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eet H_2011.06_Vol.025_2nd Anniversary Issue

Page 1

C LT R MAGAZIN for ON D

2nd Anni er ar

vol. 25

Bookstores in Your Neighborhood

홍대앞 동네 서점, 안녕들 하십니까?


홍대앞 문화 매거진 <ST

T > 지도

. 길 막 독

ho-ro Shinc

신촌

il -g ak km Do

100 1 f

공항철도

146 Market

T

박은민 스튜디오 갤러리 1 f

B

LP愛 1 c 장쌤

S CI TY

1 c

1 k

1 c 커피 브라더스

.265 1 c

gil nsa au W

1 c 상수동카페

1 c Velo cafe

와우공원

1 c 수저

1 c cafe

아트몽드 갤러리 뷰 1 f 1 c cocafe 작은 부엌

T I PIA

1 f 손끝세상 f Gallery FR ART gallery 꽃 B1 1 1 c 1 c S ARA 1 o 산울림소극장 1 c 1 c 커피프린스 1호점 곱창전골 1 d Gateau et M’amie 1 c 수다떠는 아름다운 세상 1 c 1 c hibi 2F 도서관 d Live club 빵 1 C FF LAB 1 c CACA B M 1 c 1 k Your mind Live club 빵 1 d 1 c cafe lo onbom no name B1 1 c

il Obog-g

Jandari-gil

Seogyo-ro

서교로

Airport Railroad

1 c

잔다리길

오복길

gil Dabog-

도 공항철 iv. ik Un Hong

홍대입구역

ro hwaYang

로 양화

B ANS BINS

JASS 1 c 1 c

cafe namu

36.5 c 여름

1 c

Reformed Book Cafe B1 1 c 1 f LG 자이갤러리

옻칠갤러리 1 f

다복길

cafe rucola 1 c

1 g

Donggyo-ro

봉숙이네 커피볶는집 1 c 커피공방 1 c

The sol 1 c

People 1 c

LM T NAW A Pine tree 1 c

1 c

Cafe moin 人

1 c c 정글 디자인북카페 1 c 커피1호 1 1 c 호타루의 빛

집.사람 1 c

엔젤 cafe 1 c

1 c C FF 1 c 고동 JASS 1 c 1 c

Cafe de Maison

D

마포 FM

1 c

c cafe D.I. 1 c 1 c 1 MI 커피공장 꽃 1 c

2An ah studio

1 c

Red Mango cacao green

1 c

artasset 1 f

cafe Ruby Julie

1 c MAPL

C FF

1 c 1 c

cafe the famous Lamb

서교동 주민센터

ZI

Citta Slow 이미지 올로기 연구소

1 c 치비모리

MAPL C FF

coffee BR WNI

cafe Michaya 1 c

잔디와 소나무 1 c

강원도민 회관

B ST B ANS C FF

Vanilla Bean Cafe 1 c

MR Cook Cafe

RaRaRa

1 c 커피마루

1 c

1 c Deu Copains

V GGI

서교로

Seogyo-ro

Doo Doo Story 1 c

LIC

1 c

몽마르뜨 언덕위 1 c

1 c

리길

1 c

Roasting Garden

봄누

yssop coffee 1 c

동교로

T

Bo mn uri -gil

서교동 자치회관 1 c ARISTA C FF

ave a Sensation

청기와 웨딩홀

1 c

1 c

D NNA SPR SS

1 c

1 c

한맥길

1 c 산책

프린지 스튜디오

1 c F MI

한국해양 전략연구소

Hanmag-gil

애경 디자인 센터

웃으러 1 c

태복 빌딩

PP C FF JASS 1 c

공항철도

새로운 편집디자인 임헌우, 한상만/나남

The Yellow caf 1 c

Chamg uru-gil

상상력 사전 매거진랜드

베르나르 베르베르/열린책들 서진 빌딩

1 c 초코소녀, 커피총각

재즈플래닛 유어마인드

강모림/안그라픽스

로마의 테라스 에디토리얼카페 b+

1 c AIDI S C FF

1 c

더 소울 오브 디자인 aA 디자인 뮤지엄/이마고 땡스북스

이정아(30) 회사원

김형배(36) 광고인

C BRIDG C FF

김설화(26)

파스칼 기냐르/문학과지성사

1 c

Coffee, Please

한얼

황재성(42) 북디자이너

프린지네 집

1 o sarangtv

주성수(48) 디자인사강 대표

테마 릴레이-홍대앞 문화 매거진 <ST

인간실격 다자이 오사무/시공사 상상마당1F 디자인스퀘어

홍익도서

심준우(33) 대학원생

성산 초등학교 1 c cafe CASA

1 c A BRIC B1

참그루

cafe LR Y

1 c Love me Tender 생활창작공간 새끼 1 f

1 c 커피사랑방

1 c madi cafe

1 c

한빛미디어

1 c

일상예술 창작센터 1 f

도깨비 커피집 1 c

RAP RC SSI N

1 c

TA

Jandari-gil

caff Angelo

잔다리길

1 c

2F

Hapjeong

1 c C NTR 1 c 뽈레

1 c cafe :

합정역

T茶

g on pje Ha

T

1 c B CAF 노는Caf

1 c ALL AB

cafe AIR

1 c

Subway Line 2

1 c CAF D RAT

Yanghwa-ro

양화로

Yanghwa-ro

e6 Lin

양화로

ay bw Su

1 c C N R

서교호텔 9

Hongik Univ.

커피 中心 1 c

1 c Landucci

윤디자인 연구소

1 d 라이브홀 Z

3

1 f

Gallery ING Mont Blanc 1 c

1 c 고양이 다락방

Teddy club cafe 05:59

당인리극장 1 c

il -g ak km Do

1 k 동남문고

1 c

Brown

LG 팰리스

LG 팰리스

Bean tree 20025

1 c Coffee

화경전통찻집 3F 1 c

1 k 북새통 문고 B1 1 c coco bruni

8

1 c 카페 즈키

noriter

홍대입구역

Subway Line 2

커피발전소 1 c

1 c

작 1 c T R NT c1 1 c 푸른 굴뚝 1 d

veryday coffee 1 c

1 c puzzle 3F 1 c P LY CAF 2F 라휘 사주카페 3F 1 c 1 d 엉클 찰스 1 c 하늘공원 사주카페 1 c 미래안 사주카페 3F 관광안내소 ipeun Geori Geotgos 걷고싶은 거리

NGJIN Book Store

유니 타워

1 k 한양툰크 1 c 스타피카소

Yanghwa-ro

서교 푸르지오 아파트 마포평생학습관

1 k

Pitabono coffee

2F

양화로

1 c

Y

1 c 커피와 사람들 1 c 한잔의 룰루랄라 2F

homeo 1 c

서교초등학교

Saem ulgye ol-1gil

egro coffee 1 c

k 반디모아 온고당 서점 1

1 d S ND LIC cafe S RC 1 c 1 c C F MM c 클럽 문화 협회 Auntie Anne's 1 SPANA 1 c G Z 1 c 이뜰 2F 1 c cafe atre 1 c 1 c IMA Thanks Nature CAF B1 1 c Cup n Plate 1 c1 LITTL 1 c c cafe piano cafe JA BS 1 c whi tea

1 c S DA

sine 1 c c Zzam 1

1 c dog cafe sunnyne 3F 1 c with coffee 1 d R Y

1 c 코끼리 탈출하다

o i-r hu on Ye

balicat B1 1 c 1 k 1 c 퐁포네뜨 한국 실험 예술 정신

cafe in planet 1 c 1 c 꿈꾸는 다락방 공간 415 W ND RLAND 2F 1 c 1 c PAkiTo Jakiya 1 f c Tora b 봄날 2F 1 1 c1 c c 1 c buccella 1 정원 물의 1F 1 c cafe Z 1 c 1 c B1 oor 1 준스카페 c 1 c 1 c M NT F RT 모과나무 위 2F Mongto ciel 노란코끼리 1 c 1 k IdN book 1 c Danchu 1 c Fill in 1 c loose 굿모닝 크리스틴 1 c LaRapipo 2F koona 1 c 1 c millo coffee 1 c 7 1 c 커피 나무 1 c 1 c 새물 BRIDG 2F 결 1길 T B TT R C P CAF B1

In the 1 c conan 18gram ST.255 1 c Paper 1 c NIT@ 1 c 1 c cafe 318 1 1F 1 c caffeine Laboratory 2F 1 c 와우책 문화 예술 사업단 1 f 제일갤러리 4F BL SPIRITRainbow 꽃多방 1 cafe T Y d S @ 아뜰리에 데코아발림 1 f 두성갤러리 B1 1 c D’AVANT c c1 Miz moren c1 Cream 1 c 1 1 d 1 d music CL B winer lee Sweet Roll 1 c 1 c Nok C AN'S 1 d VANS c T. .A Table l Y RI 1 S M 1 c1 c c1 d Studio80’s 1 1 d G G S21 ot Journey 1 c 1 c 1 c Beanside 1 c VonG's 1 d ooper 병아리콩 1 c 창밖을 봐… MIN N 1 g R LLING ALL B1 1 d SAAB 1 d 500 삼단변신 미스홍 1 C P CA S c kafe allein 1 c c 1 c FLAT 打 ta: 1 d 카페꼼마 1 NB2 1 d c 1 c L .A 1 c 별 2hands 1 e on aA뮤지엄 2ND F.F 1 d 1 c ARL M 1 d 1 c aA cafe cafe gZ in 1 c Television 12 R 2F ark FL n the 6 S A2 1 CA RI 1 d dd cP d Veloso 2F 1 c 1 c bli 1 c Pu c BR WN haru 1 c1 il 은하항공 1 c STYL 1 c n-g 장 1 c Cafe Luci alma usa 차 1 c For Rest SC NT 여행사 2F 1 coffee Smith c 커피마지 2F VIA 1 d Wa 올리브 뽀빠이 주 토끼의 지혜 1 c 1 c at ome 영 c 1 c CAF VIN 홍대에서 우회전 1 산길 공 1 c c FILAM NT 1 c 1 와우 1 c I do c danchu c 1 c 다락방 4F Nature’s plus 5st horizon 1 1 c L Vain1 SugarSpoon sunny the grill AGI 빈집 1732 1 l 1 c B LLA B ANS 1 c c 1 c 1 d Palm c ToTo's 프린지 마루 1 1 c 1 c emboo1 감싸롱 Spannew c J NNY’S Cafe 1 c Cafe 도토리 c 몽마르뜨 언덕 위 1 c 1 1 c ha:n Blossom LandJ’s recipe 1 1 c1 1 d MWG 명월관 1 c MA commons c 1 c 은하수다방 1 c 1 d 1 c Beans c 1 N M 1 c1 1 c CAF c 물고기 1 c lomography G N RAL c B hind 1 플로랄고양이 1 c Ridun 1 c RIGINAL c cafe T Y 3F B N JAM S 2F Made D CT R AISL 1 405 itchen 1 c 1 o Theater Zero 1 c 나비 SITAMTAM 2F 1 c cafe AT 1 c SAL N D FACT RY c RJ Pot 1 c1 1 c 라비앙 봉봉 2F SPANA 1 c 1 c 즐거운 북카페 2F SP T N STR SS ITC N 1 c 틈 1 c Chalie Brown del mundo 1 c 5F d 1 d WINWIN 공감 1 FIV ★ TRACTS Sweetier TRaveL cafe 1 cafe M.BA 1 c c 1 c Show Gallery Bar 1 d Nakeb 작업실 1 c1 About the cafe 1 c 공주가 쓰는 침실같은 카페 1 f 1 f 표현 갤러리 요기가 c c 1 c TANIA 1 c ello Maki 1 c Paul 1 we wii cafe 1 c 1 c 그앞 1 c Zari Art Space ue 1 c 공주가 사는 궁전같은 카페 1 c 1 c 아수라발발타 1 c IN 1 c lliott WaterCock 1 c 1 c snow spoon Cafe 1 c CL C WIS 2F il S LTANG 1 c -g 1 c B Cafe B1 커피 Space 1 c1 c Plan B d1 ng FRAN YS 1 c c The cupcake factory lmada Sangsang 1 c 오타치는 코끼리 1 재미난조각가 1 c 볶는 곰다방 1 n u CAF N STALRIA 1 c FR bird S 1 d Eo Chocolatyum 1 c Madang ZIB 1 c 1 d coffee Studio 1 d J SS 1 c tyche 1 c LA LISA 길 c 1 d Tess 1 1 d 상상 오뙤르 1 c Coffee 1 d V 1 c TRINIT A 1 d C C N1 d papa Gorilla 마당 1 c 1 c D9 factory T M's cat DGBD CASTL 스튜디오 울 d M2 Forest D. Moment 1 c 1 c CAF D N A 어 PRA A 1 c 1 1 c 마망가또 c ori Pekoe 1 c 니가 그리운 날엔 1 c 그리다 꿈 북카페 Vanilla cupcake 1 c ALIC 1 1 c cafe yong2 DANJ 1 c 다문화 박물관 c Margie 1 1 c 서울 프린지 네트워크 1 c T AN S B S NAYA CAF 1 c 1 c C FF 1 f IMAWARI 1 c C cloud 2F Fly pancake 1 c k T GALL RY 1 f1 LAB 1 c Siam 2F cafe 7gram 1 cafe seed 1 c 망명정부 1 1 c Departure c c 1 c the cafe roro Better together 1 c press Lounge Fairy 1 c F LL RISTAR 1 c Ann house 1 c 커피프린스 azamidori CaSa Rica 3F 1 c cookie 1 c 에뚜와 etoile 1 c 1 c 마술 부엌 커피 o T AT R C B1 CATS LIVING 1 c 1 c promenade 2F 1 키체 1 c Gallery cafe 1 c 동감상련 cafe M NI 1 c ello itty cafe 1 c 珈琲豆林 1 c c 1 f Gallery yuki ve tables 1 c1 1 c cafe R MI 8F 1 c 얼굴 oliday Apartment 1 c 1 c story 몽 1 c 퀴즈피플 1 d Velvet Banana 노pd네 lesArbres 1 c 후마니타스 책다방 1 c c au bon pain 1 1 f 콩 볶는 집 table 15 1 c 1 c 1010 서교예술실험센터 1 c 1 c cafe 몽쏘 1 c mellow 이야기 1 c Grazie 1 c 1 c avec nous 1 c Page A 민들레영토 1 c 코믹토토 만화 cafe 1 c 용다방 1 k 1 c 1 c beattipreviee 매거진랜드 DADA빌딩 1 c MAR the gabrife 1 c 1 c 로베르네 집 ne 1 c 1 c GR N B AN 1 c B Bunning eart 2F 1 c C FF 2F 1 d FB 1 f 1 c cafe A RA 1 f Zandari 1 c cafe N then 소극장 예 1 c free tempo Myth 弘 1 c 1 c STA C FF 1 d V RA 1 c cafe Riecco i or Ge

1 c

시연 1 c

1 c

so as Pic

cafe SandPark

상수동 그가게 1 c

il Vaggio

1 c Dansk cafe

S

에디오피아드림스 1 c

off c B1

1 f 갤러리 ‘이상’ B1,2F

1 c

외국 예술 서적

1 f

6

1 c

P BLI

1 c BA BA

cafe D 174 4

cafe L FT Market B1

Anthracite

1 c

CAF Groovy 1 c

1 c

1 g INDIFAN

1 c

Mr. omless 1 c

1 c

1 c 커피향창고

1 c

k ASIA B didi’s gaufres 1

1 c

ALDI 1 c 1 c L NAMI 2F 고양이 시간 2F 1 c 1 c T BR MA B1 cafe forest 1 c c 앨리스와 도로시 Da da da 1 c 1

