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eet H_2011.11_Vol.030

Page 1

홍대앞 로컬 문화 매거진

CULTURE MAGAZINE for HONGDAE AREA

vol. 30

Brilliant Hairdos in One-man Hair Salons 홍 대 앞

대 표

1 인

미 용 실


홍대앞 문화 매거진 <STREET H> 지도

2011.11

길 막 독

ho-ro Shinc

신촌

1 c Office il -g ak km Do

Coffee

100m 1 f

146 Market

공항철도

1 c Kate's

1 c LP愛 1 c 장쌤

THE BOOK SOCIETY

VENU(2F) 1 c 박은민 스튜디오갤러리 1 f

1 k

gil nsa au W

1 c Velo cafe

1 c K.265 1 c 카페 느림 1 c 상수동카페

1 c 그림상회

1 c 이리 CAFE

1 c cafe KOALA

caffe TIAMO 1 c

길 정 토

e Lin ay bw Su

1 c cafe 수저

1 f gallery sup 1 c green cloud coffee

1 c 니오타니

1 c RAONATTI(2F) 1 f 손끝세상 f Gallery FREE ART gallery 꽃(B1) 1 1 c 1 c SUKARA 1 c CALIFORNIA 1 o 산울림소극장 1 c 1 c 커피프린스 1호점 곱창전골 1 d Gateaux et M’amie 1 c 수다떠는 아름다운 세상 1 c 1 c hibi(2F) 도서관 사자(2F) 1 c 36.5°C여름(3F) 1 f 성갤러리 Live club 빵 1 d CACAOBOOM 1 c 1 k Your-mind c COFFE LAB 1 1 d Jammers Live club 빵 1 d 1 c cafe lo onbom 1 g no name(B1) 1 c 1 c 감싸롱 비보이극장(B1) 1 g 커피아지트 1 c 1 c cafe 5CIJUNG 김대범소극장(B1) imemine 1 c 서교동 Volver 1 c nothing 다복길 1 c cafe W 1 c 커피향창고 a 1 c

il Obog-g

1 d SOUND HOLIC cafe SOURCE 1 c 1 c ECO FEMME c 클럽 문화 협회 Auntie Anne's 1 ESPANA 1 c GOZO 1 c 이뜰(2F) 1 c cafe atre 1 c 1 c HEIMA Thanks Nature CAFE(B1) 1 c Cup n Plate

homeo 1 c

1 c

Airport Railroad

1 k 북새통 문고(B1) 1 c coco bruni

스타피카소

1 k 동남문고

LG 팰리스

8

1 d VERA

1 c

Burning Heart(2F) 1 c free tempo c The Coffee House 쩜쩜 1

1 f

양화로

1 c

36.5˚c 여름

커피볶는집 JASS 1 c

Cafe Domitory 1 c cafe namu 1 c 1 c CONER

1 f LG 자이갤러리 양화로

Yanghwa-ro

cafe rucola 1 c

서교동 주민센터

1 c Coffee ZIO

the blessing

마포 FM

1 c

c cafe D.I. 1 c 1 c 1 DOUX MIE 커피공장 꽃

1 c

1 c

Cafe de Maison

1 c

Red Mango cacao green

1 c

1 c

cafe the famous Lamb

MAPLE COFFEE

1 c 치비모리

1 c

1 c Deux Copains 1 c 커피마루

VEGGIE HOLIC 한맥길

애경 디자인 센터

강원도민 회관

BEST BEANS COFFEE

Vanilla Bean Cafe 1 c Doo Doo Story 1 c

1 c

gallery woo 1 c

Have a Sensation

청기와예식홀

1 c

1 c

1 o 상설무대 우리소리

Hanmag-gil

프린지 스튜디오

DONNA ESPRESS

1 k 육공일비상 1 k 현암사 1 k BONUS

1 c FEMI 1 c 오븐과 주전자

한국해양 전략연구소

한국여성재단 웃으러 1 c

1 c

c madi cafe m 더쿠모스탁 1 PP COFFEE 1

태복 빌딩

1 c 서영카페

1 c JASS

몽마르뜨 언덕 위 1 c

COFFEE

1 c Test Kitchen

1 c

1 c 산책

artasset 1 f

1 c 호타루의 빛

1 c MAPLE

서교로

RaRaRa

sbi

1 c

cafe ditto

cafe Michaya 1 c

Seogyo-ro

2An ah studio

기흥성 모형연구소

Citta Slow 이미지 올로기 연구소 1 c 1 c la lune violette 1 c LP Love

FARM'S 1 c 4:33 1 c

1 c 고동 JASS 1 c

1 c

cafe

1 c cafe milli 1 c 커피1호 1 c 북카페 정글

집.사람 1 c

엔젤 cafe 1 c

1 c mellow making

Play Cafe Yup 1 c

봉숙이네 커피볶는집 1 c 카베하네 커피공방 1 c

Bo mn uri -gil

Pine tree 1 c

1 c imi

1 c

Cafe moin 人

The sol

Donggyo-ro

리길

People 1 c

1 g

1 c D Cafe Pub

봄누

Hyssop coffee 1 c

1 c

Roasting Garden

동교로

soulbeat 1 c

RAPERCUSSION

1 o 한울소극장

Jandari-gil

서교동 자치회관 1 c ARISTA COFFEE

1 c 커피와 사람들

1 c

TAKE OUT

잔다리길

caffé Angelo

1 c cafe in bliss 1 c e-song(B1)

옻칠갤러리 1 f

1 c

JASS 1 c

한빛미디어

성산초등학교

공항철도

1 c 햇빛부엌 1 c Coffee Beans & Bake 1 c Coffee Ya

1 c 키친스토리

일상예술 창작센터 1 f

1 c 연남살롱

Chamg uru-gil

생활창작공간 새끼 1 c1 f

101 Blossom

서진 빌딩

1 c 연남동 올레길

1 c cafe CASA

1 c A-BRICK(B1)

참그루

1 c Love Me Tender

해바라기 1 c 커피사랑방 마트

The Yellow café 1 c

Hapjeong

1 c CENTRE 1 c 뽈레

1 c cafe : U(2F)

합정역

Subway Line 2

g on pje Ha

cafe THE AIR

1 c BOOK CAFE 노는Café

Yanghwa-ro

1 c ALL ABOUT 茶

1 c

1 c CAFE DORATO

경남예식홀

1 c Landucci

1 c cafe N then

1 c

1 c coffee pink hall

윤디자인 연구소 cafe.12pm 1 c

1 c Zelkova 1 c coffee & A

서교호텔

Hongik Univ.

Teddy club cafe 05:59

1 c B+ 1 c cafe AURA

Gallery KING

커피 中心 1 c

1 c QUSTA

COFFEE

1 c cafe Riecco

1 d 라이브홀 ZOO

3

1 f 소극장 예

Myth 弘 1 c

(B1)

9

the gabrife 1 c 1 f Zandari

Mont Blanc 1 c

1 c 고양이 다락방(1F) cafe 아래

LG 팰리스

홍대입구역

Subway Line 2

NEAL's YARD BEANS BINS

Seogyo-ro

-ro chon Shin

로 신촌

화경전통찻집(3F) 1 c

1 c

1 c

COFFEE(2F)

1 c

YOUNGJIN Book Store

c 1 c 1 Coffee 커피볶는집 1 c 1 c Brown

1 c

난타공연장 1 g

1 c GREEN BEAN

e6 Lin

1 c

Yanghwa-ro

noriter

ay bw Su

(2F)

양화로 o i-r hu on Ye

il -g ak km Do

Pitabono coffee

c TORONTO 작 1 c 1 1 c 푸른 굴뚝 1 d

두레차 1 c

1 c puzzle(3F) 1 c POLY CAFE(2F) 라휘 사주카페(3F) 1 c 1 d 엉클 찰스 1 c 하늘공원 사주카페 1 c 미래안 사주카페(3F) 관광안내소 ipeun Geori Geotgos 걷고싶은 거리 25

1 k

1 k 한양툰크 1 c

1 c 한잔의 룰루랄라(2F)

1 c every tea day

Bean tree 200

1 c 커피와 사람들

1 c 코끼리 탈출하다

서교 푸르지오 아파트 마포평생학습관

홍대입구역

iv. ik Un Hong

서교초등학교

egro coffee 1 c

1 c

1 c c cafe piano cafe Little Jakobs 1 whi tea

서교로

공항철

k 반디모아 온고당 서점 1

Jandari-gil

다복길

1 c SUDA

i or Ge

1 c 퐁포네뜨 한국 실험 예술 정신

1 c

1 c dog cafe sunnyne(3F) 1 c with coffee 1 d ROY

1 c 카페 즈키

so as Pic

balicat(B1) 1 c 1 k

suave 1 c

Saem ulgye ol-1gil

커피발전소 1 c

에디오피아드림스 1 c

빨간토끼 1 c

CAFE(B1)

