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대앞 문화 매거진 <S
H> 지도
. 길 막 독
ho-ro Shinc
로
신촌
il -g ak km Do
100 1 f
공항철도
146 ar et
OO SOC
박은민 스튜디오 갤러리 1 f
1 k
1 c 커피 브라더스
gil nsa au W
길
1 c elo cafe
산
우
P愛 1 c
와
장쌤 1 c .265 1 c 1 c 1 c 요술살롱 상수동카페
와우공원
1 c 수저
1 c cafe O
ace
1 c h
gallery 꽃 1 1 f
다복길
il Obog-g
오복길
gil Dabog-
도 공항철
1 c S
1 c
O O
unt e nne SP 이뜰 2
ho eo 1 c GO O 1 c cafe Cu n Plate 1 c
ne 1 c c a 1 1 c cafe n lanet 1
1 c
han C
1 c cafe atre 1 c1 c
cafe ano cafe h tea
J
O S1 c
off c 1
홍대입구역
ro hwaYang
1
1 c 한잔의 룰루랄라 2
양화
GJ
oo Store
1 c
ro n
Yanghwa-ro
S
S
1 c
1 c
1 c
1 c
36.5 c 여름
양화로
Hongik Univ.
양화로
Yanghwa-ro
1 c C
O
O
1 c
O
1 c
cafe
cafe rucola 1 c
집.사람 1 c
O
he le
ng 쌀과 밀 1 c 1 l
c1 c cafe . . 1 c1 커피공장 꽃커피
1 c
C
봉숙이네 커피볶는집 1 c 커피공방 1 c
he ol
cafe the fa ou
a
1 c 1 c1 c 치비모리
P
CO
1 c
cafe
oo oo Story 1 c
Seogyo-ro
CO
S 1 c
몽마르뜨 언덕위 1 c
1 c
a e a Sen at on
서교로
한맥길
S
an lla ean Cafe 1 c
eu Co a n
P coffee O
잔디와 소나무 1 c
C O
CO
chaya 1 c
1 f
1 c
arta et 1 f
cafe u y Jul e 루비n줄리 c l Pa tore 1 c 1 c 1
S O
1 c cacao green
2 n
SO O
C SS O 1 g
Donggyo-ro
1 c 정글 디자인북카페 1 c 호타루의 빛
동교동 월드컵북로 4길
J SS 1 c
P
Bo mn uri -gil
동교로
Cafe o n 人
엔젤 cafe 1 c
Hapjeong
리길
CO
1 c
oa t ng Garden
합정역
O
1 c 1 c
Subway Line 2
봄누
S
1 c
Yanghwa-ro
茶
1 c
옻칠갤러리 1 f
ngelo
ore t
1 c C
Jandari-gil
caff
1 c Coffee
1 f G 자이갤러리
잔다리길
1 c
1 c cafe
1 c J SS
1 c 1 c CO
OO C
2
S2
g on pje Ha
1 c cafe :
J
ean ade
역
147 31
1 c
cafe na u
9
1 c 뽈레
O
lu 1 c
1 c C
G
anducc
노는까페 1 c
ature’
1 c ha:n
정
1 c
J’ rec e
unny the gr ll c o o c e oo1 S anne 1
합
로
1 c 감싸롱
and
1 c
1 c 1 c cafe do
c J ’S Cafe c 몽마르뜨 언덕 위 1 c 1 1 c1 1 c co on 은하수다방 1 c O1 c1 h nd 1 c 1 c 물고기 c 플로랄고양이 1 c O G 1 c cafe O 3 S c 나비 2 OS 405 tchen 1 c 1 c J Pot 1 c1 시루 1 c S 작업실 1 SS C c OS 1 c 틈 del undo 1 c ★ a e cafe 1 c Sho Gallery ar S eet er 1 f c 1 c ello a C S1 c 1 c Paul 1 1 c ar rt S ace ue
lo o
1 o
커피 中心 1 c
희
1 c danchu
cafe C
uc al a oa t ng
1 c
c 1 c 1
1 d
Gallery
cafe 05:59
연
5 t hor on
ont lanc 1 c
홍대입구역
Subway Line 2
elo o 2 1 c O c haru 1 c1 1 c or e t SC 1 c at o e
토끼의 지혜 1 c
1 c 카페 즈키 1 c
1 c S O C O 1 c 1 c 즐거운 북카페 2 .SPO 1 d 공감 1 c 1 d out the cafe 1 c 1 f 표현 갤러리 요기가 1 c e cafe 1 c 1 c 그앞 1 c 공주가 사는 궁전같은 카페 1 c 1 c 아수라발발타 1 c 1 c ll ott 1 c 1 c aterCoc 1 c C OC S 2 il S G 1 c -g 1 c Cafe 1 커피 S ace 1 l 국시집 c1 1 c Plan 1 d1 OOO ng S1 c 1 c c he cu ca e factory lmada Sang ang 1 c 오타치는 코끼리 1 볶는 곰다방 1 n 1 l 나물먹는 곰 u 재미난조각가 1 d J SS rd S 1 d Eo adang 1 c 1 d 오아이 1 c O coffee Stud o 1 c tyche 1 c O S 길 e 1 c 1 d c Chocolatyu 1 1 d 당 오뙤르 1 d O 1 c 1 d COCOO 1 d a a Gor lla 1 c 마 1 c 9 factory O cat G 울 d 2 . o ent 1 c 1 c ean tree 20025 어 1 c 일공일호 1 c 1 마망가또 1 c 1 c an lla cu ca e 1 c 앨리스 1 니가 그리운 날엔 1 c 그리다 꿈 북카페 c cafe yong2 J 1 c 1 c or Pe oe arg e 1 다문화 박물관 c 1 c 1 c G C 1 c 1 c C cloud 2 1 c CO 1 f ly anca e 1 c 1 f 1 c e arture 1 c Sa cafe eed 1 c 2 망명정부 1 c cafe 7gra 1 c ounge 1 c the cafe roro etter together 1 c re a ry 1 c O S 1 c nn hou e 1 c Coffee Pr nce a a dor CaSa ca 3 1 c coo e 1 c 에뚜와 eto le 1 c 1 c o C OO 1 캣츠리빙 1 c 1 c ro enade 2 1 키체 1 c Gallery cafe 동감상련 1 c 1 l 헬로키티카페 1 1 f Gallery yu c 珈琲豆林 1 c 보리울 e ta le 1 c 1 c cafe 8 몽 1 c tory ol day art ent 1 c 1 c 퀴즈피플 1 d el et anana 노 d네 le r re 1 c 후마니타스 책다방 1 c c au on a n 1 1 f 콩 볶는 집 ta le 15 1 c 1 c 1010 서교예술실험센터 1 c cafe 몽쏘 1 c 1 c ello 이야기 1 c Gra e 1 c 1 c a ec nou 1 c Page 1 c 1 c JS 코믹토토 만화 cafe 얼렁뚱땅 공작소 2 1 c 1 c 용다방 민들레영토 1 c 1 c eatt re ee O 1 c the ga r fe 1 c 1 c 로베르네 집 ne 1 c 1 c G unn ng eart 2 1 c CO 2 1 f 1 c cafe 게으른고양이 1 c1 1 f andar c cafe then 소극장 예 1 c free te o yth 弘 1 c 1 c S CO 1 d 1 c + 1 f
3
1 c
1 c 다락방 4
OO 2
Stylo 1 c
장
차
주
영
공
2
병아리콩 1 c afe alle n 1 c
1
e6 Lin
양화로
1 c
은하항공 여행사 2 1 c
1 d 라이브홀 OO 1 c caffe ene 8
eddy clu
ne Zo ing ark cP 1 c bli Pu
1 d
1 k 북새통 문고 1 1 c coco run
2
o i-r hu on Ye
cafe 콤마 1 c
1 g O G 삼단변신 미스홍 1 c c 1 c 별 2hand 1 1 c 언제나고양이 5
ay bw Su
1 c 코끼리 탈출하다
ean tree 20025
1 c Coffee
화경전통찻집 3 1 c
1 k
1 k 한양툰크
Geotgosipeun Geori
걷고싶은 거리
O
1 c 커피와 사람들
O
nor ter
Saem ulgye ol-1gil
egro coffee 1 c 1 c dog cafe unnyne 3 1 c th coffee 1 d O
Airport Railroad
로
C
작 1 c O O c1 1 c 푸른 굴뚝 1 d
eryday coffee 1 c
1 c u le 3 1 c PO C 2 라휘 사주카페 3 1 c 1 d 엉클 찰스 1 c 하늘공원 사주카페 1 c 미래안 사주카페 3 Seogyo-ro
1 c
서교로
iv. ik Un Hong
7
1 c
1 d Pal 1 c 내빠강 4 1 c O O
1 d 500
1 c a cafe
커피발전소 1 c
cafe 318 1
il -g ak km Do
cafe SandPar
S
1 d
G 명월관 1 c lo ogra hy
1 c
oren
길
cafe
oo
창밖을 봐…
1 f 제일갤러리 4
1 c 18gra
S 1 c c . . a le l O O 1 1 c1 c1 ot Journey 1 c 1 c ean de 1 c onG
막
1 f 갤러리 ‘이상’ 1,2
1 c 준스카페
2
S
1 c conan
S .255 1 c
1 c caffe ne a oratory 2 1 c ’
독
꿈꾸는 다락방 1 c 공간 415 O 2 1 c 1 c P o Ja ya 1 f 봄날 2 1 c ora 1 c1 c c 1 c uccella 1 물의 정원 1 1 c cafe O 1 c 1 oor 1 c 1 c ongto c el 1 c O O 모과나무 위 2 노란코끼리 1 c 1 c anchu 1 c 1 c G 2 ll n 1 c loo e 굿모닝 크리스틴 1 c a a o2 oona 1 c llo coffee 1 c 1 c 커피와 나무 1 c 새물 결 1길 C P
6
1 d
he 꿈 1 c
heater ero 1 c Chal e ro n 1 d a e 공주가 쓰는 침실같은 카페
SP 5
1 c 1 c 1 c
ature 1 1 c
1 l a 1 c
G OC O 2
O C
eal 2
i or Ge
’S cafe 1 c 1 c achel 1 c O OS 1 c 1 c cafe
1 d SO
On the 6
1 d dd il n-g usa Wa
길 1 c coffee 우산 와 SugarS oon 3 GO 1 c 1 c oo
so as Pic
1 k 반디모아
th
리
2
1 c
al cat 1 1 c 1 k 온고당 서점 cafe SO C 1 c 1 c CO
on 12
coffee S c 홍대에서 우회전 1 c a n1 1 c S
거
O
1 c ele
OO S
외국 예술 서적
1 d
소
C
O
S
1 k
21 d
.