STANDING C FF

1 f

c 1 n1 미디어 극장 아이공

may june

W au sa ngil

1 c B LI F

1 c Be Sweet n 2F la main douce 1 c 1 c a cafe WAFFL L I 1 c 1 c 뒤빵 overlap 1 c 1 c Petit bois M BSSI 1 c 1 c 1 c ssobom 빨간토끼 People 1 c of Tastes cafe J Y’S cafe 1 c 1 c B V N Rachel 1 c 1 c M NT R SA 1 c 1 c cafe RARA ding dong

Middle Gray 1 c Cloud 9

1 c

1 c cafe Ronin

Loop Gallery

cafe T PLAIN 1 c C

Market M

cafe WIT T 1 c Maki terrace 2F 1 c cafe ui

1 c tea terrace 1 f 뽈랄라수집관

1 f

1 c 1 c salon de Loop 1 f cafe noi 1 c

Anny cafe 1 c 1 c 1 c La Tupina Vintage 1 1 c Petit arbre mama c Dia ANG L MIL L NG CAF ohoo 1 c

door gallery

1 g 김대범소극장 B1

1 c

CAF 갸하하 1 c L FT 多樂 2F 1 c snob 1 c 1Act 1Scene

극동방송국 Four Seasons ouse

1 c TAST B AN

1 d Jammers

1 g 비보이극장 B1

1 c 레이지 마마스 파이

PRAD 1 c Sunday salon 1 c

1 f 성갤러리

cafe

대안 영상 문화 발전소

1 c CALIF RNIA

Volver

1 c nothing

1 c at Coner

1 c 1 c 니오타니 타이포그래피 ‘공간ㅎ’

1 c

1 c

c DD DA 1 lostandfound 1 c

1 c 애프터눈

Rock ‘N’Roll high school 1 c

1 f gallery sup 1 c green cloud coffee

1 c

CABIN T

cafe made 人 in 1 c

B1 MY LL 1 c

1 c CoffeeMe 1 f Ssamzie space 1 d S Y IG c cafe TABL A o1 1 c 오래 있어도 괜찮아 1 1 f hanty 2F 포스트 극장

gil gjun To

1 f LIG T B 1 c 그림책 상상

M

scola Alegria

imemine 1 c

su ng Sa

1 g

R A D SIGN M S

1 f

그문화 다방 1 c1 f 그문화

역 수 상

1 c sweetpea

밥먹는 카페 1 o 육완순무용원 1 c

ARTM MD Art Center

1 c

6

B ANS T C FF

길 정 토

e Lin ay bw Su

Salon de la Sorciere 1 c it place 747 1 c The Blues 1 c

서교동 와우산로 32길

1 c 이리 CAF

1 c 요술살롱

ALA

공부하는 독종이 살아남는다 이시형/중앙북스 상상마당1F 디자인스퀘어

T >가 묻습니다

지금 읽고 있는 책은 무엇? 홍대앞 좋아하는 서점은 어디?

Hane ol-g il

문화편력기 요네하라 마리/마음산책 땡스북스 이혜진(29)

니키(30) 학생

스트리트 인터뷰 촬영 이혜령 지도조사 여경구 표지 디자인 장성환 류아진

아시아의 책.문자.디자인 스기우라 고헤이/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양화진책방

크리티컬 매스 온고당

우리 시대의 화가 존 버거/열화당 동남문고

윤재진(35) 광고인

서교동 와우산로 32길

완전히 불완전한 이충걸/생각의 나무 북소사이어티

백지연/알마

남지혜(28) 아트에디터

이선화(28) 디자이너

공각기동대(하) 시로 마사무네/대원씨아이 한양툰크

창(28) 무직

토끼가 좋아하는 자두 Cafe

눈의 모험 유어마인드

섬 Bar

나라 요시토모/시공사

김진환 제과점 Bakery

땡스북스

모찌(25) 그래픽디자이너

app l c

최종원(30) 대학원생

작은 별 통신

마쓰다 유키마사/정보공학연구소

루씰 Bar

박정은(28) 브랜드디자이너

da Cafe おしり星 Izakaya おしり星 Izakaya

aeng Shop

<스트리트 >를 만날 수 있는 곳

<스트리트 >는 매월 15~20일 경 발행되며, 오른쪽 리스트에 소개된 장소에 배포됩니다. 누구나 무료로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아쉽지만 한정 수량이라 서두르셔야 합니다. 꼭 필요하신 분은 정기구독을

하시면 집에서 편하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www.street-h.com)의 ‘정기구독’ 코너에 이름, 연락처, 주소 등 관련 정보를 기재한 후 1년 정기구독료 12,000원을 입금하시면 됩니다.

-

-

입금 후 편집부(02-323-2569)로 알려주시면, 그 달부터 <스트리트 >를 보내드립니다. 입금처

국민은행 032901-04-173760

| 예금주

장성환(디자인스튜디오 203)

-

-

-

-

-

-

-

-

설탕 Bar

로베르네집 빵

-

유어마인드

-

-

후마니타스 책다방

-

-

서교예술실험센터

-

-

상상마당

-

-

한잔의 룰루랄라

-

호선 홍대입구역 안내소

-

-

-

관광안내소

-

제너럴 닥터

-

더 북 소사이어티

-

플로랄 고양이 나비

-

신사동 가로수길

:

부산

-

발행인

Street -

| o

| 2011 06

Independent Local Culture Magazine for ongdae Area

장성환

발행

디자인스튜디오

(te 02 323 2569 a 02 323 2562)

121 895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405 11 화승빌딩3층

기획취재

편집장 정지연, 객원 에디터 하정희, 문지혜, 임은선

디자인

디자인스튜디오

정기구독

고성주, 안혜숙, 이혜령, 장수비, 류아진, 여경구

Copyright

임경화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복제를 금합니다.

교정교열

우편 정기구독 | 년 12회 12,000원

2011 <스트리트 >에 실린 내용은 저작권법에 의해


Bookstores in Your Neighborhood

홍대앞 동네 서점, 안녕들 하십니까?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안다. 아무 일 없이 서점에 들러

에세이, 신간 등 우리가 일반적으로 ‘책’이라 부르는 것을 살 수 있는 그냥 서점 말이다. 하긴 이런 추세는 우리 홍대앞만의 문제는 아니다. 어느

한가로이 책을 보다가 취향에 맞는 책을 만나는 기쁨을. 어서 읽고

동네를 가도 서점의 수는 줄어들고만 있다. ‘2010 한국서점편람’에 따르면 2008년 말 집계된 국내 서점수는 2,846개로 2007년에 비해 무려

싶어서 집으로 가는 걸음을 서두르는 조급한 마음을. 그러나 그

401개가 줄었다고 한다. 전국적 규모로 보아 매달 20여 개 이상의 동네 서점이 문을 닫고 있는 것이다.

기쁨을 누리긴 이젠 힘들다. 동네마다 있던 작은 서점은 사라진

고무적인 것은 이런 악조건 속에서도 홍대앞에는 도리어 하나 둘 서점이 생겨나고 있다는 사실이다. 작년 ‘독립서점’의 출현과 더불어 ‘동네

지 오래이거나 있다 해도 참고서만 빼곡한 ‘◯◯문구’가 되어 있을

책방’을 표방하는 ‘땡스북스’의 등장은 그래서 더더욱 박수쳐주고 싶다. 게다가 새로 생겨나는 서점의 주인장들은 대부분 젊고 의욕적이다.

따름이다. 대형서점 확장과 온라인 서점의 할인판매, 당일 배송 등

단순히 책방을 경영하는 입장에서 나아가 서점이 지역사회에서 가질 수 있는 문화적 파장력을 고민한다. 문제는 이 서점들의 지속가능성이다.

시스템과 시장의‘ 변화 앞에 동네 서점들은 견디지 못하고 간판을

그들이 “힘들다”고 울상 짓지 않도록 찾는 발걸음이 많아져야 하겠다. 동네 서점 역시 할인이니 포인트니 빠른 배송과 같은 편리함만이 우리가

내리고 있다.

서점을 찾는 이유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홍대앞에 서점이 어디 있어?” 사람들은 말하곤 한다. 비록 이름만

할인마트와의 경쟁 속에서 사라져가는 재래시장과 동네 서점은 많이 닮아 있다. 재래시장을 찾는 이들은 그저 싸다는 이유만으로 그곳을

들으면 ‘아!’ 할 서점들은 없어도 홍대앞에 책을 파는 공간은

찾진 않는다. 비록 구멍가게, 좌판이지만 그곳엔 살아 움직이는 생동감이 있고 이웃이 있고 문화가 있다. 서점도 그렇다. 서점은 단순히 책이

의외로 많다. 디자인이나 예술 관련 해외 잡지나 도록 등을

아니라 책을 매개로 한 문화를 판다. 지역의 문화생태환경의 인프라로서 보다 적극적으로 움직인다면, 동네의 작은 서점들 역시 책을 사랑하는

판매하는 서적상은 예닐곱 개 가량 있고, 다른 곳에서 접하기 힘든

고객들을 끌어모을 수 있을 것이다. 책방이 아니라 문화사랑방으로 그 동네의 중심이 되어버린 일본의 빌리지뱅가드나 뉴욕 브루클린의 스푼빌

독립출판물을 접할 수

앤 슈가타운 북스토어처럼 말이다. 그곳에선 저자와의 토크나 낭독회가 일상처럼 벌어지고, 고양이 두 마리가 게으르게 돌아다닌다.

있는 색깔 있는 서점은

우리도 동네 안에서 1년, 5년, 10년, 동네 사람들과 함께 늙어가는 서점을 가지고 싶다. 잠시 ‘반짝’하고 생겼다가 견디지 못하고 간판을 내리는

두 개나 있다. 그럼에도

건 카페나 레스토랑으로 족하다. 1990년 놀이터 부근에 생겨 홍대앞 명소로 사랑받다가 쓸쓸히 사라져버린 예술전문서점 ‘아티누스’의 전철을

불구하고 정작 서점이

다시 밟을 수는 없지 않겠는가.

서점의 부재 때문일 것이다. ‘매력적이지만 어렵고 특별한 책’ 말고 소설이나

StH_06_CoverStory_ok.indd 1

Cover Story

없다는 ‘체감’은 아마도 동네

2011.6.9 11:37:46 PM


Small but Intimate

사람 냄새 나는 동네 서점 글 | 임은선(@llgreenlandll) 객원 에디터

책 좋아하는 사람들의 사랑방 | Thanks Books

땡스북스

‘테마가 있는 책 전시’를 해당 출판사들과 머리를 맞대고 함께하는 것은 그런 까닭이다. 앞으로는 독자들도 자신들이 좋아하는 책을 전시할 수 있게 참여의 기회를 개방할 것도 고려중이라고. 책을 좋아하는 홍대앞 동네사람들과 시간과 문화를 공유하고 싶다는 땡스북스. 회원으로 가입하면 10% 할인도 받을 수 있다니 같은 값이라면 동네 서점을 찾아보는 게 어떨까. Tel. 02-325-0321 Add.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367-13 더갤러리 1층 Open 11:30~21:00 (매주 월요일 휴무) Web http://www.thanksbooks.com Price 아메리카노 3,000원, 카페라떼 4,000원, 땡스그린티라떼 4,000원, 땡스 레몬에 이드 5,000원

땡스북스는 ‘스마일로그’로 유명한 이기섭 디자이너가 올해 4월에 문을 연 작은 동네 서점이다. 이곳엔 스페인 디자인 잡지 <apartamento> 등과 같은 희귀 디자인 잡지나 책도 있지만 일반 독자들이 반길 만한 소설, 에세이 신간 등이 더 많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셀렉션 서점이나 디자인 서점으로 특화시킬 수도 있지만 그냥 ‘동네 서점이면 족하다’고 생각한 책방주인의 세심한 배려가 곳곳에서 느껴진다.

동네 서점의 힘 한강문고

평범한 동네 서점이라고 겸손하게 말하지만 땡스북스의 면면은 셀렉션 서점과도 겹쳐진다. 셀렉션 서점은 주인의 취향과 안목에 따라 책을

지난 2008년 6월에

선별, 배열한다. 그 과정에서 비슷한 성향의 책을 함께 진열하기 때문에 ‘재발견’의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 시기를 잘 못 만나 주목받지 못하고

문을 연 한강문고.

사라졌던 불우한 책들이 신간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 땡스북스는 신간이나 베스트셀러 위주가 아니라 좋은 책이었지만 빛을 못 보고 사라진

중형서점으로 주택가에

책들을 끄집어 올려 ‘책 얼굴’인 표지가 보이도록 놓아준다. (여담이지만, 신간이나 베스트셀러가 아닌 이상 대형서점에서는 1개월 이상

자리하고 있어 동네

매대에서 버티기가 힘들다. 그후엔 곧장 책등이 보이는 서가에 꽂힌다) 《스튜디오 컬쳐》, 《아루키의 일기》 등이 그렇게 새롭게 주목받은 대표적

어린이들과 학생들이

책들이다. 아울러 서점 스태프가 추천하는 책도 ‘금주의 책’이란 이름으로 어엿이 서가에 놓인다.

즐겨 찾는다. 이곳

디자이너가 운영하는 서점인 만큼 디자인은 책의 선정에 있어 중요한 고려 대상이다. 그러나 땡스북스는 디자인만 살아 있거나 유행을 따라

주인은 불광문고라는 지역서점을 14년 동안 운영했던 노하우를

디자인된 책은 좋아하지 않는다. 훌륭한 콘텐츠와 그 내용을 잘 드러낼 수 있게 디자인한 책, 즉 ‘겉과 속이 똑같은 책’을 독자에게 소개하는 것을

바탕으로 동네 주민들의 마음을 끄는 데 성공했다. 구입한 책의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이다.

10%에 해당하는 쿠폰을 발행하여 현금처럼 사용하는 특전이나 도서

‘총판’을 통하지 않고 크고 작은 출판사와 직거래를 한다는 것도 땡스북스의 독특한 점이다. 총판 시스템 아래에서는 주는 책들만을 받아야

물류센터 ‘헤이북’과 함께 파손 도서나 절판 도서에 한해 50% 할인

한다. 베스트셀러 위주의 독점적 행태에서 벗어날 수 없고, 서점의 경제적 종속도 심해진다. 책방주인 이기섭이 몸소 출판사를 방문해 거래를

코너를 상시 운영하는 등 대형서점과 겨룰 만한 장점이 많다.

