 보여
석』, 『시각적으로 보는 신약의 주제와 구조』 등을 저술했
오렌 마틴 지음 14,000원
준다. 흥미롭고 탁월한 본서를 적극 추천한다!”
다. CBR과 JETS 등에 다수의 논문을 기고했다.
- 랜디 앨콘, 『하늘』, 『좋으신 하나님』, 『서로 손을 잡고』 저자
다니엘서 성경신학 제임스 해밀턴 지음 18,000원
“나는 성경신학을 사랑하고 즐기는 사람들뿐 아니라 그리스도와 성경을 사랑하지만 성경
요한계시록 성경신학
전체 이야기에서 왕이신 그리스도를 어떻게 찾을 수 있는지 아직 이해하지 못하는 독자들
브라이언 탭 지음 20,000원
에게도 추천하고 싶다.”
죽음과 내세 성경신학
- 낸시 거스리, 『구약에서 예수 찾기 시리즈』 저자
폴 윌리엄슨 지음 16,000원
“패트릭 슈라이너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연구서를 교회에 멋진 선물로 제공한다.”
할례 성경신학 칼 디닉 지음 20,000원
- 팀 맥키, 바이블 프로젝트 공동 설립자, 웨스턴 신학교 성경학 조교수
레위기 성경신학 마이클 모랄레스 지음 26,000원
SSBT 시리즈는 독자들이 성경 전체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완성되는 통일된 이야기 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각 책은 신뢰할 만한 성경학자들이 집필했으며, 창세기부터
안드레아스 쾨스텐베르거 지음
요한계시록까지 하나님의 말씀을 관통하는 중요한 주제를 추적하고, 이 주제가 그리
14,000원
스도인의 삶을 위해 갖는 중요성을 탐구한다.
옮긴이
다. 경북대학교 ( B. A., M. 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 M. Div.), 고든콘웰 신학교 ( Th. M.), 브리스톨 대학교 ( Ph. D.) 에서 공부했다. 저서로는 『마태복음 주석』이 있고, 번역 서로는 리처드 보컴의 『요한계시록 신학』 외에 SSBT 시 리즈, BTNT 시리즈, 『성경신학적 신약개론』, 『성경신학』, 『NICNT 누가복음』, 『PNTC 누가복음』 (이상 부흥과개혁사)
하나님 나라 성경신학 하나님의 나라와 십자가의 영광 패트릭 슈라이너 지음 ┃ 강대훈 옮김
스티븐 뎀프스터 지음 16,000원
ISBN 978-89-6092-744-5 ISBN 978-89-6092-679-0 (세트)
www.rnrbook.com 값 12,000원
강대훈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신약신학 교수로 섬기고 있
하나님 나라 관점으로 읽는 구약신학
매튜 하몬 지음 16,000원
출애굽 성경신학
패트릭 슈라이너 (Patrick Schreiner)
어떻게 연결되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언약과 율법 성경신학 브랜던 크로 지음 18,000원
지은이
약속의 땅 성경신학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
ESBT
나라의 개념을 왕의 장소에 있는 왕의 백성에 대한 왕의 권세로 이해하는 패트릭 슈라이너
패트릭 슈라이너 지음 ┃ 강대훈 옮김
새 창조 성경신학
예수는 자신의 사역을 시작하실 때 하나님 나라가 가까이 왔음을 선언하셨다. 그러나 요즘
SSBT 성경신학 시리즈 Short Studies in Biblical Theology
하나님 나라 성경신학
“또 비유를 들어 이르시되 천국은 마치 사람이 자기 밭에 갖다 심은 겨자
부흥과개혁사 성경신학 시리즈
등이 있다.
“성경의 이야기 흐름에서 중심인 하나님 나라는 우리의 신학에서도 중심이 되 어야 한다. 본서는 하나님 나라를 선명하고 충실하고 알차게 묘사함으로 하나 님 나라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을 이해할 수 있게 도울 뿐 아니라, 하나님 나라 의 관점으로 성경을 볼 수 있게 돕는다.” 크리스토퍼 모건, 캘리포니아 침례 대학교 신학과 교수 겸 학장.
『하나님의 나라』 , 『하나님의 영광』 편집자, 『조직신학 스터티 바이블』 기고자
“패트릭 슈라이너의 하나님 나라 성경신학은 지상에서 하나님의 공의를 추구 하는 교회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책이다. 하나님 나라를 명료하고 정밀하고 간 결하게 저술한 본서는 이해하기 쉬운 성경 주해에 근거하고, 예리한 신학적 통 찰을 주며, 예수의 십자가를 중심에 두고 분석한다. 적극 추천한다!” 자비스 윌리엄스, 서던 침례 신학교 신약해석학 부교수
“패트릭 슈라이너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연구서를 교회에 멋진 선물로 제공 한다. 본서는 성경의 핵심 주제인 하나님 나라의 입문서로 창의적이고 이해하 기 쉽게 저술되었다. 슈라이너는 구약과 신약의 통일된 이야기 형태를 존중하 며, (지혜 문헌을 포함한) 성경의 모든 부분이 창조와 새 창조를 아우르는 하나 님 나라의 전개를 묘사하는 데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한다. 여러분이 성경의 어려운 주제인 하나님 나라를 이해하려고 고민했거나, 이 주제를 다른 사람들에게 설명하려고 애써 왔다면, 이제 이 책으로 시작하면 된다.” 팀 맥키, 바이블 프로젝트 공동 설립자, 웨스턴 신학교 성경학 조교수
“성경의 이야기가 왕과 그의 나라에 대한 이야기라고 말할 수는 있어도 이런 이야기를 성경의 모든 부분에 근거해 분명하고 간결하게 입증하는 작업은 결 코 쉽지 않다. 나는 성경신학을 사랑하고 즐기는 사람들뿐 아니라, 그리스도와 성경을 사랑하지만 성경 전체 이야기에서 왕이신 그리스도를 어떻게 찾을 수 있는지 아직 이해하지 못하는 독자들에게도 추천하고 싶다.” 낸시 거스리, 『구약에서 예수 찾기 시리즈』 저자
“패트릭 슈라이너는 하나님 나라의 주제를 성경 전체에서 탁월하게 분석한다. 우리는 아담부터 아브라함, 시편과 이사야서, 예수와 그의 교회, 마지막에는 예 수께서 자신의 백성과 함께 다스리실 새 하늘과 새 땅에 등장하는 하나님 나라 의 주제를 찾을 수 있다. 슈라이너는 하나님 나라, 예수의 십자가, 복음 메시 지가 분리될 수 없음을 정확하게 보여 준다. 흥미롭고 탁월한 본서를 적극 추 천한다!” 랜디 앨콘, 『하늘』, 『좋으신 하나님』, 『서로 손을 잡고』 저자