시연 1 c
1 c
C
1 d S 1 d GOGOS2 c 1 d Stud o80’ 1 1 d oo er O 1 d S C PC 打 ta: 1 d . 1 d 1 c
카
O
1 c
1 c 퐁포네뜨
Peo le of a te
d ng dong
1 c 1 c
O
1 c
에디오피아드림스 1 c
1 c
1 c 1 c
1 c
Groo y
1 c
an
cafe OO JO 1 c
1 f
cafe O ar et 1
1 c
1 c e S eet On 2 1 c a cafe 1 c 1 c 뒤빵 o erla 1 c 1 c Pet t o O SS 1 c 1 c 1 c o o
COO
1 c 커피향창고
1 c
d d ’ gaufre
1 c
la a n douce 1 c
ddle Gray 1 c Cloud 9
n ng fore t
1 c
1 c cafe on n
oo Gallery
ay une
W au sa ngil
1 c
l agg o
1 c 아뜰리에 데코아발림
a n o 꽃多방 1 d S @ c1 c1 Crea 1 c 1 d u cC ner lee S eet oll
SP
피
c 1 n1 미디어 극장 아이공
C
P
1 c
ar et
1 c
고양이 시간 2
1 c
cafe
길
1 c alon de oo 1 f cafe no 1 c
1 f
cafe Ou
1 g 비보이극장 1
산
cafe 1 c a terrace 2 1 c
1 c
@ c 1 d 1
우
1 c
er
S
1 c 1 c tea terrace 1 f 뽈랄라수집관
cafe 174 4
1 d Ja
ol er
1 c noth ng
P O1 c Sunday alon 1 c
1 f 성갤러리
1 c
nthrac te
1 c
상수동 그가게 1 c
1 c
1 c O 多樂 2 1 c no 1 c 1 ct 1Scene
와
ne 1 c
1 g
r. o le
1 c 레이지 마마스 파이
S
1 c
도서관
nny cafe 1 c 1 c 1 c a u na ntage 1 1 c Pet t ar re a a c a G O G C ohoo 1 c
1 f
O
e1 c 수다떠는
C C O OO
cafe
door gallery
1 c C
1 c
Gateau et ’a
2
fternoon tea
1 c
1 c 1 c 니오타니 타이포그래피 ‘공간ㅎ’
no na e 1 1 c e
1 c
oc ‘ ’ oll h gh chool 1 c
1 f gallery u 1 c green cloud coffee
1 c Coffee Pr nce o.1
heater
아름다운 세상 1 c d e clu 빵 1 CO 1 c
1 c
C
cafe ade 人 n 1 c O
Jandari-gil
Sanul
1 k our nd 1 c cafe lo on o
1 f
Gallery
1
O O
잔다리길
손끝세상 1 c 1 c S 1 o 산울림소극장
eet ea G O
1 c
1 c Coffee e 1 f S a e 1 d S G 1 c cafe o 1 c 오래 있어도 괜찮아 1 1 f hanty 2 포스트 극장
OP
gil gjun To
아트몽드 갤러리 뷰 1 f 1 c cocafe 작은 부엌
cola legr a
1 g
1 c
1 f
길 정 토
1 c 1 c 그림책 상상
S
su ng Sa
SG
그문화 다방 1 c1 f 그문화
역 수 상
O
1 f
6
rt Center
1 c
S O CO
밥먹는 카페 1 o 육완순무용원 1 c
O
1 c 이리 C
e Lin ay bw Su
Salon de la Sorc ere 1 c t lace 747 1 c
1 c
1 c
O SP
SS 1 c
Hanmag-gil
ad cafe
1 c
1 c
PP CO
공항철도
J SS 1 c
1 c 1 c
거리의 분위기, 복잡한 사람들
cafe
o e e ender
길
1 c cafe C S
1
Chamg uru-gil
1 c 커피사랑방
여경구 | 26 | 디자 he ello cafe c 이너1
C
1 c
참그루
O
사람 구경, 부족한 주차장
1 c 초코소녀, 커피총각
1 c
CO
1 c
CO
OS CO
G
카페, 주차 요금
한얼
유지혜 | 25 | 학생
길
1 o arangt
테마 릴레이-홍대앞 문화 매거진 <S
홍대앞에서
지도조사 류아진
표지 디자인 장성환
임미영 | 21 | 학생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 스트리트 인터뷰
촬영 이혜령 여경구
페, 은 카 람들 생 좋 사 기 |학 분위 복잡한진 | 22
맛집, 삐끼들
H>가 묻습니다
| 22 | 휴학생
| 21 | 학생
1 c
Coffee, Plea e
제너럴닥터, 클럽
오하늘 | 26 | 학생
밴드공연, 사운드박스
밴드공연, 사운드박스
아리가또 | 30 | 디자이너
자유로움 옷가게, 길거리흡연
밤문화, 복잡한 거리 전병일 | 27 | 학생
이예진 | 22 | 학생
윤 이
Hane ol-g il
장수비
장수비
동교동 월드컵북로 4길
s _Cafe s
치비모리_Cafe
<스트리트 H>를 만날 수 있는 곳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아쉽지만 한정 수량이라 서두르셔야 합니다. 꼭 필요하신 분은 정기구독을 . treet-h.co )의 ‘정기구독’ 코너에
이름, 연락처, 주소 등 관련 정보를 기재한 후 1년 정기구독료 12,000원을 입금하시면 됩니다. 입금 후 편집부(02-323-2569)로 알려주시면, 그 달부터 <스트리트 >를 보내드립니다. 입금처 _ 국민은행 032901-04-173760
_Cafe
_Cafe
_Cafe
<스트리트 >는 매월 15~20일 경 발행되며, 오른쪽 리스트에 소개된 장소에 배포됩니다. 누구나 무료로 하시면 집에서 편하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커피공장 2
_ lo er ho
. _Cafe
| 예금주 _ 장성환(디자인스튜디오 203)
Anthracite art샴 BELLA TORTILLA B-hind Book nook Cloud 9
322-0009 326-2480 070-8779-6675 3141-7212 323-3357 337-3342
DD-DA Beanside hibi HOSITAMTAM ohoo sono factory
3142-5750 326-2402 337-1029 333-0260 335-7730 337-3738
SUKARA The Gallery Veloso zari 2nd Floor 관광안내소
334-5919 3142-5558 323-7798 3142-7412 6403-8558 323-2240
더 북 소사이어티 로베르네집 빵 상상마당 한잔의 룰루랄라 제너럴 닥터
325-5336 337-9682 6081-1089 330-6227 337-9887 322-5951
플로랄 고양이 나비 3143-1975 유어마인드 070-8821-8990 후마니타스 책다방 070-4010-7737 서교예술실험센터 333-0246
a-zeet 신사동 가로수길 PM 2:45 부산
3446-9927 051-247-4847
발행인
Street H | o
| 2011 03
nde endent ocal Culture ongdae rea
aga ne for
장성환
발행
편집장 정지연, 객원 에디터 하정희, 문지혜, 임은선 디자인스튜디오
정기구독
고성주, 안혜숙, 이혜령, 장수비, 류아진, 여경구
Co yr ght
포토그래퍼 김장현
디자인스튜디오
(te 02 323 2569
02 323 2562)
121 895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402 13 한스빌 3층
기획취재 디자인
우편 정기구독 | 년 12회 12,000원
2011 <스트리트 >에 실린 내용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복제를 금합니다.
StH_03_1-5_Coverstory_OK_out.indd 1
2011.3.22 12:37:41 AM
StH_03_1-5_Coverstory_OK_out.indd 2
2011.3.22 12:37:56 AM
파괴를 우려하며 대책위 활동에 결합하고 있다.
전철역 부근에 이미 대형쇼핑타운 건설 공사가 한창인데, 여기에 지하상가가 생긴다면 당연히 적자가 예상된다. 그 부실의 충당은 마포구민의 세금으로 메울 가능성이 크다. 과연 누구를 위한 공사인지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이 부분이 걷고 싶은 거리 지하주차장 및 지하상가 건설계획
담당부서는 확정된 사안이 없다고만 되풀이했다. 이같이 사실이 문제가 되자 오진아 구의원이 마포구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서울고등법원과 대법원에서 이미 이와 비슷한 광진구의 사례에 대해 구의회의 의결을 거치지 않은 ‘하자’는 중대하고 명백하다고 판결을 내린 바 있다”고 주민 공청회 절차를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마포구는 “의회 결정을 굳이 거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이지만, 공식적으로 요청하면 의회 절차를 밟을 수도 있다”는 모호한 말로만 대답했다. 2010년 10월에는 홍대 걷고싶은거리 상인연합회 회원들이 사업시행자와의 계약서를 공개해달라고 요청했으나 이 역시 묵살당했다. 이 사업이 단순히 지하주차장 건립을 위한 것만이 아니라는 의혹도 있다. 2008년 제시한 조감도에 따르면 총 지하 3층의 시설에 지하 1층은 150여 개 점포를 포함한 근린생활시설, 그리고 2층은 281대, 3층은 319대로 총
600대의 주차시설을 짓는다고 되어 있다. 그런데 이중 200대를 인근에 지어질 대형쇼핑센터(마포애경타운)에
먹고 마시는 유흥가로 변해버렸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외무대에서 벌어지는 공연이나 이름 없는
가수들의 버스킹(거리공연) 무대로 여전히 사랑받을 만큼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곳이 걷고 싶은 거리다.
이런 상황에서 마포구가 홍대의 주차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이유로 600대 규모의 지하주차장과 150개 근린형 생활
점포를 아우른 지하상가를 721억원을 들여 짓겠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부터 다시금 이 거리의 문제가
논쟁거리로 불거졌다.
사실, 홍대앞의 주차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홍대
걷고 싶은 거리 상인연합회의 최주근 위원장은 “주차문제를
해결해야한다는 데는 물론 동의한다. 그러나 현재
마포구에서 추진하는 계획은 문제가 많다. 정작 이 계획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주민과 상인들이 이 사실을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하다는 게 문제다”라고 지적한다.
마포구청이 걷고 싶은 거리 지하공간 개발계획 수립 방침을
세운 건 지난 2007년. 이어 2008년 11월에 지하주차장
엔터테인먼트 기능이 혼합된 메머드급 복합 쇼핑센터다.
곳이다. 예술인들 역시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활동공간의
마포구청을 찾아가 확인을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정비되면서 고기집들과 각종 주점, 노래방이 들어서면서,
우선협상대상자로 마포하이브로드파킹주식회사를
양쪽을 약 2미터의 통행로만 확보하고 높이 2미터 이상의
공청회는 단 한차례도 열리지 않았다. 최씨가 3번 이상
홍대앞을 훼손시킨 사안이라고 말하는 이들도 있다. 길이
1480억원을 투자해 지어지는 쇼핑과 호텔, 그리고
공사 계획을 보면, 총 520미터의 공사구간을 따라 거리
인가했다. 그 과정에서 주민과 상인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2002년 걷고 싶은 거리의 조성이야말로 문화생태계
시설사업기본계획을 고시했다. 2009년 2월 민간투자사업
500여개 점포 상인들의 생존권이 박탈당한다는 점이다.
퇴임을 겨우 15일 남겨놓은 상태에서 졸속으로 이 사업을
무대로도 알려진 곳이다. 홍대앞 문화예술인들 중에는
할당한다고 되어 있다. 마포애경타운은 2012년까지
1996년부터 걷고싶은 거리에 고깃집 ‘최대포’를 운영해온 최주근 대표는 2005년부터
이 대규모 공사의 가장 큰 문제점은 걷고 싶은 거리 부근의
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마포구청은 전임 신영섭 구청장이
프린지 페스티벌과 같은 문화예술 행사의 단골 야외
민간사업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민간투자대상사업 및
최주근 | 대책위원장
토로했다.
재산’에 해당되므로 지방의회의 의결을 반드시 필요로
서민적인 고깃집과 주점이 옹기종기 몰려 있는 거리이자
대표는 “순리대로 문제를 풀고 싶지만 마포구청이 지역 주민과 상인의 뜻을 이렇게 계속
3년 이상 진행될 예정이다. 엄청난 소음과 먼지, 진동이
이유다.
H
글 | 정지연(@leafyeon)에디터
저지가 단지 상인들의 생존권 문제로만 치부되선 안되는
지하상가가 경영악화와 부실로 몸살을 앓고 있다. 홍대입구
마포구 진보신당의 오현주 사무국장은 “서울시의 수많은
한국실험예술제 등 수많은 예술인들의 무대가 설치되는
또한 이 거리는 서울프린지페스티벌, 와우북페스티벌,
학생들의 등굣길 안전도 보장하기 힘들다.
바람이다.
함께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최주근 대표의
및 지하주차장 건설 계획 무효화에 모두
소중한 이 거리를 지킬 수 있도록 지하상가
아닙니까? 수많은 내국인과 관광객이 방문하는
“홍대앞이야말로 서울시의 가장 소중한 관광 자원
활동에 99.9%가 찬성하고 있는 상황이다.
진행할 계획이다. 걷고 싶은 거리의 500여개 점포는 대책위
집중하고 있다. 현수막과 유인물을 통해 알리고 가두서명운동도
대책위는 현재 대규모 개발공사의 폐해와 법적 하자를 알리는데
도무지 움직이질 않네요.”
무조건 안된대요. 타당성 제고 조사를 해달라고 요청을 해도
피해를 덜 주는 시공방법으로 ‘지하터널 공법’을 제시했는데, 시공사는
못했어요. 무엇보다 우리 상인들과 주민의 피해를 최소화해야하는 거 아닙니까? 그래서 가장
주무부서인 도시계획과를 찾아다니며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는데 별다른 답을 듣질
“공청회도 없이 사업시행자와 협약부터 한 걸 알고, 작년 12월부터 대책위를 구성했죠. 계속
반영하지 않는다면, 법정투쟁으로 가야할 듯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싶은 거리에 지하주차장 및 지하상가 건립의 문제가 터지면서 다시금 바빠졌다. 최주근
땅을 30~40미터 파내려가는 굴착식 공사가 적어도
발생하여 주거안전권을 위협할 것이고, 서교초등학교
홍대걷고싶은 거리 상인연합회의 대표를 맡았다. 작년에 대표직에서 물러났던 그는 걷고
“지역 주민과 상인에게 피해를 주는 공사는 철회되어야 한다”
홍대앞 걷고 싶은 거리 지하주차장( 및 지하상가) 건설에 대한 주민설명회
펜스를 친다고 되어 있다. 공사가 시작되면 그 펜스 안에서
민자에 운영수익을 몰아주는 공사를 하려는지 답답하다”고
2010년 11월 19일
교통영향분석개선대책수립(사전검토보완서, 마포하이브리드파킹주식회사)
활용하는 방안을 고민해볼 수도 있다. 그런데 왜 무조건
달하는 것으로 공유재산법 제 7조 제 1항에 따르면 ‘중요
뒷골목을 이르는 말이다. ‘굽고 싶은 거리’라 부를 정도로
실시협약서 체결
2010년 7월
있는 주변 주차장에 마포구청이 협약을 맺어 기존 자원을
적법성의 문제다. 이 사업은 총 사업비 규모 721억원에
민간투자사업 우선협상자로 마포하이드로파킹주식회사(POSCO소유) 선정
2009년 6월 15일
걷고 싶은 거리는 홍대입구 전철역 8번과 9번 출구
주차장이 부족한 건 아니란 얘기다. 따라서 이용자 제한이
2009년 2월
최주근 위원장이 문제가 많다고 하는 이유의 첫 번째는
홍대 걷고 싶은 거리 지하주차장 민간사업 추진계획 수립 및 민간투자대상사업 및 시설사업기본계획 고시
2008년 11월 10일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비싼 주차비를 물지 않고 불법으로 주차하는 것이 문제이지
민자사업 타당성 조사 용역보고서 제출
주는 수익형 민자사업의 형식이다.