제안하는 것은 작은 동네 서점이 살아남기 위한 자구책인 동시에 책과 소비자 사이에서 문화를 만들어보고 싶은 그의 철학을 보여주는 작은 예라고 할 것이다. 출판사와 서점이 그저 책을 주고받는 사이를 넘어 책 읽는 문화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한 달에 한 번 열리는

StH_06_CoverStory_ok.indd 2

Tel. 02-332-9480 Add. 마포구 망원동 478-11 영보빌딩 지하1층 Open 10:00~22:00(일요일과 공휴일은 21시까지)

2011.6.9 11:38:23 PM


지역의 문화 사랑방 | Yanghwajin Bookstore

양화진책방

공간은 아니다. 다양한 출판사의 기독교 관련 책은 몰론 천주교 관련 책도 함께 판매한다. 양화진이 구교와 신교의 역사가 공존하는 공간이기에 양화진책방 역시 천주교와 기독교의 만남의 공간이 되고자 하기 때문이다. 양화진의 역사나 의미, 그리고 선교사에 관한 책들이 많다는 것도 특징이다. 종교 관련 서적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명인사나 기관에서 추천한 목록을 기반으로 고전은 물론 신간도 구비해놓고 있다. 아늑하게 꾸며진 공간엔 800여 종의 책이 진열되어 있어 서점으로서의 역할도 충실히 해내고 있다. 양화진책방의 특징은 책이 책장에 꽂혀 있는 것이 아니라 누워 있다는 점이다. 책이 눕혀져 있어 책의 제목과 표지가 한눈에 들어와 읽고 싶은 책을 쉽게 찾을 수 있다. 한국서가, 기독교서가, 천주교서가, 작가별서가로 분류되어 있는데 서가 사이마다 의자가 놓여 있다. 양화진책방의 내부 분위기는 ‘서점답다’는 말에 딱 어울릴 정도로 잘 꾸며져 있다. 독일산 하이델베르그 인쇄기는 물론 홍성사가 처음 설립되었을 때 썼던 금고와 고서 등도 있다. 특히 금고 안에는 책이 전시되어 있어 보물보다 소중한 책의 의미를 다시금 느끼게 해준다. 양화진을 찾은 참배객이 많이 방문하지만 동네 주민이 산책하러 왔다가 혹은 가족 단위로 놀러 나왔다가 방문하는 경우도 많다. 지역 주민이 책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언제든지 올 수 있고 정보지와 무료 회보지도 가져갈 수 있고 자유롭게 차를 마시며 쉴 수도 있다. 양화진책방은 단순히 동네 책방에 머무는 데서 더 나아가고자 한다. 저자 사인회나 독자와의 만남은 물론이고 다양한 문화행사가 종종 열린다. 이처럼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끊임없이 제공해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공간이 되는 것이 양화진책방이 지향하는 바이다. 우리가 사는 동네인 홍대에 ‘양화진’이라는 역사적 공간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이 작은 책방을 방문한다면 더욱 의미 있는 체험이 될 것이다. Tel. 02-333-5163 Add. 서울시 마포구 합정동 376-40 Open 11:00~20:00 (매주 일요일 휴무) Web http://www.hsbooks.com

양화진은 우리나라 천주교의 성지(聖地)다. 1866년 병인양요가 일어나 프랑스함대가 양화나루까지 올라왔던 일에 격분한 흥선대원군은 양화나루 옆 봉우리 잠두봉에 형장을 설치해 천주교인을 처형했다. 당시 무려 1만 여 명의 천주교인들이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이곳이 절두산 순교 성지다. 양화진에는 또한 외국인 선교사들이 많이 묻힌 묘원(廟院)도 있다. 양화진책방은 이런 양화진의 역사를 기리기 위해 2008년 1월 오픈했다. 주로 다양한 기독교 서적을 출판하는 홍성사가 오픈한 양화진책방은 책을 전시하는 공간이면서 동시에 지역사회 문화의 장이기도 하다.

C.S. 루이스(《나니아 연대기》의 저자)나 이재철 목사 등의 저작을 만날 수 있는 양화진책방은 그렇다고 홍성사의 책만을 취급하는

홍대 사람들이 즐겨 찾는 동남문고 홍대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아는 동남서점.

2호선 홍대입구 지하철역 5번 출구 옆에 위치한 아담한 서점이다. 잡지부터 소설, 인문서, 경제경영, 자기계발 같은 모든 종류의 책들을 망라하고

때도 종종 있지만, 주문하면 하루이틀 안에 찾아준다. 구매한 책의

10%를 적립하는 동남카드를 발행하고 있다. 잡지 매대는 특히 비닐 없이 개방하고 있어 약속 전 시간을 보내기에도 안성맞춤인 곳이다. Tel. 02-326-3304 Add. 마포구 동교동 165-8 LG 팰리스 지하 2층 Open 10:00~22:00

StH_06_CoverStory_ok.indd 3

Cover Story

있어 규모는 작아도 알차다. 서점 규모가 작아서 원하는 책이 없을

02 03

2011.6.9 11:38:57 PM


Independent Bookstore

소통을 꿈꾸는 수상한 독립서점 글 | 정지연(@leafyeon) 에디터

이상한 책들로 가득한 서교동 책방 | Your–Mind

책을 매개로 한 공동체

더북소사이어티 | The Book Society

유어마인드

와우교 부근 5층 건물 꼭대기에 자리잡은

지난해 3월에 상수동에 문을 연 더북소사이어티는 독립적인 진(-Zine)과 예술서적을 주로 다루는

다락방 같은 서점. 고양이 세 마리가

출판사 미디어버스가 운영하는 독립서점이다. 더북소사이어티의 지향은 다양한 영역의 소규모

어슬렁거리는 작은 책방 유어마인드는

출판물들이 서로 소통하고 공유하는 플랫폼이 되겠다는 것. “대형서점에서 만날 수 없는 작고 다양한

홍대앞에서 가장 유명하고 또 이상한

출판물들이 당당하게 커밍아웃할 수 있는 공간, 자유로운 소통과 유통이 이뤄지는 공간”이라는 것이

서점일 것이다. ‘서교동 책방’이라는 소박한

임경용 대표의 설명이다.

닉네임은 홍대앞에서도 ‘로컬’의 의미를

이곳엔 다른 서점에서는 접할 수 없는 해외의 다양한 출판물과 잡지, 아티스트 북 등이 가득하다.

강조하기 위해 지었다.

뉴질랜드의 실험예술 잡지 <White Fungus>, 벨기에에 거점을 두고 1년에 2회 발간되는 <GAGARIN>,

유어마인드는 글을 쓰는 이로와 사진

로테크적 접근이 돋보이는 아일랜드 독립매거진 <Coracle> 등이 이곳의 색깔을 짐작케 한다. 지난해

찍는 모모미가 함께 운영하는 곳이다. 1인

더북소사이어티의 베스트셀러 목록에는 율리아 본의 <Title of the Show>, 카렐 마르티스의 <Printed

잡지 <수상한 M>의 이로와 국내외 여성

Matter>가 꼽혔다. 국내 출간물 중에서는 워크룸 프레스나 스펙터 프레스 같은 디자이너가 운영하는

사진작가들의 비주얼 북 <non-project>를

출판사의 책들이 반응이 좋은 편이다.

기획한 모모미는 이른바 ‘독립 출판’의

더북소사이어티는 단순히 책을 판매하는 역할에 머무르지 않고 있다. 지난 1년 간 무려 30회 이상 진행된

형태로 작업을 시작했다. 책을 만들고 나니

‘아티스트 토크’는 이곳의 색깔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문화행사. 카스코 디렉터 최빛나, 양혜규 작가의

판매처를 모색해야 했고 여기에 착안해

토크는 좁은 서점이 미어터질 듯 많은 독자들이 참여한 인상적인 자리였다. 더북소사이어티는 매번

독립출판물 유통 온라인 숍을 오픈했다.

토크의 모습을 영상으로 기록하고 있다. 아카이브가 필요하다는 생각에서다.

그리고 자신들처럼 책을 만들고픈 사람들을

지난 3월부터는 함께 책을 읽고 공부하는 ‘리딩 룸(reading room)'도 시작했다. 구정연 공동대표는

위한 ‘잡지공방’을 진행하면서 오프라인 공간이 절실해졌고, 결국 서점을 오픈하게 되었다.

“더북소사이어티에 들어온 책 중에는 언어적 한계 등의 이유로 혼자 소화하기 힘든 책이 많다. 모여서

책방으로서의 유어마인드는 독립출판물을 다룬다. 이로 대표는 “엄밀히 따지자면 불법서적에

정독하고 토론하면 그 콘텐츠의 가치가 더 높아질 거라 생각하고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가까운 책들, 정식의 출판사나 정가를 붙일 수 없는 돌연변이 같은 책이나 잡지를 주로 판매한다.

더북소사이어티의 당면한 과제라면 협소한 공간을 어떻게 해결할까 하는 것. 행사 때마다 자리가 없어

‘이상한 제작자’가 만든 ‘이상한 책들’ 은 서로 목적과 성취는 다르지만 ‘이상한 독자들’과 멋진 접점을

돌아가는 이들이 많아 보다 넓은 공간으로의 이전을 고려하고 있다. 상수동 구석에서 시작된 소규모

만들어낸다”고 말한다. 독특한 사진집, 요리그림책, 국내외의 독립출판물 잡지…. 규정짓지 않아서 더

출판의 플랫폼이 보다 튼튼해지도록 응원한다.

자유로운 출간물들은 마찬가지로 내용과 형식에 구애받지 않는 독자들의 손에 의해 간택당한다.

Tel. 02-325-5336 Add. 서울시 마포구 상수동 331-8 Open 13:00 ~20:00, (일요일 휴무) Web thebooksociety.org, www. mediabus.org

유어마인드의 가장 큰 장점은 운영자가 곧 독립출판물 제작자라는 점이다. 독자이면서 생산자라는 이 바람직한 형태는 그들로 하여금 유연한 상상력을 발휘하도록 만들었다. 자가 출판(Self Publishing)을 어렵게 여기는 이들을 대상으로 한 ‘잡지공방’이나 독립출간물의 독자와 제작자가 서로 만나는 책잔치 ‘언리미티트 에디션’이 그렇다. 지난해 장진 감독, 가수 백현진, 소설가 김중혁, 요리사 박찬일 등의

전문화가 살길 만화 서점

참여로 화제가 되었던 ‘산울림 낭독 페스티벌’의 탄생도 마찬가지다. ‘산울림 낭독 페스티벌’은 이로,

만화마니아들을 행복하게 하는 ‘만화의 성지’가 홍대앞에는 두 군데나 있다. 그것도 지척에 붙어 있다. 국

모모미 공동대표가 유독 애착을 가지고 있는 ‘우리 모두의 책 읽는 시간’이라는 책방 프로그램의 확장

내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북새통(02-324-0211)은 지난 5월 중순 6주년 기념 세일을 공표했다가 홍역(?)

버전이라고 보면 된다. 독자와 함께 소통하는 책방. 그리하여 나의 마음이 아니라 당신의 마음(Your

을 치른 바 있다. 단골들이 몰려 평소엔 구매하지 못했던 만화를 세트별로 구매했던 것. 비록 지하에 위치

mind)이 되고픈 유어마인드. 이 이상한 서점에 한 번쯤 마실나가 보길 권한다.

해 있지만 출판사별로 정리가 잘 되어 있어 책찾기도 편하다는 것이 장점. ‘만화는 없는 게 없다’고 자신하

Tel. 070-8821-8990 Add. 서교동 326-29 5층 Open 14:00 ~22:00, (월, 화요일 휴무) web your-mind.com

StH_06_CoverStory_ok.indd 4

는 한양툰크(02-338-5210)는 국내 최대 장서를 보유하고 있다. 1층은 국내 출간 만화, 지하는 수입서적 과 만화용품, 절판 도서를 판매한다.

2011.6.9 11:39:26 PM


Various Artistic World

역시 홍대앞, 디자인 예술 전문서점 글 | 하정희(@JungStory) 객원 에디터

글 | 이지영 객원 에디터

지구상 잡지라면 없는 게 없다 | Magazine Land

매거진 랜드

디자이너들을 위한 길라잡이 | IdN Book

아이디엔-북

올해로 11년이 된 매거진 랜드는 잡지라면 패션부터 문신

20년 넘게 건축 디자이너로 일한 이동우 대표가 새로운

잡지, 게이 잡지에 이르기까지 없는 것 빼고 다 있다. 총

관심사를 찾으면서 탄생하게 된 것이 ‘아이디엔-북’이다.

3만여 권, 패션, 디자인, 스포츠, 영화, 미술, 건축, 사진

서점 주인이 디자인 전공자이자 풍부한 실무 경험을 가지고

등등 3000여 종의 수입서적이 구비되어 있는 이곳의

있는 까닭에 서점에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정보나

장서량만큼은 소박한 외관을 배반하기 딱 좋다.

노하우를 알려주고 조언도 해주는 것이 특징.

주로 이곳을 찾는 이들은 디자이너, 예술인, 교수, 학생 등

“디자인 역사를 모르고 디자인을 하는 사람은 결국

해외 트렌드와 시각적 원천에 목마른 사람들. 10명 중 9명이 단골이라고 할 만큼 한번 관계를 맺으면

기능공에 지나지 않는다”는 철학을 가지고 있는 이동우 대표는 르네상스부터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다시 찾지 않고는 못 배기는 곳이다. 시중에서 찾기 힘든 책도 척척 찾아주는 이규택 대표(54)의 눈썰미를

이르기까지 디자인 역사를 다룬 책들을 집중적으로 구비해뒀다. 규모는 그리 크지 않지만 에코, 그린,

믿고 찾아오는 이도 꽤 많다. 이규택 대표 혼자 서점을 운영한다. 잡지계에서 잔뼈 굵은 ‘잡지통’인 만큼

스마트 디자인, 색채 분야의 서적도 꽤 다양하게 갖추고 있다. 특히 최신 디자인 흐름을 다루는 신간

서점 운영에는 자신있는 데다가 직원 없이 운영하다 보니 가격경쟁력이 고스란히 독자에게 갈 수 있다고.

위주로 책을 많이 들여오는 것도 특징. 그 바탕에는 “디자인은 항상 진화하고 있다”는 이대표의 생각이

아마도 비닐을 벗겨 잡지를 누구나 볼 수 있게 배치하는 넉넉한 ‘인심’(?)은 들쳐봐야 구매할 수 있는

깔려 있다. 때문에 철지난 디자인 서적을 헐값에 판매하는 것은 아이디엔 북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잡지의 생리를 누구보다 잘 아는 그의 머릿속에서 나왔을 법하다. “소문난 맛집은 멀어도 기어코 찾아가

이 대표가 꼽는 아이디엔-북의 베스트셀러는 <paper craft>, <illucsive>, <print work>와 네덜란드

먹듯이 좋은 책이 있는 서점은 아무리 멀어도 손님이 찾아오게 되어 있다”는 게 이대표의 철학.

잡지인 <elephant>. “주로 학생들이나 디자인 하는 후배들이 단골이라서 책 가격도 비싸게 받을 수가

그런 철학을 바탕으로 작년에는 홍대앞 책잔치 ‘와우북 페스티벌’의 ‘책 나눔 캠페인’에 150여 권의

없어요. 편안한 마음으로 서점에 들러 이것저것 묻기도 하고 그러면 좋겠어요. 무엇보다 스스로 좋아서

책을 기증하기도 했다. 2009 서울디자인올림픽 기간에는 ‘서울디자인스팟’으로 선정돼 젊은 작가들과

하는 일이니까 기쁜 마음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이동우 대표에게선 책을 진심으로 좋아하는 사람의

시민들과 함께하는 역할도 자임했다. ‘잡지통’인 이대표로부터 잡지에 대한 해외 동정을 듣고 싶다면

마음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참, 서점 이름을 아이디엔-북이라고 지은 이유는 동명의 잡지 아이디엔

점심시간과 오후 5~7시는 피하는 게 좋다. 여름이나 겨울이나 잡지를 깨끗이 좋은 상태로 보존하기

IdN International Design Networking을 좋아해서인데, 특별한 연관은 없으니 오해말자.

위해 에어컨을 약하게 틀어두는 그의 ‘책사랑’은 오늘도 진행형이다. Tel. 02-3142-6460 Add.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369-11 1F Open 10:30~20:00(일요일 휴무) Web eyebook.co.kr / blog.magazineland.co.kr

깨끗한 헌책부터 세련된 디자인잡지까지 | Ongodang

온고당

Tel. 02-334-8556 Add.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331-13 Open10:00 ~22:00 Web www.IDNbook.co.kr

방대한 디자인 서적의 정글 | Design Book

디자인북

그러니까 70년대 학번부터 90년대 학번까지 홍대의

디자인북에서 운영하는 '북카페 정글'은 아마도 홍대

서점하면 일단 ‘온고당’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다. 30년

부근에서 가장 방대한 디자인 서적을 보유하고 있는 장소일

세월을 뛰어넘는 건재함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것이다. 편집, 그래픽, 일러스트, 인테리어 등 디자인 전반에

온고당은 과거에는 저렴한 가격에 좋은 책을 구할 수

걸친 약 5,000여 권의 책이 정리된 이곳은 각종 디자인

있는 헌책방이었지만, 지금은 <IdN>, <FRAMA> 등

서적을 직접 수입하고 도매로 거래하며 온라인 판매도

패션, 인테리어, 디자인 관련 외국 잡지를 수입하는 것은

진행하고 있다.