1 c

cafe Oui

Anthracite

1 g INDIFAN

gil Dabog-

외국 예술 서적

cafe 옹끌(B1) 1 c 1 c Cloud 9 1 n ding dong 미디어 극장 아이공 KEY 1 c KALDI 1 c 1 c LUNAMI(2F) Usine 1 c 고양이 시간(2F) 1 c 1 c THOBROMA(B1) 1 c c Zzam 1 nana cafe forest 1 c tree 밤삼킨별 1 c c c1 1 c 1 CAFE Groovy Da-da-da 앨리스와 도로시 1 c cafe ann(B1) 1 f c1 cafe in planet 1 c The Big 1 c off˚c(B1) 1 c 팜카밀레 공간 415 Banana cafe LOFT WONDERLAND(2F) 1 c 1 c PAKITO Jakiya 1 f 6 cafe J★K(2F) 1 c Market(B1) 1 c c Tora_b 봄날(2F) 1 c 1 c 1 c 1 c buccella 1 cafe 물의 정원(1F) 1 c 1 c 꿈꾸는 다락방 DK 174-4 1 c Mine Mine 1 준스카페 c 1 c 1 f 갤러리 ‘이상’(B1,2F) 1 c cafe 1 c MONT FORT 모과나무 위(2F) Mongto ciel 1 c Dansk cafe 노란코끼리 1 mayjune(B1) c 1 k IdN book 1 c loose 굿모닝 크리스틴 1 c LaRapipo(2F) koona 1 c 1 c millo coffee 1 c 7 cafe SandPark 1 c 커피 나무 1 c 1 c 새물 1 c 결 1길 THE BRIDGE(2F) BUTTER CUP 1 f

door gallery

c 1 c the Blues(6F) Standing Coffee 1 꿈꾸는 거북이 1 c 1 c

1 c BA BA

1 c 나의 작은 까페

1 c

k ASIA BOOKS didi’s gaufres 1

1 c BELIEF

1 c Be Sweet On(2F) la main douce 1 c 1 c a cafe cafe damso 1 c 1 c 뒤;빵 overlap 1 c MOBSSIE 1 c 1 c People of Tastes

cafe THE PLAIN cafe ’ c 1 c 1 c COOK & BOOK JOEY S cafe 1 Rachel 1 c OVEN 1 c 1 c Tool Waffle Bant 1 c

대안 영상 문화 발전소

1 c coffee Blind Spot

ohoo 1 c

1 c cafe Ronin

Loop Gallery

1 c La Tupina 1 c Petit arbre

us an -g il

오복길

1 c tea terrace 1 f 뽈랄라수집관

1 c tea factory

+

Publique 상수동 그가게 1 c 1 c cafe moin人 CAFE 갸하하 시연 1 1 b c 1 c LOFT²多樂²(2F) 극동방송국 Four 1 c snob 1 뽈랄라 살롱 TEATER c 정아 Seasons In the c 042 1 c el AVION 1 c1 1 c 1 c conan 18gram 1 c Tastebean House ST.255 1 c 유니 타워 1 c 당고집 Paper 와우책 문화 예술 사업단 read cafe 1 c 꽃多방 Ben@ Blue Spirit 1 c 411-5 1 c 1 c 1 c cafe 318-1(1F) 1 1 c caffeine Laboratory(2F) f 제일갤러리(4F) Cafe AAA(2F) Rainbow Cream cafe TOY lost CIRCUS 1 d SK@ 1 f 두성갤러리(B1) 1 c D’AVANT c Miz moren c1 c Sunday salon 1 c1 1 c1 1 c 1 d 1 d music CLUB winer lee Sweet Roll 1 c 1 c Nok CHAN'S 1 d EVANS 1 c MAROON51(1F) SEMO c 1 c 1 c 숏버스 1 c d Studio80’s 1 1 d GOGOS21 Hot-Journey 1 c 1 c 1 c Beanside 1 c VonG's 1 d Hooper 병아리콩 1 c 창밖을 봐… 7th WAVE MINON 1 g ROLLING HALL(B1) 1 d SAAB 1 d 500 COFFEE 1 삼단변신 미스홍 1 c cupcakes c c kafe allein 1 2hands 1 c 1 c basilico 打[ta:] 1 d NB2 1 d 카페꼼마 1 c 1 c LE.A e 1 c 별밤 n aA뮤지엄 2ND F.F 1 d Zo 1 c HARLEM 1 d 1 c aA cafe cafe ing 1 c Television 12 당인리극장 1 c ark FLOOR(2F) On the 6 SKA2 1 CAKERI 1 d dd cP d Veloso(2F) 1 c 1 c bli 1 c Pu c BROWN haru 1 c1 il 은하항공 1 c STYLO 1 c n-g 장 Cafe Luci alma 1 c usa 차 1 c For Rest SCENT 여행사(2F) 1 c 커피마지(2F) coffee Smith d Wa 주 VIA 1 토끼의 지혜 1 c 1 c at Home 1 c 홍쉐프 영 길 1 c 올리브&뽀빠이 1 c Cafe Vine 홍대에서 우회전 1 c 공 gallery NAVEE 1 c 우산 1 c FILAMENT 1 c 와 1 c I do c danchu c 1 c 다락방(4F) Nature’s plus 5st horizon 1 1 c LEVain1 c SugarSpoon sunny the grill brown 1 c BELLA BEANS 1 c 1 c 1 c 1 1 c 1 d Palm c ToTo's 1 c c emboo1 감싸롱 Street H Spannew1 Iceberry(2F) JENNY’S Cafe 1 c Cafe 도토리 c 몽마르뜨 언덕 위 1 c 1 c [ha:n] Blossom Land 카페일상 1 1 c1 1 d MWG 명월관 1 c OMAO commons c 1 c 은하수다방 1 c 1 d 1 c Beans c 1 NEMO 1 c1 c B-hind 1 1 c CAFE c 물고기 1 c lomography GENERAL 1 c 게으른고양이 1 플로랄고양이 c AISLE 1 Ridun 1 c ORIGINAL c cafe TOY(3F) BEN JAMES(2F) Made DOCTOR 405 Kitchen 1 c HOSITAMTAM 1 o Theater Zero 1 c 나비 (2F) 1 c cafe EAT; 1 c SALON DE FACTORY c RJ Pot 1 c1 1 c 라비앙 봉봉(2F) ESPANA 1 c 1 c Chie(2F) d Solar Water Cock SPOT 1 NO STRESS KITCHEN 1 c 틈 1 c tyche(1F) 1 c Chalie Brown del mundo 1 c 1 c Music Bar 001 (5F) d 1 d WINWIN 공감 1 1 c c 1 1 c Show & Gallery Bar Sweetier 1 c 1 d Nakeb 작업실 1 c About the cafe 1 c 공주가 쓰는 침실같은 카페 1 f 1 f 표현 갤러리 요기가 cafe M.BAO 1 c TANIA 1 c Paul 1 c we wii cafe 1 c 1 c 그앞 1 c Zari Art Space Hue 1 c 공주가 사는 궁전같은 카페 1 c 1 c 아수라발발타 1 c 1 c Elliott Travel cafe 1 c snow spoon Cafe 1 c CLOCKWISE(2F) il SULTANG 1 c -g 1 c Cafe Project A 커피 Space 1 c 1 INU 1 c g c Plan B OOO 성산중학교 FRANKYS 1 c c The cupcake factory adan Sangsang1 c 오타치는 코끼리 1 재미난조각가 1 c 볶는 곰다방 1 c Cafe Go Ape! 1 n ulm CAFE NOSTALRIA 1 c 1 c FIVE★EXTRACTS Freebird S1 d Eo Chocolatyum 1 c Madang ZIBE 1 c 1 d coffee Studio 1 d JESS 길 c 1 d Tess 1 1 d 상상 안녕, 낯선사람 1 c 오뙤르 1 d Q*VO 1 c TRINITEA 1 d COCOON1 d papa Gorilla 마당 1 c 1 c D9 factory 1 c Coffee TOM's cat DGBD CASTLE 스튜디오 울 d M2 짧은 여행의 기록 1 c 1 c CAFE DE NOAH 어 PRAHA 1 c 1 Forest 마망갸또 1 c 1 c ori Pekoe 1 c 니가 그리운 날엔 Vanilla cupcake 1 c ALICE 1 c cafe yong2 1 c DE CHOCOLATE DANJE 1 c c Margie 1 1 c 1 c THANKS BOOKS COFFEE NAYA CAFE 1 c 1 c Olive 400(2F) HIMAWARI Fly pancake 1 c k THE GALLERY 1 f1 1 c C cloud(2F) 1 c LAB Express 1 c Siam (2F) cafe 7gram 1 cafe seed 1 c c 서울 프린지 네트워크 1 c the cafe roro Better together 1 c Fairy 1 c FULLORISTAR 1 c Ann house 1 c 커피프린스 Kazamidori CaSa Rica(3F) 1 c cookie 에뚜와 1 c etoile 1 c 1 c o THEATER CHOO(B1) 키체 1 마술 부엌 커피 CATS LIVING 1 c 1 달콤살롱(2F) 1 c c Gallery cafe 동감상련 1 c 1 c Dal : cafe MINI 1 c Hello Kitty cafe 1 c 珈琲豆林 1 c c 1 f Gallery yuki five tables 1 c1 1 c cafe RUMI(8F) 1 c 얼굴 Holiday Apartment 1 c 1 1 c story 몽 1 c 퀴즈피플 c Cafe Following 1 d Velvet Banana 노pd네 LesArbres 1 Cafe LUCIA c 후마니타스 책다방 1 c Blue Fairy 1 c c au bon pain 1 1 f 콩 볶는 집 1 c table 15 1 c 1 c 1010 서교예술실험센터 1 c Living Cafe Paul & Lina(2F) 1 c 1 c cafe 몽쏘 1 c mellow 이야기 1 Neighborhood 1 c c Grazie 1 c 1 c avec nous(1F) 1 c Page A 민들레영토 1 c 1 c 綠色光線 코믹토토 만화 cafe 하랑(B1) 1 k 1 c 용다방 COFFEE 1 c 1 c beattipreviee Petit plat 매거진랜드 August DADA빌딩 1 c MARO 1 c 로베르네 집 fine 1 c