┃목차┃
| 시리즈 서문 7 | 서론 9
1부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
29
1장 율법서: 되살아나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소망
31
2장 선지서: 하나님 나라를 예시하기 3장 성문서: 하나님 나라에서의 삶
55 79
2부 신약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
103
4장 복음서: 하나님 나라를 실현하기
105
5장 사도행전과 서신서: 하나님 나라의 공동체 6장 요한계시록: 하나님 나라의 목표를 이루기 | 결론 169
| 추가 독서 목록 181
127 153
┃ 시리즈 서문 ┃
우리는 그리스도인의 삶을 시작하면서 성경을 ‘방대하고, 깊고, 거대해’ 통과하기 불가능한 책으로 대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본 문을 단편적으로 읽고 성경의 이곳저곳에서 영감의 금덩어리를 발 견하지만, 주어진 본문을 전체 줄거리 속에 넣지 못한 채 머물러 버 린다. 그러나 지난 몇 세대 동안 복음주의권의 성경 연구에 일어난 놀라운 발전 중 하나는 성경신학의 회복이다. 성경신학은 성경에 대한 새로운 이해로서, 성경을 신학적으로 통일된, 역사에 기초한, 점진적으로 펼쳐지는 책으로, 궁극적으로는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죄악 된 인류를 구속하시려는 하나님의 언약 사역에 대한 그리스도 중심의 이야기로 이해한다. 이와 같은 성경신학의 르네상스는 복이지만, 성경신학은 일반 기 독교인에게는 널리 알려지지 않고 있다. SSBT ( Short Theology )
Studies in Biblical
시리즈의 목표는 학술적인 수준에서 논의되는 성경신학의
부활을 일반 신자들과 연결해 주는 것이다. 본 시리즈의 저자들은 독자가 신학 교육을 받지 않아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집필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춘 학자나 목회자다. 그래서 사려 깊은 그리스도
시리즈 서문
7
인 제자라면 이 책들에서 혜택을 얻을 수 있다. 본 시리즈의 각 책은 성경 전체의 주제를 하나 취해서 그 주제를 성경 전체에서 추적한다. 이 방식으로 독자는 주어진 주제에 대해 배울 뿐 아니라, 성경 전체를 일관성 있는 책으로 읽는 방법을 알게 된다. 우리는 왜 본 시리즈를 출간하는가? 그것은 우리가 성경을 사랑 하고 교회를 사랑하기 때문이며, 학문 영역에서 일어나는 성경신학 의 부흥이 전 세계에 있는 그리스도인 제자들의 마음에 생기를 불 어넣기를 갈망하기 때문이다. 우리 편집자들은 성경 전체를 하나님 의 은혜로운 구속 행위를 보여 주는 통일된 이야기로 이해하는 것 보다, 그리고 예수님이 직접 증언하신 것처럼 성경 전체를 궁극적 으로 예수님에 대한 책으로 이해하는 것보다( 눅 24:27; 요 5:39 ) 인생에 서 더 흥미진진한 것을 발견하지 못했다. SSBT 시리즈의 궁극적인 목표는 우리의 구원자를 자세히 살피는
것이며 그분의 교회를 세우는 것이다. 다시 말해, 우리의 목표는 성 경 전체가 어떻게 예수님을 가리키며 어떻게 무력한 죄인들을 은혜 롭게 구출하시는지를 보여 줌으로써 이 구원자를 자세히 살피는 것 이며, 생명을 주는 진리를 이해하는 신자의 능력을 강화함으로써 교회를 세우는 것이다. 데인 오틀런드·마일즈 반 펠트
8
하나님 나라 성경신학
서론
하나님 나라의 중요성
“하나님 나라는 무엇인가요?” 질문을 던진 학생은 의자에 등을 기댄 채 나를 쳐다보고 있었다. 나는 멈칫했고 말을 더듬거리다가 몇 마디를 내뱉었다. 나는 마태 복음을 계속 배우면 답을 찾을 수 있게 된다고 말하며 앞뒤가 맞지 않는 말로 성경공부를 마쳤다. 나의 대학 생활에 있었던 일이다. 사 역 부서 책임자는 내게 여름 방학 동안 학생들을 위한 성경공부를 인도할 것을 요청했다. 나는 마태복음 성경공부를 계획했다. 사실 그때까지 마태복음을 공부한 적이 없었다. 서신서가 내게는 안전지 대지만 새로운 마태복음으로 결정했다. 그런데 이 결정 이후 불안 감으로 등골이 오싹해졌다. 학습 수준이 만만하지 않을 줄 알았기 때문이다. 나는 성경 교육을 잘 받아 왔는데도 나라라는 말을 생각할 때는 다른 나라에 불시착한 것 같은 감정에 휩싸였다. 나는 복음 메시지
9
의 기본을 알고 있었으나 하나님 나라가 복음의 메시지와 어떤 연 관이 있고 예수께서 하나님 나라를 자주 언급하신 이유를 파악할 수 없었다. 복음에 대한 내 견해는 추상적이었다. 나는 영광스러운 기독교 교리가 근거로 삼는 성경의 내러티브를 간과하고 있었다. 나는 하나님 나라를 연구하면서 이 주제가 정경 전체를 연결하는 실과 같음을 알게 되었다. 어떻게 나는 이 사실을 모르고 있었던 것 일까? 왜 이전에는 개념을 명료하게 파악하지 못했을까? 성경은 근 본적으로 하나의 이야기이며, 하나님 나라는 이 이야기의 주제를 형성하는 틀이다. 이와 비슷하게 오늘날 많은 그리스도인은 성경에서 하나님 나라라는 말을 볼 때 의미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예수는 하나님 나라라는 말의 의미를 직접 설명하신 적도 없고 용어의 정 의를 내리신 적도 없다. 복음서 저자들의 기록에 따르면 무리나 제 자들이 이 용어가 무슨 뜻인지 묻지 않는다. 복음서는 모두 하나님 나라가 무엇인지 알고 있었음을 암묵적으로 전제하는 것으로 보 인다. 하나님 나라라는 말은 복음서에 널리 사용되며, 하나님 나라의 개 념은 나머지 성경 전체에 흩어져 있다. 예수는 사역을 시작하실 때 하나님 나라가 가까이 왔음을 전하신다( 막 1:15 ). 복음서 저자들은 “천 국 복음”( 마 4:23 ) 의 문구로 예수의 사역을 축약한다. 예수께서 하나 님 나라에 초점을 맞추시는 현상에 대해 고든 피는 다음과 같이 표 현한다.