물론 예술전문서적까지 아우르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요리 관련 해외잡지도 다량 구비하고 있어,

디자인북의 강점이라면 무엇보다 다양한 디자인 서적을 가장 먼저 만나볼 수 있다는 것. 보통 일주일에

디자이너들뿐만 아니라 푸드 스타일리스트의 발걸음이 잦다고 한다.

서너 번, 많으면 매일 신간이 입고된다. 입고된 서적은 그날 바로 매장 혹은 한 건물에 위치한 북카페에서

“요즘 수입서적상의 가장 큰 문제는 정식 유통망을 거치지 않거나 별외로 들여오는 싸구려 중국 복사판인

확인할 수 있다. 덕분에 얼핏 한적해 보이는 북카페는 커피 한 잔 값에 고가의 디자인 서적을 살펴보려는 학생부터 머리도 식히고 자료 조사도 하려는 현업 디자이너까지 다양한 손님들로 붐빈다고. 기획실의

것이 책의 물성에서 드러나요. ‘싸다’고 쉽게 선택하지 말고, 제대로 된 서적을 골라서 보아야 하지

안미주 대리는 “북카페 정글은 디자이너들이 편하게 책을 볼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이에요. 조용한

않을까요?”

분위기에서 마음껏 책을 볼 수 있어 마치 도서관이나 작업실처럼 이용되곤 하죠”라고 덧붙인다.

이현섭(46), 오송준(35) 두 주인장이 선대의 주인에 이어 운영하고 있는 이곳은 홍대의 다른 서점에 비해

이제껏 디자인북에서 소개한 책들 중에서 가장 반응이 뜨거웠던 것은 <비즈니스 레이아웃 Top 500>.

젊은 감각이 느껴진다. 단순히 책을 파는 서점에서 나아가 책을 전시하는 쇼케이스의 개념을 넣어 손님

편집 디자인의 수많은 사례를 실제 크기로 담아낸 책으로 따로 가방이 딸려나올 정도로 판형이 커 화제가

입장에서는 요즘 잘 나가는 책을 한눈에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렇다고 새 책만 파는 건 아니다.

됐다. 최근 서적 중에는 색상별로 여러 분야의 디자인을 다룬 <컬러 파티 colour party>라는 책이 인기가 많다.

‘선대’의 유산을 이어받듯이 오래된 디자인 서적을 저렴한 가격에 사고팔고 있다. 운이 좋으면 거의 손때

한편 디자인북에서는 매월 첫째주 금요일과 토요일에 ‘디자인북 오픈마켓’을 진행하고 있다. 주차공간을

묻지 않은, 새 거나 다름없는 헌책을 놀랄 만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다.

이용해 책을 할인가로 판매하는 것. 그밖에도 와우북 페스티벌을 비롯해 각종 도서 전시나 디자인

1년 365일 연중무휴라는 그들의 에너지가 침체하는 서점가에 새바람을 불러일으키길 기대해본다.

행사에도 참여하고 있다.

Tel. 02 -332-9313 Add.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343-7 Open 10:00~21:00 Web www.ongodangbook.co.kr

Tel. 02-333-0342 Add. 마포구 서교동 463-20 Open 디자인북 스토어 09:00~18:30, 북카페 정글 11:00 ~22:00 Web www.designbook.co.kr

StH_06_CoverStory_ok.indd 5

Cover Story

거 같아요. 하지만 우리 온고당은 정식 수입선을 거친 잡지만을 취급합니다. 복사판들은 잘 보면 허술한

04 05

2011.6.9 11:39:47 PM


이동준의 업스커트

서울을 상상했고 마음속으로 홍대앞 거리를 걸었다. 크라잉넛의 공연소식부터 스트리트 패션까지 모든 게 마냥 신기하고 그리웠다.

<런치박스>를 아세요?

이후 서울로 돌아와서 홍대앞에 둥지를 틀고 4년을 살았다. 처음 홍대앞에 살기 시작할 때 이 동네가 하나도 낯설지 않게 느껴졌던 건 <런치박스>와 <페이퍼>를 통해서 8년 동안 접했던 기사들 덕분이었다. 만약에 내가 다른 잡지에 글을 썼다면 홍대앞에 그렇게 빨리 적응할 순 없었을 것이다.

4년 간의 홍대앞 생활을 접고 이태원으로 이사를 할 무렵, “저에게 왜 이런 시련을 주십니까? 흑. 원고가 재미없어요.”

이르기까지 베를린에서 벌어지는 일이라면 이 잡듯 뒤지고 다니면서

원고청탁이 들어왔다. 다시 무가지였고 스트리트 매거진이었다.

1999년 4월. 베를린에서 생활한 지 꼭 2년 만에 드디어 한국의

원 없이 원고를 써냈다. 그렇게 2년쯤 지났을까, 편집장이 한 달에

심지어 원고료도 없이 재능 기부를 해달라는 제안이었지만 조금도

문화잡지에 칼럼을 연재할 기회가 생겼다. 독일행을 결심할

한 번씩 바뀌고 잡지사 사장님이 ditor’s Note를 쓰는 황당한 일이

망설이지 않고 그러마 했다. 광고도 안 싣고 무가지를 만드는 홍대앞

때부터 꼭 하고 싶은 일이었으니 기분이야 완전 날아갈 것 같았다.

벌어질 무렵 난 자연스럽게 연재를 중단했다. 그로부터 몇 달 뒤에

30년 토박이 사장님의 뚝심도, 일당백으로 홍길동처럼 동에 번쩍

베를린의 문화예술계를 헤집고 다니면서 앞으로 신나게 써야지

잡지는 결국 폐간되고 말았다. 비슷한 시기에 생존을 위해 일찌감치

서에 번쩍 열심히 일하는 편집장도 좋았다. 그렇게 <스트리트 >에

마음먹고 첫 번째 원고를 보냈지만 편집장의 피드백은 가혹했다.

유가지로 전환했던 잡지 <페이퍼>의 필진으로 참여하게 되면서 난

필진으로 합류한 지 얼추 1년이 되어가는데 벌써 창간 2주년이란다.

의욕은 넘쳤으나 잡지에 글을 써본 적이 없으니 당연한 일이었다.

다시 연재를 시작했고, 서울로 돌아온 이후에도 계속 글을 쓰면서

장성환 대표님, 정지연 편집장님, 그동안 수고 많으셨습니다.

그래도 다행히 원고는 매달 조금씩 ‘재미있어졌고’ 덕분에 잘리지

이제는 <페이퍼>의 최장수 외부필자 가운데 한 명이 되어버렸다.

앞으로도 꿋꿋하게 좋은 잡지 만들어주세요. 분명 누군가에겐

않고 2년 가까이 연재를 할 수 있었던 그 잡지가 <런치박스>, 일명

돌이켜보면 <페이퍼>와 <인서울 매거진>뿐 아니라 <이매진>,

<스트리트 >가 베를린 시절의 저에게 그랬듯이 홍대앞 문화에 대한

‘도시락’이었다. 나에게 칼럼니스트의 길을 처음 열어준 고마운

<베스트셀러> 등 문화잡지가 꽤 많았지만 그 가운데 지금까지

갈증을 채워주는 끈의 역할을 해주고 있을 거라고 확신합니다!

잡지다.

살아남은 잡지는 <페이퍼>가 유일하다. 가정주부들을 대상으로

90년대 중반, 서울에서는 무료로 배포되는 문화잡지 스트리트

하는 월간지나 패션잡지에서 볼 수 없는 신선한 콘텐츠를 날것

매거진 붐이 일었는데 이런 흐름을 주도했던 양대 잡지가 <인서울

그대로 담아내던 젊은 문화잡지들이 대부분 사라져버린 지난 세월을

매거진>과 <페이퍼>였다. <런치박스>는 <인서울 매거진>에서 청소년

돌이켜보면 왠지 기분이 씁쓸해진다.

독자를 대상으로 만든 일종의 자매지였다. 청소년용 잡지였지만

처음 <런치박스>에 연재를 시작할 무렵, 한 달에 한 번씩 서울에서

이동준 번역가이자 칼럼니스트이며 북세븐틴 에이전시의 대표다. 베를린에서 8년,

편집장의 스타일이 워낙 과격하고 화끈해서 거의 19금에 가까운

날아오는 잡지는 서울과 나를 이어주는 유일한 끈이었다. 초고속

여전히 각별하다. 《베를린 코드》 《연애를 인터뷰하다》 《위트상식사전 스페셜》

내용도 여과 없이 실렸고 나 역시 게이문화에서 테크노파티에

인터넷망도 없던 그 시절, 잡지에 소개된 기사들을 읽고 또 읽으면서

O d eo e

반디모아는 터줏대감 같은 기품을 느끼게 하는 곳들이다.

반디모아 박관수 대표

홍대 디자인서점 1세대의 자부심으로

홍대앞에서 4년을 살았다. 지금은 이태원 주민이지만 홍대앞에 대한 애정만큼은 《홍대앞으로 와!(엮음)》 같은 책을 썼다.

지난 1987년 바로 지금의 자리에서 문을 연 반디모아는 디자인서점의

1세대격이다. 이곳의 박관수 대표(50)를 만났다. ‘반디모아’는 반딧불 밑에 앉아 책을 읽었다는 ‘형설지공(螢雪之功)’의 그 ‘반딧불이’에서 이름을 땄다. 많은 사람들이 모여드는 반딧불이 되겠다는 염원을 담았다. 박관수 대표가 수입서적을 주로 취급하는 서점을 낸 데는 이십대 초반

요즘 서점을 대학가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진리의 상아탑’이라는 대학가에 정작 옷가게,

아르바이트의 인연을 무시할 수 없다. 미 8군에서 흘러나오는 <보그>와 같은 몇몇 외국잡지가 잡지로선 유일했던 그 당시,

카페는 많아도 책을 살 수 있는 서점이 없다니

그는 아르바이트를 하며 해외

고개 들기 부끄러울 정도다. 그나마 ‘디자인

잡지의 매력에 눈을 떴다.

찾았던 학생들은 이제 교수나 중견 디자이너로 성장했다. 그렇다 보니

1980년대 후반만 해도 홍대

자연스럽게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사이가 되었다. 핸드폰 속에 저장된

서적상’들의 존재가 홍대앞의 체면을 세워주고 있는 셈이다. 특히 홍대 정문

주변에 해외디자인 서적을

건너편에 나란히 자리잡은 온고당,

판매하는 서점의 존재는 아주

그런 그이지만 요즘 걱정거리가 생겼다. 이른바 ‘종이책의 위기’다.

미미했다고 한다. 그가 가게를

굳이 책을 사지 않아도 인터넷 상에 돌아다니는 이미지를 참고할

오픈했을 땐 일반 도서를 판매하는 홍익문고와 길거리에서 책을 파는 노상 서점 정도만이 있을 뿐이었다고.

Neigh orhood StH_06_6 7

ei

enSt dio ok.indd 6

600명의 연락처는 그의 ‘보물 1호’다.

수 있는데 길들여진 학생들이 정작 책을 사는 데는 인색하게 굴면서 몰래몰래 핸드폰으로 ‘도촬’만 하려는 경우가 많다고. 그런 일을 제지하다 보면 서로 얼굴 붉히는 일도 적지 않다. “디자인서적이라는

“본격적으로 홍대 주변에 디자인 전문 서점이 생기기 시작한 지는

게 이미지 한 컷으로 전체를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런 부분만 몰래

15~6년쯤 되었을 거야. 특히 해외 서적 수입 규제가 풀린 지난 10여

캡처를 해가면 곤란한 거지. 또 예전에 비해 책을 사러 오는 학생들 수가

년 전부터 해외에서 수입된 책들을 주로 취급하는 서점들이 대폭

줄어든 거 같아. 교수가 지정해줘야만 어쩌다 와서 사니, 그런 현실이

증가했어”라는 게 그의 회상이다.

안타까워”라면서도 “그래도 그저 좋아서 책을 사러오는 학생들도

책과 함께한 24년의 시간. 이제는 서점에서 사람들이 고르는 책만

있으니까”라고 다행스러워 한다.

보고 있어도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인지, 미대생이라면 몇 학년 학생인지

늘 실시간으로 고객들과 소통하는 디자인서점이다 보니 트렌드를 읽고

알 정도로 ‘반 관상쟁이’가 다 되었다. 그렇게 차곡차곡 쌓인 시간들

분석하는 일이 일상이 되었다는 그가 요즘 가장 관심을 가지는 분야는

속에서 혼자 시작했던 서점은 직원 4명을 거느릴 정도로 규모가

‘패키지 디자인’이다. 요즘 디자인 트렌드가 궁금하다면 굳이 도촬이나

커졌고, 온라인쇼핑몰까지 운영할 만큼 성장했다. 그러다 보니 정작

웹으로만 찾아볼 게 아니라 직접 서점을 찾아가자. 주인장들과의 ‘수다

그의 모습을 가게에서 볼 수 있는 날은 많지 않다. 지방의 각 대학 관련

한판’은 살아 있는 정보가 된다. 그리고 그들은 언제나 당신을 반가이

전공학생들이나 도서관에 책을 소개하기 위해 지방을 방문하는 경우가

맞아줄 준비가 되어 있다.

많기 때문이다. 이럴 때 힘이 되는 건 사람들이다. 초창기 반디모아를

글 | 하정희 (@

) 객원 에디터

2011.6.9 7:42:11 PM


그들의 공간이 궁금하다

예술제본공방 렉토베르쏘 Recto Verso 조효은

낡은 책에 기품과 역사를 부여하다 짧게는 한 달 길게는 일 년 넘게 한 사람의 섬세한 손끝에서 새롭게 탄생한 책은 백년을 견뎌내는 견고함의 미덕마저 갖추게 된다. 낡은 책에 숨결을 불어넣어 오늘을 살게 하고,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나만의 책을 만드는 예술제본. 홍대앞 렉토베르쏘는 국내 유일의 예술제본공방이다.

국내 유일의 예술제본공방, 렉토베르쏘

애서가들의 요청이 대부분이다. 물론 VIP용 방명록 같은 몇몇

노고와 땀방울이 있어 더욱 매력인지도 모르겠다. 그렇지 않고서는

낱장 종이를 한 장씩 실로 엮어 이어붙이고, 가죽을 자르고 꿰매어

대기업의 요청이나 문학과지성사의 ‘깊이 읽기’시리즈의 작가

렉토베르쏘를 찾는 수강생들의 열정을 이해하기 어렵다.

입힌 후 금박・은박 등으로 문양을 낸다. 예술제본(Art Book

증정본으로 대표되는 몇몇 출판사의 고급 장정 요청이 간간이

렉토베르쏘는 초급반, 중급반, 고급반의 세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Binding)은 단순히 장정을 치장하는 데 멈추지 않는다. 책을 향한

있지만 아직은 그 수요가 미미하다.

8주 초급반은 총 4권의 제본을 도구나 기계 없이 직접 손으로만

애정과 정성의 집약체인 것이다.

“가장 기억나는 고객은 속초에 사시는 은퇴한 노의사예요. 독일에서

하는 과정(32만원)이다. 초급반을 수료했다고 누구나 쉽게 중급반에

국내에서 예술제본을 배울 수 있는 공식기관은 렉토베르쏘가

공부하던 당시에 샀던 괴테 전집 중 가장 아낀다는 ‘파우스트’를

진급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조씨는 수강생들에게 신중하게 생각하고

유일하다. 한국인 최초로 프랑스 정부가 인정하는

제본해달라고 의뢰하셨죠. 두 권으로 나뉘어 있던 ‘파우스트’를

진급하라고 강조 또 강조한다. 그도 그럴 것이 중급반 수료에 걸리는

‘를리외르(Relieur・예술제본장정가)’가 된 고(故) 백순덕 선생이

분해해 한 권의 책으로 만드는 두 달 내내 참 행복했던 기억이 나요.

시간이 2년이기 때문이다. 과정을 기계적으로 습득했다고 되는 게

1999년 1월에 설립한 렉토베르쏘는 2008년 백선생이 작고한 후에

이 일을 안 했더라면 괴테의 초판본을 어떻게 만나봤겠어요.”