따르면, 실제 이용점유율은 40.6%에 불과하다고 한다. 즉
마포구청, 홍대 걷고 싶은 거리 지하공간 개발 계획 수립
2008년 5월
홍보물들이다. 대체 지금 걷고 싶은 거리엔 무슨 일이
내용
2007년 11월 6일
귀속되며, 사업시행자에게 일정기간의 시설관리 운영권을
일지
및 지하상가의 건설 계획의 전면 무효화를 주장하는
수용능력이 약 1800대나 된다. 그러나 마포구 자체 조사에
사업은 시설의 준공과 동시에 시설의 소유권이 마포구청에
플랭카드를 자주 보게 된다. 걷고 싶은 거리의 지하주차장
최차수 총무(상인연합회)는 “전철역 부근의 주차장은 주차
선정하고 2010년 6월 사업시행자와 협약을 체결했다. 이
요즘 걷고 싶은 거리를 걷다 보면 커다란 현수막과
지하주차장 및 지하상가 건설
공연 외에도 국내외 인디 다큐멘터리 상영(매주 화요일), 문학포럼과 불킨 낭독회 등 다양한 문화적 네트워크가 있다. 두리반에서 이처럼 다양한 활동이 이뤄지는 이유는 간단하다. 사람의 발길이 끊어지는 순간 이들의 투쟁도 무너지기 때문이다. 유씨는 “두리반이 이대로 무너진다면, 이후 마포구 재개발 사업은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다. 막개발은 단순히 두리반의 문제가 아니라 걷고 싶은 거리, 마포구 전체의 문제다. 땅값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건물주는 웃겠지만, 삶의 터전으로 삼고 있는 우리같은 세입자나 옥탑방의 인디뮤지션들, 반지하의 문화예술인들, 월세에 허덕이는 라이브클럽 등은 쫓겨날 것이다. 그리고 그 자리엔 대자본이 들어서고 홍대앞의 자생적 실험적 문화는 소멸될 것이다”라고 말한다. 유씨는 두리반 내의 문화활동이 가지라면, 역시 뿌리는 철거민들이 제 권리를 찾을 수 있도록 관련법 개정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관련 토론회가 활발해지길 바라고 있다. 이후 사태가 원만히 해결되어 식당을 열 수 있게 된다 해도 유씨는 이 공간을 계속하고 싶다. “여건이 된다면 지하는 공연장을 만들고, 2층은 다양한 전시와 낭독회, 토론회를 할 수 있는 공간으로 꾸미고 싶다. 지금껏 맺어온 수많은 인연의 끈이 사태해결과 동시에 끊어지지
통지했다. 법정싸움에서 패소판결을 받은 세입자들은
하나 둘씩 불리한 재계약에 서명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작년 크리스마스 이브, 유일하게 재협상에 응하지 않은
두리반에 용역이 쳐들어왔고 그 다음날부터 유채림 부부는
두리반에서 농성을 시작했다.
두리반은 도시재개발과 철거민 문제의 상징이면서
또한 대안문화의 장이라는 독특한 성격을 띄고 있다.
아마도 두리반에 가장 먼저 결합한 이들이 홍대앞
음악가들이었다는 데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 가장 먼저 이곳을 찾은 건 ‘엄보컬’ 엄광현씨와
김선수・김정은씨 부부. 유씨는 그것이 ‘하늘지붕음악회’의
시작이었다고 말한다. “농성 시작한 지 보름이 넘어가고
있었는데 그 때 처음으로 웃고 박수를 쳤다. 그날 쓴 일지를
보면 얼마나 충격과 영감을 받았는지 여실히 드러난다. 이
저항을 문화운동의 형태로 끌어가야겠다는 생각을 하게된
계기다.” 그게 2010년 1월 11일의 일이었다.
2월 초에는 머머스룸의 정동민 기타리스트가 찾아왔다.
정동민이 한받을 데리고 와 공연한 것이 벌써 1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토요일 ‘자립음악회’의 시초가 됐다.
이제까지 두리반을 거쳐간 밴드는 200여 개가 넘지만
유씨가 진심으로 고마워하는 건 역시 초창기 멤버인 한받,
글 | 문지혜 객원 에디터
5월 1일 새벽까지 2박3일로 이어진다.
GS건설은 이전비용 300만원을 줄 터이니 건물을 비우라고
H
이번엔 4월 30일에서
지구단위계획지역으로 지정됐고 2008년 건설시공사인
않게 할 것이다.”
같은 공연을 연다.
터전이었다. 그러나 이듬해 3월, 두리반 일대가 마포구
머머스룸, 단편선이다.
언더그라운드를!’라는 주제로
꾸려가고자 아내 안종려씨(52)가 2005년 3월 오픈한 삶의
지키는 일을 하게된 것처럼 다른 이들도 그랬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나 경성수씨는 두리반을
GS건설 용역 30여 명이 두리반 침탈. 유채림 부부 두리반 안으로 진입, 농성 시작. 인천작가회의 이사들이 찾아와 지지 농성. 엄보컬, 김선수의 <하늘 지붕 음악회> 시작. 독립영화 ‘푸른 영상’에서 <화요 다큐 상영회> 시작.
2009년 12월 24일 2009년 12월 25일 2009년 12월 26일 2010년 1월 11일
현재 여전히 두리반은 농성 중.
2011년 03월
H
글 | 임은선(@llgreenlandll) 객원 에디터
진정한 의미의 빛입니다”
새로운 방식의 소통이 있죠. 그게 두리반을 밝게 비추는
69 작가선언 주역들이 두리반에서 <불킨 낭독 회> 개최 <두리반 3층 강좌> 시작
부근에서 이곳은 유일하게 전기가 없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다 가벼운 건 아니죠. 화려한 네온사인으로 번뜩이는 홍대
방법일 뿐이죠. 누군가는 놀면서 무슨 운동이냐고 하지만 즐겁다고
“공연, 상영회 등은 사람을 이 공간에 모으고, 또 사태를 알리기 위한 한
때문이다.
문화공간으로 착각하는 데는 반대다. 두리반은 엄연히 철거농성장이기
“다양한 문화활동에 참여하러 많은 분들이 오셨으면 좋겠어요. 공연 뒷풀이에 함께
공감하게 되었다.
공간인지도 몰랐다고 했다. 그러나 두리반 사람들을 만나 어울리며 철거민 문제에 깊이
우연한 계기로 51+파티 스태프로 참여하게 된 경성수씨. 처음에 그는 두리반이 어떤
<국제연대를 위한 두리반 영어모임> 시작
2010년 11월 28일
2010년 11월 10일
2010년 11월 7일
두리반 단전
2010년 7월 21일
<51+뉴타운 칼쳐 파티 두리반> 공연
2010년 5월 1일
한국작가회의 주관 월 1회 <두리반 문학포럼> 시작.
<칼국수 음악회> 시작.
2010년 3월 12일
2010년 7월 7일
홍대앞 자립음악가들 <사막의 우물 두리반> 공 연 시작.
2010년 2월 27일
2010년 2월 23일
어우러지다보면 자연스럽게 공감대가 형성되거든요. 제가 우연히 두리반을 알고 이곳을
신발가게(700만원), 단란주점(10000만원) 등 세입자들 줄줄이 재협상에 응함.
2009년 9월
경성수 | 인권활동가 두리반을 비롯한 나머지 세입자들 항소심 패소.
즐겁다고 다 가벼운 소통은 아니다
2009년 5월
2008년 3월
공간입니다.”
상가세입자들 1심에서 패소, 라틴댄스클럽(시 설투자비, 이사비용을 받지 못한 채 문을 닫음) 을 제외한 10세대 항소.
GS건설의 명도소송에 맞서 상가 세입자들 법 정싸움 시작.
참된 자립이 무엇인지 깨우치게 해준 소중한
서로의 손을 잡아야 자립이 가능해집니다. 두리반은
자립은 혼자만의 힘으로는 불가능하다는 걸 알았어요.
“음악가로서 자립할 수 있어야한다고 이야기해왔는데요.
공연을 하면 할수록 오히려 자신이 힘을 얻었다고 말하는 한받.
처음엔 두리반 사람들에게 위로를 주고 싶어 시작한 일이었지만
걱정했는데 의외로 많은 사람이 공간을 채워줬죠. 감동적이었죠.”
기획부터 참여한 건 두리반이 처음이었죠. 사람들이 주눅들지는 않을까, 과연 호응해줄까
공간에서 공연이 될까 걱정했어요. 기륭전자 농성장 등에도 초대되어간 적이 있었지만
2008년 6월
마포구청에서 두리반 일대를 지구단위계획지 역으로 발표
2006년 3월
2005년 3월
‘인디뮤지션에게 더 많은
두리반은 소설가 남편 유채림씨(50)를 대신해 생계를
동교동 167번지에 칼국수, 보쌈 전문점 두리반 영업 시작
화제를 뿌렸다. 올해도 두리반은
다양한 문화공연과 지식 나눔 활동이 매일같이 펼쳐진다.
내용
참여하여 3,000명 관객이 모여 큰
비롯해 화요일 ‘다큐멘터리 상영회’, ‘두리반 3층 강좌’ 등
일지
51개 팀을 훌쩍 넘긴 61개 밴드가
‘두리반’이다. 이곳에서는 월요일 ‘하늘지붕 음악회’를
유채림대표
강제 철거에 맞서 농성중이라는 두리반 소식을 들었던 건 작년 2월. 제2의 용산이 벌어지면
공연 이후였다. 당초 계획한
이제 홍대앞의 농성장이자 문화의 장으로 자리를 굳힌
안된다고 생각한 한받은 서교지하보도에서 함께 공연했던 친구들과 뜻을 모았다. “투쟁의
한받 | 자립음악인
건 작년 노동절 ‘51+컬처파티’
끊이지 않는 이곳은 보쌈과 칼국수를 팔던 식당에서,
함께하는 자립을 이야기한다
두리반의 이름이 널리 알려진
동교동 삼거리에 위치한 한 허름한 건물. 사람들의 발길이
‘홍대의 용산’ 두리반
Cover Story
StH_03_1-5_Coverstory_OK_out.indd 3
02
03
2011.3.22 12:38:26 AM
StH_03_1-5_Coverstory_OK_out.indd 4
2011.3.22 12:38:39 AM
전개해갔다. 그러나 2009년 9월, 서울시의 학교시설 부지 허가에 이어 2010년 지방선거를 한달 앞둔 지난 5월, 교육청의 인허가가 떨어지면서 성미산 문제는 걷잡을 수 없어졌다.
작년 5월부터 트위터를 뜨겁게 달군 홍대앞의
사건사고는 성미산이었다. 사학재단인 홍익대가 이곳에
초중고등학교를 이전하기로 함에 따라 성미산의 생태
파괴를 우려한 지역주민들이 반발하고 나선 것이었다.
뻔하다는 것이다. 둘째, 공간 부족이다. 홍익재단의 학교 신축 부지는 성미산 전체의 20%에 해당하는데, 세 개의 학교가 들어서기에는 공간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학교 신축 설계를 보면 운동장조차 제대로 마련되기 어려운 현실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학교 신축을 위한 설계변경을 요구하고 있다. 셋째, 가장 큰 쟁점사항인 교통 체증과 안전 문제다. 지금도
2차선의 좁은 도로인 이곳에 세 개의 학교가 들어서면 차량 증가는 불 보듯 뻔하다. 특히 사립학교의 특성상 학생의 등하교가 자가운전이나 셔틀버스로 일어나기 쉬운데, 그럴 경우 단순히 교통체증을 넘어 아이들의 등・하굣길 안전에 치명적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높다. 대책위가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어도 성미산 문제의 해결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홍익재단이 법적으로 하자 없음을 주장하며 협상테이블에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다가, 워낙
한양재단의 아파트개발을 저지하는 1차 성미산지키기
운동이 있었다. 2001년 7월 당시, 지역주민들의 자발적
발의로 결성된 ‘성미산을 지키는 주민연대’가 모태가 된
성미산대책위원회를 2003년 1월 결성되었다. 그리고
이들의 저항에 부딪혀 서울시의 배수지 건설은 저지되었고
자연스럽게 한양재단의 아파트 건설 계획도 중단되었다.
이후 성미산대책위원회는 성미산을 생태공원으로
조성하는 문제를 가지고 마포구청과 서울시와 다각적
협의를 거쳤다.
한 가지 의문은 지난 2003년 1차 성미산지키기의 성과가
왜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이어지지 못했나 하는 점이다.
이에 대해 문치웅 위원장은 “2003년 이후 대책위와
마포구청의 협의 테이블에서는 성미산 생태공원화를
기정사실화하기로 협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2007년
대책위가 확인해본 결과, 홍익재단이 기존 한양재단 소유의
부지를 매입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에 대책위에서도
전체 공정률의 5% 이상이 진행됐다.
사립학교가 생기게 되면 아이들 사이에 위화감이 조성될 게
2001년에도 성미산을 둘러싸고 서울시의 배수지 건설과
축제, 지신밟기, 장승세우기 등 성미산을 지켜야 하는
살고 있는 어린이들이 다니는 공립학교인데, 바로 옆에
사실, 성미산을 둘러싼 갈등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나무를 밀어버리고 기초공사를 진행했기 때문이다. 이미
제외한 성미산의 80%는 생태공원을 조성해야 한다는
성미산 바로 옆에는 성서초등학교가 있다. 대부분 인근에
있었다.