10
하나님 나라 성경신학
하나님 나라의 의미를 놓친다면 여러분은 예수에 대한 어 떤 것도, 그 어떤 것도 알 수 없습니다……이 용어를 이해하 지 못한다면 여러분은 예수에 대해 빵점인 셈입니다. 이 사실 을 너무 강하게 말해 미안하지만, 이는 복음주의 기독교의 큰 잘못입니다. 우리는 하나님 나라 없이 예수를 배웠습니다. 그 래서 문자적으로 예수를 배워 왔습니다.1)
많은 사람은 “예수에 대해 빵점”이 되지 않으려고 나라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안타깝게도 지금은 “나라”라는 용어가 애완동물과 관련된 상품의 유행어가 되었다. 하나님 나라의 개념에 대한 정의가 신약에 나타나지 않으므로, 사람마다 각자의 의미를 제시한다. 어떤 사람들은 하나님 나라를 하늘과 동일시했다. 이들은 예수께 서 ‘하나님 나라는 당신이 죽을 때 가는 장소다’라고 아주 많은 말 씀으로 강조하셨음을 주장한다. 어떤 사람들은 하나님 나라를 교회 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들의 관점에 따르면 예수는 교회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2) 이 관점에서 하나님 나라는 교회와 동의 어다. 어떤 사람들은 하나님 나라를 단순히 윤리로 이해했다. 이 관
1)
Gordon Fee, “Jesus: Early Ministry/Kingdom of God,” lecture (1993), Regent College, tape series 2235E, pt. 1, Regent College, Vancouver, BC, Canada.
2)
Mark D. Roberts, “What Was the Message of Jesus?,” accessed December 28, 2017, http://patheos.com/blogs/markdroberts/series/ what-was-the-message-of-jesus/.
서론
11
점에서 예수의 선언은 사회적 행동을 촉구하는 요청이고 하나님 나라는 선한 행위를 의미하는 용어다. 인류는 “이상적인 사회 질서
를 위해 일하고 가난, 질병, 노동관계, 사회 불평등, 인종 문제를 해 결하려고 노력하는”3) 것으로 하나님 나라를 건설하고 있다. 특히 복음주의자들은 하나님 나라를 하나님의 통치나 권세나 주 권으로 축약하는 경향이 있다.4) 조지 래드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여 러 저술에서 이 견해를 설파했으며, 역동적 통치를 주된 의미로 주 장했다.5) 잘 알려진 복음주의 진영들에서는 하나님 나라를 ‘하나님 의 통치’를 의미하는 완곡어로 이해하고 있다. 그래서 하나님 나라 는 내면적인, 주관적인 체계, 즉 인간의 영혼에 들어오고 인간의 영 혼을 사로잡는 비밀의 힘으로 축소된다.
George Eldon Ladd, The Gospel of the Kingdom: Scriptural Studies in the Kingdom of God (Grand Rapids, MI: Eerdmans, 1959), 16. 4) 이 학자들이 하나님 나라를 하나님의 통치로 축소하지 않더라도 하나님 나라 는 가장 우선적으로 하나님의 통치에 대한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Jeremy R. Treat, The Crucified King: Atonement and Kingdom in Biblical and Systematic Theology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4), 40을 보라. 제레미 트릿은 주장한다. “하나님 나라는 가장 우선적으로 하나님 의 통치, 그 다음 인간의 부왕, 그 다음 하나님의 통치 영역에 대한 것이다.” 리 델보스는 이런 견해가 종교개혁자들에게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이해하고 주장한다. “그들의 관점은 하나님 중심적이지만 약간 정적인 관점이다. 하나님 나라에 대한 성경 계시의 역사적이고 종말론적인 측면이 그들의 신학에는 두 드러지게 나타나지 않는다.” Herman N. Ridderbos, When the Time Had Fully Come: Studies in New Testament Theology (Grand Rapids, MI: Eerdmans, 1957), 10. 5) 래드는 하나님 나라는 이차적으로 영역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G. E. Ladd, “Kingdom of God-Reign or Realm?,”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81 (September 1, 1962): 236. 3)
12
하나님 나라 성경신학
유감스럽게도 복음주의 진영에서 하나님 나라의 특징에 대한 정 의는 추상적이었으며, 하나님 나라의 실존적인 속성을 회복할 때가 되었다. 하나님 나라의 개념에 대한 위의 모든 정의는 환원주의의 문제를 직면한다. 위의 모든 정의는 전체의 한 부분을 택하여 그것 을 중심에 둔다. 그렇다면 우리는 하나님 나라를 어떻게 정의해야 하는가?
하나님 나라의 나무 성경은 하나님 나라에 대한 교과서적 정의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하나님 나라를 이해하려면 하나님 나라와 흔히 연결되는 성 경의 이미지 중 하나에서 도움을 얻을 필요가 있다. 우리가 선택한 이미지는 나무다. 성경은 나무의 이미지로 시작하고 마친다. 창세기 에서 하나님은 땅에서 난 생명나무와 먹지 말아야 할 선악의 나무 에 대해 말씀하신다( 창 2:9 ). 동산에서 흐르는 강들은 두 나무에 수분 을 제공한다. 성경의 마지막에 다시 등장하는 생명나무는 거룩한 도시에 있다. 거룩한 도시에는 열두 문, 높은 성벽, 도시에 흐르는 강이 있다. 요한계시록이 묘사하는 나무에는 만국을 치유하는 잎이 있다( 계 22:2 ). 나무 이미지는 성경의 시작과 끝을 장식할 뿐 아니라 성경 전체 에도 등장한다. 구약에서 느부갓네살왕은 견고하게 자라는 나무에 대한 꿈을 꾸었다. 나무의 꼭대기가 하늘에 이를 정도여서 모든 나라가 나무를 볼 수 있다( 단
4:10-12 ).
다니엘은 느부갓네살의 꿈을
서론
13
해석한다. 다니엘의 해석에 따르면 나무는 왕이 다스리는 나라를 상징하는데, 왕은 그의 나라를 빼앗길 것이다. 위대한 선지자 이사야도 나무에 대해 말한다. 이사야가 말하는 나 무는 그루터기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이새의 그루터기에서 한 가 지가 돋아난다( 사
11:1 ).
다윗왕은 하나님의 말씀에 의지하는 사람들
은 자라고 열매를 맺는 나무와 같다고 말한다( 시 1:3 ). 복음서에서 예 수는 하나님 나라를 나무와 자주 비교하신다( 마 13:31; 막 4:31-32 ). 무엇보다도 특별한 나무 하나는 복음서의 흐름을 바꾸어 버린다. 나무 하나가 에덴동산에 있던 아담과 하와의 실패 원인이었던 것처 럼, 십자가의 나무는 예수의 생명을 끝내 버린다. 예수는 이 나무에 달려 세상의 조롱과 멸시를 받으신다. 예수의 손과 발을 꿰뚫은 못 이 이 나무에 박혀 있다. 로마, 유대 지도자들, 사탄은 예수를 십 자가에 못 박음으로 그의 나라를 정복한 줄로 생각했다. 그러나 역 설적으로 이 나무는 왕의 위대한 승리가 되었다. 나무에는 “이는 유대인의 왕 예수”라고 쓰인 패가 붙어 있었다( 마 27:37 ).