아니라 제본이라는 작업이 몸으로 완전히 익혀야만 하는 일이기

수제자 조효은씨에 의해 이어지고 있다. 렉토베르쏘란 책의 앞장과

때문에 그렇다는 설명이다. 고급반으로 올라갈 땐 한 권의 제본을

뒷장을 가리키는 프랑스어.

몸에 완전히 익을 때까지 반복 또 반복하는 과정

다해낼 수 있는지 시험도 본다. 테스트를 통과해도 고급반 과정은

“책 한 권에는 책을 쓴 사람, 책을 제작한 사람, 삽화를 그린 사람,

예술제본의 과정은 투박하게 가늠해봐도 60여 공정을 거친다.

5~6년이 꼬박 걸린다. “예술제본가 자격증이 없는 우리나라에선

표지를 디자인한 사람 등 여러 사람이 있잖아요. 그들의 모든 작업이

제대로 하면 100여 공정 가까이 된다. 책을 일일이 낱장으로

실력이 곧 자격증이기 때문”이라는 게 이유다. 현재까지 고급반을

제본가인 나를 통해 마무리되는 과정이 예술제본이죠. 희열을 느낄

분해하여 실로 잇고 겉등을 망치로 두들겨 둥글린 후 헤드밴드를

수료한 이는 13명밖에 되지 않는다.

수밖에 없어요.” 조효은씨가 말하는 예술제본의 매력이다.

대고 실로 묶어낸다. 표지가 될 도톰한 판지를 실로 다시 엮고, 판지

예술제본이라고 해서 꼭 금・은박의 클래식한 장정만을 떠올릴

예술제본은 본래 유럽식 정통 제본과 장정을 뜻한다. 중세

표면은 사포로 갈아 높낮이를 맞춘다. 게다가 이 과정에 쓰이는

필요는 없다. 고흐 화집을 수묵화 기법으로 재현한 표지나 이상

수도원에서 신과 성인한테 바치는 책을 튼튼하고 화려하게

재료는 책장을 엮는 실부터 금박을 찍는 도구, 책을 싸는 장정용

시인의 시집을 뜯어 재구성한 작품, 또는 한땀 한땀 바느질을 활용한

엮어내면서 본격 출발했고, 르네상스시대에 프랑스를 중심으로 주변

가죽까지도 모두 수입품이다. 아교를 붙여야 하는 책 커버의 특성상

커버 등 영역이 무궁무진하다. 조씨는 “자신이 가장 잘하는 방식으로

나라들에서 발전해왔다. 본래 왕이나 귀족・성직자 등이 누리는

방수가공이 되지 않은 100% 천연 가죽만을 써야 한다고. 문외한이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자신만의 예술제본을 실현해내면 된다”라고

상류층의 고급문화였던 예술제본은 현대에 들어서는 앨범이나

보기에도 이 모든 과정은 흥미롭기 짝이 없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설명한다.

개인기록물, 비망록, 포트폴리오 등을 장정하는 책의 문화로 일반인

겪어내야 할 직업적인 애환은 생각만큼 만만하지는 않다.

올해 9월에는 프랑스 예술제본 비엔날레(biennales-reliure)에

사이에도 확산되는 추세다.

“제일 중요한 소양은 은근과 끈기예요. 엉덩이힘으로 버텨야 하고,

참가한다. 렉토베르쏘를 수료한 총 9명의 참가자들은 공통 주제인

“프랑스는 헌책을 보수하는 박물관의 수요가 많아 국가 공인 자격증

반복해서 몸에 익혀야 하거든요. 그래서 성격이 너무 급한 분들은

‘라퐁텐 우화’를 테마로 정통 프랑스 예술제본부터 동양화 기법의

제도를 운영할 정도죠. 프랑스에만 400명 넘는 를리외르가 활동하고

오래 버텨내질 못해요. 어떤 분들은 마음수련한다고까지 하죠.”

예술제본까지 각자의 방식으로 완성한 책들을 출품할 것이다.

있어요. 하지만 우리나라의 실정은 다르죠. 오래된 책의 복원

조씨는 “제본은 건축과 비슷하다”라고 단언한다. 설계부터

조효은씨는 “본토에서 반응이 어떨지 벌써부터 궁금하다”며 흥분을

보수보다는 ‘사료’ 그 자체, 즉 원본의 유지가 더 시급한 상황이거든요.

시공까지 한 단계 한 단계 차곡차곡 쌓아올리는 과정도 비슷하고

감추지 못했다. 프랑스에서 수입되어 한국에서 나름의 방식으로

O en Studio

그렇다 보니 ‘나만의 특별한 책’ 쪽으로 초점이 맞춰지는 거죠.”

결정적으로 어느 단계든 제대로 하지 않으면 완성품에서 하자가

꽃피운 예술제본이 어떤 점수를 얻을지 에디터 역시 궁금하기 짝이

06

국가나 공공기간 차원에서의 수요가 거의 없다 보니 개별

나타나는 ‘리스크’도 그렇다. 어쩌면 예술제본은 그런 아날로그적인

없다.

StH_06_6 7

ei

enSt dio ok.indd 7

글 | 정지연 사진 | 장성환

07

2011.6.9 7:42:19 PM


새로운디자인을위하여 학교를세우다 정병규 북디자이너

‘한국 최초의 북디자이너’이자 우리 시대 최고의 북디자이너 정병규 선생. 그가 합정동 부근에 정병규 학교를 열었다. 그 래픽 디자인, 시각디자인의 원점은 북디자인이라는 정신으 로 한국 현장 디자인사를 새롭게 쓰고 싶다는 그의 희망은 환갑을 넘은 나이가 무색하게 쩌렁쩌렁했다.

<소설문예> 편집장, 민음사와 홍성사 편집장을 역임하고 34살에 북 디자이너로 전신(轉身)한 정병규씨(65). 정씨는 1970~80년대 단순 한 장정(裝幀)에 머물렀던 우리나라 출판계에 책의 꼴에 맞는 북디자 인을 선보인 선구자이다. 지금도 여전히 현장에서 뛰고 있는 몇 안되 는 디자이너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동안 3,000여 권이 훨씬 넘는 책들에게 저마다 격(格)에 맞는 옷을 입혀온 그가 지난 5월 31일 합정동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교, 힐스(hills)에 자신의 이름을 걸고 ‘정병규 학교’를 열었다. 현장 디자이너들을 대상으로 그리드론으로부터 시작하여 타이포그래피, 이미지론 등을 통하여 새로운 시각문법, 새로운 차원의 디자인 방법론을 탐구하는 ‘시각디자인론’ 수업이다.

정병규 학교

정씨는 “30대 편집기획자에서 북디자이너로 전업을 앞두고 고민하게 만들던 그 몽유병적인 열정이 날 이 자리로 밀고 있는 것 같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참담한 얘길 들었어요. 요즘 젊은 디자이너들에게 사진 실렉션을 맡기면, 그걸 편집자가 해야지 왜 우리가 하냐고 한답니다. 디자이너들이 편집자 앞에서 원고에 대한 자기의견을 말하는 건 금물이라고 생각해요. 그렇다면 디자이너는 기능공에 머무르게 됩니다. 시각적 차원에서 새롭게 콘텐츠를 구축하는 것이 디자이너의 본질임에도 컴퓨터 기술자를 자처하는 일부 디자이너들의 자포자기는 생각보다 심각한 수준입니다. 이런 것을 조장하기까지 하는 일부 교육자들도 큰 문제입니다. 아른하임이 <시각적 사고>에서 말했던 그 ‘미술대학 다니는 머리 나쁜 놈’이라는 편견을 스스로 조장하면서 지금까지 되풀이되고 있는 거지요.” 정씨는 그 이유로 성찰의 부재를 들었다. 디자인 작업에 대한 잘못된 자명성(自明性)과 맹신이 디자이너의 본질에 대해 질문 던지는 법을 망각케 하고, 그저 페달만 밟고 앞으로 달려가게 했다는 것이다. 그 결과 한국 디자인은 스스로에 대한 성찰을 잃었고, 수치화 계량화에 빠져 헤어나지 못하고 스스로를 돌아볼 틀을 잃었다는 것이다. “돈을 많이 벌었다고 성공한 작가입니까? 문학에서는 거기에 대한 답이 있죠. 그러나 디자인계에서 단 한 번이라도 성공한 디자인이

StH_06_8 9_

ink

k_1

.indd 8

2011.6.9 7:23:5 PM


정지연이 만난 사람

무엇인가 얘기해본 적이 있었습니까? 단 한 번도 없었죠. 돈 벌이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결코 아닙니다. 수입과 대중의 인기와 같은

<부초>는 당대 표지 디자인의 통념을 무너뜨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국 디자인의 현실에 대한 뼈 있는 일침이다.

1979년 유네스코가 동경에서 주최한 편집인 연수 과정에서 출판

홍익대 출신도 아닌데 왜 ‘정병규 학교’를 홍대앞에 차렸는가 라는

디자인의 독자적 세계를 접한 그는 다자이너로의 변신을 선언하고,

질문에 대해 정씨는 ‘알고 보면 홍대와의 인연이 깊다’고 운을

이어 36세의 나이에 유학을 결심한다. 모두들 그를 만류했다. 그

뗐다. “1993년 홍대에 강의를 나가게 되면서 서교호텔 뒷골목으로

역시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또 출판과 기획 양쪽의 비즈니스에서

이사했습니다. 당시만 해도 홍대 부근에는 디자인 회사고 출판사고

상당한 성과를 쌓고 있던 시기에 이것이 올바른 선택인가 갈등이

아무것도 없었어요. 주변에서 대체 왜 여기에 오픈했느냐고

많았다. 에콜 에스티엔느에서 타이포그래피와 편집디자인 과정을

물었지만 난 이 동네가 익숙하고 편했어요. 대구에서 서울로

수료하고 돌아온 그는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회사로서는 최초인

올라와 대학 다니던 66년부터 수년간, 홍대와 담벼락을 같이 하고

정병규디자인을 열고 본격적인 북디자이너로서의 행보를 시작했다.

살았거든요.”

“디자인을 공부하고 북디자인을 택한 게 아니라 책을 만드는

홍대앞

호미화방 부근에서, 절두산 근처로, 마포로

피상적인 척도 외에 우리 디자인에 무슨 다른 척도가 있나요.”

기획자로 편집자로 일하는 과정에서 결국 디자인의 영역까지

이와 같은 고민은 그로 하여금 ‘디지털 혁명의 시대, 세계화라는

이르게 된 거니까 난 다른 디자이너와 많이 달랐어요. 그런 자의식이

마음의 고향이었다. 그 후 지금의 성산동 작업실까지 홍대앞과의

가면을 쓴 자본주의 시대, 지금의 디자인은 무엇이며, 우리는,

아마도 자연스럽게 인문학적 관점에서 디자인을 보게 하지 않았나

인연은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디자이너는 누구인가 ’라는 물음에 깊이 천착하도록 만들었다.

싶습니다.”

또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교(hills, 합정동 벼레별씨 카페와 같은

그렇게 탄생한 것이 바로 정병규 학교다. 디자이너에게 단지

그는 북디자인이야말로 시각디자인, 그래픽디자인의 본령이라고

건물)와의 인연으로 ‘정병규 학교’역시 홍대 앞을 벗어나지 못하고

도구적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디자인의 미래에

믿는 유럽 디자인의 계보에 서 있다. (‘북디자인은 모든 그래픽

있다. 한겨레문화센터에서 시작된 힐스의 권혁수. 이성표. 황성순.

대한 문제제기와 성찰적 화두를 던지며, 같이 대화하는

디자인의 원점 ‘이라고 선언한 84년 10월호 월간 디자인의 권두언은

이창우. 김장성 교수 등과의 인연으로 정씨는 4년 전부터 힐스의

도량(道場)으로서의 학교다. 그는 첫째 ‘타이포그래피’로 대변되는

당시로서는 충격적이었다.) 이런 정신을 바탕으로 한 그의 표지들은

연구교수로 강의를 하고 있기도 하다. “이렇게 오래 여기를 못 떠날

모더니즘 디자인의 자명성에 대해 되묻기로부터 시작하여 둘째

어딜 가도 구분되는 ‘정병규 표’를 보여준다. 여백속에서 때로는

줄 알았더라면, 돈을 좀 벌었던 90년대 그때 집사람이 사무실 건물을

디자인 작업의 방법론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을 나누고, 셋째

부드럽게 때로는 거칠게 때로는 자유분방하게 그러나 품위와

사두자던 말을 들을 걸 그랬다”며 너털웃음을 지을 정도로 홍대앞의

지금까지의 서구 중심의 디자인 이념과 방법론을 해체하고, 새롭게

단아함을 잃지 않은 채 돌올하게 솟아오른 타이포그래피는 단지

친연성(親緣性)은 깊다.

새로운 건축술

재구축하기를

정보 전달을 넘어서, 그 자체가 강렬한 이미지로 시야를 압도한다.

시도해 보고 싶다고

밝혔다. 한마디로 이것은 시각디자인의 새로운 건축술이라고

담론과 작품

강조했다.

책 전시회에 이어 환갑이었던 지난 2006년에는 박경리의 <토지>,

거지요. 일종의 풍선효과죠. 무조건 옛날 분위기를 보존해야

황석영의 <장길산>, 계간 <당대비평>과 <창비시선>과 사진집

한다는 사고는 곤란합니다.” 정병규씨는 이런 홍대앞에 디자인

서양이 만들어낸 조립된 가치와 이데올로기에서 한치도 벗어날 수

<한국의 탈> 등 대표작 500여 권을 모아 강원도 영월 책박물관에서

중심의 갤러리를 만들어보고 싶다고 했다. 일종의 오프라인 문화

없었어요. 서구의 모더니즘적 디자인 이론만을 전능시한다면 한국

‘책의 바다로 간다-정병규 북디자인전’을 열었다. 그의 디자인

콤플렉스(comple )를 합정동 힐스를 중심으로 정병규 학교와 함께

디자인은 더 이상 갈 곳이 없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서양 사람들은

이력은 ‘담론과 작품은 같이 가야 한다’는 지론을 보여주는 듯하다.

구축해보고

조금도 이에 대해 성찰적 고려를 시도하지 않고 있어요. 그래서

그리고 이런 노력을 인정받아 지난해에는 제 51회 한국출판문화상

싶다는 것이다.

인문학에 새로운 디자인에 대한 힌트가 있다고 생각했고, 이를

백상특별상 수상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전시공간은 디자인 문화를 새롭게 구축해갈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그동안 우리는 그래픽디자인이 가지고 있는 태생적 한계, 즉

디자인 인문학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이제 출발입니다. 디자인

옮겨 다니며 청춘 을 보낸 그에게 홍대앞은

“홍대앞이 자꾸 상업화된다고, 그리하여 옛날의 문화적 분위기가

50세를 맞이하여 지난

외곽으로 밀려난다고 걱정하는데, 원래 전선(戰線)은 늘

1996년에 처음 열었던

흔들리라고 있는 겁니다. 그러면서 주변부가 계속 발전하는

“한국 디자인계의 가장 큰 문제는 초창기 어쩔 수 없었던 교수

전선은 흔들린다

중요한 공간이 될 것이다.

중심의 틀이 아직 크게 변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에요. 한국은

그는 새로운 시각디자인의 원천으로서 북디자인의 미래를 확신하고

디자인 인문학

것으로 희망하고

상대적으로 현장 디자이너가 디자인 중심에 있지 않습니다. 가까운

있었다. “책은 문화생산의 기본 방식이며 북디자인은 그 나라의

있습니다.”