제출하는 등 공동대응을 시작했다. 그 후로 성미산 마을
그러나 2007년 잠정 합의된 사항(홍익재단 부지 20%를
위화감이다. 현재 홍익 초중고등학교 신축공사 예정지인
홍익재단과 성미산공동대책위 사이에서는 몇 번의 충돌이
신속하게 인허가가 집행되면서 건설회사가 발 빠르게
절대 아닙니다. 문제는 굳이 ‘마포의 허파’라고 부르는 생태지역인 성미산을 훼손하면서까지
공립학교와 사립학교가 지척에 있으면서 생길 학생 간의
부지에 굳이 학교를 짓겠다며, 공사를 강행하는 바람에
생태공원화 조성을 위한 주민의견서를 마포구청에
“지역에 학교가 들어오면 발전할 수 있다고들 하죠. 학교가 들어오는 그 자체를 반대하는 건
성미산 문제의 쟁점은 세 가지로 압축된다. 첫째,
공간으로 사랑받던 곳이었다. 이곳의 나무를 베어내고 좁은
지난 12월 3일 곽노현 서울교육감이 성미산을 방문하여 좁은
개인 사유지에 대한 정리가 필요한 부분이 남아있지만 더
성미산 문제와 관련해 정확한 가닥이 잡힐 것으로
역시 고민해야 할 것이다.
보고 있다.
하자는 것이다. 문위원장은 앞으로 4월이 지나면
생태공원을 어떤 식으로 조성할 것인가에 방법과 절차
글 | 하정희(@JungheeStory) 객원 에디터
초등학교를 제외한 중고등학교만 들어서도록
파헤칠까봐 걱정이에요”라는 마을 주민들의 말처럼
H
교육청에 새로운 대안을 교육청에 제시한 상태다.
찾기 어려운 상태라고 한다. 그리하여 문위원장은 “생태공원 좋죠. 그러나 생태공원 조성한다고 또 산을
말한다. 그러나 생태공원 건설에도 숙제는 남아있다.
도로 문제에 공감했지만, 현실적으로는 뾰족한 방법을
나서야 합니다.”
않았다는 것이 자체 평가다. 문 위원장은 “아직 한양재단과
이상 지금과 같은 대규모의 건축공사는 없을 것”이라고
없다는 홍익재단을 설득해 협상테이블에 나오도록 교육청이
안)을 재확인했던 것만으로도 주민들의 싸움이 헛되지는
“성미산 문제를 해결할 열쇠는 교육청입니다. 법적으로 아무 문제가
바라보는 성미산 문제의 해결책은 교육청이 가지고 있다고.
두 곳을 제안했지만, 서울시의 도시계획과 맞지 않아 현실화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가
그는 홍익재단 측에 마포구 내의 다른 지역에 학교를 신축해줄 것을 요구하며 대체 부지
말입니다”라고 말하는 문치웅 위원장.
사립학교를 이전해야 하는지를 문제 삼는 거죠. 게다가 인근에 공립학교가 엄연히 있는데
문치웅 | 성미산주민대책위 위원장
그래도 남은 문제 많아
생태교육의 현장으로 또 지역 노인들의 생활체육의
“무조건 반대를 위한 반대는 아니다”
지금과 같은 대규모 건축공사는 없을 터…
주민들이 산보를 즐기는 곳이자 지역 아이들에겐
성미산은 서울에서는 보기 드문 도심 속 작은 산으로
당위성과 필연성을 알리기 위한 다양한 문화 활동을
사학재단의 학교 설립 vs 생태공원 지키기
후반전으로 접어든 성미산 문제,
StH_03_1-5_Coverstory_OK_out.indd 5
수도권 전력계통의 안정을 위한 필수 설비이기 때문에 대체 건설이 불가능해질 경우, 일부 송전선로의 고장이 발생하면 수도권 북부 지역의 전압 불안정으로 인해 정전사태가 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여의도, 마포, 반포 등 5만 7천여 세대의 지역 난방 공급원을 별도의 대안 없이 폐지할 경우 해당 지역은 개별 난방으로의 교체가 불가피하고 그로 인해 대규모의 민원이 발생할 것이란 예상이다. 무엇보다 현재 수도권 지역에서 대체 부지의 확보가 불가능하고 대체 부지를 확보하더라도 관련 절차가 진행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전기 및 열 공급에 차질이 발생한다는 점을 이유로 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시의 당인리 발전소 지하 건설 방안이 나와 논란이 되고 있다. 서울시는 당인리발전소를 지하에 짓고 지상부지에는 에너지 테마파크를 모델로 한 자연생태 공원을 조성해 관광명소로 개발하겠다는 것인데, 이는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와 당인리발전소를 연계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마포구와 주민들의 입장은 다르다. 당인리 발전소의
톡톡히 가져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런 모델을 바탕으로
국내에서도 당인리 화력발전소를 이전・폐지하고 해당
부지를 ‘문화창작발전소’로 활용하려는 계획이 추진되어
왔다.
지난 40여년 간 서울 중부권의 전력 및 난방 공급을
담당해온 당인리발전소는 시설이 노후되어 2012년 폐쇄될
예정이었다. 서울 도심 한가운데 위치한 특성이나 그 규모
때문에 발전소 부지가 가지는 경제적 가치는 예전부터
주목되어 왔고, 때문에 ‘문화창작발전소’ 조성은 수 년째
각종 선거에서 표심을 잡기 위한 공약으로 활용됐다.
2007년 대선 당시에도 이명박 대통령의 공약 중 하나였다.
그러나 당인리발전소의 수명이 약 1년 앞으로 다가온 지금,
발전소의 이전 및 폐지 문제는 좀처럼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주무부서인 지식경제부를 비롯한 관련 기관부처와
주민의 의견도 엇갈린다. 최근에는 경기도 고양시로의
이전이 어려워지자, 서울시가 지하에 발전소를 건설하고
해당 부지 위에 에너지 테마파크를 모델로 한 자연생태
공원을 조성하겠다고 밝혀 논란이 예상되고 있다.
복합문화공간을 조성되어야한다는 것이다. 마포구는 자체적으로 발전소 이전의 경제적 타당성 연구 용역을 실시한 결과 경제성이 충분한 것으로 입증되었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하고 있다. 수도권의 정전 사태나 발전 용량 부족에 대해서도 인천 영흥 화력 발전소의 추가 건설과 일산・분당 복합 화력 발전소 및 파주 신덕은 변전소 등으로 전력을 보완하면 된다는 입장이다. 무엇보다 지하에 발전소를 증설하자는 서울시의 안은 시민의 안전을 위협할 뿐 아니라 심각한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지식경제부, 한국지역난방공사, 마포구 등
해당주체의 의견 차이 극심해
먼저, 당인리발전소를 고양시로 이전하겠다던 당초의
계획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일단 최성 고양 시장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한데다, 고양시 이전을 당선 공약으로
내세웠던 마포구 강용석 의원은 성추문 사건으로
한나라당에서 제명돼 현재 무소속인 상황. 더불어 발전소
부지 활용 방안 마련을 위한 타당성 조사까지 늦어지면서
문제는 장기화되고 있다. 고양시의 반대로 시설 공사 기간을
이전・폐지를 원칙으로 발전소 부지에는 원안대로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첫째 당인리발전소가
명소화하고, 실질적인 소득을 창출해 도시 재생 효과를
H
2009년 1월
오세훈 서울시장 한강 주변지역 개발 계획 발표. 5 개 전략정비구역 중 합정전략정비구역 개발 약속 (서울시: 지하발전소 및 생태공원 추진)
문화창작발전소 조성을 위한 심포지엄 개최(문화 체육관광부)
2008년 1월 2008년 3월
서울 화력 발전소 답사 및 간담회 개최(인수위원회)
2008년 1월
발전소 부지를 매입하여 ‘문화창작발전소’를 조성 하겠다는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의 공약
발전소 부지를 ‘세계적인 복합 문화예술 랜드마크’ 로 조성 (서울시 한강 르네상스 마스터플랜 중)
대통령인수위원회에 당인리발전소를 문화창작발 전소로 건립, 아시아의 문화 허브로 키우겠다고 보 고 (문화관광부)
2007년 12월
2007년 7월
2007년 3월
발전 시설 2기를 지하에 증설하고, 지상은 에너 지 테마파크를 모델로 한 자연생태공원을 조성한 다는 ‘공사 건설기본계획’ 확정 발표(한국중부발 전(주), 산업자원부)
서울 화력발전소 발전 설비 4,5호기 대체 건설 추 진(산업자원부, 제3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중)
2005년 6월 2006년 12월
수도권발전 종합대책 확정발표(발전소 이전 불가, 건설교통부)
2005년 3월
국가중요시설을 여타 용도로 대체하는 건 곤란하 다는 이유로 발전소 이전 추진 계획 중단 발표(문 화관광부)
<창의한국(21c 새로운 문화의 비전)>에서 당인리 발전소를 ‘문화발전소’로 전환하는 계획 추진(문 화관광부)
내용
글 | 이지영 객원 에디터
발전소 이전 대체 부지 확보의 어려움과 수도권 중 심지의 지역난방 및 변전 설비의 중요성을 감안하 여 이전 불가 발표(산업자원부)
2004년 12월
2004년 6월
일지
실정이다.
당인리 발전소의 이전・폐지를 적극적으로 주장하고 나선
전자파, 다이옥신 등 환경오염의 문제도
한국지역난방공사는 당인리발전소의 폐지와 이전이
사례로 손꼽힌다. 이들 시설물은 도시 자체를 관광
마포구 지역 주민들 역시 집단 민원을 제기하는 등
없고, 전문가들도 안전에 대해 확신하지 못해요.
거기에다 지식경제부를 비롯해 한국중부발전(주)과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시킨 대표적인
엄청난 거죠.”
당인리 발전소가 가지고 있는 문화적 상징적 의미는
인사동처럼 상업화의 바람이 불고 있는 이 시점에서
이상으로 경제적인 창출 효과도 큽니다. 대학로나
또 아티스트들은 문화콘텐츠를 공급하는 것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글로벌한 문화의 장이에요.
당인리발전소 부지가 유일하게 남은 공간이죠. 홍대는
문화예술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장소로는
“홍대지역의 수많은 아티스트를 수용할 공간이 없어요.
가능한 일을 묵인할 수는 없죠.”
다해 바닥공사를 해도 상당한 피해가 생길 겁니다.이렇게 예측
상식적으로도 위험해 보여요. 강변은 습기가 많은 지반이라 최선을
향상된다면 얼마나 멋집니까. 반면 지하에 발전소를 짓는다는 건
예술의 거리가 연장되는 거예요. 이를 통해 문화경제적으로 삶의 질이
봅니다. 홍대 주차장길에서부터 당인리발전소 부지가 연결되면 문화와
아니라 마포주민의 생활환경과 안정이란 측면에서 고민을 해야한다고
“당인리발전소의 이전이나 문화발전소 건축과 같은 주제에 국한시킬 게
임용호 | 사단법인 환경보호국민운동본부 회장
“마포구 지역 주민들의 생활환경 문제로 봐야”
김백기 | 한국실험예술정신 대표
“홍대앞 발전에 기여할 예술가들을 위한 공간 필요”
심각하고요.”
30미터에 화력 발전소를 지은 사례는 세계 어디에도
에너지 테마 공원을 만든다는 계획은 문제가 많아요. 지하
연계해야 합니다. 게다가 지하에 발전소를 짓고 그 위에
발전소를 이전하고 문화창작발전소를 조성해 홍대권역과
죽으면 마포구 전체가 죽는다고 봐요. 이를 막기 위해서라도
살아 숨쉬는 공간이지요. 지금 많은 문화예술인들이 홍대 지역에서 떠나고 있는데, 홍대가
신청한 상태다.
‘구겐하임 미술관’은 노후된 도시 시설물을 현대 미술 및
한강, 선유도, 밤섬, 여의도라는 자연환경이 있고, 특히 홍대앞은 독특한 문화와 예술이
맞출 수 없게 되자, 발전소 측은 2014년까지 연장 운영을
공간을 조성하는 것은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는 거죠. 발전소 주변은
“당인리발전소는 제 역할과 수명을 다했어요. 그런 시설을 이전 및 폐지하고 복합문화예술
이봉수 | 당인리발전소 이전 촉구 추진 주민대책위 위원장
“문화창작발전소는 마포구 나아가 서울의 도시경쟁력을 높일 것”
환경보호국민운동본부)이 한자리에 모였다. 이들의 의견을 들어봤다.
이전 촉구 추진 주민대책위)과 김백기 대표(한국실험예술정신), 임용호 회장(사단법인
지난 3월 9일, 당인리발전소 이전 문제의 해결을 위해 이봉수 위원장(당인리발전소
영국 런던의 ‘테이트 모던 갤러리’, 스페인 빌바오의
당인리발전소 이전・폐지
04
05
2011.3.22 12:39:4 AM
e
이동준의 업스커트
찾고 있다.
or oo
현빈과 미셸베르거 호텔
재개발 광풍에 휩쌓인 홍대앞의 모습을 지켜보면 만감이 교차한다. 개발이 잘못되었다는 건 아니다. 그러나 무조건 철거와 ‘막개발’만이 답이라고 생각한다면 한심스러운 일이다. 본 모습 그대로를 잘 살리는 것이 도리어 문화이자 관광상품이라는 것을, 마포구청과 홍대 주변 상업자본은 미셀베르그 호텔로부터 좀 보고 배웠으면 좋겠다.