아담과 하와의 패배는 하나님의 승리다. 뱀의 공격은 그리스
도의 위대한 승리다. 십자가 모양의 나무는 하늘과 땅에 있는 모두 를 지탱하는 하나님의 지렛목이다. 나무는 수직으로 세워져 있고 예수의 손은 수평으로 뻗어 있다. 이는 그의 찢어진 몸을 통해 동서 남북을 화합하는 것을 의미한다.6) 요한계시록의 묘사처럼 나무는
6)
역사 기록에 따르면 십자가에 달린 자들의 팔이 정확히 수평으로 뻗은 상태는 아니었으나 여전히 수평의 방향이었다.
14
하나님 나라 성경신학
만국을 치유한다. 따라서 성경에 묘사되는 나무는 예수께서 자주 언급하는 개념, 즉 하나님 나라를 상징한다. 나무가 성경 전체에서 하나님 나라를 위 한 상징이라는 사실이 하나님 나라의 속성에 대해 우리에게 무엇을 가르치는가? 첫째, 성경에서 나무는 권세, 통치, 주권을 전달하는 이미지다. 큰 나무는 권세와 힘을 상징한다. 에덴동산에 있는 나무는 생명을 약 속한다. 아담과 하와가 나무의 과실을 먹는다면 하나님처럼 될 것 이다. 이와 비슷하게 느부갓네살의 나무는 하늘에 닿았고 온 세상 이 볼 수 있을 정도였다. 요한계시록에는 높은 성벽으로 이루어진 도시가 있고 이 도시의 중앙에는 권세와 힘을 상징하는 나무가 서 있다. 둘째, 나무는 통상 백성과 관계성을 가지거나 연결된다. 느부갓네 살 나무의 가지 아래에는 피조물들이 깃들어 산다. 느부갓네살은 백성의 대표자로 묘사된다. 이사야서에서 그루터기로부터 돋아나 는 가지는 특정인을 상징한다( 사
11:2 ).
요한계시록에서 나무의 잎은
나라들을 치유한다. 시편 1편에서도 나무는 사람을 지칭하는 은 유다. 셋째, 나무의 이미지는 항상 장소의 개념을 내포한다.7) 나무는 에 7)
스티븐 뎀프스터는 지배와 왕조의 용어뿐 아니라 지리와 계보, 땅과 혈통의 개 념으로 백성과 장소의 개념을 설명했다. Stephen Dempster, Dominion and
Dynasty: A Theology of the Hebrew Bible, New Studies in Biblical Theology (Downers Grove, IL: IVP Academic, 2003, 『하나님 나라 관점으 로 읽는 구약신학』, 부흥과개혁사 역간, 2012).
서론
15
덴동산에 위치한다. 다니엘서에서 온 세상이 나무의 꼭대기를 볼 수 있는 곳에 나무가 위치한다. 요한계시록에서 나무는 도시의 중 심에 있다. 물론 성경 전체에 사용되는 나무 이미지는 별다른 의 미가 없는 나무 이미지일 수도 있다. 그러나 나무의 이런 상징은 우 리에게 도움이 될 수 있고 도움이 될 수밖에 없다.
하나님 나라의 정의 본 연구에서는 나라를 단순히 주권으로 제한하는 추상적 개념을 뛰어넘어 다음과 같은 새로운 정의를 사용하려 한다. 하나님 나라는 왕의 장소에 있는 왕의 백성에 대한 왕의 권세다.8) 하나님 나라의 세
요소( 권세, 백성, 장소 ) 는 밀접하게 연결된다. 서로 구별될 수는 있어도 분리될 수는 없다.9) 세 가지는 단단히 엮인 밧줄의 세 가닥과 같다. 어떤 사람은 이렇게 반대할 수도 있다. ‘통치나 권위 없이는 백성 과 장소가 존재할 수 없으므로 권세가 첫 번째 요소여야 하지 않나
내가 이와 비슷한 뭔가를 처음으로 읽은 책은 Graeme Goldsworthy, The Goldsworthy Trilogy: Gospel and Kingdom, Gospel and Wisdom, The Gospel in Revelation (Exeter, UK: Paternoster, 2011), 53-54다. 골즈워디 는 하나님 나라를 “하나님의 장소 안에, 하나님의 통치 아래 있는 하나님의 백 성”으로 정의한다. 브루스 월트키도 비슷하게 말한다. “나라는 공동의 백성으 로 구성되며, 공동의 땅을 공유하며, 공동의 법에 복종하며, 공동의 통치자를 보 유하고 있다.” Bruce Waltke, “The Kingdom of God in Biblical Theology,” in Looking to the Future: Evangelical Essays in Eschatology , ed. David W. Baker (Grand Rapids, MI: Baker, 2011), 18. 9) 연구의 편의를 위해 나는 삼중의 정의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두 가지 정의 를 추가한다면 왕의 임재와 왕의 법(또는 교훈)이 포함될 수 있다. 8)
16
하나님 나라 성경신학
요?’ 그러나 이 질문과 같은 논리는 세 가지 요소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왕은 장소와 백성을 통치한다. 백성과 장소가 없다면 권세도 없다. 장소는 백성에게 영향을 주고 백성은 장소에 영향을 준다. 권 세는 장소 안에서 행사되고 장소는 스스로 권세를 행사한다. 세 요 소의 상호 관계는 혼란을 초래하지 않고 세 개념이 밀접하게 연결 됨을 의미한다. 우리는 셋 중 하나를 제외할 수 없고 하나를 하나님 나라의 첫 번째 정의 또는 묘사로 사용할 수도 없다.10) 흔히 하나님 나라의 연구는 서로 연관된 두 주제에 초점을 맞 춘다. 이런 연구는 하나님 나라를 하나님의 통치로 정의하고 시간 에 대한 질문을 강조한다. 하나님 나라는 지금 또는 미래에 있는가? 학자들은 장소나 공간 또는 하나님 나라의 백성에는 연구의 관심을 거의 두지 않았으며, 너무 오랫동안 예수의 나라는 지리나 지역과 관련이 없다고 주장해 왔다. 우리는 권세, 통치, 힘의 개념을 포함할 필요가 있지만, 성경에서 이는 단순히 추상적 개념들이 아니라 생 명을 주는 실재다. 시편 1편에 있는 나무는 자란다. 하나님 말씀을 시냇물로 삼아 열 매를 맺는다. 요한계시록에서 생명나무의 잎은 만국을 치유하고 생 명을 공급한다. 다니엘서에서 나무는 짐승들에게 그늘을 제공한다. 권능은 강압의 도구와 목적이 아니다. 백성의 번영과 관련이 있다. 10)
나는 하나님 나라의 백성과 장소가 불가분의 관계일지라도 이 둘을 하나님 나라와 같이 여기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을 들은 적이 있다. 우리는 권세에 대 해서도 같은 질문을 제기할 수 없었을까? 하나님 나라가 권세와 같아야 하 는가? 아니면 하나님 나라는 권세와 단지 불가분의 관계일 뿐인가? 이 개념 들을 서열로 구분하려는 시도는 논리적 모순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서론
17