일본만 봐도 디자이너 가츠이 미츠오 선생은 50세가 넘어서

문화 수준을 가늠짓는 바로미터입니다. 새로운 차원의 북디자인은

이처럼 디자인에 대한 그만의 관점이 가능한 것은 그가 디자인

무사시노대학 교수로 갔고 저 단단한 상아탑이 그 앞에 머리를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시각디자인의 핵심가치를

전공자로 출발하지 않고 출판 편집자이자 기획자로 시작해서일

조아렸습니다. 그만큼 현장에 대한 존경이 있지요. 교수들은 현장이

보여줄 장(場)입니다. 디지털 시대, 책에 대한 시각적 인식의 변화와

것이다. 고려대 불문과 시절 고대신문을 통해 디자인과 인연을 맺은

있기에 월급을 받고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합니다. 디자인의 현장에

함께 지금의 북디자인은 크게 변하고 있으며, 그 성과는 21세기

Ta k

그는 1970년대 신구문화사, 민음사, 홍성사를 거치며 편집자로

발 딛고 있지 않는 교육적 담론은 공허하고, 성찰적 담론이 없는

시각디자인의 새로운 에너지가 될 겁니다.”

08

명성을 날렸다. 단색 톤에 단지 두 글자만 넣어 만든 한수산의

디자인 현장은 한없이 경박합니다.”

장소 | 미스티 브라운 글 | 정지연 사진 | 장성환

09

StH_06_8 9_

ink

k_1

.indd 9

Think

인문학은 결국 새롭게 디자인하기, 새로운 디자인 방법론에 이를

2011.6.9 7:23:12 PM


맛집

졸여 만든 사보아 타르트 등의 디저트다. 전통 밀에다 프랑스산 발로나 초콜릿, 뉴질랜드산 앵커 버터, 직접 졸여 만든 과일잼 등을

상수동 프랑스 빵공장

퍼블리크

사용해 작은 빵 한 조각만 먹어봐도 풍부한 맛을 느낄 수 있다.

Publi ue

맛있는 빵도 만족스럽지만, 퍼블리크의 공간이 주는 분위기 또한 독특하다. 1970년대에 지어진 주택을 장은철 셰프와 박흥식 대표가 직접 개조해 사용하고 있는데, 집이 원래부터 가지고 있던 느낌을 최대한 살렸다. 셰프가 직접 조각한 장식품이며 프랑스를 상징하는 수탉

한때 프랑스에 대한 낭만과 환상을 품고 그 어렵다는 프랑스어를

모양의 소품, 바게트 모양의 문 손잡이도 눈여겨볼 만한

배운 적이 있다. 나긋하면서도 어쩐지 관능적인 샹송과 프랑스

요소다. 문을 열자마자 진열대가 정면에 보이는 보통 빵집과는

여자들의 무심한 듯 시크한 스타일, 예술과 문화를 사랑하는 나라의

구조가 반대인 점도 특색있다. 마당을 거쳐 집 안쪽으로

이미지에 흠뻑 취한 채. 하지만 영화 속의 멋진 주인공처럼 입술을

들어가면 빵을 고를 수 있고 주문한 이후에는 주방과 분리된 앞쪽

모으고 예쁜 발음을 내기란 생각만큼 쉽지 않았고, 단어를 겨우

공간에 앉아 여유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박흥식 대표는 주방 바로

띄엄띄엄 읽을 수 있게 되자 곧바로 포기하고 말았다.

앞에 진열대를 붙여 손님들과 빵에 대한 이야기도 나눌 수 있고, 빵

그토록 쉽게 포기가 되었던 언어와는 달리, 절대 포기할 수 없는

관리도 더욱 위생적으로 할 수 있어 좋다고 전한다. 날씨가 화창할

것이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프랑스 음식! 미식가까지는 아니더라도

때는 작은 마당에 마련된 야외석에서 오후의 티타임을 가져도 좋다.

‘라따뚜이’나 ‘꼬꼬뱅’, ‘뵈프 부르기뇽’처럼 이름부터 입에 착 붙는

전통 밀가루, 밀가루 자체에서 발생하는 천연 발효종 등 기본

“퍼블리크만의 스타일을 찾으려고 노력 중이예요. 홍대에 자리잡은

요리가 늘 입맛을 다시게 했기 때문이다. 꽤 고급 요리로 인식되어

재료의 선택부터 남다르다. “사실 현지에서는 같은 바게트라도 일반

만큼 ‘아티스트 익스체인지’ 프로그램도 진행해볼 계획입니다. 예를

있는 탓에 안타깝게도 자주 맛볼 수는 없었는데 대신 상대적으로

밀가루 바게트와 전통 밀가루 바게트로 나뉘어 있고, 가격도 다르게

들면 지역의 아티스트 전시 오픈 파티에 빵, 디저트 등을 협찬하고

만만한 프랑스 빵을 가까이서 즐길 수 있게 됐다. 문을 열고 들어서면

책정되어 있어요. 그런 분류가 보편화되어 있죠. 전통 밀가루는 식품

대신 해당 작가의 작품을 받아 퍼블리크에 전시하는 거죠. 혹은

마치 프랑스로 여행이라도 온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키는 프랑스

첨가제 없이 옛날 방식대로 도정, 제분한 것을 말해요. 영양분이

퍼블리크에 자주 방문하는 예술가들에게 이곳을 주제로 한 사진,

빵집이 상수동에 생긴 것이다. 정통 프랑스 빵을 고집하는 상수동

일반 밀가루에 비해 1.5배 정도 많고요. 게다가 좋은 밀가루에서

그림, 조각 등 여러 형태의 작품을 제공받을 수도 있고요. 이런 것이

프랑스 빵공장, 퍼블리크(Publi ue)가 그 주인공.

천연 발효종이 나오는데, 맛도 좋아지지만 빵을 촉촉하게 오랫동안

쌓이면 그 자체로 또 하나의 문화가 될 거라고 생각해요. 빵이란

그런데 ‘만만하다’고 생각했던 빵이 퍼블리크에서는 결코 만만한

보존할 수 있어서 사용하고 있어요.” 장은철 대표의 설명이다.

것이 유럽의 문화와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잖아요. 퍼블리크를

것이 아니었다. 이곳의 장은철 셰프는 19세에 프랑스로 유학을 가서

엄선한 최고급 재료만 사용하고 매일 효모를 키우는 일이 꽤

통해 프랑스 문화와 빵을 같이 알리고 싶어요.” 시간이 걸리더라도

프랑스 국립제빵제과학교(I.N.B.P)를 졸업하고 국가기술자격을

번거롭고 힘들긴 하지만 이렇게 하는 것은 너무 달지 않고 건강한

제대로 해나가고 싶다는 박흥식 대표의 말에, 슬쩍 포기하고 말았던

취득한 인물. 졸업 후에는 프랑스 알프스 지역의 사보아(Savoie)

빵, ‘프랑스 풍’이 아니라 ‘진짜 프랑스 빵’을 선보이기 위해서라고

프랑스어가 겹쳐진다. 자 그럼, 무화과 깜빠뉴에 에스프레소 한 잔

지방에서 실무 경험을 쌓고, 한국으로 돌아와선 청담동의 프랑스

덧붙인다. 진정성이 담긴 좋은 빵을 저렴한 가격에 대중에게

곁들이면서 샹송을 따라 불러 볼까나?

베이커리 ‘메종 기욤’에서 제빵 책임자를 맡았던 실력파다. 그런 그를

선보인다는 의미에서 이름도 퍼블리크로 지었다고.

눈여겨봐온 박흥식 대표와 함께 오랜 준비 기간을 거쳐 탄생한 곳이

퍼블리크에서 꼭 먹어봐야 할 빵은 프랑스산 통밀, 호밀, 전통밀 세

퍼블리크다.

가지에 살구, 무화과, 또는 건포도와 포토를 넣어 만든 깡빠뉴와

두 사람은 정통 프랑스빵을 제대로 선보이겠다고 결심했다. 우선

5가지 견과류가 들어간 푸가스, 그리고 사과와 레몬, 바닐라빈을

Te . 02-333-6919 dd. 마포구 상수동 311-1 O en 10:00~22:00 e http://blog.naver.com/inbp83 rice 깡빠뉴 (살구/무화과/포토,건포도) 4,300원, 푸가스 올리브 3,800원, 푸가스 퍼블리크 4,300원, 각종 타르트(사보아/ 랑도네르/발로나 초콜릿/레몬/딸기) 3,500원, 바닐라 마카롱 1,300원

St 가 주목한 곳

어쿠스틱 밴드의 공연이 아니라 펑크 밴드의 어쿠스틱 공연이라는

맥주만 판매되는데, 50% 할인가로 제공한다는 것도 당인리 극장만의

점이다. “공연장에서 보는 느낌이 아니라 새로 편곡된 노래를 들을 수

특징이다.

있어서 인기가 많습니다. 99앵거, 루나틱, 유니온웨이크루 등 다양한

이곳은 때론 프러포즈를 위한 무대가 되기도 하고 때론 생일파티를

펑크 밴드의 새로운 모습을 볼 수 있어요.” 30명 정도 수용할 수 있는

여는 장소가 되기도 한다. 또 자신만의 공연을 주변 사람에게

아담한 규모라서 바로 코 앞에서 공연이 펼쳐진다는 게 장점. 또 누구나

선보이는 쇼케이스로도 활용 가능한데, 평일 1시간에 15,000원, 주말

쉽게 즐길 수 있는 어쿠스틱 음악의 매력 덕분에 펑크나 록에 대해

30,000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에 극장을 대관할 수 있다.

잘 모르는 사람들이라도 쉽게 즐길 수 있다고. 공연 중에는 오로지

이곳은 빈티지한 소품들이 많아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1978년산 성냥,

문화가 있는 동네 사랑방

당인리 극장

글Ⅰ이지영 객원에디터

at

옷가게의 사장과 손님으로 만난 두 명의 재우는 1년 후 단골 술집에서

80년 정도 된 선풍기, 코카콜라 케이스, 세븐업 박스, 나무 라켓, 오래된

우연히 재회한다. 한 명의 재우는 클럽 SP T에서 공연 기획을 하고

잡지와 추억의 동아전과, 두 명의 재우가 직접 모은 빈티지 컵과 신발,

있었고 또 다른 재우는 요식업에 종사하고 있었다. 이 둘이 의기투합해

가방 등이다. 일부 상품에 한해 판매도 한다.

지난 1월 당인리 깊숙한 주택가에 ‘당인리 극장’을 열었다.

요즘엔 쉽게 볼 수 없는 ‘게임보이’나 ‘가위바위보 게임기’도 극장에

두 사람의 만남은 극장을 오픈하기 위한 공간을 정할 때도

있는데, 그 때문에 동네 꼬마들이 자주 들락거린다. “문화행사를

드라마틱하게 이어졌다. ‘무엇을 하자’는 정해졌지만 ‘무엇’의 내용은

많이 하니까 홍대 문화를 잘 알고 즐기는 사람만 올 수 있는 곳이라고

정하지 않은 채 자리를 찾아 돌아다니다가 우연히 찾게 된 골목의 한

오해하는데 절대 아니에요.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공간입니다.”

가게. ‘과연 여기에 가게를 할 수 있을까’ 하는 의아심은 안쪽의 넓은

당인리 안쪽 주택가에 위치해 있어 동네주민들의 놀이공간이자

공간을 보고 눈녹듯 사라졌다. 안쪽의 창고를 보고 공연을 위한 장소를

쉼의 공간이 되는데 그 풍경이 참 좋다는 두 명의 재우. 심지어 동네

착안해낸 두 명의 재우는 “여기다!”를 외쳤고, 바로 그날 계약을 마쳤다.

주민에게는 배달도 한다고. 6월 중순에는 동네 어른들이 직접 서빙을

그렇게 당인리 극장은 몇 번의 운명을 거쳐 완성되었다.

체험해보는 행사와 프리마켓도 기획 중이라니, 아무것도 없는 듯

당인리 극장에서는 극장답게 찰리 채플린이나 미스터 빈이 등장하는

보이지만 모든 것이 있는 이 당인리의 조그만 극장에 한 번쯤 마실

오래된 영화나 <헤드윅>과 같은 음악 영화가 상영된다. 극장이

가보는 건 어떨까.

표방하는 색깔과 비슷한 영화 DVD라면 가져와 틀어달라고도 할

Drink

수 있다. 다른 손님과 함께 볼 마음이 있다면 극장 이용료는 공짜다. 격주 토요일 오후 6시에는 어쿠스틱 공연도 준비된다. 특이한 점은

StH_06_10 11

t Story ood ok.indd 10

글Ⅰ임은선 객원에디터

Te . 070-4254-6230 dd.서울시 마포구 합정동 361-20 1층 O en 11:30~01:00 rice 아메리카노 3,500원, 카페라떼 4,000원, 병맥주 4,000~7,000원선, 햄치즈베이글샌드위치 5,000원, 그릴모둠소시지 13,000원, 카레소시지볶음밥 7000원, 베이컨말이떡꼬치 18,000원

2011.6.9 8:13:32 PM


이야기가 있는 먹거리

편집자주 홍대앞 음식에 대한 막연한 비교와 단순한 별점 매기기에서 벗어난 새로운 기획.

<런치의 여왕> 오므라이스

국내외 영화, 드라마 또는 만화 등에 등장하는

오! 오이시이~! 오므라이스

음식 관련 에피소드들과 홍대앞 음식들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좀 더 즐거운 먹거리 탐험이 되도록 방향을 바꿔 연재를 시작한다.

음식을 먹는다는 것은 미각, 후각, 시각을 동원해서 온몸으로 느끼는 것이다. 그래서 그 음식을 먹는 다른 사람의 표정만으로도 그 맛을 미리 짐작할 수 있다. 수많은 음식관련 영화가 있지만 이처럼 맛있게 먹는 표정을 본 적이 있을까? 산해진미도 아니고 고작 오므라이스 한 접시에 이 여자는 이리도 두 눈을 질끈 감고 열락의 기쁨을 만끽하는 표정을 짓는 것이다. 바로 일본 드라마 <런치의 여왕>의 여주인공 다케우치 유코(무기타 나츠미 역)다. 그가 집착하는 오므라이스는 유럽에서 건너온 오믈렛이 일본에서 밥과 합쳐지면서 오믈렛 라이스로 현지화된 것. 일본 오므라이스의 기원은 한국의 자장면의 기원만큼이나 모호하다. 일본식 오므라이스의 기원을 두고 도쿄의 연와정(렌가테이 煉瓦亭)이다, 오사카의 북극성(홋쿄쿠세이 北極星)이다라고 설왕설래하고 있는 것이다. 이 두 집 모두 현재까지 대를 이어

수카라치즈 오믈렛 정확하게 말하자면 오므라이스라기보다는 치즈 오믈렛 라이스가 아닐까? 달걀 안에는 밥 대신 치즈가 듬뿍 들어 있다. 특유의 오가닉 요리답게 담백하다.

02-334-5919 / 마포구 서교동 327-9 / 11:00~24:00 (1,3 주 월 휴무) / 치즈 오믈렛 9,500원

나츠미의 메뉴 스크랩 노트

기라성에서의 표정

키친 마카로니에서의 표정

미래헌에서의 표정

키친 마카로니의 오므라이스

장사를 하고 있다고 하니 그 열정이 반갑기도 하고 부럽기도 하다. 도쿄 도심의 카페에서 시급 아르바이트를 하는 다소 뻔뻔한 미녀 나츠미. 마음에 드는 식당과 메뉴를 스크랩해서 찾아가는 것이 인생의 기쁨인 점심의 여왕이다. 어느 날 손님과의 실랑이를 뒤로 하고 언제 그랬냐는 듯한 천진난만한 표정으로 찾아간 그릴 기라성(키라보시 綺羅星)에서 나츠미는 오므라이스를 주문한다. 한입 가득 오므라이스를 넣고 진한 행복감에 빠진 그 순간 나츠미는 낯선 사내에게 손목을 잡혀 끌려 나간다. 사내는 무책임한 장남의 대명사 겐이치로. 다짜고짜 자신의

제너럴닥터제닥 오므라이스 잘 볶아진 밥과 부드러운 달걀로 덮어주고 데미그라스 소스를 뿌려주는 그야말로 전통적인 오므라이스의 모습을 보여준다.