ETHIOPIA

1 c salon de Loop 1 f cafe noi 1 c

1 c 레이지 마마스 파이

1 c

Grafolio

잔다리길

1 c CoffeeMe 1 f Ssamzie space 1 d SKY HIGH c cafe TABLE-A o1 1 c 오래 있어도 괜찮아 1 포스트 극장

Dia

1 c DD-DA

Mick Jone's Pizza 1 l

Alegria

1 c

1 c

CABINET

1 c cafe made 人 in

1 c

HOHO MYOLL 1 c

1 g Escola

Anny cafe 1 c

su ng Sa

아트몽드 갤러리 뷰 1 f 1 c Ecocafe 작은 부엌

그문화 다방 1 c1 f 그문화

1 c 상수리

역 수 상

1 f LIGHT BOX(B1) 1 c 그림책 상상

1 f KOREA DESIGN MUSEUM

ARTMOMDE Art Center

lostandfound/ Plan B(2F)

1 c sweetpea

밥먹는 카페 1 o 육완순무용원 1 c

1 c 와우마루1/4

1 c cafe 폴레폴레

1 c

BEANS TO COFFEE

gil gjun To

6

it place 747 1 c The Blues 1 c

1 c 초코소녀, 커피총각

푸른감성

1 c AIDIOS COFFEE

1 c

ECO BRIDGE COFFEE

도깨비 커피집 1 c 1 c

Coffee, Please

한얼

프린지네 집

1 o sarangtv

Hane ol-g il

Dia_Cafe Coffee Lab Lab_Cafe Ohoo Ohoo_Cafe 앨리 촬영 및 조사 이효진 지도조사 임경화 표지 디자인 장성환・이효진

아름다운 세상_Cafe

서교동 다복길

Hibi_Cafe

커피프린스_Cafe

<스트리트 H>를 만날 수 있는 곳

<스트리트 H>는 매월 15~20일 경 발행되며, 오른쪽 리스트에 소개된 장소에 배포됩니다. 누구나 무료로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아쉽지만 한정 수량이라 서두르셔야 합니다. 꼭 필요하신 분은 정기구독을 하시면 집에서 편하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www.street-h.com)의 ‘정기구독’ 코너에 이름, 연락처, 주소 등 관련 정보를 기재한 후 1년 정기구독료 12,000원을 입금하시면 됩니다. 입금 후 편집부(02-323-2569)로 알려주시면, 그 달부터 <스트리트 H>를 보내드립니다. 입금처 _ 국민은행 032901-04-173760

| 예금주 _ 장성환(디자인스튜디오 203)

Anthracite art샴 BELLA TORTILLA B-hind Cloud 9 DD-DA

322-0009 326-2480 070-8779-6675 3141-7212 337-3342 3142-5750

Beanside hibi HOSITAMTAM ohoo STYLO SUKARA

Tea terrace terrace_Cafe

326-2402 337-1029 333-0260 335-7730 324-1104 334-5919

The Gallery Veloso zari 2nd Floor 관광안내소 더 북 소사이어티

3142-5558 323-7798 3142-7412 6403-8558 323-2240 325-5336

337-9682 6081-1089 330-6227 한잔의 룰루랄라 337-9887 제너럴 닥터 322-5951 플로랄 고양이 나비 3143-1975 로베르네집 빵

상상마당

070-8821-8990 후마니타스 책다방 070-4010-7737 서교예술실험센터 333-0246 유어마인드

2호선 홍대입구역 안내소 a-zeet 신사동 가로수길 3446-9927 051-247-4847 PM 2:45 부산

발행인 기획취재

Street H | Vol. 30 | 2011.11 Independent Local Culture Magazine for Hongdae Area

디자인

장성환

발행

디자인스튜디오 203(tel 02-323-2569 fax 02-323-2562) 121-895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405-11 화승빌딩3층

편집장 정지연 객원에디터 하정희, 임은선, 이제하,

우편 정기구독 | 연 12회 12,000원

김영미 교정교열 임경화

정기구독

디자인스튜디오 203

Copyright © 2011 <스트리트 H>에 실린 내용은 저작권법에 의해

고성주, 김인영, 이혜령, 류아진, 이효진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복제를 금합니다.


Brilliant Hairdos in One-man Hair Salons 따라 흡연도 허용된다.

헤어살롱, 즉 미용실들이다. 요즘 신설 가게는—특히 2층은—상당 부분이 미용실이라고 할 정도로 그

아울러 100% 예약제이기 때문에 이점도 많다. 손님은 충분한 시간을 들여 자신의 헤어스타일에 대해

규모가 확산되고 있다.

상담하고, 마음에 드는 스타일로 머리를 할 수 있다. 헤어디자이너도 마찬가지여서 대기하는 다른

홍대앞에 새로 생겨난 미용실들의 특징은 대개 소형의 부티크라는 점이다. 은하, 이가자, 준오와 같은

손님에게 신경 쓸 필요 없이 한 손님, 한 손님에게 집중할 수 있다. 게다가 한 장소를 온전히 누릴 수

대형 체인 헤어살롱들과는 다른 소형 부티크들이 홍대앞에서는 강세다. 물론 홍대앞에도 전통적인

있다는 친밀감은 부가적인 장점이다.

럭셔리 헤어살롱 상권이 있다. 대표적인 곳은 상상마당에서 홍대 반대쪽 방향의 호젓한 지역으로 이경민

<스트리트 H>는 7년 이상 된 1인 미용실부터 오픈한 지 4개월 남짓의 신생 1인 미용실까지 원장들을 두루

포레와 이가자 미용실을 위시하여 순수, 박준미장 등 고급 헤어살롱들이 자리잡고 있다.

만나보았다. 아쉽게도 빠진 미용실은 사정이 있다. 타투와 피어싱을 겸하며 합정동 라인에서 오랫동안

그러나 홍대앞 미용실의 특징은 따로 있다. 바로 원장 1명이 운영하는 ‘1인 미용실’의 강세다. ‘1인

운영해온 1인 미용실 ‘카밀라’는 이달 말 문을 닫는다. 원장이 향후 1년을 목표로 세계여행을 떠나기

미용실’을 연 주인공은 ‘더 컷’의 오상윤 원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수동의 조용한 골목 안에 위치한

때문이다. 주점 ‘도마뱀’ 건물 3층에 위치했던 ‘Barber Shop’은 최근 문을 닫았다. 그래서 <스트리트 H>는

‘더 컷’은 작고 비밀스런 간판, 호피무늬 의자와 같은 지극히 사적인 취향이 드러나는 인테리어, 세련되고

1인 원장이 운영하는 곳들을 우선적으로 소개하되(시저 시스터, 장싸롱, 삥), 1인 원장 시스템이다가 최근

멋진 음악과 100% 예약제라는 ‘1인 미용실’의 공식을 만들어냈다. 더 컷은 팝업 스토어 역할도 겸하며

어시스트나 파트너를 들인 곳들도 아울렀다(마쵸 헤어, BK LOVE, 펄).