아담과 하와가 번성하는 사람들이 될 수 있게 하나님은 권세로 생 명나무를 창조하셨다. 그러나 그들은 금지된 나무를 향하고 말았다. 성경에서 권능과 주권은 창조, 보호, 백성의 번성과 관련이 있다. 덧붙여, 하나님 나라는 백성, 즉 왕과 왕의 신민을 포함해야 한다. 왕은 백성을 대표하며, 자신의 나라에 거주하는 백성을 보호하고 안전하게 한다.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자들, 곧 종과 왕들을 포함하고 그들을 통해 실현되는 나라다. 게르하르트 로핑크 는 말했다. “백성이 없는 왕은 왕이 아니라 박물관에 있는 조형물일 뿐이다.”11) 그러므로 나라를 구성하는 백성의 요소를 경시하지 않 는 것이 지혜로운 접근이다. 마찬가지로 나라에는 영역이 있어야 한다. 영토가 없는 왕은 허상 이다. 도시가 지역에 위치해야 하는 것처럼, 하나님 나라를 정의하 고 묘사할 때 나라의 장소를 제외시킬 수 없다. 하워드 마샬은 나라 에 대해 말했다. “이제까지 사람들은 나라의 일차적 개념은 왕이 통 치하는 영토에 대한 개념이 아니라 왕의 통치권 또는 하나님의 실 제 통치에 대한 개념이라고 지겹도록 강조해 왔으나 왕권이 추상적 으로 실현될 수 없다는 사실도 강조해야 한다.”12) 그렇다면 하나님 나라는 무엇인가? 이 나라는 추상적이지 않다. 땅에 존재한다. 하나님 나라는 백성이다. 장소다. 예수에 대한 11)
Gerhard Lohfink, Jesus of Nazareth: What He Wanted, Who He Was , trans. Linda Maloney (Collegeville, MN: Liturgical, 2012), 25.
12)
I. Howard Marshall, “Church,” in Dictionary of Jesus and the Gospels , ed. J. B. Green and S. McKnight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1992), 123.
18
하나님 나라 성경신학
나라다. 십자가와 관련된다. 새 하늘과 새 땅에 대한 나라다. 공동 체, 정치, 질서, 몸, 인간 번영에 대한 나라다. 하나님 나라는 권능, 가족, 보좌, 성벽, 성문, 강, 시냇물과 관련된다. 하나님 나라는 범위 에 있어 우주적이다. 성경이 하나님 나라를 채색하려고 사용하는 광대한 그림을 고려하지 않으면 구속의 목적을 오석하고 오해하게 된다. 그리스도의 나라에서 구속받은 자들은 하나님 앞에서 왕의 법아래 살아야 한다. 하나님 나라는 성경의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기 위한 기본 관문이다. 본 연구의 목표는 성경의 이야기 흐름에 나 타나는 하나님 나라의 풍성한 개념을 분석하는 것이다.
불충분한 정의의 결과 왜 나라를 ‘권능, 백성, 장소’로 정의할 필요가 있는가? 이 정의가 단지 학자들이 주장할 수 있는 구체적인 쟁점이기 때문인가? 우 리가 백성과 장소를 간과한 채 권세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적어도 세 가지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첫째, 백성과 장소가 없이는 나라가 실재할 수 없다. 그리스도인 들은 물질의 세상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곤 한다. 이 관점에 대한 대 안들이 제시되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물리성이 경시될 때가 많다. 성경에는 하나님 나라가 비물질적 존재로 표현된 적이 없다. 백성과 장소의 중요성을 인정하는 것은 하나님 나라라는 말을 이해 하기 위한 토대가 된다. 예수의 성육신과 부활은 이런 토대에 근거 하는 핵심적인 신학적 교리다. N. D. 윌슨은 말했다. “만일 [하나님
서론
19
이] 영적인 나라를 원하셨다면 하나님은 성탄절을 건너뜀으로써 엄 청난 고생에서 벗어나실 수 있었을 것이다.”13) 둘째, 우리가 장소와 백성을 간과하면 교회의 선교에 대한 이해에 문제가 생긴다. 하나님 나라가 단순히 하나님의 주권이라면 하나님 의 백성은 무슨 역할을 한단 말인가? 하나님의 백성은 왕의 권세를 사람들에게 설명하기 위해 존재할 뿐인가? 교회의 선교는 실제 왕 과의 관계로 사람들을 초대하고 실제 나라로 인도하는 활동이다. 비물질적인 신정체제로 초대하는 것이 아니다. 제자들은 나가서 모 든 영역 안으로 들어간다. 예수는 사람들을 장소로 인도하며, 사람 들의 상호 관계를 위한 법을 제공하신다. 우리가 교회의 선교를 하 나님의 주권에 대한 지적 동의로 축소하고 우리의 손과 발을 어떻 게 움직여야 하는지 가르치지 않는다면, 교회와 하나님 나라는 세 상을 바꾸는 기관이 아니라 수도원이 되고 만다. 하나님 나라는 하 나님의 선교이며, 우리는 이 선교를 제한하지 말아야 한다. 셋째, 앞의 내용과 관련된 것으로, 우리가 하나님 나라를 단순히 권세로 정의하면 우리는 하나님 나라의 이야기를 다루는 본문을 대 부분 뜯어내야 하고 하나님 나라의 이야기를 잘못 설명하게 된다. 하나님 나라가 성경의 내러티브를 요약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라
면, 주권의 개념으로 성경의 내러티브를 축소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 성경은 대부분 이스라엘 백성과 그들이 살아가는 장소의 내
13)
N. D. Wilson, Death by Living: Life Is Meant to Be Spent (Nashville, TN: Thomas Nelson, 2013), 77.
20
하나님 나라 성경신학
용으로 구성된다. 구약 전체는 이런 식으로 요약될 수 있다. 하나님 나라의 이야기는 ‘왕이신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땅에서 하나님 백성 이 왕의 통치 아래 번영할 수 있게 땅을 정결하게 하고 그들의 마음 에 율법을 두는’ 장면에서 절정에 이른다. 요한계시록의 끝 장면은 왕과 그의 백성으로 구성된 나라를 묘사 한다. 왕의 백성은 새 하늘과 새 땅의 동산 도시에 살고 있다. 요한 계시록은 하늘에 날아오르는 영혼들의 그림이 아니라 도시의 모습 에 대한 그림으로 마친다. 하나님 나라에 대해서는 수십 권의 유익 한 책이 있으나 많은 책은 헷갈리게 하기도 하고 지혜 문헌, 바울 서신, 성경의 다른 부분들을 모두 배제해 버린다. 성경의 이 부분들 을 제거하는 것은 성경신학의 관점에서는 성경의 심장을 도려내는 것이다. 하나님 나라에 대한 통전적 정의는 성경을 모두 연결할 수 있게 돕는다.