02-322-5951 / 마포구 서교동 362-1 3층 / 11:00~23:00 (일 휴무) / 제닥 오므라이스 6,000원

아버지가 위독하니 약혼자인 척 꾸미고 자신의 집으로 가자는 것. 그러나 이 둘의 관계는 나츠미가 일하는 카페의 손님과 여급일 뿐이다. 당연히 거절을 하지만 일본에서 제일 맛있는 오므라이스를 먹여주겠다는 말에 냉큼 따라 나선다. 장남이 빠진 자리를 홀아버지와 나머지 형제가 꾸려 나가는 곳이 바로 닌쿄초의 ‘키친 마카로니(キッチン マカロニ)’다. 큰길에서 떨어진 주택가 골목에 위치한 이곳은 화려하진 않지만 가게앞 메뉴판만 보아도 맛에 대한 믿음이 생기는 곳이다. 겐이치로에게 등 떠밀려 먼저 가게에 들어온 나츠미가 주문한 오므라이스를 Tit e 런치의 여왕(ランチの女王, 2002 후지TV) 감독 미즈타 나리히데 출연진 다케우치 유코, 츠마부키 사토시, 이토 미사키, 야마시타 토모히사

컵앤플레이트오므라이스 기내식 컨셉을 표방하는 곳인지라 요모조모 딸려 나오는 것이 많다. 장아찌가 딸려 나오는 것과 설익은 듯 밥알이 살아 있는 것은 조금 부담스럽다.

02-322-9050 / 마포구 서교동 342-16 / 12:00~23:00 (월 휴무) / 오므라이스 8,900원

먹으며 특유의 행복한 표정을 짓고 형제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는다. 그러나 뒤이어 나타나 가업을 잇겠다는 장남의 말에 둘째 유지로는 어이없어 분통을 터뜨리고 싸움이 난다. 그런 와중에 겐이치로는 나츠미를 버려둔 채 가게 매상을 들고 도망 가버린다. 허탈해진 둘째는 이참에 아예 가게를 접자고 가족들에게 말한다. 이때 나츠미는 이렇게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 곳을 왜 그만두냐며 오지랖 넓게 참견하고선 다음날 짐을 싸들고 가게로 들어온다. 명분은 장남이 돌아올 때까지 가게의 폐업을 막겠다는 것. 이후 나츠미와 형제들과의 좌충우돌 이야기가 진행되고 나츠미의 힘들었던 과거가 조금씩 드러난다. 어릴 적 버림받았던 기억으로 아버지에 대한 원망이 가득한 나츠미 앞에 나타난 노신사는 아버지의 죽음과 함께 미처 몰랐던 사실을

마지막 기억은 하코다테의 미래헌(미라이켄 未來軒)에서 먹은 오므라이스다. 나츠미만 시켜주고 자신은 물만 마시던 아버지. 알 수 없던 순간, 슬프면서도 무척이나 맛이 있던 오므라이스. 떠나야만 했던 아버지가 마지막으로 주머니를 톡톡 털어 어린 딸에게 사 먹였던 오므라이스에 대한 기억은 나츠미의 원망을 연민으로 바꾸어 놓는다. 나츠미가 그토록 오므라이스에

t Story ood ok.indd 11

골든 치즈 오므라이스

아이에게 남은 그리움의 맛이었던 것.

오므라이스를 기본으로 부가 메뉴를 고르는 컨셉. 오므라이스 그 자체로 승부할 수는 없을까? 밥알은 고슬하다 못해 알알이 살아 있어 부담스럽다.

10

도쿄는 아니지만 홍대앞에서나마 오므라이스 한 접시로 나츠미와 함께 참을 수 없는 행복감을 느껴보자.

02-322-5951 / 마포구 서교동 408-7 2층 / 10:00~02:00 / 골든 치즈 오므라이스 7,000원

11

집착하고 행복해 했던 연유이기도 하다. 그것은 여섯 살의 나이에 며칠 동안 돌아오지 않는 아버지를 혼자 남아 기다리던

StH_06_10 11

빈집

ood with Story

알려준다. 회사가 부도나고 나츠미를 지켜줄 수 없게 되자 어쩔 수 없이 도망자 생활을 하게 되었던 것. 그런 아버지에 대한

글 | 장성환

2011.6.9 8:13:39 PM


방방곡곡房房曲曲

록을 깨우는 새벽의 닭울음처럼

재머스 JAMM RS

90년대 중후반 이른바 ‘록키드’였던 친구들이라면 자우림이 결성되고 내귀에도청장치, 허벅지밴드 등 쟁쟁한 밴드들이 무대에 섰던 이 뜨거운 현장을 그립게 추억할 것이다. ‘즉흥연주’를 뜻하는 잼(Jam)에서 이름을 따온 재머스 말이다. 재머스의 부제는 ‘음악하는 놀이터’, 즉흥연주가 가득한 빼어난 밴드들과 그들의 음악을 즐기는 관객들이 어우러져 노는 무대를 만들고 싶다는 바람을 담아 지은 이름이다. 당시 스물네 살이었던 김영도 대표가 본인의 합주실 겸 카페가 필요해 만든 장소였던 재머스는 1996년 1월 27일

May(현재의 고스락), 메트릭스4, 폴 비 세 팀의 무대로 명실공히 라이브클럽으로의 출발을 선언했다. 김대표는 “재머스가 태어났던 해인 1996년은 ‘인디’라는 단어가 대중의 엄청난 관심을 받은 해였다. 신촌과 홍대뿐만 아니라 강남지역에 이르기까지 라이브클럽들이 우후죽순 생겨나면서 언더그라운드 문화의 전성기를 열었다”라고 기억해낸다. 실제로 당시에 홍대와 신촌 부근에 허클베리핀과 3호선 버터플라이가 무대에 올랐던 스팽글, 프리버드, 푸른굴 양식장(마스터플랜)이

내귀에도청장치 팀이 오디션을 섰을 때가 특히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또한 재머스 소속 밴드인 뷰렛에 대한 애정도 표시했다. “그밖에 안녕바다,

생겨났고 블루데빌과 언더그라운드 등에서도 활발하게 공연이

피터팬컴플렉스, 시베리안허스키 등 대략 2,000~3,000여 밴드가 재머스의 무대를 거쳐간 것 같다”고 회고한다.

있었다. 김대표는 “강남에 라이브클럽 문화를 뿌리내릴 수도 있었던

그런 재머스가 최근 클럽 내부를 대폭 리노베이션했다. 오래된 공연장의 더께를 걷어내고 모던하게 연출된 공간은 스탠딩과 좌석 모두를

타임투락이나 압구정동의 락커 등도 당시엔 건재했다”고 이들의

아우르고 있다. 김대표는 리노베이션 이유에 대해 “16년 동안 계속된 시스템만으로는 오래 버티지 못할 거 같다는 위기감이 들었다”면서

부재를 기억해낸다.

“예전에는 공연만이 주가 되었다면 이제는 밴드의 공연과 라이브에 맞춰 놀 수 있는 공간으로의 전환을 꿈꾸고 있다”고 설명했다. 즉 라이브

당시 언더그라운드 신에 폭발했던 록의 함성과 함께 재머스도

공연이 끝난 뒤에는 누구나 춤추며 놀 수 있는 공간으로 오픈하겠다는 말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공연장으로서의 정체성을 포기한 건 아니다.

1997년 이후부터 2002년까지 전성기를 누렸다. 특히 1997년

“외국에 가서 보면 20,30년 역사의 클럽들이 많이 있다. 본 조비나 반 헤일런 같은 팀이 초창기 공연했던 클럽을 찾을 때면 동네 전체가 마비될

인디밴드의 첫 번째 컴필레이션 앨범이라 할 수 있는 드럭의

정도다. 비틀즈에겐 고향과 같은 캐빈 클럽이 있듯이 말이다. 한국에도 그런 공간이 하나쯤 있었으면 좋겠다. 그런 공간으로 버티고 싶다.”

‘아워네이션’ 1집 발매에 이어 나온 재머스의 ‘락닭의 울음소리’

스물 네 살 나이에 라이브클럽에 뛰어들어 밴드들과 생사고락을 함께하며, 클럽공연 합법화를 위해 ‘개클련’(개방적인클럽연대)을 조직하고,

1집은 엄청난 반향을 일으켰다. 당시 가장 핫한 밴드들의 곡이

‘땅밑달리기’ 공연을 성사시키며 서명운동과 기자회견 등을 위해 발로 뛰었던 만만치 않은 세월. 홍대앞의 많은 라이브클럽 대표들처럼 ‘월세만

집대성된 컴필레이션 앨범으로 내귀에도청장치, 허벅지밴드,

낼 수 있다면 끝까지 가겠다’는 각오로 달려온 재머스의 김영도 대표. 그는 홍대앞의 상업화라는 최근의 이슈에 대해서도 도리어 덤덤한

핫독(트랜스픽션의 전신), 고스락, 청년단체, 아무밴드(이장혁) 등이

자세였다. “90년대 중후반에 사람들에게 홍대 가자는 말은 곧 라이브클럽에 가자는 말이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서면서 홍대 가자는 말은 곧

함께 했고, 이 앨범 수록 밴드들은 이어 연대 대강당에서 자우림과

댄스클럽에 춤추러 가자가 되고 말았다. 사회적인 트렌드가 그랬다. 그러나 유행은 또한 돌고돌 것이다.” 그런 평상심으로 오늘도 재머스의 문을

크라잉넛, 힙포켓 등과 함께 록페스티벌을 열었다. 전국에서 약

열고 닫는다. 아, 그리고 재머스는 현재 ‘락닭의 울음소리’ 3집을 기획 중이다.

글 사진 | 정지연

3,000여 명의 록마니아들을 군집시켰던 이 공연은 큰 화제를 불러 일으켰다. 이른바 ‘락닭 공연’ 이후 이 앨범은 무려 1만장의 판매고를 기록했고, 재머스는 수년 동안 매주 주말이면 군중들로 만석을 이루곤 했다. 이어 2002년 ‘락닭의 울음소리’ 2집의 발매 때도 비슷한

안녕, 클럽 쌤!

Live

현상이 벌어졌다. 뷰렛과 피터팬컴플렉스가 자신의 이름을 알리며

홍대 클럽 쌤이 장장 11년간의 여정을 뒤로 하고 문을 닫았다. 클럽 쌤은 패션브랜드인 (주)쌈지가 2000년에

인기 밴드로 떠올랐고 관중들은 작은 이 공간을 다시 찾아와 후끈

설립했던 문화 공간 쌈지스페이스의 공연장. 당시 이름은 ‘바람’으로 7월 29일 불독맨션의 무대를 시작으로, 약

달궜다.

250여 회 이상의 공연을 치러냈다. 그러다가 2005년 7월 라이브 클럽 쌤(Live Club SSAM)으로 이름을 바꾸고

김대표는 “처음 재머스를 시작했을 때부터 록음악이 발전하려면

홍대앞을 대표하는 개성 강한 클럽으로 자리잡았다. 쌤은 평일에 진행되는 알찬 기획공연과 지명도 있는 밴드를

클럽이 발전해야 된다고 믿었다. 밴드가 라이브클럽 공연만으로

무대에 세운 주말공연으로 마니아층을 공략하며 클럽의 인지도를 쌓아갔다. 그 결과 코코어, 언니네 이발관,

생계가 유지되어야 밴드가 깨지지 않고 오래 갈 수 있다고 믿었기

3호선 버터플라이, 허클베리핀, 황보령, 문사단, 코스모스, 모조소년, 몽구스, 이장혁, 몽니, 슈가도넛 등 약 500여

때문이다. 그렇게 밴드의 인큐베이터 역할을 자처해왔고, 걸음마를

명이 넘는 뮤지션들이 거쳐갔다. 그러나 무엇보다 쌤하면 떠오르는 것은 ‘쌈싸페’라는 이름으로 더 친숙한 ‘쌈지사운드페스티벌’이다. 1999년에

시작한 밴드들이 더 큰 세계로 나아갈 때까지의 성장 공간의

시작돼 2008년 10주년을 맞이했던 쌈싸페는 실험적이고 독특한 자신만의 음악세계를 추구하는 신예 뮤지션을 뽑아 대중 앞에서 이들의 실력을

역할을 충실히 해왔다고 자부한다”고 재머스의 16년을 압축한다.

널리 알릴 수 있게 하는 페스티벌이었다. 쌈싸페는 ‘숨은 고수(신인)’와 ‘무림 고수(현재 활동중인 뮤지션)’, ‘물 건너온 고수(해외음악가)’로 나뉘어

재머스레이블 이름으로 앨범도 발매했다. 컴필레이션 앨범 ‘락닭의

공연했으며 이중에서도 쌈싸페가 심혈을 기울여온 건 ‘숨은 고수’로 장기하와 얼굴들, 국카스텐, 아침, 고고스타 등이 꼽힌 바 있다.

울음소리’ 1,2집 외에 고스락, 랜드라라, 리디안, ZY(Zooropa Yellow)

이런 클럽 쌤이 문을 닫게 되자 뮤지션과 관객들 모두 아쉬움을 감추지 못했다. 폐관이 확정된 5월의 마지막 4일간은 이상은, 세렝게티, 9와

등 소속 밴드의 앨범 등도 내놓았다.

숫자들을 위시해 총 35명이 뮤지션들이 릴레이 공연을 펼쳤다. 특히 5월 30일은 ‘마지막 월요병’이란 이름으로 쌈지와 오래 공연해온 언니네

“밴드들이 잘 되면 그게 가장 기쁜 일”이라고 말하는 김대표는

이발관의 공연이 있었고 이 마지막을 쌤의 마지막을 함께하기 위해 모인 인파는 약 400여 명이 넘었다. 클럽 쌤이 약속한 대로 자리를 옮겨

과거를 돌이켜보면 자우림의 결성되었을 때나 럼블피시,

개관할 수 있기를 바라며, 안녕 클럽 쌤. l b

StH_06_12 13 ive ok.indd 12

a 서울시 마포구 창전동 5-120 쌈지스페이스 2층

2011.6.9 8:50:53 PM



a

l b

a

A OO

P

A

TA OT

<스트리트 >의 시각으로 채집하는 오늘의 홍대앞 | 영문간판 Alphabet Sign

ree

2nd Anni er ar !

오늘의 홍대앞 상점가의 시각적 정체성은 특유의 문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여타의 상업지구와의 변별성을 가지지 못한채 무조건 튀고 보자는 선정주의에 표류하고 있다. 그러한 와중에서도 파편적으로 개성을 지켜나가려고 애쓰는 모습들을 찾아내고자 한다. 홍대앞 영문 간판을 통해 스트리트 2주년 기념을 축하해본다. 사진 | 여경구

c ee

A

i

A

しぶや 2

n na e ca e

P

T

Co ector s ye

A

a 작

AT’

A

StH_06_14 15 Co e t Sket

ok2.indd 14

O

OO

A

dd l d

O 12

O T

A

P A

T

A

O

T

P b ell !

2011.6.9 8:38:0 PM


스케치로 보는 홍대앞

떠날 때 뒷모습이 아름다운 카페를 바라며

룸앤카페

룸앤카페는 홍대앞의 그 수많은 카페 중에서도 내가 무척이나

그러던 2009년 11월의 어느 날, 공사로 어지러운 카페를 보았다. 단지 리뉴얼 중일 거라고 스스로 되뇌였건만 끝내는 다른 간판이

좋아했던 곳이다. 상수역 2번 출구 근처의 단층 주택을 개조한 그

달려버리고나자 현실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곳의 거실쯤 되는 공간에 홀로 앉아 집주인인 양 광합성을 하며

‘왜 없어졌지? 손님이 아주 없던 것도 아니고 룸앤카페만의 분위기와 편안함, 그리고 룸앤카페만의 개성이 분명히 존재하고 있었는데…. 여자

끄적끄적 낙서를 하기에 그보다 좋은 곳은 없었다. 쨍하지 않은

사장님 두 분이 나름 잘 꾸려가고 있다 여겼고 나만큼 그 공간을 아끼는 손님들이 제법 있다고 생각했는데….ʼ 물론 가장 안타까워할 사람은

햇빛을 느끼기에도, 고즈넉하게 앉아 공상을 즐기기에도 좋았던

주인이겠지만 그 공간을 아끼는 손님들이 추억을 갈무리할 시간적 여유를 줄 수는 없었을까? 갑자기 사라지고 나니 허탈한 마음이 더욱 크다.