지금도 운영중이다. 매스컴에 너무 자주 소개되었다며 오원장이 인터뷰를 고사하는 바람에 아쉽게도

원장들은 이대 미용실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해 홍대앞으로 진출한 이들이 많다. 홍대앞이 지닌

지면에 소개할 수는 없지만, 그가 영국에서 유학하던 시절을 통해 1인 미용실의 아이디어를 얻었다는

독특한 문화가 ‘1인 미용실’이라는 개성을 잘 흡수해준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실제로 홍대앞이 아니라면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해외의 1인 미용실들은 원장 개인이 좋아하는 음악을 틀어두거나 심지어 DJ가

1인 미용실이 이렇게 빠르고 쉽게 자리잡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1인 미용실 원장들은 입을 모아 말한다.

있고, 옷가게나 타투가게를 아우르기도 한다. 이처럼 ‘원장 개인의 취향이 서슴없이 드러나는 미용실’은

“혼자 일하니 자유로와 보이지만 보기와 달리 힘든 일이 많다. 자신을 절제하고 컨트롤할 줄 알아야

비슷한 취향을 가진 손님들을 부를 수밖에 없다.

하며, 1명의 손님만을 받는 예약제의 특성상 금전적인 면에서도 욕심을 내선 곤란하다.” 그러면서도

가요나 팝송을 무한반복하여 틀어주는 일반 대형 미용실과는 달리 1인 미용실에서는 원장 개인의 멋진

“손님들과의 친밀감이나 유대감이란 측면에서 직업적인 보람이 크다. 단지 손님과 디자이너의 관계를

선곡 리스트를 만날 수 있다. 또한 옥탑 테라스가 있는 캐주얼한 분위기부터 고양이 세 마리가 뛰어노는

넘어 커뮤니티적 동질감을 느끼게 된다”고 말한다.

‘붉은 방’ 그리고 화이트로 깔끔하게 마감한 클래식한 분위기까지 원장의 개성을 듬뿍 엿볼 수 있어

1인 미용실을 택하든 대형 미용실을 택하든 결국 취향의 문제다. 그러나 한 번쯤 저 닫힌 문 뒷편이

흥미롭다. 그뿐인가, 원장들이 기르는 개나 고양이들과의 즐거운 시간도 덤이다. 때론 원장의 스타일에

궁금했던 사람이라면 기사를 가이드 삼아 탐험에 나서보자.

Cover Story

예전엔 카페가 카페나 음식점을 허물고 들어왔다면 요즘은 다르다. 카페가 빠져나간 자리를 채우는 건

H

2011.11. Vol. 30 홍대앞 로컬 문화 매거진 <스트리트 H>

StH_11_1-5_Cover Story&Neighborhood_OK.indd 1

2011.11.21 3:48:3 PM


개성 만점, 실력 만점

홍 대 앞

1 인

대 표

미 용 실

권범철(시저 시스터 살롱Sicossor Sister) 글・김영미(객원 에디터) 비하인드 골목 2층, 가위가 그려진 심플하고 직관적인 간판이 눈에 띄는 시저 시스터 살롱의 헤어디렉터는 시스터가 아닌 미스터. 헤어로 유명한 ‘토니 앤 가이’ 아카데미를 수료하고 유명 프랜차이즈 미용실에서 일했던 권씨는 가위 좀 놀릴 줄 아는 프로 미용사다. 시저 시스터 살롱은 오픈한 지 6개월도 안됐지만 소문을 듣고 찾아오는 사람들이 많다. 대학에서 공예를 전공한 그가 방향을 튼 것은 오랜 꿈이었기 때문이다. 1인 미용실은 그가 가장 좋아하는 일을 오롯이 혼자 할 수 있는 최적의 작업환경이다. 상호가 독특한데…. 대학 후배들이 다들 나보고 언니라고 불렀다. 헤어숍과 캐릭터의 조합이라고 할까. 남들이 다 잘 지은 것 같다고 한다(웃음).

1인 미용실을 차리게 된 계기가 있다면. 차별화된 서비스와 높은 퀄리티 제공이란 말을 할 수도 있겠지만 순전히 나 때문이다. 내가 좀 느린 타입인데 프랜차이즈 미용실이 주는 속도의 피로를 견디기 힘들었다. 나한테 맞는 미용실, 그리고 그런 미용실을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시작했다고 보면 될 거다. 사람을 두고 복잡하게 하는 경영은 자신 없고 혼자 일하는 게 편하니 1인 미용실이 답이더라. 홍대앞에 미용실을 낸 특별한 이유라도 있나. 홍대가 아닌 곳은 아예 생각해보지도 않았다. 정확한 단어로 표현할 순 없지만 홍대가 주는 아우라, 매력이 있으니까. 홍대는 입시미술 준비하면서 자주 왔던 동네고 가장 친숙한 동네 중 하나다. 만약 홍대에 숍을 내지 못했다면 내가 사는 동네에 미용실을 냈을 것이다. 낯선 곳에 미용실을 낸다는 생각은 단 한 번도 한 적이 없다. 어떤 고객들이 주로 오나. 신기하게도 고루고루다(웃음).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 비율이 다소 높고, 남성보다는 여성이 많기는 하지만 사실 이건 홍대지역의 특성이라고 본다. 블로그에서 보고, 지나가다 우연히, 친구 추천 등 여러 루트를 통해서 정말 다양한 분들이 찾아온다. 흡연이 가능한 미용실이라 선호하는 이도 꽤 있고(웃음). 선호하는 헤어스타일링은. 커트. 치렁치렁한 긴 머리보다는 짧은 커트가 좋다. 컬러는 보라색을 좋아한다. 문제성(?) 머리를 좋아하고 잘 다룬다. 숱이 지나치게 많거나 없는 머리, 곱슬머리 등 쉽지 않은 머리는 텍스처 질감처리만 달리해도 몰라보게 바뀐다. 스타일 혹은 영감은 주로 어디서 찾는지…. 헤어쇼보다는 패션쇼나 컬렉션에서 아이디어를 많이 얻는다. 언뜻 패션쇼의 헤어가 과장돼 보이지만 시즌의 트렌드와 스타일을 정확하게 반영한다. 머리 길이, 앞머리 스타일, 가르마 그리고 컬러를 체크한다. 혼자 일해서 좋은 점과 나쁜 점은. 전체적으로 편하다. 나쁜 점은 가끔 조용해서 외롭다는 거?(웃음) 혼자 일하기 위해서는 체력이 많이 필요하고 자기관리가 중요하다.

Add. 서교동 403-11 2층 Tel. 02-338-4888 Open 12:00~21:00 Price 기본 펌 8만원, 열펌 12만원, 커트 3만원, 염색 6만원(커트비 별도)

김광희(마쵸미용실Macho Hair) 글・이제하(객원에디터) ‘마쵸’라길래 얼굴의 반은 털로 뒤덮이고 터질 듯한 팔을 가진 사내를 상상했다. 그러나 좁다란 계단을 올라 마침내 살롱에 입성했을 때, 귀여운 반전이 펼쳐졌다. 마른 몸, 야구모자를 옆으로 비뚤게 쓴 샤프한 이 남자가 마쵸미용실의 주인장 김광희 씨다. 대규모 살롱의 실적 위주 영업보다는 손님들 한 명 한 명에게 신경을 쓰고 싶어서 택한 1인 미용실은 벌써 5년째에 이르고 있다.

1인 미용실을 차린 이유가 있나. 1인 미용실을 차리기 전 대규모 살롱에서 10년쯤 경력을 쌓았다. 하지만 대규모답게 고객유치가 최우선이었고 대부분의 디자이너들은 제대로 실력발휘를 하기보다 적당한 선에서 되도록 많은 고객들을 담당하며 실적을 올려야 했다. 그러다보니 정작 손님들에게 신경을 쓸 시간이 많지 않아 답답함을 느꼈고 결국 2008년 초에 1인 미용실을 오픈했다. 4년 정도 ‘1인’을 고수하다 올 9월, 원래 알던 일본인 친구 게이코와 합심해 ‘2인 미용실’로 거듭났다. 서울 여러 지역 중 ‘홍대’를 고집한 이유가 있다면. 예전엔 이대 근처에서 근무했다. 당시 주 고객층은 40~50대 여성이거나 이대 학생들이었다. 내 또래가 거의 없어 손님들과의 대화가 쉽지 않았고 1인 미용실을 한다면 젊은층의 문화권이 생성된 ‘홍대’로 가자 싶었다. 홍대가 문화특구인 만큼 색다른 사고방식을 지닌 다양한 사람들과 대화를 즐길 수 있을 것 같아 주저 없이 홍대를 택했는데 역시나 재밌다. 어떤 고객들이 주로 찾는 편인가. 또 하루에 보통 몇 팀 정도 담당하고 있는지. 처음엔 내 예상이 적중해서 유니크한 스타일을 자랑하는 ‘홍대 피플’이 주 고객층이었다. 하지만 다소 비싼 가격 때문일까. 현재는 학생들보다 직장인들이 주로 찾는다. 2008년부터 지금까지 고정고객만 거의 300명에 달한다. ‘100% 예약제’라 보통 하루에 여섯 팀쯤 맡고 있다. 손님들은 게이코와 나, 두 사람 중 원하는 디자이너를 고른다.