연구의 목표와 방법 하나님 나라가 성경 전체의 주제를 이루는 틀이고 다른 주제들이 하나님 나라를 중심으로 전개된다면, 우리는 하나님 나라의 성경신 학을 어떻게 연구해야 하는가? 본서와 같이 하나님 나라 성경신학 을 짧은 분량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위해서는 성경에서 어느 봉우 리가 등반하기 적당한지 선택해야 하며, 정상 봉우리들을 조사하고 일부 봉우리를 등반해야 한다. 안타깝지만 다른 봉우리들은 지나쳐 야 한다. 장성에 오르는 지형을 탐색하기 위해 우리는 다음 절차를
서론
21
따를 것이다.
1. 우리는 성경에서 하나님 나라의 이야기와 관련된 핵심 사건들, 예언들, 연결점에 대한 논의로 제한하고 성경에 나타 난 다양한 표현도 분석할 것이다. 2. 우리는 하나님 나라의 정의에 대한 다양한 측면을 설명 하고 하나님 나라에 대한 묘사, 이미지, 상징을 정확히 분석 할 것이다. 3. 우리는 성경의 주요 부분을 같은 비중으로 다룰 것이다. 이는 독자들의 예상보다는 지혜 문헌, 사도행전, 바울 서신에 많은 비중을 두게 됨을 의미한다. 이렇게 접근하는 데는 이 유가 있다. 하나님 나라를 다루는 대부분의 성경신학은 이상 할 정도로 이 부분들에 대해 거의 말하지 않는다. 4. 우리는 구약을 세 부분(율법서, 선지서, 성문서)으로 구 성된 히브리 성경의 순서를 따를 것이다. 대부분의 영어 성경 은 구약의 ‘기독교’ 순서를 따른다. 반면 초기 유대인들은 대 부분 우리가 보는바 구약의 ‘히브리’ 순서를 따랐다. 누가복 음 24장 44절에서 예수는 “모세의 율법과 선지자의 글과 시 편”을 언급하신다. 이때 예수는 율법서, 선지서, 성문서의 히 브리 순서를 암시하신다. 이 방식이 구약 정경의 순서를 설정 할 때 유일한 방식(기독교 순서도 역사적으로 입증됨)은 아 니지만, 히브리 순서는 하나님 나라의 독특한 몇 가지 주제를 강조한다. 순서의 차이는 아래 표에 나타난다.
22
하나님 나라 성경신학
영어 성경 순서
히브리 성경 순서
오경
율법서
창세기
창세기
출애굽기
출애굽기
레위기
레위기
민수기
민수기
신명기
신명기
역사서
선지서
여호수아
여호수아
사사기
사사기
룻기
사무엘
사무엘상하
열왕기
열왕기상하
이사야
에스라
예레미야
느헤미야
에스겔
에스더
열두 책(소선지서)
시가서
성문서
욥기
시편
시편
욥기
잠언
잠언
전도서
룻기
아가
아가 전도서 애가 에스더 다니엘 에스라 느헤미야 역대기
서론
23
선지서
이사야 예레미야 애가 에스겔 다니엘 열두 소선지서
본서에서 우리는 다음 표에 근거해 하나님 나라의 주제를 살펴보 겠다.
율법서
되살아나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소망
선지서
하나님 나라를 예시하기
성문서
하나님 나라에서의 삶
복음서
하나님 나라를 실현하기
사도행전과 서신서
하나님 나라 공동체
요한계시록
하나님 나라의 목표를 이루기
더 구체적으로 우리는 하나님 나라의 개념을 정의할 때 왕의 권능 외에도 백성과 장소를 포함해야 함을 강조하겠다. 기본적으로 나는 본서의 정의가 성경의 시작부터 끝까지 작동하고 있음을 주장하 겠다. 하나님 나라에 대한 이런 정의는 모세오경, 선지서, 지혜 문헌 에 나타나며, 예수의 생애, 죽음, 부활, 승천, 높여짐에서 절정에 이 른다. 하나님 나라라는 용어는 서신서에 간헐적으로 사용되기는 해 도, 하나님 나라의 개념은 바울의 세계관을 형성하는 틀로 역할을
24
하나님 나라 성경신학
한다. 독자들이 이런 흐름을 인정하게 된다면 그 다음부터는 부인 하기 힘들 것이다.
성경의 문턱 하나님 나라를 연구할 때 왕에 대한 논의로 시작하는 것보다 나 은 방법은 없다. 마태는 여덟 개의 단어로 신약을 시작한다. 독자들 은 여덟 개의 단어를 통해 구약과 신약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볼 수 있다.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라”( 마 1:1 ). 마태복음 1장은 신약을 시작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성경의 출입구 에 들어가는 문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마태복음을 시작하는 계보 는 중요한 주제인 왕, 나라, 백성을 강조한다. 마태복음의 계보에는 하나님 나라라는 용어가 사용되지는 않지만, 왕의 개념은 나타난다.
마태는 예수를 다윗의 아들, 즉 왕위 계승자로 표현함으로 예수의 정체를 이해할 수 있게 돕는다. 이 사실은 계보에 있는 두 가지 실마리로 입증된다. 첫째, 1장 6절 에서 마태는 다윗을 “그 왕”으로 밝힌다. 명사 왕 앞에 정관사가 붙 어 있다. 이는 다윗이 단순히 어떤 왕이 아니라 그 왕임을 내포한다. 둘째, 계보의 전체 구조에서 영원한 나라를 약속받은 다윗이 중심 을 차지한다. 마태복음의 계보는 왕의 기원에 대한 책이다. 다윗은 이스라엘의 왕이며, 영원한 나라를 약속받았다. 예수는 다윗 가문에 속한 왕이다. 그는 유배 상태에 있는 백성을 회복하고 나라를 다시 통합할 왕으로 오셨다. 신약은 예수를 왕으
서론
25
로 선언함으로 시작한다. 마태는 왕권과 나라를 구약과 신약을 관 통하는 주제로 알린다. 성경에 있는 다른 모든 주제의 궁극적 의미 는 두 주제를 통해 드러난다. 둘째, 마태복음을 시작하는 “계보의 책”은 창세기에 비슷한 의미 로 사용되는 표현이다( 창 2:4; 5:1 ). 창세기 2장 4절은 하늘과 땅( 장소 ) 의 기원, 5장 1절은 아담과 하와( 백성 ) 의 기원을 의미한다. 이처럼 마태 복음은 시작 부분부터
( 마태복음의 주요 개념인 백성과 장소와 함께 )
새 창조가
왕 예수를 통해 실현됨을 알린다. 왕은 이스라엘을 회복시켜 그들 의 집으로 돌아오게 할 것이다. 마태복음의 계보를 읽는 독자들은 마태가 바벨론 유배를 통해 이스라엘의 역사를 서술하면서 이스라 엘의 회복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계보는 바벨론 유배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마태는 신약의 첫 본문에서 왕과 나라 를 성경을 안내하는 중심 개념으로 강조한다. 메시아적 왕은 새 창조와 새 인류의 중심점이다. 마태복음의 나머 지 이야기는 왕의 사명을 설명한다. 왕은 권위를 얻으며, 이스라엘 을 구출하며, 새로운 집을 세운다. 저주받은 나무는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는 수단이 된다. 하늘과 땅의 모든 권위가 왕에게 주어지므 로 그의 제자들은 모든 곳( 모든 민족 ) 으로 나갈 수 있고, 나라의 복음 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전파할 수 있다. 따라서 나라라는 용어가 마태복음의 서론에 사용되지는 않더라도 ‘나라’라는 개념은 근저에 나타난다. 성경은 왕과 왕의 나라에 대한 이야기다. 댄 매카트니가 말하는 것처럼 하나님 나라의 도래는 “하 나님이 원래 의도하신 질서가 땅을 위해 복원되는 것이고 인간이
26
하나님 나라 성경신학
하나님의 부왕으로 제대로 자리를 잡은 것이다.”14) 예수는 ‘하나님 나라의 약속을 받았고, 실현하고, 가지고 오고, 시작하고, 성취하는’ 참 인간이시다.