어메이징한 남자 현빈이 입대를 앞두고 마지막으로 찾은 곳은
하기에는 백년 전통을 자랑하는 아들론 호텔( otel dlon)이 더
베를린영화제였다. 한 잡지에 5박7일 간의 그의 여정을 담은 화보가
어울렸을 법하다. 찰리 채플린부터 마이클 잭슨까지 전세계의
실려서 유심히 살펴보았는데, 화보가 촬영된 장소는 단 세군데였다.
유명인사들이 묵었던 이 호텔은 브란덴부르크 문 바로 옆에 있다.
첫 번째가 공항, 두 번째는 영화제 현장, 그리고 세 번째가
하지만 배우 현빈은 동베를린에서도 가장 핫하고 상징적인 지역에서
미셸베르거 호텔(
입대 전 마지막 사진을 남겼고 그건 참 유니크한 선택이었다.
)이었다. 다른 사진들이
대부분 스냅사진처럼 현장감이 느껴지도록 생생하게 촬영되었다면
베를린에는 미셸베르거 호텔처럼 낡은 건물이나 심지어 폐허상태의
일부러 맘먹고 찍은 듯한 연출사진은 이 호텔의 로비와 뒷마당에서
건물을 철거하지 않고 최대한 활용한 건축물들이 많다. 미셸베르거
찍은 사진이 전부였다. 지난해 봄에 나도 묵어본 적이 있는
호텔에서 10분 정도 걸어가면 과거 독일제국의 열차들을 보수하던
호텔이었다.
철도차량기지가 있는데 이곳 역시 원형을 그대로 살려두고
2009년 가을에 처음 문을 연 미셸베르거 호텔은 동베를린에서도
벼룩시장과 카페, 공연장 등으로 활용하고 있고, 그중 가장 커다란
동쪽으로 한참 치우친 지역에 있지만 오픈한 지 반년도 안되서 이미
공장 외벽은 암벽등반을 할 수 있는 레저시설로 쓰고 있다.
트렌드한 명소로 유명해진 곳이다. 유럽이나 미국 여행객들 사이에
동베를린의 대부분의 지역은 이처럼 단순히 철거하거나 재개발하는
이미 입소문이 꽤 나있는 이 호텔의 가장 큰 특징은 전혀 호텔 같은
공식을 거치지 않고도 도시가 충분히 새로 태어날 수 있다는 걸
느낌이 들지 않는다는 데 있다.
보여주고 있다. 재미난 사실은 이렇게 재탄생한 지역이 관광자원과
이유는 공장건물을 재활용한 호텔이기 때문이다. 호텔 로비는
문화상품으로 그 진가를 발휘한다는 점이다. 요즘 관광객들은
24시간 개방된 카페로 운영되는데 노출 콘크리트 바닥에 큼지막한
브란덴부르크 문이나 박물관보다 이런 곳들을 더 선호한다. 그
소파만 듬성듬성 놓여 있다. 저녁엔 곧잘 라이브 공연이나 파티도
도시의 문화와 역사가 날것 그대로 살아있는 현장이기 때문이다.
자주 열린다. 객실은 저마다 다른 컨셉트로 디자인되어 있다. 서재
홍대앞 걷고 싶은 거리 지하 주차장 및 상가 건설을 둘러싸고 요즘
스타일로 지어진 곳도, 방 안에 파라솔을 놓여 관광지 크루즈 느낌을
논란이 일고 있다. 지역 상인들은 지하상가까지 들어서면 생계에
내는 곳도 있다. 심지어 호텔임에도 불구하고 단체 관광객을 위한
위협을 받을까봐 반대하고 예술단체들은 프린지 페스티벌을 비롯해
도미토리도 있다. 태생이 공장건물이라서 그런지 럭셔리한 느낌은
크고 작은 무대였던 걷고 싶은 거리가 또다른 형태로 훼손될까봐
찾아볼 수 없지만 쿨한 베를린의 매력이 살아있는 곳이다.
역시 반대하고 있다. 공항철도 재개발지역 가까이에서 여전히
기실 따지고 들자면, ‘사회지도층 인사 김주원’이 화보촬영을
철거반대농성을 하고 있는 ‘작은 용산’ 두리반 역시 아직 해법을 못
H
이동준_번역가이자 칼럼니스트이며 북세븐틴 에이전시의 대표다. 베를린에서 8년, 홍대앞에서 4년을 살았다. 지금은 이태원 주민이지만 홍대앞에 대한 애정만큼은 여전히 각별하다. 《베를린 코드》 《연애를 인터뷰하다》 《위트상식사전 스페셜》 《홍대앞으로 와!(엮음)》 같은 책을 썼다.
eo e
필방표구사 이중수 사장
“기술보다는 사람 됨됨이가 더 중요하다” “표구(表具)는 그림에 새로운 생명을 주는 일이다”라고 강조하는
고물상에서 주운 그림의 감정을 의뢰하는 경우도
바닥에서 넘어져 뇌진탕으로 입원했을 때는
필방표구사 이중수(64) 사장. 같은 그림이라도 어떻게 표구하느냐에
적지않다고 한다. ‘손과 눈이 보배’라고 자부하는
가슴이 쿵 떨어지는 줄 알았단다. 이렇듯 금실
따라 그림이 사느냐 죽느냐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표구란 그림의
그의 실력을 믿기 때문이다.
좋은 부부에게는 부모님을 존경하고 우애 좋은
뒷면이나 테두리에 종이 또는 천을 발라서 꾸미는 일로 거실을
표구 작업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건 작품을 오랫동안
곱디 고운 두 딸도 있다.
표구로 즐겨 꾸몄던 우리 부모님 세대에겐 친숙한 표현이다.
보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배접’과
그런 그이지만 요즘은 고민이 크다. 표구에
요즘에는 자주 들을 수 없는 말이지만 말이다.
‘액자’작업은 까다롭고 공이 많이 들어간다. 잘된 표구는
대한 수요가 예전에 비해 줄어들면서 찾는
표구 경력 28년을 자랑하는 이사장이지만 처음엔 취미로 사군자를
오랜 시간이 지나도 작품이 변색되지 않은 채 보존이
손님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쳤다고 한다. 그러면서 자주 들리던 표구사에서 표구를 하는 모습을
가능하도록 해준다.
아내 양순자씨는 “남편이 과연 70세까지
보고 매료되었다는 것. 그리하여 인사동 표구가게에서 본격적으로
그렇다면 그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변색되지 않도록
표구하는 법을 배웠다. 뭐든지 한번 빠지면 깊게 빠지는 성격 탓에
지키고픈 가치는 무엇일까? 바로 ‘가족’이다. 무뚝뚝한 인상의
안하면 또 뭘 해야 할지 고민이래요”라며 수줍은 미소를 지었다.
표구 일에 집중하다 보니 어느덧 취미는 직업이 되었다.
이사장은 가족 이야기를 할 때는 다른 사람이 된다. 특히 그와
어디 세월이 흐르면서 가치를 잊어가는 게 표구 뿐만이랴. 그러나
특히 묵화를 잘 그렸던 그의 솜씨는 단순히 표구 기술자로서가 아닌
일곱 살 차이가 난다는 아내 양순자 여사 이야기를 할 때는 더하다.
이사장은 아직은 계속 할 수 있다며 주먹을 불끈 쥐어 보인다.
그림에 맞는 표구에 관심을 가지게 만들었다. “손님들이 작품을
1983년 이곳 상수역 1번 출구 앞에 가게 문을 열었을 때부터
마지막으로 필방 표구사를 방문하려는 이들에게 한마디. 토요일
가져오면 좋은 그림인지, 어디가 부족한지 말해주지”라고 말하는
지금까지 아내는 세상에 둘도 없는 동료이자, 반려였다. 매일 아침
오전과 일요일은 피하는게 좋다. 열혈 조기축구회 회원인 이사장이
이사장. 이곳을 찾는 손님들 중엔 단순히 표구를 부탁하는데 그치지
가게 문을 열면 아내는 옆에서 종이에 풀칠을 해줬다. 손발이 척척
가게 문을 열지 않으니 말이다.
않고 그림에 대한 식견을 구하러 오는 경우나 오래된 그림이나 동네
맞아 남에게 맡기기도 힘들 정도다. 그런 아내가 몇 년 전 화장실
글 | 하정희 객원 에디터
StH_03_6-7
ei
-O enStudio_OK.indd 6
가게를 할 수 있을지 고민하더라고요. 그리고
H
2011.3.22 10:26:20 AM
그들의 공간이 궁금하다
e St o
상상력과 감성으로 책을 빚어내다 북아티스트 그룹 수작
한 권의 책에 자신의 상상력과 감성을 담아내는 아티스트 북. 수작 S 은 이런 아티스트 북을 만들어내는 그룹의 이름이자 작업실의 이름이다. 책을 통해 세상을 배우고 감동을 느낀다 는 그들이 만들어내는 예술 같은 책, 책 같은 예술 이야기.
넣어 만들거나 판화나 실크 스크린을 이용하기 때문에 대량복제, 대량생산은 태생적으로 불가능하다. 이처럼 적은 부수와 비교적으로 비싼 가격 때문에 대중적인 사랑을 받기엔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독립서점과 온라인이 유통망… 워크숍을 통해 저변 확대 그래도 홍대앞엔 이런 아티스트 북을 만날 수 있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많다. 더북소사이어티나 유어마인드 등의 독립서점은
보고 만들고 소유하는 예술가의 즐거움, 아티스트 북
아티스트북페어에도 꾸준히 참여해왔다. 아울러 각자의 책 작업과
책임감 있는 마인드를 갖고 이들의 작품을 판매 대행하고 있는
손으로 직접 하는 작업(手作), 술잔을 혹은 말을 서로주고 받음(酬酌),
독립 출판물을 위한 공동의 프로젝트를 함께하고 있다.
소중한 공간이다. 특히 최근에 자가출판이나 독립출판에 대한
그리고 빼어난 작품(秀作). 이 다양한 뜻은 한 단어로 모여진다. 수작.
관심이 높아지면서 크고작은 북페어가 열리는 경우가 많아 판매
하나를 더 하자. 7명의 작가들이 모여 아티스트 북을 만드는 그룹의
동교동 뒤편 작은 주택에서 피어나는 이미지의 교란
루트가 좀더 넓어졌다. 대표적으로 서울 국제아트북페어와
이름말이다.
수작 멤버들의 사랑방은 동교동 주택가에 위치한 ‘수작 스튜디오’다.
언리미티드에디션 행사 등을 꼽을 수 있다. 이와 또 별개로 수작은
판화, 디자인, 동양화, 사진, 일러스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마당 넓은 집으로 들어가면 빨간 프레임의 미닫이 창문이 보인다.
6월 즈음 자체 온라인 공간을 오픈해 아티스트 북을 판매할 계획을
김소현, 김혜미, 김원영, 박경원, 서효정, 임현춘, 프란시스 반
성큼 들어서면 넓은 테이블과 실크스크린 작업대가 있다. 판화과
가지고 있다.
멜레(franc
대학원을 졸업하고 판화 관련 기기들을 들여놓을 작업실이 필요했던
또한 수작에서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워크숍도 진행하고 있다.
뜻을 같이해 2005년부터 함께 하고 있다.
서효정 작가의 개인 스튜디오인데, 각자 생업이 있는 멤버들이
북바인딩과 다이어리나 소품을 만드는 수업, 판화와 콜라주를
이들이 만드는 책은 텍스트 위주의 책이나 그림이 주가 되는
이곳에 모여 책 만드는 작업을 공유한다.
통한 북아트 수업, 채색화 기법 등 다양하다. 한 수업당 4~5명
그림책과도 다르다. 현대미술의 한 영역에 속하는 아티스트 북은
“2004년 옥수동의 단칸방을 첫작업실로 얻었다가 서교동으로
정도의 인원을 대상으로 하며 단순한 테크닉 위주의 수업이 아니라
예술가 자신이 스스로의 개념과 창조성으로 컨셉트를 정하고 책에
이사를 했죠. 우리 작업을 좋게 봐주신 건물주가 흔쾌히 공간을
자유로운 발상과 표현기법을 익히도록 신경쓰고 있다. 판화의 경우
채워 넣는 작업이다. 책이라는 매체를 통해 작가의 무궁무진한
내주셔서 2005년부터 합리적인 가격에 머물고 있어요.”
4주에 18만원 정도의 수업료를 예상하면 된다. 서효정 작가는“대개
상상력과 이야기를 담아내는 예술가의 창작활동이 아티스트 북이다.
바닥엔 작은 타일을 박아 넣고 에폭시를 입히고, 책걸상은 버려진
그림과 공예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 많이 와요. 판화의 경우는
반면 북아트란 표현은 넓은 의미의 공예로서의 책 만들기에 가깝다.
것들을 주어 다듬고 칠해서 공간을 꾸몄다. 인테리어의 대부분을
시각디자인을 전공한 학생들이 많고요”라고 귀뜸한다.
즉 책을 특별하게 장식하거나 다양한 종류의 바인딩을 사용하거나
차지하는 것은 역시 아티스트 북들이다. 선반에 보기좋게 놓인
뉴욕에는 오로지 북아티스트들이 만든 소수의 출판물과 아트북만을
중세의 기법을 동원해 책을 만들고 복원하는 예술 제본 등이 북아트의
작품들은 저마다의 개성을 뿜어내며 보는 즐거움을 안겨준다.
모아놓은 ‘프린티드 매터스(Pr nted atter )’라는 서점이 있다.