1인 미용실과 대규모 살롱, 각각의 장단점이 있지 싶다. 대규모 살롱의 경우 다른 디자이너들의 작업을 참고하며 기술적으로 공부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강점이다. 그러나 1인 미용실은 그런 면에서는 조금 취약하지만 ‘고객중심’이라는 점에서 만족감이 더 크다. 충분한 대화를 통해 고객들이 정말 만족할 만한 결과를 만들어내는 데 중점을 둔다. 또 대규모 살롱에선 늘 같은 음악만 듣는데 여기선 내가 원하는 음악을 틀을 수 있으니 좋다. 내가 즐거워야 손님들도 즐거울 테니까. 마쵸미용실을 찾아줄 미지의 손님들에게 한마디. 내 비장의 무기라면 ‘센스’(웃음). 디자인 쪽에도 관심이 많아 포스터 일도 했었다. ‘헤어’는 기술보다 ‘느낌’을 표현하는 게 중요하다. 특유의 ‘세심함’으로 헤어컷의 디테일을 잘 살리는 편이다. 앞으로도 마쵸는 최대한 인간적이고 자유로운 분위기를 조성하고 싶다. 대규모 살롱이 주는 위압감이나 불편함을 타파하는 것, 이게 바로 마쵸의 모토다.

Add. 동교동 170-23 4층. Tel. 070-4129-6666 Open 11:00~23:00 Price 커트 3만원, 펌 7만~9만원 선, 염색 6만~8만원


고 양 이

3 마 리 가

반 겨 주 는

미 용 실

김경신(삥 미용실) 글・임은선(객원 에디터)

오랜만이다. 그동안 어떻게 지냈나. 어떻게 한 번도 안 오냐. 섭섭하다. 머리 안 하러 와도 좋다. 그냥 와서 안부나 묻고 이야기나 하자. 미용실에 와서 정작 머리는 안 하고 나와 수다만 떨고 가는 사람도 있다. 그래도 된다. 부담 가지지 말고 들어오라. 인터넷에 ‘홍대 1인 미용실’을 검색하면 ‘삥’이 가장 먼저 나온다. 삥을 열기 전에 30군데나 넘는 미용실을 다녔었다. 경쟁해야만 하는 대규모 살롱은 잘 안 맞는다고 느꼈다. 그래서 1인 미용실을 열었다. 이곳에 연 이유? 딱히 없었다. 돈이 별로 없어서 인테리어도 내가 직접 했는데 그게 도리어 특색이 된 거 같다. 그렇게 큰돈을 버는 건 아니지만 만족스럽고 행복하다. 이곳을 찾는 손님들의 반응은 어떤가? 손님층은 다양하다. 회사원, 음악하는 사람, 작가도 있다. 아, 고양이를 좋아하는 사람이 많이 온다는 공통점이 있긴 하다. 최근에 한 손님이 블로그에 우리 가게를 올려서 그게 홍보가 되어서 유독 손님이 늘었던 시기가 있다. 좋을 거 같지만, 그렇지 않다. 돈은 더 벌었는지 모르지만 몸은 힘들고 단골이 줄었다. 난 손님과의 유대감을 중요하게 여기는데 호기심에 찾아오는 손님과는 그런 느낌을 만들기 어렵다. 그저 이곳이 좋아서 오는 분들이라면 환영이다. 그렇다면 ‘삥’은 어떤 미용실이 되고 싶은가. 나가고자 하는 방향은 하나다. 편안한 곳이다. 편하게 찾아와서 머리를 할 수 있고 이야기도 나눌 수 있는 곳이었으면 좋겠다. 가까이에 있는 손님은 택배가 오면 우리 가게에 맡기기도 한다. 요즘은 솔로, 1인가구가 많지 않나. 그렇게 편하게 여겨지는 게 좋다. 좀 더 크게 확장하고 싶은 마음이 없는 것도 아니지만 앞으로도 혼자 일하고 남의 눈치 안 보고 손님과 만나는 이런 시스템을 유지하고 싶다. 혼자 일하는 장단점이 있을 텐데. 장점은 자유롭다는 거. 스트레스도 거의 안 받고 일할 수 있다는 거. 고양이를 키울 수 있어서 좋다는 거? 다른 살롱에서 일하면 키우고 싶어도 불가능하다. 단점은 게으르거나 나태해지기 쉽다는 거. 그리고 예약제이다 보니, 시간을 짜맞추다 보면 결국 못 오는 손님이 있다는 거? 그러나 제일 스트레스 받는 건 예약하고 안 오는 거다. 전화나 문자라도 해주면 좋은데 그냥 안 올 때면 너무 화가 나 가게문을 닫아버릴 때도 있었다.

아직은 한적한 동네인 상수동 당인리에 자리잡은 장싸롱은 오픈한 지 4개월밖에 안된 그야말로 따끈따끈한 미용실이다. 이대와 홍대의 헤어 살롱에서 10여 년 넘게 일하다가 이번에 자신만의 1인 미용실을 내기로 했다. 무과수제과 근처에 있을 때부터 단골이었던 ‘이리카페’가 이곳으로 오자 망설임 없이 근처에 미용실을 냈다. 장싸롱은 핑크 마티니, 호텔 코스테스 등의 음악이 흐르는 인디 감성의 미용실이다. 동네가 한적한데, 손님은 많이 오는가. 유동인구가 많지 않다. 그런데 난 그게 더 마음에 든다. 주로 손님은 이리카페 단골들이거나 이 동네에 사는 젊은 주민들이 많다. 그리고 서교동의 작업실에서 1년간 혼자 했을 때 친해진 단골들이 찾아온다. 그래도 하루 평균 4팀 정도는 일을 한다. 재밌는 건 근처 이발소에서 머리를 맡겼던 이 동네 어르신들은 정작 안 오신다는 거? 커트비, 안 비싼 편인데 말이다(웃음). 민트 빛 외관과 올리브 그레이의 내부 인테리어가 멋지다. 원래 이곳은 신문보급소였다. 최대한 돈 아끼려고 내가 직접 을지로, 방산시장 돌아다니면서 인테리어를 다 했다. 선반도 5만원짜리 1장을 사다가 반을 갈라 만들고 페인트칠이며 천장까지 전부 내 손을 거친 거라 ‘내 가게’라는 애착이 강하다. 내부는 원래 희망했던 색깔이 안 나와 속상했지만 ‘뭐, 쓰다가 바꾸자’고 마음 바꿨다.

1인 미용실을 낸 특별한 이유라도 있나. 천편일률적인 대규모 체인 미용실들에는 전혀 끌리지 않았다. 꾸며진 과도한 친절이 싫었고, 어딜 가나 똑같은 미용실 모습이 재미없게 느껴졌다. 보통 미용실은 기술을 배우기 위해 원장 밑으로 들어가기 마련이다. 그렇지만 난 원장의 개성이 두드러진 곳만 찾아다녔다. 뭔가 일대일로 부딪히고 진심과 소박함이 느껴지는 그런 미용실이 좋겠다 여겨졌다. 1인 미용실이라 좋은 점이 있다면. 무엇보다 음악. 대규모 미용실이 가기 싫었던 이유 중 하나가 하루 종일 원치 않는데 들어야 하는 가요였다. 이곳에선 내가 좋아하는 라운지 뮤직이나 보사노바나 월드뮤직을 들으며 일할 수 있다. 예약제로 움직이는 대신 아침 일찍 준비할 필요 없다는 것도 편리한 점이다. 어떤 손님이 주로 찾아오는가. 학생, 직장인, 디자이너 등 다양하다. 특이한 점은 유독 이 동네에 음악하는 이들이 많아서인지 밴드나 기타 제작자, 음악 작업하는 친구들이 많다. 서로 알음알음 소개도 시켜준다. 좋아하는 헤어스타일링은. 정작 내 머리는 귀찮아서 기르고 놔두고 있지만 커트를 좋아한다. 굉장히 오래 시간을 들여 정성스럽게 커트하는 편이다. 손님 중에 “저한테 어울리는 머리로 잘라주세요” 하는 분들도 있는데 난 “하고 싶은 머리를 하세요”라고 하는 편이다. 어울린다고 평생 그 머리만 고집하고 살기엔 지루하지 않은가. 모든 과정은 손님과 대화를 나누고 상의해서 결정한다. 원래 말이 많은 편은 아닌데 1인 미용실이라는 특성 때문일까. 손님들과 대화 나누는 게 즐겁다.