14)
Dan McCartney, “Ecce Homo: The Coming of the Kingdom as the Restoration of Human Vicegerency,”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56.1 (1994): 2.
서론
27
1장
율법서 되살아나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소망
노먼 맥클레인의 유명한 소설 『흐르는 강물처럼』의 결말 부분은 아름다운 표현으로 유명한다. 신비적이고 수수께끼 같은 의미로도 잘 알려져 있다.
결국 모든 것이 한곳으로 모이며, 강물은 그곳을 통해 흐 른다. 강은 세상의 대홍수로 생겼고 시간의 지층에서부터 바 위들 위로 흐른다. 어떤 바위들에는 끝없이 떨어진 빗방울이 새겨져 있다. 바위들 아래에는 말씀들이 있다. 어떤 말씀들은 바위들의 것이다. 나는 강물에 사로잡혀 있다.1)
1)
Norman Maclean, A River Runs Through It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9), 161.
31
물과 말씀 위의 문단에는 맥클레인의 작품에 있는 두 개의 핵심 상징인 물 과 말씀이 등장한다. 강물은 맥클레인 소설의 배경이다. 그는 물이 흐르는 바위 아래에 말씀이 있다고 이해한다. 말씀은 그의 생명의 강이라는 실체를 형성한다. 이와 비슷하게 히브리 성경도 물과 말씀으로 시작한다. 왕이신 하 나님은 자신의 말씀을 통해 물과 육지를 분리하고 자신의 나라를 형성할 백성을 위한 장소를 창조하셨다. 창세기에서 강물은 하나님 나라의 나무를 자라게 하며, 강물은 요한계시록으로 흘러들어간다. 모두가 한곳으로 모이는 때는 하나님과 어린양의 보좌에서 흘러나 오는 강물로 땅의 나무들이 열매를 맺게 되는 때다( 계 22:1 ). 강물 아 래에는 말씀이 있으며, 이 말씀은 창조주에게서 흘러나와 하나님 나라의 성장과 쇠락을 결정하는 밀물과 썰물을 만든다. 본 장의 목표는 예수께서 하나님 나라의 개념을 시작하지 않으셨 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하나님 나라는 이미 에덴동산에서 시작했다. 항상 백성, 장소, 권능에 관심을 두었다. 땅은 하나님이 하나님 나라 의 백성을 위한 장소로 계획하신 것이다. 하나님의 내러티브에서 서막은 율법서( 오경 ) 로 시작한다. 율법서는 나라의 소망이 어떻게 자라고 오염되고 되살아나는지 묘사한다. 피조물을 위한 하나님의 드라마가 펼쳐지면서 실패와 소망과 속임과 신실함과 살인과 신 뢰가 가속화한다.
32
하나님 나라 성경신학
율법서에 있는 하나님 나라 이야기
창조
하나님 나라를 세움
타락
하나님 나라를 부패시킴
아브라함의 부르심
하나님 나라에 대한 새로운 소망
왕들과 여왕들 태초에 하나님은 백성과 장소를 자신의 권세로 창조하셨다.2) 하 늘과 땅을 분리하셨다. 혼돈 가운데 질서를 세우셨다. 하나님이 땅 에 짐승들을 두셨으나 창조의 왕관은 인간이었다. 하나님은 땅의 먼지에서 남자와 여자를 만드셨고 땅과 인간 사이에 영속적인 관 계가 시작되었다. 아담과 하와는 생육하고 번성하며, 땅을 채우고 정복하며, 땅을 다스리는 임무를 받았다. 그들은 하나님의 임재를 즐겼다. 하나님과 교제하는 복을 모든 피조물이 누리도록 확장시키 는 사명을 받았다. 아담과 하와는 왕과 여왕으로 창조되었다. 하나님은 창조주이고 온 세상을 왕으로 통치하시므로 절대 왕이시다. 반면 아담과 하와
2)
메릴은 설명한다. “하나님 나라의 이야기는 성경에서 첫 문장으로 시작한다.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이와 같은 간결하지만 장엄한 선언을 통해 왕과 영역이 소개된다. 이어지는 6일 동안 하나님 나라의 시민들, 생물과 무생물은 창조자의 최고 영광인 인간이 무대의 중심을 차지하기까지 각자에 위치에 등장한다……무대는 갖추어졌고 배우들은 준비되었다. 이제 드라마가 시작될 것이다.” Eugene H. Merrill, Everlasting Dominion: A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Nashville, TN: B&H Academic, 2006), 278.