영역에 들어가는 것이다.
식탁용 비닐 매트부터 케이크 유산지, 빈티지 레터 등 다양한
책의 본질과 구조에 대해 꾸준히 고민하고 지속적으로 작업하는
서효정 작가는 “세상에 하고 싶은 이야기를 직접 만드는 책을 통해
재료를 이용한 아티스트 북엔 상호 교합하는 이미지와 슬로건들이
북아티스트들이 많아진다면 우리나라에도 이런 전용서점이 생길
한다는 사실이 얼마나 행복한지 모릅니다. 책을 통해 세상을 배우고
반짝인다. 그러다보니 “이런 책, 누가 사나요?” 같은, 실례(?)되는
날이 오지 않을까? 책에 대한 고정관념을 버리고, 세상에 하나밖에
감동을 얻고 전율합니다. 이제 내 상상력으로 만든 책으로 그런 소통을
질문도 종종 듣게 된다고.
없는 특별한 책을 직접 소장하는 즐거움을 느껴보는 사람들이 많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 이 작업의 매력이죠”라고 전한다. 책을 보고
“‘이런 책’을 소유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도 의외로 많답니다. 작가들이
진다면 그날은 좀더 빨리 오리라.
만지고 만들고 소유하는 즐거움, 그것이 북 아티스트로 일하게 만드는
서로의 콜렉터가 되는 경우도 있고요. 저만 해도 첫 번째 구입한
글 | 정지연 에디터 사진 | 장성환
동력이라는 것이다.
아트북이 ant cha 님의 작품인 걸요.이 책의 6번째 에디션을
수작은 그간 ‘꿈꾸는 책, 춤을 추는 책’과 같은 정기적인 프로젝트
구입한 이후로 무조건 6번째 에디션을 수집하는 게 원칙이 되었어요”
전시는 물론 서울 국제아트북페어나 프랑크푸르트 북페어 등 국내외
아티스트 북의 매력은 무엇보다 희소성이다. 일일이 손으로 그려
an aele) 일곱 친구들은 책을 직접 만들어 보자는데
H
06 07
StH_03_6-7
ei
-O enStudio_OK.indd 7
2011.3.22 10:26:52 AM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제너럴닥터
김승범・정혜진 원장 지난 2월 하자센터에서는 ‘슬로 라이프’라는 주제의 토론회 가 열렸다. 홍대앞
뮤지엄의 김명한 대표와 제너럴닥터
(이하 제닥)의 김승범・정혜진 원장이 발표자로 등장한다길 래 발길을 향했다. 그 자리에서 제닥은 놀랄만한 사실을 밝 혔다. 제닥을 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으로 전환하겠다는 조심스런 천명이었다.
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이하 의료생협)이란 지역주민이 조합원으로 출자하여 그 조합의 주인이자 운영주체이자 또 소비자가 되어 믿을 수 있는 의료 기관을 통해 훌륭한 맞춤 의료서비스를 받고 또 지역 주민의 건강을 증진하며 건강한 지역사회를 만들어가는
김형주 의사
정혜진 원장
김승범 원장
일종의 커뮤니티를 말한다. 제닥이 의료생협화한다는 얘기는 그동안 제닥이 이뤄온 성과를 지역으로 고스란히 환원하겠다는 얘기나 다름없다. 보다 자세한 얘기를 듣고 싶어서 올해로 5년째에 접어드는 제닥을 찾아가보았다. 마침 그날은 의대 본과 4학년을 졸업하고 제닥으로 첫 발을 내딛은 김형주 의사가 합류한 날이었다. 인터뷰는 정혜진 원장이 밤 10시 20분 마지막 진료를 끝낸 후에야 이뤄졌다.
제닥을 오픈했던 시기를 기로 보고 정혜진 원장님이 합류한 시 기를 기, 그리고 의료생협을 꿈꾸는 지금이 제닥의 기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김승범 첫 시작을 돌이켜보면 참 아무런 생각이 없었던 거 같아요.
물론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인간적인 의료를 하겠다는 꿈이나 의료디자인에 대한 계획 같은 건 있었지만, 현실적으로는 부족한 정보와 잘못된 판단, 치기가 조합된 시도였던 셈이죠. ‘카페와 병원을 못 할 이유는 없잖아’ 이런 식이었던 거죠. 그렇게 첫 해는 참신한 시도로 나름 주목은 받았지만 내적으로는 많이 허덕였던 시기였죠. 그러다가 2008년 3월 정혜진 선생이 오면서 많은 게 달라졌습니다.
정혜진 선생이 오면서 구체적으로 달라진 점은 뭘까요 김승범 고양이가 있고, 맛있는 치즈 케이크나 식사 메뉴가
있는, 지금처럼 착하고 따뜻한 인간적인 병원의 모습이 된 데는 정선생님의 영향이 컸죠. 사실, 제 입장에선 더 논란을 일으키고 싶은 마음도 있었어요. 그렇지만 정선생님과 함께하면서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만들어온 것이 지금 제닥의 모습인 거죠. 정혜진 제가 왔을 때만 해도 저희가 늘 카페에 있었고, 또 환자와
손님의 경계가 모호했어요. 3층으로 병원을 옮기면서 카페와 분리한 것도 그런 이유에서였고요.
처음만 해도 생소했던 제닥 식의 인간적인 진료가 이젠 꽤 자연스 레 받아들여지고 있는 거 같아요 김승범 5년 쯤 되니까 제닥을 카피하는 부분에 대한 걱정이
생기더라고요. 몇 년 사이 병원을 예쁘게 꾸미거나 서비스를 중요하게 여기는 흐름이 생겨났고, 외형적으로도 카페와 병원을 겸하는 곳들이 생겨났어요. 그 자체를 나쁘다고 생각하진 않아요. 하지만 여기서 우리가 멈춰 있으면 그들과 달라질 바가 없잖아요.
StH_03_8-9_
in
_OK.indd 8
2011.3.21 10:50:55 M
정지연이 만난 사람
다시 앞서나가야 제닥을 지지해준 분들에게 미안하지 않겠다는
하는 진료는 고전적인 진료의 한 형태에요. 마을의 주치의처럼 마을
안나왔어요. 그때부터 고민하고 노력해서 카페는 이제 잘 되는
생각을 했어요.
사람들의 속사정을 다 알고, 그들이 필요로 하는 의술을 제공하는
편이죠. 그래도 좋은 재료에 대한 욕심이 있어서 크게 남진 않아요.
거죠. 집으로 찾아가는 왕진 같은 서비스도 가능해질 테고. 같은
게다가 장사하자는 생각보다 무얼 더 해야 한다는 생각이 크니까.
올해 초에는 H 에도 분원을 내는 등 안정적인 행보가 진행되
증상에 대해서도 처방이 달라질 수도 있고, 단순히 치료에 머물지
김승범 제가 워낙 경제적인 감이 없어요. 경제적인 곤란에 닥쳐서야
고 있는 듯 한데, 굳이 의료생협이라는 큰 변화를 추구하게 된 이
않고 예방이나 교육도 가능해지고요.
‘어떡하지?’ 이런 캐릭터라서 정선생님이 오셔서 너무 고생을 했어요
유가 있나요? 정혜진 처음에 제가 이곳에
왔을때는 어떻게 될 지
공감대와 상호작용
김승범 주치의라고 해도 관계가
카페운영부터 병원회계까지…. 게다가 수익이 좀 날만 하면 제가
형성되지 않으면 몸종 의사처럼
또 일을 벌리곤 했거든요. 그런데 사실, 전 ‘잘되나 보다’라는 그런
여겨질 수 있잖아요. 그게 아니라
오해가 좋다고 생각해요. 한국문화는 좀 그런 게 있잖아요. ‘의도는
예상조차 할 수 없었고 오로지 꿈만 있었죠. 그런데 한 개인의
날 제일 잘 알고 있고, 빨리 낫길 바라는 마음을 가진 의사가 친구가
좋은데, 힘들어 보인다’ 그러면 힘을 보태려는 사람이 없어요.
꿈에서 시작했던 제닥에 사람들이 점점 모이고 그러면서 덩치는
되는 셈이죠. 사실, 예전부터 주치의 같은 개념을 추구한다고 해도
차라리 속사정은 몰라도 ‘잘되는 거 같아’라는 게 낫죠. 물론 속
점점 커져가는데, 한계에 봉착한 느낌이었어요, 외부의 단체나
시스템이 없어 동네 병원・카페라는 형태를 취했는데 이 실험이
빈 깡통인데도 당사자들이 정작 그 상황을 모르고 도취해있다면
기업들이 우릴 어떻게 바라볼까 두려웠고 오해받기도 싫어서 속으로
잘되면 강력한 힘이 생길 수 있다고 생각해요.
문제지만, 저흰 힘든 현실에 정말 찌들어 있었기에 즐거워할 틈도
날도 많이 세운 나날이었거든요. 그런데 이제는 이렇게 폐쇄적으로
없었거든요.
가서는 답이 안 나오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뭔가 한계에 부딪힌
의료생협을 만드는 준비는 어떻게 하고 있습니까?
느낌? 우리가 여기까지 쌓아온 게 과연 무엇일까를 고민해보는
김승범 일단 조합원은 그동안 제닥의 카페 단골, 제닥에서 일을
이 모든 일이 굉장해 보여요. 그래서 두 분은 과연 행복하세요?
시점이었던 거죠.
했던 직원들, 그리고 일을 하면서 만난 이들 중에 공감대가
정혜진 의사가 된다는 일에 대해 의대 다니면서는 별로 고민을 할
김승범 햇수로 5년째에 접어들면서, 다행히 문화라는 걸 만들고
맞아 함께하게 된 이들이 핵심 멤버가 될 거 같아요. 약 300명
기회가 없었어요. 그냥 전문의가 되고 다음 과정은 이렇게 하고
경험치도 쌓았어요. 처음엔 제닥이 제 머릿속에만 있었는데, 이제
규모로 출발하려고요. 큰 규모로 시작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결혼을 하고… 이렇게 삶의 흐름 정도로만 생각했던 거 같아요.
스스로의 인격을 만들어간다는 느낌이랄까…. 그렇다면 굳이
의료생협이 이미 우리나라에서 17년의 역사를 가진 단체이기
그러다가 제닥과의 첫만남에서 의사란 과연 무엇일까 하는 고민을
그걸 내 생각으로만 재단할 게 아니라, 공감대와 상호작용 속에서
때문이에요. 안성의료생협이 그 출발이고요. 기존의 의료생협이
다시 하게 됐고, 직업 자체가 행복해야 한다는 생각과 함께 머리를
더 잘 자랄 수 있게 하자고 생각을 한 거예요. 품 안의 자식도
민중의료운동이나 지역사회운동 같은 일부 성향이 강조된 것이라,
머리가 커지면 부모가 제 뜻대로 할 수 없듯이 제닥이란 공간도
제닥이 하려는 의료생협과 혼선을 빚을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행복
마찬가지였어요.
저희는 문화적 사회적・윤리적 소비와 같은 경쾌한 색깔로 가보려고
솔직히 판도라의 상자를 연 느낌이랄까(웃음). 그래도 아마 계속
해요.
병원에 남아있었다면 지금만큼 행복하진 않았을 거란 확신은 있어요.
의료생협이 되면 가장 큰 변화는 주인이 바뀌는 건데 아쉽지 않
정혜진 사실 저희를 이해하거나 받아들여주지 못한 사람에게
김승범 만약 다른 중요한 게 있는데 그걸 참고 이 일을 하고 있다고
으세요?
‘당신의 주치의가 되어드립니다’라고 하는 건 생뚱맞잖아요. 그래서
생각하면 힘들어서 못할 거에요. 그런데 계속 한 방향으로 해왔고
김승범 그런 생각이 들기도 했죠. 만들어 남 주는 거 아니냐는
이렇게 작은 규모로 출발하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준비는 지난
거기서 어려움들이 생겨나니까 괜찮은 거죠. 만화 《드래곤볼》에
질문도 받았어요. 하지만 저희 고집을 줄이고 함께 만들어야 한다고
12월부터 시작했고 4월 오픈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보면, 죽지만 않으면 더 힘이 세지고 커지면서 초사이언이 되잖아요.
생각해요.
쾅 얻어맞는 충격을 느꼈어요. 그런데 요즘은 내가 왜 이렇게 사서 고생을… 이런 생각도 해요.
저도 그런 거 같아요. 죽을 만큼 힘든 단계를 건너면 레벨 업이
정혜진 제닥이 이제까지 쌓아온 게 무얼까 고민해봤어요. 30분
일단 의료생협이 되면 구체적으로 어떤 식으로 일이 진행됩니까
되요(웃음). 촌스러워도 초심을 지키고 진정성을 갖고 있다는 것,
진료에 대한 철학이나 제닥 식의 의사와 환자의 소통, 의료디자인에
김승범 일단 할 수 있는 일이 무궁무진하게 많아요. 카페 운영이나
그게 힘이고 행복인 거 같아요.
대한 고민 등에 대해서 많이 알렸죠. 그러나 정말 쌓아 놓은 재산은
병원에 올 변화는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에요. 출자 금액을 가지고 더
사람밖에 없더라고요. 이제 우리 둘로는 감당이 되지 않는 제닥을
좋은 의료 서비스를 맞춤으로 제공할 수 있고, 그 수익을 운영하는
김승범원장은 인터뷰 말미에 김형주 의사의 제닥 합류를 두고
여러 사람이 함께 만드는 게 맞는 방향이라고 생각해요.