Add. 상수동 337-6 Tel. 02-6085-4264 Open 보통 11:00~20:00. 정해진 건 없다. Price 커트 1만 8,000원(곧 인상 예정), 퍼머(기본) 6만~9만원 선(인상 예정) Web www.jangsalon.com

Cover Story

Tel. 010-8895-0471(예약은 전화, 문자, 카카오톡 모두 가능) Open 보통 11:00~ 20:00. 정해진 건 없다. Price 커트 2만원, 퍼머(기본) 7만원, 열펌 8만원

장은영(장싸롱) 글・정지연(에디터)

상수역 부근의 빨간 풍차집. 간판도 없는 이곳은 올해 12년차 헤어디자이너인 김경신 씨와 3마리의 고양이 조수가 있는 미용실 ‘삥’이다. 변화의 폭도 크고, 한 번 하면 오래 가는 퍼머를 가장 잘한다는 ‘삥 사장’ 김경신 씨와는 사실 구면이다(삥은 <스트리트 H> 20호 ‘길고양이 특집’에 등장했었다). 그새 고양이 보라는 더욱 토실해졌고 아팠던 막내 만숙이는 건강해졌다. ‘턱시도’ 둘째 향숙이는 여전히 인기남이다.

잘하는 스타일이랄까 올가을 유행 헤어 트렌드는? 이런 거 묻지 마라. 유행 헤어를 알고 싶다면 큰 미용실을 가야지. 난 손님과 대화를 나누며 스타일을 찾아가는 게 좋지, 유행을 따라가고 싶지 않다. 손님들도 마찬가지다. 마음에 안 들면 ‘저번에 그 머리는 싫어요’ 하고 어떤 머리를 하고 싶은지 서로 상의해가며 만들어간다. 이런 인간중심이 삥의 장점이다.

02 03 2011.11. Vol. 30 홍대앞 로컬 문화 매거진 <스트리트 H>


개성 만점, 실력 만점

홍 대 앞

대 표

얼 굴 의

1 인

입 체 감 을

미 용 실

찾 아 주 는

프 로

강은하(펄Pearl) 글・김영미(객원 에디터)

7

김형규(BK Love) 글・하정희(객원 에디터)

섬유미술을 전공했다. 순수미술에 끌려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다가 중도에 귀국, 국내 유명 브랜드 의류회사를 다녔다. 어느 날 헤어에 꽂혀 전업했다. 2002년 미용실을 열었고 10년 동안 감각적인 스타일과 펄만의 색깔로 펄 ‘미용실’이 아닌 ‘펄’ 미용실을 만들어냈다. 과감한 핑크 컬러와 아쿠아마린, 그리고 로맨틱한 조명으로 꾸며진 인테리어가 개성적이다. ‘모든 헤어는 입체적이어야 한다’는 신념으로 두상, 머릿결의 방향, 질감의 형태 등 개인차에 따라 머리를 만든다는 강은하 원장을 만났다.

홍대 정문에서 산울림소극장으로 향하는 길가에 면해 있는 BK Love. 통유리창을 통해 들여다보이는 실내는 분명 헤어살롱이지만 어디에도 간판은 보이지 않는다. “굳이 드러내는 게 싫었다”는 경력 13년차, 오너 헤어디자이너 7년 차를 자랑하는 김형규 씨는 원체 무뚝뚝한 것으로 유명하다. “머리를 할 때 너무 수다를 떨면 작업에 집중할 수 없다. 단골들은 할 말만 하는 스타일을 더 편해한다”라는 게 그의 주장. 눈이 큰 순둥이 개 ‘마리’가 트레이드마크로 실내 곳곳엔 마리의 사진과 그림이 걸려 있다.

소규모 미용실을 내게 된 이유는. 내겐 개성과 자신감이 있었으니까. 프랜차이즈 미용실에서는 내 개성을 표현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넓은 의미에서 보면 헤어도 텍스처의 예술이다. 미술을 공부하고 사회경험도 있었기 때문에 자신있었다. 질감 처리와 텍스처를 다루는 감각, 아름다움을 포착하는 감성의 안테나가 있으니 머리도 문제없다고 생각했다. 벌써 10여 년이니 홍대에서 1인 스타일 헤어숍의

홍대에 미용실을 낸 특별한 이유가 있는가. 숍을 오픈하기 전 아내와 함께 놀이터 부근의 미용실에서 일을 했다. 그때 아내의 집이 산울림소극장 근처라 바래다주기 위해 자주 왔다. 그러면서 이 자리를 눈여겨봤다. 그때도 여기는 미용실이었는데 손님이 많이 없고 운영을 잘 못하는 것 같았다. 속으로 ‘우리가 하면 잘할 수 있겠다(웃음)’ 생각하며 주시했다. 그러다 일하던 가게를 그만두고 알아보니 마침 이곳이 부동산에

선두주자라 해도 될 듯하다.

나왔길래 바로 계약을 했다.

주된 고객층은 어떠한가. 예민한데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사람들이 찾는 듯 싶다. 직업군도 다르고 연령대도 다르고 다 제각각인데, 뚜렷한 공통점이 있다. 보편적인 세계, 보편적인 룰을 따르기 싫어하는, 따르지 못해 채워지지 않은 어떤

처음부터 소규모 미용실을 계획했었나. 처음에는 그냥 미용실만 하고 싶다는 생각만 했지, 구체적으로 뭘 어떻게 하겠다는 콘셉트 같은 것도 생각하지 못했다. 같이 일할 사람을 구할까도 생각했는데 챙겨줄 것도 많고 신경 써야 할 것들이 너무

욕망이나 욕구를 지닌 사람들이 온다. 그렇다고 펑크 머리가 좋다든지 하는 뚜렷하고 명확한 취향을 가지고 있진 않다. 하지만 뭔가 자신 안에 있는 남다른 그 면을 표현하고자 하는 이들이 온다.

많더라. 그래서 차라리 돈을 적게 벌고 스트레스를 받지 말자는 쪽으로 결론을 냈다. 다행히 아내가 있어 2인 체제로 운영했는데 아내는 곧 해외로 연수를 떠나게 된다. 덕분에 명실공히 1인 체제가 되었다.

헤어스타일링에 대한 철학은. 사람이 입체적이듯 헤어도 입체적이다. 그런데 거울에 비친 모습은 평면이고 자신의 모습은 거울로밖에 볼 수가 없어서 거울에 비췄을 때 예쁜 헤어가 최고로 예쁜 헤어라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헤어는 얼굴의 입체적 풍부함을 드러내줘야 한다. 볼륨감을 살려서 각각의 손님이 지닌 입체성을 찾아주는 것, 그게 내 철학이다.

오너 헤어디자이너의 장점은 무엇인가. 사장이잖은가. 모든 것이 자유롭다. 일반 미용실에서 일할 때는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제한되어 있었는데 내 가게를 하니까 여유시간도 있고 자유스럽다. 미용실에서 개를 돌볼 수도 있고 친구가 찾아오면 여유있게 얘기를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손님 한 분 한 분에게 더 집중할 수 있어 좋다.

올 가을 트렌드를 어떻게 소화해내나. 요즘은 같은 길이로 무겁게 떨어지는 컷이 트렌드다. 개성을 중시한다고 트렌드를 무시하거나 질색하진 않는다. 트렌드에 얽매일 것이냐 트렌드를 앞서나가 나만의 것을 찾을 것이냐가 별개의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모든 디자인은 그 시대와 사회를 반영할 수밖에 없다. 유행은 돌고 돌지만 20년 전의 모습을 복제하지는 않듯이. 추구하는 스타일이 있다면. 유럽스타일?!(웃음) 가벼운 질감의 머리를 선호한다. 과하지도 억지로 꾸미지도 않은 자연스러운 멋이 좋다. 앞으로의 계획은. 콜라보레이션을 하고 싶다. 미용실과 카페라든가 미용실과 사진작업실, 서로 영감을 줄 수 있는 사람과 협업을 통해 새로운 것을 만들고 싶어요. 그리고 샤넬이나 끌로에 같은 보기만 해도 고유성을 알 수 있는, 잇 브랜드가 지니는 고유성이 헤어에도 가능하도록 하고 싶어요.

Add. 서교동 395-21 2F Tel. 02-338-3406 Open 12:00~21:00 Price 개별문의

근데 워낙 말이 없다. 원래 성격인가. 원래 무뚝뚝한 편이다. 워낙 말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 것도 있지만 머리를 하면서 집중을 못하면 내가 원하는 방향과 손님이 원하는 방향과 다르게 나오는 경우가 있다. 정신 없으면 결과물이 좋지 않다. 그래서 할 말만 하는 편이다. 예약제로 운영되는 데 대한 불만은 없나. 예약한 손님이 최우선이다. 지나다 들르는 손님의 경우에는 시간이 비면 해주지만 그렇지 않으면 하지 않는다. 처음에는 손님들의 불만도 많았다. 그러나 이제는 손님들의 인식도 변했다. 예약을 하면 시간 엄수를 해야 한다. 늦게 오면 뒤에 예약을 잡은 사람들도 줄줄이 피해를 본다. 혼자 진행해야 하는 1인 미용실에선 어쩔 수 없는 부분이다.