곳. 메뉴도 카페 분위기만큼이나 소박, 정갈했고 바나나 팬케이크,

그래서 멤버십 제도가 필요한 거라는 생각도 든다. “우리 마지막 날은 이별 파티해요”라거나 아니면 “◯◯로 옮겨요”, “당분간은 쉴래요.” 등

블루베리요거트처럼 건강을 생각한 음식들이었다.

카페주인과 손님이 소통할 수 있는 통로쯤은 있어도 좋지 않을까. 이렇게라도 알려줘야 맘껏 사진 찍고 추억을 만들고 갈무리할 텐데 말이다.

허경미 <스트리트 > 창간호부터 표지 작업을 해준 일러스트레이터. 홍대앞에서 작업실을 시작한 지 3년차이지만 그 누구보다 홍대앞을 열심히 그림으로 갈무리 하고 있는 중이다. <빅이슈>, <쎄시>, <수학동아> 등의 매거진과 사보, 단행본에 일러스트를 게재하고 있다.

S ecia Issue

손님에 대한 배려는 장사를 시작할 때만이 아니라 접을 때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어떤 카페든 결국 나보다는 먼저 사라질테니(?) 그곳에 애정을 준다는 것 자체가 상처를 예감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쉽게 사라질 카페나 멀어질 사람이 매한가지라 느껴지는 건 그런 이유 때문이리라.

독립잡지를 둘러싼 동상이몽

글・그림 | 허경미

제3회 언리미티드 에디션

독립잡지 행사

‘한계가 없는 에디션’으로 독립출판물들을 소개하는 언리미티드

스페셜 부스를 준비해 소규모 출판의 다양성과 디자인의

에디션. 그 세 번째 만남이 다가왔다. 유머마인드가 주최하고

첨예한 문제, 그리고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음악가들의

쿤스트할레에서 6월 17일과 18일 이틀 동안에 걸쳐 진행되는

자립은 가능한가라는 이슈를 다양한 작품으로 보여줄

언리미티미트 에디션은 소규모로 제작되는 음반, 책, 잡지를

것이다. 단지 독특한 책과 음반만 구입하고 말 게 아니라

일대일 부스를 통해 판매하는 마켓 개념이 크다. ‘전시’ 형태를

공연이나 프로그램 관람은 누구나 무료로 할 수 있으므로

배격하고 실질적으로 소비자와 생산자가 거래하는 ‘일대일

놓치지 말자. 문의 쿤스트할레 02-3447-7711

시장’으로서 기능하며 직접적인 홍보의 장이 된다는 것이 다른

www.unlimitededition.org

독립잡지 행사들과 가장 다른 특징. 올해는 특히 박다함, 하헌진 등

한편, 지난 5월 24일에는 상상마당에서 대규모로 열리고

자립음악생산자들이 대거 함께하며, 요즘 독립문화 영역에서 가장

있는 ‘어바웃 북스’의 부대행사로 잡지에 대한 좌담회가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인디음반의 마켓 진출과 홍보에도 많은

열렸다. 부대행사 ‘아주담담’의 한 부분으로 ‘거리의-

부분을 할애했다. 이틀 동안 열리는 행사에서는 공연 역시 큰 비중을

거리에서 시작한 매거진’이란 주제로 마련된 좌담회에서는

차지하고 있다.

김원 발행인(페이퍼), 장성환 발행인(스트리트 ), 장석종 편집장(Cracker your wardrobe), 서옥선 편집장(F.ound)이 참여하여 관중들의 열띤

행사 첫날인 6월 17일 금요일은 오후 4시부터 오픈이며, 백승우/

호응 속에 각 매거진의 태동과 신생잡지의 비전과 전망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참가자들은 새롭게 태어난 잡지들이 가지고 있는 ‘새로움’의

박연주/이안북스의 토크가 진행되고 7시부터는 영화감독 남궁선의

정체는 무엇인지에 대해 조망했다. 나아가 저마다 가진 참신한 시각과 독립성을 잃지 않은 채 오래 지속가능할 수 있도록 다채로운 방법을

영화상영, 9시에는 트래폴린과 모임 별의 공연이 마련된다. 18일

모색해봐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토요일 마켓은 2시부터 시작되며 7시부터 MV와 다큐멘터리 상영이

같은 날 하자센터에서도 ‘독립잡지 세 번째 토크-독립잡지의 태동? 2000년 전후 문화잡지의 흐름들’이 열렸다. 이 자리에는 김용진

준비될 예정. 클로징 공연은 요즘 가장 주목받는 인디신의 뉴페이스

편집장(싱클레어), 정지연 편집장(스트리트 ), YP(SS Zine) 등이 참여해 <싱클레어> 수석 에디터인 강지웅의 사회를 통해 현재 ‘독립잡지’의

‘얄개들’이 맡아 대미를 장식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태동이라 할 수 있는 2000년 전후 문화잡지의 흐름을 짚어보았다. <페이퍼>를 필두로 한 다양한 문화잡지들이 창간되었던 그 시기를 통해 최근

Sketch Story

그 외에도 더북소사이어티, 그래픽, 자립음악가생산자조합은

독립잡지의 주제와 내용, 형식의 시작을 가늠해보자는 취지로 3시간 넘게 진행된 흥미로운 자리였다.

14 15

StH_06_14 15 Co e t Sket

ok2.indd 15

2011.6.9 8:38:5 PM


ditor’s Letter

Book

Notice

“우리 모두가 창작자!” 프리마켓

자립생산자들과 함께한 제 회 옥상마켓

주년

너도 이제 자취의 달인이야

지난 6월 4일은 홍대 프리마켓이 문을 연 지 햇수로 꼬박 10년째

태워서 망친 냄비가 다섯 개,

지난 6월 5일

되는 날이다. 오프닝은 박터뜨리기 행사로 시작되어. 한구석에서는

썩혀서 버린 과일은 수십 개.

카페 녹색광선 옆

10주년 기념 가방 만들기 행사가 열렸고 ‘Afternoon Stage’

대구에서 나고 자란 저자는

옥상마당에서는

공연에서는 시와, 포터블롤리팝, 진성윤밴드 등이 출연했다. 마켓이

아는 이 하나 없는 서울에서

‘옥상마켓’이 열렸다.

폐장한 6시 이후에는 클럽 빵에서 프리마켓 작가들을 위한 아카이빙

19살에 독립을 시작한다.

아메노히 커피와

전시 및 파티가 열리기도 했다. 김영등 대표는 “작은 손길들이 모여

냉장고에서도 음식은 상한다는

유즈드 프로젝트

오늘의 역사를 이루었다”고 자축했다.

걸 알게 된 날부터 자취 10년차

같은 홍대 주변

프리마켓은 3월부터 11월까지 매주 토요일 오후 놀이터에서 열리는

숙련자가 될 때까지 자신이

소규모 창업자들과

예술시장으로, 그 시작은 지난 2002년 한・일 월드컵 문화행사로

겪은 에피소드를 때론 코믹하게

텀블벅(Tumblbug),

거슬러 올라간다. 월드컵이 끝나고 지자체의 공식 후원이 끊겼지만

때론 눈물나게 그려냈다. 이런

<헤드에이크>, < 구

프리마켓은 숨어 있던 예술가들이

그녀의 웹툰은 네이버에 연재되어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자취의

BLIN >, 육거여,

‘일상 창작자’라는 이름으로 활약하는

달인》이란 책으로 묶여 나왔다.

유자살롱 등 젊은

독특한 대안시장으로 자리잡았다.

우리나라는

자립생산자들과 그외 김작가 등 약 40여 팀의 셀러들이 옥상에

10년을 버티며 어려움도 많았다.

비율이 39%로 칠레와 함께 가장 높은 나라지만 독신인구를 위한

좌판을 깔고 손님을 맞이했다. 각종 CD와 책, 빈티지 의류와 손수 만든

2004년에는 장소를 허가해주지 않아

편의시설은 턱없이 부족하다. 이 책은 ‘나, 독립할래’를 꿈꾸는

액세서리와 쿠키, 그리고 엽서 등이 판매되었으며 옥상 한 구석에서는

시장을 열지 못할 뻔도 했지만 이제는

싱글 여성이나 어쩔 수 없이 자취의 길을 택한 여성 모두에게

공연도 펼쳐졌다.

홍대앞을 대표하는 문화행사로

요긴하다. 집 고르고 계약하는 법, 벌레퇴치법, 이웃과 잘 지내는

‘옥상마켓’ 프로젝트는 우리 사회의 다양성을 죽이는 거대한 자본의

자리잡았다. 프리마켓의 다음

법, 혼자 외식하는 노하우까지 시시콜콜한 그러나 누구도

획일성에 대항해 생산자가 중심이 되는 작은 시장을 열어보자는

10년을 기대해본다.

가르쳐주지 않는 노하우가 곳곳에 숨겨져 있다. 저자 성지현은

CD 34개 회원국 중 15세 이상 인구 중 독신

소박한 판단에서 마련됐다. 소규모 출판, 음반, 아트워크, 공예, 전시

프리랜서 일러스트레이터로 아시아 크리에이티브 아카데미(ACA)

등 아트상품에만 한정짓지 않는 다양한 물건들이 모였다는 게 특징.

수강생이다. 6월 15일까지 인더페이퍼갤러리에서 전시와 갤러리

마켓을 열기 전 온라인 펀딩 플랫폼 텀블벅에서 모집한 후원금

초여름, 인디밴드 대공습!

계좌에는 당초 모금액보다 더 많은 금액이 모일 정도로 관심을 끌었다.

쟁쟁한 밴드들의 신보 소식이 뜨겁다. 기대되는 건 6월 20일 발매

옥상마켓 프로젝트는 조만간 ‘야시장’ 형태로 우리 옆에 또 한번

되는 허클베리핀의 5집 <까만 타이거>. 밴드의 음악적 성숙도를

찾아올 예정이다. 문의 텀블벅(www.tumblbug.com)

집약해 보여주는 5집은 ‘버릴 게 없다’는 통설대로 이미 들어본 이들

문화 아이콘 제이지를 조망하다

사이에선 “굉장하다”는 평이다.

“난 브루클린에서 태어났지. 지금은 트라이베카에서 살고

서정적인 가사와 스케일 있는 사운드로 유명한 디어클라우드 3집

있어. 로버트 드 니로의 옆이야. 하지만 난 언제나 길거리의

<Bright Lights>도 6월 18일 발매를 앞두고 있다. 2010년 P <Take

사나이지.(중략) 난 뉴욕의 새로운 프랭크 시나트라. 그리고 내가

The Air>로 주목받았던 디어클라우드의 3집 정규앨범은 밴드의

이곳에서 해냈듯 난 어디에서라도 해낼 수 있을 거야.” (노래 ‘ mpire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 보다 진보된 사운드로 움직여나가는 동력을

State of Mine’ 중에서). 스스로를 ‘블랙 워렌 버핏’이라 부르는 힙합

<스트리트 >가 창간

주목해야 할 듯. 여성 싱어송라이터로서 독자적인 행보를 보이는

뮤지션 제이지. 슈퍼 스타 비욘세의 남편이자 카니예 웨스트, 리한나,

2주년을 기념해 서교예

시와도 2집 <일레트로니카 무지개>를 6월 16일 선보인다. 일상에서

니요를 발탁한 프로듀서인 그의 성공 스토리를 파헤친 책이 나왔다.

술실험센터에서 ‘안녕들

길어낸 철학과 서정이 절묘하게 만나는 시와만의 음악이 기대되는

《제이지스토리》는 브루클린의 게토 출신인 이 마약상이 어떻게

하십니까’전을 갖는다.

대목. 또한 태국과 일본의 해외 러브콜이 더 뜨거운 일레트로

10년 안에 재계의 거물로 부상했는지를 생동감 넘치는 주변 인물의

2011년 홍대앞은

개러지 밴드 칵스 역시 지난해 발표한 미니앨범 < NT R>에 이어

인터뷰와 취재를 통해 분석하고 있다. 저자에 따르면 성공의 배경엔

2000년대부터 가속화된

첫 정규앨범 <Acess

적절한 시기에 멘토를 찾아내는 직관적 감수성과 냉혹한 승부

상업화와 막개발의 광풍

미드 ‘24- 시즌 8’의 이미지송으로 < NT R>의 수록곡 ‘Trouble

근성 그리고 공과 사를 철저하게 분리하는 능력이 있었다고 한다.

속에 예술가들은 주변부로

Maker’가 사용 확정되기도 했다고.

목숨을 걸고 마약을 팔아봤던 그는 음반뿐만 아니라 제이지라는

떠나고, 사라져버린

마지막으로 ‘장기하가 돌아왔다’. 첫 정규앨범 <별일 없이 산다>의

이미지를 팔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몸으로 체득하고 있었다는

문화공간마다 외부

4만고 판매라는 ‘신화’를 쓰며 인디신에서 가장 떠오르는 얼굴이 된

것이다. 라이벌이었던 나스와의 대결과 화해 역시 비즈니스를 위해

상업자본의 깃발이

장기하는 <장기하와 얼굴들>이라는 이름의 2집을 6월 9일 내놓았다.

이용하는 영리한 감각과 음악에서 나아가 연관 비즈니스(패션,

건반과 기타를 보강한 새로운 멤버 구성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스포츠, 레스토랑)로 끊임없이 투자하는 사업적 결단력을 따라가는

장기하 1인에서 ‘밴드음악’으로의 집중이 돋보인다.

과정은 흥미롭다. 책에는 “나는

홍대앞의 의미는 여전히 유효한가 되묻는 자리가 될 것이다. 이번

십인십색. 다채로운 음악들의 뷔페는

비즈니스맨이 아니야, 내가 바로

전시에는 <스트리트 >가 담아온 이야기를 정리한 인포메이션

펼쳐졌다. 취향에 맞는 곡들을

비즈니스 그 자체지”라는 제이지의

그래픽, 초대형 지도를 배경으로 입체적으로 부각한 랜드마크,

골라내는 건 당신의 몫이다.

가사처럼 ‘아메리칸 드림’을 관통한

hi ition

<스트리트 > 창간 주년 전시회 ‘안녕들 하십니까’전

점령군의 그것마냥 나부끼고 있다. ‘안녕들 하십니까?’전은 이런 前衛

상황 속에서 문화생태계이자 아방가르드한 실험정신의 전위

였던

>를 6월 15일 발매한다. 특히 일본에서는

토크가 열렸다. 정보 성지현 저, 정보공학연구소, 208쪽, 10,000원.

Messenger

허경미, 박현정, 이크종 등 일러스트레이터들의 원화 전시가

그의 성공 법칙이 드라마틱하게

어우러진다. 또한 <스트리트 > 로고를 이용한 티셔츠와 머그컵

그려져 있다.

등 기념품이 한정 판매된다. 한편 오프닝(6월 14일 오후 6시)에는

정보 잭 오말리 그린버그 저,

갤럭시 익스프레스와 블루앤블루가 멋진 공연도 선사할 예정이다.

김봉현・김영대 역, 시드페이퍼,

일시 6월 14~18일 문의 서교예술실험센터 02-337-7217

264쪽, 13,000원.

StH_06_16_Me en er ok.indd 12

2011.6.9 8:49:14 PM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