사업도 조합원 분들과 계속 협의하며 진행해야죠.
‘제닥의 2세대가 시작되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또한 정혜진원장 때보단 덜 고생을 시키는 게 의무일 터라고도 말했다. 사실,
의료생협이 되면 제닥이 제공하는 의료 서비스의 질은 어떻게 달
제닥이 카페로는 대한민국 카페 전체를 통틀어 평당 수익이 최고
김형주 의사는 제닥의 네 번째 의사다. 공식적인 세 번째 의사는
라질까요?
라는 소문도 들었어요. 수익이 많아서 이런 이상주의적인 행보가
현재 여수에서 공중보건의로 병역의 의무를 다하고 있는 중이다.
정혜진 가입된 조합원에게 말 그대로 친구 같은 주치의가 되는 거죠.
가능하다고 보는 일부 시각도 있어요
(공교롭게도 그는 남자다.) “우리가 했던 고생은 물려주지 말아야죠.
정혜진 진짜요?(웃음) 정말 처음에 왔을 때 깜짝 놀랄 정도로
새로운 시대와 새로운 여건 속에서 제닥의 다음 시기가 열려가는 걸
경제적인 사정이 안 좋았어요. 월말에 청구서를 보는데 말도
지켜보는 기분, 참 좋습니다.”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StH_03_8-9_
in
친구 같은 주치의 _OK.indd 9
H
글 | 정지연 사진 | 김장현
08 09
2011.3.21 10:50:59 M
맛집
t 우리 세대에 맞는 새로운 한식
r
쌀과 밀
alg a eal
. 마포구 동교동 e . 02-322-6263 200-18 e 11:30a ~10:00 r e 머슴덮밥(돼지고기두부덮밥) 7,000원, 흰여울덮밥(해산물덮밥) 8,000원, 단미볶음면(스팸어묵볶음면) 6,500원, 새늘쌀국수(닭고기 쌀국수) 7,000원, 초롬정찬(연어스테이크) 14,000원, 흑미삼계탕 13,000원, 자몽칵테일 6,000원, 복분자막걸리 7,000원 e . . alg a eal.co
작년 11월 8일, 한적한 동교동 주택가에 한식 비스트로 ‘쌀과 밀’이
친근하다. 인기 메뉴인 ‘달보드레덮밥(치킨스트로가노프덮밥)’의
문을 열었다. 담백한 이름에서 느껴지듯, 쌀과 밀은 주재료인 쌀과
달보드레는 ‘달콤하고 부드러운’의 우리말이고, 웃음을
밀을 바탕으로 한국적인 맛과 매력을 새롭게 표현하는 것을 목표
자아내는 ‘머슴덮밥(돼지고기두부덮밥)’은 말 그대로 머슴밥처럼
삼고 있다.
푸짐하다는 뜻이다. 또한 두메산골의 신선한 야채 이미지를
현재 함원석 헤드 셰프를 비롯해 다섯 명이 일하고 있는 이곳은
그대로 살린 ‘두메덮밥(야채덮밥), 물이 맑고 깨끗하다는
S 그룹 산하 행복나눔재단에서 설립해 운영 중인데, 청소년
우리말에서 따온 ‘흰여울(해산물덮밥)’, 소담하고 예쁘다는
자립프로그램인 S 해피쿠킹스쿨 학생들의 현장 실습 교육과 취업
뜻을 가진 ‘소예볶음면(된장소스볶음면)’, 늘 새롭다는 의미의
훈련을 위한 장으로서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새늘쌀국수(계절메뉴쌀국수)’까지 꼭 한 번쯤 소리내어 읽어보고
워커힐 호텔 등에서 근무했던 함 셰프는 청소년의 자립을 돕는
싶을 만큼 아름다운 우리말로 되어있다.
행복나눔재단의 취지에 공감해 쌀과 밀로 오게 되었다고. “학교에서
무엇부터 맛을 봐야할 지 고민이라는 에디터의 말에 “지난 주부터
배우는 요리와 실전에서 경험하는 것은 많이 달라요. 이곳은 학교를
선보이고 있는 3월의 스페셜 메뉴, 흑미 삼계탕을 추천해요. 녹두,
졸업하고 사회에 진출하려는 이들을 위한 중간 발판으로서 완충
흑미, 찹쌀, 인삼이 들어간 건강보양식이죠”라는 함 셰프의 친절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적응을 잘
대답이 돌아온다.
못하는 경우도 있어 조금 힘들었지만,
쌀과 밀이 문을 연 동교동 일대는 마치 도쿄의 지유가오카 지역을
지금은 꿈과 열정을 키워가며
연상시키는 아늑한 주택가의 이미지를 갖추고 있다. 거기에 뉴욕
열심인 모습에 고마움을 느껴요.”
웨스트 빌리지를 연상시키는 크리에이티브한 작고 개성넘치는
한식뿐 아니라 이탈리아 음식까지
회사들이 밀집한 곳이다. 이러한 주변
고루 다뤄온 함 셰프는 쌀과 밀을
환경을 고려해 인테리어 디자인도
통해 기존의 메뉴를 탈피한 창의적인
경쾌하면서도 열린 분위기로
한식을 선보이고 싶다고 설명한다. 이 색다른 맛의
마무리했다. 서울대 디자인학과 김경선
핵심은 바로 ‘장(된장, 고추장, 간장)’을 기본으로 하여 자체적으로
교수의 손길이 닿은
또한 좋은
개발한 특제 소스에 있다고. 모든 메뉴에 독특한 특징을 부여하는
반응을 얻고 있는데, 논에서 자라며
특제 소스의 감칠맛에 다양한 식재료와 요리법의 활용이 어우러져
익을수록 고개를 숙이는 ‘쌀’의 특성과
새로운 한식의 매력을 선사한다. “한식 메뉴는 주로 상차림, 반상
밭에서 자라며 익을수록 빳빳해지는
등으로 정해져 있죠. 그런 것에서 벗어나 한식의 새로운 가능성을
‘밀’의 특성을 선과 도형으로 형상화한 것이라고. “주요 상권과는
찾아보려고 해요. 예를 들면, 저녁 메뉴인 연어 스테이크에는 메시
조금 떨어져 있지만, 식사 시간에는 자리가 부족할 정도로 반응이
포테이토를 곁들이는데, 여기에 녹두 등을 넣어 변화를 주는 식이죠.”
좋은 편이예요. 주변의 직장인들로 구성된 단골 손님이 꽤 많지요.
쌀과 밀의 주메뉴는 점심과 저녁으로 구분되어 있다. 점심은
젊은층과 외국인이 많이 모이는 홍대 인근의 특성도 반영하고
쌀을 주재료로 하는 덮밥과 밀을 주재료로 하는 볶음면으로
있고요.”
구성되어 있고 저녁에는 주먹밥과 샐러드, 한식 스테이크로
4월부터는 자몽칵테일과 복분자막걸리 등의 음료를 저녁 메뉴와
구성된 한식 정찬을 선보인다. 모두 부담스럽지 않은 맛과
함께 제공할 계획이라고 하니 참고하자. 모든 메뉴는 테이크아웃도
양이 특색이다. 게다가 순 우리말을 활용한 각각의 메뉴 이름도
가능하다.
지하의 힙합 클럽이 지상으로 올라온 것이 아닐까. 카페 곳곳에
사인을 응용한 화려한 일러스트 등 다양한 볼거리는 물론 쉽게 접할
S H가 주목한 곳
반짝이는 미러볼과 화려한 뮤직박스, 힙합 옷을 입은 피규어, 귀에
수 없는 대마씨로 만든 맥주 카나비아(C
와닿는 힙합음악까지. 대낮 버전의 힙합 클럽이 있다면 이런
만든 토닉 아과( G
곳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느낌’의 첫 인상이었다.
모두 합법적인 음료다.
‘느낌’은 우정훈 대표의 과거와 현재가 녹아있는 곳이다. 스트리트
스트리트 댄서들의 중심지였던 이태원의 문라이트가 사라져버린
댄스와 - oy 대회의 C를 보고 있는 ‘ C GO’ 우정훈 대표는
걸 아쉽게 생각하는 우 대표는 이곳이 그런 아지트가 되길 바란다.
한국 스트리트 댄스 1세대, 전직 힙합 댄서였다. 또 대학에서는 스트리트 댄스를 강의했던 힙합 전문가이기도
)와 코카인 잎으로
)도 ‘느낌’에서만 즐길 수 있는 것들이다. 물론
글Ⅰ이지영 객원 에디터
여기 느낌 괜찮은데!
느낌
a e a Sen at on
앞으로 댄서들만의 아이템을 사고파는 벼룩시장 등 다양한 이벤트도 벌여보고 싶다. 소규모
하다. 그런 그의 색깔이 이곳에 그대로
파티도 대환영이라고. 그러나 이곳이 단지
드러나 있다.
댄서들만의 공간이 되길 바라는 건 아니라고
힙합이라니 왠지 블링블링하고 시끄러울
덧붙인다. “일반인들도 많이 와서 힙합음악,
것 같지만 신기하게도 편안함이 가득하다.
힙합문화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되었으면
힙합 음악은 의외로 듣기에 편했고, 동교동의
좋겠습니다. 궁금한 게 있으면 제게
주택가 라인이라 이동인구가 적어 카페 앞은
물어도 좋고요.”
한적하다. 왜 이런 곳에 카페를 냈냐고 묻는 사람도 있지만 오히려 손님들은 카페를 나가면서
H
향긋한 캡슐 커피와 직접 만든 핫도그를 즐기며 힙합 음악에 취해볼
말한다. 조용해서 좋았다고. 이 역시 우정훈 대표의
수 있는 곳. 해브 어 센세이션( a e a Sen at on). 여기,
스타일이다. 북적거리고 번잡한 공간 대신 조용히 앉아 스스로의
느낌이 제대로 온다.
필링을 느껴볼 수 있는 공간을 원래 좋아했단다.
문지혜( aca 1159@hot a l.co ) 객원에디터
H
글Ⅰ임은선(@llgreenlandll),
이곳엔 곳곳에 재미있는 요소도 많다. 가게 앞에 놓인 화려한 바이크는 단지 장식품이 아니라 그가 실제로 타고 다니는 바이크다. 카페 곳곳에 걸린 힙합 공연하는 사진과 디자이너들도 감탄한 타이포그래피를 다루는 솜씨도 구경할 만 하다. 뉴욕의 지하철
StH_03_10-11 _
t-S- e s_OK.indd 10
. 마포구 서교동 461-2 1 e . 02-335-0611 e 10:00a ~24:00 r e 아메리카노(캡슐커피) 5000원, 와플 10,000원, 카나비아 10,000원, G 샷 12,000원(보틀 15만원), 수제 소지지 15,000원 ,브런치(수제소시지와 스크램블 에그와 베이컨, 샐러드와 빵을 곁들인 것)9,000원+음료 2000원.
2011.3.22 10:11:47 AM
S e
(사)홍대앞문화예술회의 발족
e
소통과 연대로 만들어가는 바람직한 홍대앞 문화 홍대앞의 문화를 만들고 지켜온 주체들이 손을 잡고 사단법인 홍대앞문화예술회의를 발족했다. 3월 28일 대안공간 루프에 서 발족식을 갖게되는 것. 상업화의 거센 바람 속에서 위기를 겪고 있는 홍대앞이라는 문화생태계를 지켜내기 위한 문화예 술인들의 자구책이라는 점에서 기대를 한몸에 받고 있다.
가지 많은 나무 바람 잘 날 없다. 요즘 홍대앞을 보면 떠오르는 말이다. 걷고 싶은 거리부터 두리반, 성미산과 당인리발전소에 이르기까지 홍대앞의 동서남북에 연일 터지는 사건사고는 홍대앞이 결코 정체되지 않고 끊임없이 움직이는 곳이라는 걸 새삼 깨닫게 한다. 특히 최근의 사건사고는 재개발과 대자본의 유입이라는, 홍대앞 생태계를 위협하고 지역사회의 재편을 앞당기려는 움직임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 더욱 예사롭지 않다.
그야말로 홍대앞 문화주체들의 방대한 결합이다.
이런 위기감을 느낀 홍대 앞에서 활동하는 주요 예술단체 및
장르와 영역을 넘나드는 홍대앞 예술인들이 이렇게 한자리에 모여 연대와 결속을 얘기하는 것은 2004년 시어터제로의 폐관 위기를 둘러싼 논쟁
문화공간 운영자들이 하나 되어 홍대 앞 문화의 정체성을
이후 거의 처음이다. 총회 이전에 가진 킥오프 미팅에서 회원들은 “구성원 사이에 욕망과 이해가 부딪히고 또한 격식에 매이기 싫은 예술인들이
재정립하기 위해 통합 협의체인 사단법인 홍대앞문화예술회의가
모여있는 특성상 특정 목적이 우선해서는 단체 자체가 오래 가기 힘들다”며 “정기적으로 모여 얼굴을 대하고 네트워크 파티 등을 통해 상호
발족하기로 했다.
공유할 수 있는 지점을 탄탄히 다지는 것이 중요하다”는데 합의했다. 아울러 함께할 대중사업과 회원간 자산 공유 영역을 찾아내자고 의견을
이 단체에는 한국실험예술( o a )의 김백기 대표(위 작은사진),
내놓았다.