Add. 서교동 363-17 Tel. 010-4931-1774 Open 11:00~20:00(일, 월요일 휴무) Price 커트: 남 1만 6,000원, 여 1만 9,000원, 펌: 남 5만~6만원, 여 7만~8만원

Cover Story


이동준의 업스커트

너에게로 또다시

“앞으로 졸업하면 뭐할 거예요?”

급성장을 했단 사실을 우연히 알게 되었다.

대학졸업을 앞두고 취업을 해야 할지 대학원에 진학해야 할지 아직

얼마 전 상수역 근처에 사무실을 얻어서 다시 홍대앞으로 돌아가려고

결정을 못 내린 채 머뭇거리고 있을 때였다. 그 당시 여자친구의

계획을 세웠다가 몇 가지 구질구질한 절차상의 문제 때문에 무산이

엄마가 던진 첫 번째 질문이었다. 졸업하면 뭐할 거냐고. 갑자기 모든

되고 말았다. 그리고 문득 그때 나를 다시 받아주지 않았던 점쟁이

게 현실로 다가오기 시작하면서 마음이 조급해졌고 때마침 과사무실

사장님을 오랜만에 떠올리면서 이런 의문이 생겼다. ‘어쩌면

앞에 독일어특기자 채용공고가 나붙었다. 마음은 진학 쪽으로

‘홍대앞’이라는 거대한 인격체가 나를 받아주지 않은 건 아닐까?’

굳어가고 있었지만 그래도 혹시나 하는 마음에 찾아간 곳은 규모가

하루에도 수만 명의 인파가 몰려들고 밤이 되면 또 썰물처럼

작은 신생 애니메이션제작사였다. 수출입 업무 때문에 언어권별로

빠져나가는 홍대앞에도 분명 주인이 있고 생명이 있고 인격이 있다.

특기자가 필요한 회사였다.

그 ‘홍대앞’이라는 거대한 인격체가 한번 마음이 떠났던 나를 너무

면접은 사장님과 독대로 진행이 되었는데 의례적인 절차는 생략한

했지만 결국 난 다음날 출근을 하지 않았다.

쉽게 다시 받아주기 싫었던 건 아닐까?

채 다짜고짜 사장님이 첫사랑 얘기를 꺼냈다. 그 무렵에 당신은

그렇게 한 달쯤 지났을까. 집안형편이 갑자기 더 나빠지기 시작하면서

자길 버리고 떠났던 사람이 어느 날 불쑥 나타나서 무릎 꿇고

가난한 대학생이었으며 여자친구 부모의 반대로 결국 헤어지고

아무래도 진학은 무리라고 생각하고 여기저기 취업원서를

꽃다발을 건넨다고 덥썩 다시 손을 잡아주는 그런 애인은 재미없다.

말았다. 이후 대기업에 입사해서 임원까지 진급했지만 독립해서

들이밀면서 그때 그 회사가 자꾸만 눈에 밟혔다. 규모는 작지만

그럼 그렇지, ‘홍대앞’이라는 ‘애인’이 결코 그렇게 만만할 리가 없지.

이렇게 사장이 되었고 그때 그 여자친구는 결국 유복한 집안의

사장님과 함께 회사를 키워가는 것도 좋겠단 생각이 들었다.

결국 난 사무실을 다시 알아보려던 계획을 잠시 뒤로 미루고 내 진짜

남자와 결혼했지만 그 남자는 아직도 대기업의 사원으로 일하고

결국 난 자존심을 꺾고 다시 연락했다. 지금이라도 다시 받아주실

속마음을 들여다보고 있다.

있다고 했다. 더 이상의 면접 같은 건 없었다. 마음이 있으면 내일부터

수 있냐고 물었지만 한 직원이 사장님의 전언이라며 아직 사람을

출근하라는 얘기를 듣고 회사를 나오면서 고개를 갸우뚱거렸다. ‘저

뽑지는 않았지만 한번 마음이 떠났던 사람은 받아줄 수 없다는 뜻을

사람 점쟁이 아냐?’

공손하게 전달해주었다.

여자친구의 엄마가 던진 두 번째 질문은 “아버지 뭐하시는

결국 우여곡절 끝에 대학원에 진학하고 유학까지 가게 되었지만

분이냐”였다. 그녀의 부모는 많이 배우고 잘사는 사람들이었고

내 마음속의 앙금은 이후에도 쉽게 가라앉지 않았다. 믿음을

이동준_번역가이자 칼럼니스트이며 북세븐틴 에이전시의 대표다. 베를린에서 8년,

내 부모는 많이 배우지 못했고 가난했다. 내 처지를 꿰뚫어본

저버렸다는 죄책감, 번복을 하고 다시 무릎을 꿇었던 내 모습, 둘 다

여전히 각별하다. 《베를린 코드》 《연애를 인터뷰하다》 《위트상식사전 스페셜》

사장님에게 탄복한 나머지 잠시 취업 쪽으로 계획을 수정해보기도

맘에 들지 않았다. 그리고 몇 년 후, 그 회사가 꽤 규모가 큰 회사로

Old People

H

홍대앞에서 4년을 살았다. 지금은 이태원 주민이지만 홍대앞에 대한 애정만큼은 《홍대앞으로 와!》(엮음) 같은 책을 썼다.

견뎌내니 지금은 인디밴드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인디음반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고 한다.

미화당레코드 장미애 사장

가게를 찾는 사람들은 여전히 10~20대이지만 시대별로 주요

길을 걷다 발걸음 이 멈추 는 곳

고객들의 분포는 조금씩 차이가 있다. “아무래도 80년대에는 대학생들이 많았죠. 그러다 서태지와 같은 아이돌이 나오기 시작한

90년대 중반부터는 10대 청소년들이 많이 오기 시작했어요”라며 여고생들이 좋아하는 가수의 브로마이드를 선점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찾아왔다고 한다.

90년대에 학교를 다닌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녀와 90년대 레코드가게 이야기를 하다 보니 절로 여고생 시절로

레코드 가게에 대한 추억 하나씩은 가지고

돌아가는 듯하다. 공테이프 사서 라디오에서 소개되는 노래

있지 않을까. 좋아하는 가수의 앨범 발매일에

젊은이들이 가장 많이 찾는 홍대는 빠르게 변하는

녹음하던 거며, 선물할 노래 테이프를 만들기 위해 리스트를 만들어

맞춰 아침 일찍 레코드 가게에 들르거나

세월만큼이나 오래된 것들이 남아 있기 힘든 곳이다. 29년

레코드가게에 부탁하던 추억들. “나도 그때는 엄청 녹음했어요.

대형 브로마이드를 먼저 선점하기 위해

동안 한자리를 지킨 레코드가게 ‘미화당 레코드’는 그래서

턴테이블에 LP 올려놓고 하루 종일 한 적도 있다니까요. 하루에

주인 아저씨와의 친분을 유지한다거나 했던.

더 눈길이 간다.

5개를 만든 적도 있었죠.” 테이프 길이에 맞게 정확히 노래를

친한 친구 생일에는 최신 노래 리스트를 만들어 레코드 가게에서

29년 전, 처음 이곳에 레코드가게를 열려고 마음을 먹었을 때의

안배하는 일은 기술이 필요하다고 농담처럼 말한다.

녹음을 하기도 했다(물론 불법이긴 했지만 말이다). 물론 최고의

홍대앞은 시장이 있고 가정집이 즐비하던 곳이었다고 말하는

지금도 대형 포스터를 가지러 오는 손님들이 꾸준한데 요즘은 특히

하이라이트는 길을 걷다 레코드가게에서 흘러나오는 노래들이었다.

장미애 사장(54세). 25세에 레코드가게를 열어 지금까지 운영하면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한국 가수들의 브로마이드를 얻기 위해 종종

지금 생각에는 여기에도 주인의 마케팅 전략이 있었던 게 아닌가 할

80년대부터 10년 단위로 세 번의 변화를 겪었다. “가장 크게 변한 건

가게를 찾는다고 한다. “한국 가수 브로마이드를 얻기 위해 들어오는

만큼 그 시절 유행하는 노래와 날씨에 맞는 적재적소의 노래들이

LP에서 CD로 변환된 90년대 말이죠. 그때가 가장 큰 변화였던 것

외국인들을 보면 한류를 실감해요.”

흘러나왔다. 지금처럼 인터넷이나 대중매체를 통해 자신이 좋아하는

같아요”라며 덤덤하게 이야기한다.

그녀의 가게를 찾았던 어렸던 단골들이 자라 지금은 따로 만나 밥도

노래를 언제 어디서나 들을 수 있는 시대가 아니었기에 더욱 그렇게

그녀에게 2003년부터 몇 년 간은 힘든 시기였다. MP3가

먹는 사이가 되었다는 그녀. 음악을 좋아하는 마음 하나로 시작한

느꼈을 것이다.