1장 ┃ 율법서
33
는 하나님의 통치를 실행하는 자들로 창조되었다.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이 하신 것처럼 땅을 통치하고 질서를 세우는 역할을 받 았다. 하나님은 세상을 만들고 하나님 나라를 건설하시는 계획에 아담과 하와를 참여시키셨다. 아담과 하와가 등장하는 초기 이야기 들은 그들을 왕과 여왕으로 명시하지 않았으나 적어도 본문에는 두 개의 실마리가 있다. 첫째,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대로 창조되었다. 형상 과 모양의 개념은 두 가지 주요 개념, 즉 (1) 왕권과, (2) 아들 신분 을 의미한다. 고대 세계에서 왕들은 신의 형상을 대표하거나 신의 형상과 같은 존재로 신의 대리 통치자들로 묘사된다. 고대 왕들은 신들의 형상들로 생각되었다. 신들의 살아 있는 형상들로 왕들은 우주의 조화를 유지하고 파괴했다. 하나님 나라는 에덴동산에서 아 담과 하와로 시작되었다. 그들은 세상의 통치를 위해 창조된 하나 님의 백성이었다. 아담과 하와가 왕과 여왕임을 보여 주는 두 번째 실마리는 하나 님이 그들을 에덴동산, 즉 하나님이 임재하는 성전에 두시고 그들 에게 “일하고”( 개역개정, “경작하고” ) “지키게” 하신 것이다( 창 2:15 ). 창세기 에는 “일하다”와 “지키다”로 번역되는 같은 히브리어 용어가 구약 의 다른 본문에서는 제사장들이 성전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설명할 때 함께 사용된다( 민 3:7-8; 8:26; 18:5-6을 보라 ). 아담과 하와는 창조 질서 인 성스러운 성소의 공간을 유지해야 하고 말씀을 성취하고 말씀에 순종해야 한다( 창 1:28 ). 동산과 성전을 확장하는 사명은 혼돈의 바깥 영역을 질서와 선으로 정복하기 위한 왕의 계획이었다. 아담과 하
34
하나님 나라 성경신학
씨 한 알 같으니 이는 모든 씨보다 작은 것이로되 자란 후에는 풀보다 커서 SSBT
하나님 백성 성경신학
나무가 되매 공중의 새들이 와서 그 가지에 깃들이느니라”
벤저민 글래드 지음 16,000원
- 마태복음 13장 31-32절 -
사탄 정복 성경신학 앤드루 나셀리 지음 근간
NSBT 구원의 역설 성경신학 그레고리 빌 지음 근간
왕 같은 제사장 성경신학 데이비드 슈락 지음 근간
욥기 성경신학
많은 그리스도인은 하나님 나라가 무엇이고 하나님 나라가 복음의 메시지와 어떤 관련이 있
에릭 오틀런드 지음 20,000원
는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이스라엘 역사 성경신학 크리스 브루노 등 지음 18,000원
하나님 나라 성경신학 패트릭 슈라이너 지음 12,000원
이사야서 성경신학 앤드루 애버네시 지음 18,000원
혼돈과 질서 성경신학 시드니 그레이다누스 지음 16,000원
하나님의 복 성경신학 윌리엄 오즈번 지음 12,000원
프랭크 틸만 지음 10,000원
하나님의 아들과 새 창조 그레임 골즈워디 지음 9,000원
결혼과 복음의 신비 레이 오틀런드 지음 8,000원
성찬 신학 가이 워터스 지음 9,000원
는 성경의 이야기 흐름에 나타나는 중요한 주제인 하나님 나라를 강조하는 성경의 핵심 사 건들, 예언들, 본문들을 분석한다. 이 연구는 독자들이 예수의 사명과 하나님 나라의 도래가
유배와 회복 성경신학
마이클 모랄레스 지음 18,000원
서던 침례 신학교에서 공부하고 ( Ph. D.), 웨스턴 신학교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지금은 미드웨스턴 침례 신학교에 서 신약과 성경신학 부교수로 있다. 『B&H 사도행전 주
“슈라이너는 하나님 나라, 예수의 십자가, 복음 메시지가 분리될 수 없음을 정확하게 보여
석』, 『시각적으로 보는 신약의 주제와 구조』 등을 저술했
오렌 마틴 지음 14,000원
준다. 흥미롭고 탁월한 본서를 적극 추천한다!”
다. CBR과 JETS 등에 다수의 논문을 기고했다.
- 랜디 앨콘, 『하늘』, 『좋으신 하나님』, 『서로 손을 잡고』 저자
다니엘서 성경신학 제임스 해밀턴 지음 18,000원
“나는 성경신학을 사랑하고 즐기는 사람들뿐 아니라 그리스도와 성경을 사랑하지만 성경
요한계시록 성경신학
전체 이야기에서 왕이신 그리스도를 어떻게 찾을 수 있는지 아직 이해하지 못하는 독자들
브라이언 탭 지음 20,000원
에게도 추천하고 싶다.”
죽음과 내세 성경신학
- 낸시 거스리, 『구약에서 예수 찾기 시리즈』 저자
폴 윌리엄슨 지음 16,000원
“패트릭 슈라이너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연구서를 교회에 멋진 선물로 제공한다.”
할례 성경신학 칼 디닉 지음 20,000원
- 팀 맥키, 바이블 프로젝트 공동 설립자, 웨스턴 신학교 성경학 조교수
레위기 성경신학 마이클 모랄레스 지음 26,000원
SSBT 시리즈는 독자들이 성경 전체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완성되는 통일된 이야기 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각 책은 신뢰할 만한 성경학자들이 집필했으며, 창세기부터
안드레아스 쾨스텐베르거 지음
요한계시록까지 하나님의 말씀을 관통하는 중요한 주제를 추적하고, 이 주제가 그리
14,000원
스도인의 삶을 위해 갖는 중요성을 탐구한다.
옮긴이
다. 경북대학교 ( B. A., M. 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 M. Div.), 고든콘웰 신학교 ( Th. M.), 브리스톨 대학교 ( Ph. D.) 에서 공부했다. 저서로는 『마태복음 주석』이 있고, 번역 서로는 리처드 보컴의 『요한계시록 신학』 외에 SSBT 시 리즈, BTNT 시리즈, 『성경신학적 신약개론』, 『성경신학』, 『NICNT 누가복음』, 『PNTC 누가복음』 (이상 부흥과개혁사)
하나님 나라 성경신학 하나님의 나라와 십자가의 영광 패트릭 슈라이너 지음 ┃ 강대훈 옮김
스티븐 뎀프스터 지음 16,000원
ISBN 978-89-6092-744-5 ISBN 978-89-6092-679-0 (세트)
www.rnrbook.com 값 12,000원
강대훈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신약신학 교수로 섬기고 있
하나님 나라 관점으로 읽는 구약신학
매튜 하몬 지음 16,000원
출애굽 성경신학
패트릭 슈라이너 (Patrick Schreiner)
어떻게 연결되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언약과 율법 성경신학 브랜던 크로 지음 18,000원
지은이
약속의 땅 성경신학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
ESBT
나라의 개념을 왕의 장소에 있는 왕의 백성에 대한 왕의 권세로 이해하는 패트릭 슈라이너
패트릭 슈라이너 지음 ┃ 강대훈 옮김
새 창조 성경신학
예수는 자신의 사역을 시작하실 때 하나님 나라가 가까이 왔음을 선언하셨다. 그러나 요즘
SSBT 성경신학 시리즈 Short Studies in Biblical Theology
하나님 나라 성경신학
“또 비유를 들어 이르시되 천국은 마치 사람이 자기 밭에 갖다 심은 겨자
부흥과개혁사 성경신학 시리즈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