서울프린지네트워크의 오성화 대표, (사)와우책문화예술센터의
단단한 친목을 바탕으로 (사)홍대앞문화예술회의가 해결해야 할 홍대앞을 둘러싼 급박한 이슈들(당인리 발전소 문화발전소 건립, 걷고 싶은
이채관 대표, 대안공간 루프의 서진석 대표, 상상공장
거리 지하 주차장 건설 계획)은 산재해있다. (사)홍대앞문화예술회의 대표로 추대된 김백기 대표는 “홍대앞으로 밀려들어오는 상업화의 흐름
류재현 대표를 비롯해 홍대의 대안문화공간을 이끌고 있는
속에서 홍대앞이 가지고 있는 건강한 문화적 특성과 실험성을 잃지 않도록 각 분야 구성원들의 연대와 지지가 각별히 필요하다”며 “이번
김영등(일상예술창작센터), 이한주(요기가 표현갤러리), 윤승진(클럽
(사)홍대앞문화예술회의가 그런 움직임의 작은 단초가 된다면 좋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부대표를 맡은 오성화 서울프린지네트워크 대표는
오백), 김천성(롤링홀) 주역들과 최원민(서교음악자치회),
“끊임없이 변화해가는 홍대앞의 문화지형도 안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이 무엇인지 지속적으로 고민하며, 작은 실천을 얻어가는 게 중요할
이문식(대한민국라이브음악협회) 등 음악인들, 그리고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최정한(클럽문화협회 대표), 최금수(네오룩 대표)와
(사)홍대앞문화예술회의는 3월 28일 월요일 대안공간 루프 오후 5시에 창립총회를 가질 예정이다. 앞으로 (사)홍대앞문화예술회의는 각종
김연호(대안영상문화발전소 아이공 대표)는 물론 홍대앞 로컬매거진
문화예술행사 등 대중사업을 벌여가는 한편, 홍대앞 문화생태계 관련 연구 및 상인 주민 예술가간의 협의 채널을 구성하는 등 바쁜 행보가
<스트리트 >의 장성환 발행인 등이 이사로 함께하기로 했다.
예상된다.
사심어린 음식탐험
밥(
비빔밥
) ★★★★☆
보기에 좋은 것이 맛도 좋다? 비빔밥에 들어가는 나물의 종류가 정말 많다. 정성 가득한 가정식을 먹은 기분. 나물의 데친 정도가 적당해 식감이 좋고 직접 담근 고추장은 단맛이 살짝 돌아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맛이다. 반찬의 종류가 많고 비빔밥과 함께 미역국이 나온다. . 마포구 서교동 362-1 e . 02-334-1866 e 평일 11:00~21:00 주말 휴무 r e 비빔밥 7,000원, 불고기정식 10,000원(1인분 기준)
StH_03_10-11 _
t-S- e s_OK.indd 11
H
글 | 정지연 에디터 사진 | 여경구
<스트리트H> 디자인 스태프들의 사소하고도 지극히 개인적인, 비공식 홍대앞 음식 비교 탐구
나물먹는곰 ★★★☆☆
국시집 ★★★☆☆
보리울 ★★★☆☆
비빕밥의 ‘나물’과 곰탕의 ‘곰’의 조합으로 지어진 ‘나물먹는 곰’은 홍대앞 밥까페의 선두주자다. 가마솥에서 손수 지은 고슬고슬한 밥에 너무 맵지도 달지도 않은 직접 담근 고추장을 조금 넣고 나물을 슥슥~. 취나물이 들어있어 고소한 맛이 강 하다. 용기가 놋그릇이어서 전체적으로 고급스러운 느낌.
국수보다 비빔밥이 더 유명한 ‘국시집’. 장소는 협소하지만 착한 가격에 푸짐한 양으로 홍익대 학생들과 직장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곳. 봄내음 듬뿍 담은 갖가지 싱싱한 새싹에 칼칼한 고추장의 조합이 매력적이다. 단, 고추장이 매운편이므로 양 조절이 필요하다.
보리밥에 비벼먹는 비빔밥이다. 밥과 나물이 따로 나오기 때문에 각자의 기호에 맞게 비벼 먹을 수 있다. 된장찌개, 상추, 고추, 야채가 같이 나오므로 비빔밥과 곁들여 먹으면 시골의 정겨운 맛을 느낄수 있다. 보리밥답게 씹는 맛이 좋고 포만감도 느낄 수 있다.
. 마포구 서교동 395-199 e . 02-323-9930 e 평일 11:00~22:00 점심 메뉴 12:00~13:30 연중무휴 별도 r e 나물곰 비빔밥소반 6,000원(평일점심),
. 마포구 서교동 385-38 e . 02-336-5235 e 11:00~20:30 토 22:30분 까지 일요일 휴무 r e 새싹비빔밥 4,000원, 콩나물비빔밥 4,000원
. 마포구 합정동 413-16 e . 02-325-8915 e 11:30~22:00 일요일 휴무 r e 꽃님이 보리밥 6,000원, 돌쇠 수제비(2인분 기준) 12,000원
10 11
2011.3.22 10:11:55 AM
e e
ot e
er
Cro -C
Co ert
e 콘테스트
로모그래피코리아 웹사이트(
서울프린지페스티벌 2011 아티스트 워크숍 모집
뷰티플 민트 라이프
문화공간 및 고재경 판타모임
로모그래피코리아에서는
서울에서 그리 멀지 않은 도심 한가운데,
‘10가지 예언- Cro -Channel
휴식과도 같은 페스티벌이 열린다.
콘테스트’를 실시한다. ‘ et
나무가 드리운 그늘과 푸르른 잔디
oo e’라 씌여진 스티커나
앞, 쾌적한 나무 계단에 편안히 앉아
포스터를 본인이 생각하기에
좋아하는 밴드들의 음악 산책을 즐길
가장 창의적인 장소에 고정시키고
수 있는 기회. 작년에 이어 올해도
가지고 있는 필름 카페라를
열리는 뷰티플 민트 라이프가 선사하는
이용해 재미있게 찍은 후
즐거움이다.
.lo ogra hy.co. r)의 매거진-
브로콜리 너마저, 옥상달빛, 10c , 좋아서하는 밴드, 랄라스윗, 소란,
콘테스트 섹션에 사진을 제출하면 된다. 제출 마감은 4월 15일까지.
노리플라이, 가을방학, 오지은과 늑대들, 짙은과 몽니 등 다채로운
전세계적으로 진행되는 이벤트로 당선자 3명을 선정, 로모그래피
인디 아티스트들이 참여해 그들만의 개성을 선보이는 뷰티플 민트
본사가 있는 오스트리아 비엔나로 초청한다. 창의적이고 재미난
라이프는 4월 30일부터 5월 1일까지 금토일 주말에 고양 아람누리
표현에 자신있다면 누구나 도전해볼 것. 문의 02-326-0255
14번째 서울프린지페스티벌을 함께할 예술가들과 이들의 무대가
노들목 야외극장에서 열린다. 뷰티플 민트 라이프의 또다른 특징 중
되어줄 문화공간을 모집한다. 신청기간은 3월 29일 정오부터 4월
하나는 환경을 생각하는 것. 페스티벌 기간 동안 분리수거는 물론
14일 정오까지이며 서울프린지네트워크 종합신청사이트(htt :
1회용품 줄이기 운동도 펴면서 단지 문화에 대한 갈증만을 채우고
a ly. eoulfr nge.net)에서 신청서를 작성하면 된다. 모집분야는
흩어지는 축제 대신 배려가 묻어나는 공연을 추구하고 있다. 1일권
복합문화공간 문지연구원 사이에서 봄학기 아카데미를 실시한다.
아티스트(실내공연예술제 야외 거리 예술제), 문화공간 등이며
티켓 44,000원 2일권 티켓 77,000원 예매 예스24 1544-6392
인문, 사회, 과학, 문화, 미디어 아트, 독립미디어 워크숍, 글쓰기
자세한 사항은 사이트를 참조하면 된다.
학교 등 다양한 내용을 포괄하는 사이의 봄학기 아카데미는 과목당
아울러 고재경 판토마임 워크숍 5기를 진행한다. 30년 경력의
4회~10회로 진행된다. 건축가 이일훈이 진행하는 기획특강 ‘건축의
마임이스트이자 마임공작소 의 대표인 고재경으로부터 몸을 통한
나침반: 새롭거나 낯선 11가지 테마’가 눈에 띄며, 그 외에도 김소연
자신만의 무대언어를 배워볼 수 있는 기회다. 서울프린지네트워크
2005년 결성된 모던록밴드
시인의 ‘시의 꽃잎을 뜯어내다- 여덞 가지의 시 쓰기 방법’, 최민우와
홈페이지 공지사항 게시판에서 신청서를 다운로드받아
보드카레인이 6년 간의 긴 일정을
차우진, 김봉현이 맡아 진행하는 ‘대중음악의 쟁점들 : 가요, 인디
4월 4일까지 이메일 접수하면 된다. 워크숍은 4월 4일부터
매듭짓는 고별 콘서트를 준비한다.
블랙뮤직’이 흥미롭다. 한편, <스트리트 >의 장성환 발행인과
8월 15일까지 총 20회로 월요일 마다 프린지 스튜디오에서
4월 16일 열리는 ‘잠시만 안녕,
정지연 편집장도 독립잡지 만들기에 관한 특강을 맡았다.
진행되며 강습비는 40만원. 단, 17회 이상 참여시 25만원은
보드카레인’은 각각 멤버들의 음악적
3월 23일부터 개강. 문의 02-322-3207
반환해준다. 문의 서울프린지네트워크 02-325-8150
역량을 키우고 충분한 휴식에 들어가기
문지연구원 사이, 봄
아카데미
. a .or. r
보드카레인 고별 콘서트
위해 열리는 단독 콘서트이다, 지난 6년 동안 3장의 정규앨범, 2장의 P앨범, 1장의 싱글앨범 등
to
y o r
총 6장의 앨범을 발매했으며 2집 ‘100퍼센트’, 6집 ‘기억의 꽃’ 등
: 문자의 시각적 유희전
히트작을 내기도 했던 이들은 이번 콘서트를 통해 전곡을 망라한
바늘하나 들어갈 틈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4월 16일, 이화여고백주년기념관, 티켓
미국 산호세 캘리포니아
‘바늘하나 들어갈 틈’전은
주립대학의 김창식 교수의
비정규직 사회를 대하는
초대 개인전이 인더페이퍼
우리들에 대한 예술가들의
갤러리에서 열린다. 김창식
현재진행형 보고서다.
교수는 이번 개인전을 통하여
김영글, 나규환, 안보영,
‘놀이로서의 디자인’이란
임흥순, 조습 등 참여
개념을 바탕으로 자유로운
작가들은 비정규직의 삶을
형식의 일련의 작품을 한데
살고 있는 젊은 청년의
모아 전시를 통하여 대중들과
얼굴에서부터 학교의 청소
함께하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노동자, 임대아파트 주변의
44,000원, 문의 뮤지커벨 02-3141-5777
일본 지진 피해 돕기 콘서트
했다고 밝혔다. 상형문자와도 같은 그의 타이포들은 꿈과 현실의
비정규 노동자들, 기아 모닝차를 만드는 동희오토 노조원, 그리고
일본 대지진 피해를 돕기 위해 홍대 밴드들이 뭉쳤다. 김창완이 밴드
대화와 일상의 족적이 어우러진 역동성을 보여주며 글과 이미지의
비정규직과 정규직으로 대별되는 노동현장의 모습까지 다양한
기타리스트인 하세가와 요헤이를 위로하는 마음에서 자선 콘서트를
그 숙명적 결합은 단순한 소통을 넘어서 희열을 준다.
비정규직 사회를 담아냈다. 전시는 사회경제적 모순과 차별에
열자고 제안했고 크라잉넛, 장기하와 얼굴들, 전제덕, 박기영,
김교수는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와 동대학원 졸업 후 안양
대한 고발을 넘어서 비정규직을 바라보는 냉담한 사회의 시선에 더
옐로우 몬스터스, 킹스턴 루디스카, J 프랙탈(fra tal) 뉴욕물고기,
과학대학의 교수로 근무하며 타이포그리피계에서 다양한 활동을
중점을 두고 있다. 그 시선 사이에 존재하는 숨어있는 권력이 어쩌면
디아블로, 메이트리, 서울전자음악단 등 후배 밴드들이 호응해 지난
해오다가 90년대 말 미국으로 훌쩍 떠나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
우리 자신의 모습일 수도 있다는 것이 전시의 기획의도다. 작가와의
3월 18일 브이홀 무대에서 열렸다.
대학원에서 인터렉티브 타임라인 디자인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대화는 물론 홍대 인디 레이블 루바토 제작음반 등 선물도 제공된다.
콘서트 제목은 ‘와이 온 어쓰(
산호세 대학에 교수로 부임, 현재 학과장으로 재직중이다.
~4.17일까지(월요일 휴관),
자선공연인 만큼 참가 밴드 전원이 노 개런티로 참여했다. 수익금
3월 26~4월 6일. 인더페이퍼 갤러리 문의 02-3144-3181
StH_03_12_Messen er_OK.indd 12
ace99 문의 02-735-5811
O
)- 도대체 왜’.
전액은 지진 피해 복구를 위한 기금으로 일본에 전달될 예정이다.
2011.3.22 10:33:41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