대중화되면서 테이프나 CD가 아닌 인터넷을 통한 음원 구입이

일이 어느덧 평생 직업이 되었다. 그동안 힘든 일도 많았지만 그래도

Cover Story

이처럼 아련한 추억을 간직한 레코드가게들이 점점 사라지고

일반화되면서 사람들이 더 이상 레코드가게를 찾지 않게 된 것이다.

여전히 지금의 일이 좋다는 그녀를 앞으로도 이 거리에서 계속 볼 수

04

대형서점이나 인터넷으로 음반이나 음원을 구입하는 요즘, 특히

“그때는 무조건 버티자는 생각밖에 없었어요(웃음)”라며 그렇게

있기를 희망해 본다.

H

글・사진 | 하정희 객원에디터

2011.11. Vol. 30 홍대앞 로컬 문화 매거진 <스트리트 H>

05


그들의 공간이 궁금하다

TYPE.PAGE 박우혁 & 진달래

안 녕 한 세 상 을 보 관 하 고 싶 은 디 자 이 너

《스위스디자인여행》으로 유명한 디자이너이자 타이포그래퍼인 박우혁이 상수동 시대를 열었다. 이전 두 달 만에 전시회를 열며 홍대에 ‘신고식’을 치른 그의 요즘이 궁금하다.

《스위스디자인여행》 출간 그후 타이포그래퍼이자 그래픽디자이너인 박우혁. 홍익대 시각디자인학과를 졸업하고 2002년 스위스 바젤 디자인대학교로 유학을 떠난 그는 유학생활과 스위스 디자인의 전반을 담아낸 ‘노란책’을 펴내 주목받았다. 2005년에 선보인 《스위스디자인여행》은 그동안 미답지였던 스위스 디자인에 대한 길라잡이이면서 동시에 ‘디자이너의 글쓰기’라는 영역을 한 걸음 더 확장한 결과물로 평가받았다. “왜 스위스였느냐고 묻는데, 단순했다. 타이포그래피를 할 생각이었고 그곳이 유명한 곳이니까. 또 그때까지 아무도 가지 않았기 때문에 간 거다. 남들 다 하는 건 싫다는 생각이 강했으니까.” 학부시절, ‘한글꼴연구회’ 활동을 하며 디자인상을 받기고 했고 이미 2년차의 경력 디자이너였던 박우혁은 바젤에서 새롭게 타이포그래피에 눈을 뜬다. 한국에서 했던 자신의 작업이 대부분 감성적 접근과 즉흥적이었다면, 이후 그의 작업은 텍스트에 기반한 이성적 접근으로 바뀐다. “글쓴이가 풀어낸 말이나 글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는가에 따라 타이포그래퍼의 작업은 완전히 달라진다.

따라 그때그때 작업할 뿐이지…. 사실 4~5년 전만 해도 ‘한글,

전보경이 함께 작업한다.

텍스트나 글 내용에 따라 글자도 형태가 달라져야 하는 것이다.”

한글’만을 특별하게 여기는 듯한 분위기가 싫어서 피해 다녔다.

여백을 위해 작업공간을

그래서 그는 ‘모든 디자이너는 타이포그래퍼여야 한다’고 말한다.

한국적인 것을 의도적으로 피해왔던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더 이상

희생(?)시킨 독특한

텍스트를 이해하지 않고는 타이포그래피가 제대로 될 수 없다는

피할 것도 없는 것 같다.”

구조다.

것이다.

디자이너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모색의 시기여서일까. 그는 요즘

공간을 디자인한

유학시절 영화 홍보 디자인회사 ‘꽃피는 봄이 오면’과 진행했던 그의

‘누구를 위한 디자인인가’ 하는 부분을 다시 질문하고 있는 모양이다.

진달래는 “사무실이

타이포그래피들은 많은 영화 포스터를 장식했다. 영화 <시월애>를

‘나만을 위해서 디자인해온 작업물에서 남을 위한 디자인, 즉 남을

가진 독특한 구조를

시작으로 <파이란>, <오아시스>, <생활의 발견> 등 10편 넘게

공감시킬 수 있는 디자인으로 나가야 하지 않나’라는 고민을 그는

최대한 살리고 싶었다. 여백을 극대화하고 창고나 책장도 반투과

영화제목 타이포그래피 작업을 했고, 이내 ‘박우혁 표’라는 눈도장을

앞서 <지콜론>과의 인터뷰에서 내비쳤다. 그런 관심은 그가 만드는

형식으로 해 공간이 트여 보이게 만들어 호기심을 자극하자는

받았다. “이젠 잘하는 이들이 넘 많아서 나한테까지 기회가 잘 안

비정기 신문 <아카이브안녕> 1호에 드러나 있다. ‘김진숙과 크레인

의도다”라고 설명한다. 독특한 쌓음새가 눈길을 끄는 책장은

온다”고 겸손해하지만 대신에 그의 작업은 북디자인으로 확장됐다.

85호’의 내용을 격문처럼 만든 이 신문은 강렬한 타이포로 호소력을

‘길종상가’ 박길종의 작품이다.

《너도 떠나보면 나를 알게 될 거야》, 《작업실 탐닉》, 《우리 시대의

자아낸다.

상수동 시대를 열며 그들은 ‘아카이브안녕’이란 이름의 프로젝트를

장인정신을 말하다》 등의 책이 그의 손끝에서 탄생했다.

진행중이다. ‘아카이브안녕’은 프로젝트의 이름이며, 사무실의

상수동 시대를 열다

이름이기도 하고, 동시에 신문의 이름이기도 하다. 마음 가는 대로,

도리어 ‘스위스’를 앞세우지 않은 고집

박우혁이 홍대앞으로 돌아왔다. 아마도 10년 만이다. 가회동에 이어

관심 가는 대로 수집・보관하고 싶은 ‘아카이브’의 대상을 발견할 때

박우혁은 남보다 앞서 스위스 디자인을 접했지만 귀국해 작업할

집과 가까운 서초동에 작업실을 차렸던 그가 이곳으로 온 이유는

그들은 움직인다. 그 결과물인 <아카이브안녕>을 2회 발간했고, 지난

때는 ‘바젤 스타일’을 트레이드마크로 내세우는 걸 거절했다. 배워온

한마디로 줄인다면 ‘회귀본능’쯤 될까.

10월에는 전시회 ‘치유의 원칙’을 이곳에서 열기도 했다.

것에서 더 멀어지려고 노력했다. 쉬운 길을 가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

“서초동 구석에 박혀 일을 하다 보니 외로웠다. 어디로 갈까 고민하다

“그동안 마음에만 담아두고 못했던 것들을 해보고 싶다. 갤러리를

손해도 봤지만 박우혁은 자신이 택한 길이 맞다고 본다.

보니 역시 홍대밖에 없었다. 상수동 작업실로 옮긴 후 2년 동안 못

활용한 전시회도 하게 될 것이다. 어떤 재미있는 일을 해보게 될지

“요즘의 대세는 더치 디자인이다. 너나 없다. 특정 스타일만 유행하는

만났던 사람을 다 만나보자 했다. 그런데 생각해보니 거의 하루 만에

나도 모르겠다.” 여러 사람을 만나고, 여러 곳을 돌아다니면서

게 우리에게 어떤 도움이 될까? 디자인의 세계에서는 다양성이

다 만나게 되더라(웃음).”

박우혁이 또 다른 아카이브할 대상을 찾아낸다면 좋겠다. 디자이너

중요하다고 본다.” 요즘 그는 다시 한글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고민이

그의 작업실은 갤러리를 겸하고 있다. 문을 열고 들어서면 광활한

1인의 자족적 발산에 머물지 않고 우리에게 말을 걸어오면 좋겠다.

많다고 했다. ‘타이포그래피의 보편성’에 천착해왔던 그의 전적을

빈 공간이다. 깊숙한 안쪽에 들어가야 콤팩트하게 자리잡은, 마치

하나만 욕심을 덧붙인다면 그가 두 번째 책을 꼭 내주었음 하는

생각하면 의외다. “라틴 타이포그래피와 달리 한글 타이포그래피는

카페의 커뮤니티 테이블 같은 책상을 만나게 된다. 이 테이블에서

것이다. 디자이너의 매혹적인 글쓰기에 다시금 빠지고 싶다.

아직 제대로 정립되어 있지 않다. 대개의 디자이너가 경험과 안목에

그와 디자이너이자 작가 진달래, 그리고 사무실을 공유하는

H

글 | 정지연 사진 | 장성환

Open Studio StH_11_Open&Music_OK.indd 6

2011.11.21 1:18:32 PM


방방곡곡房房曲曲  08

날마다 색색의 재즈꽃을 피우다

클 럽 에 반 스

C L U B

E V A N S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 했다. 결코 짧지 않은 이 긴긴 세월, 묵묵히 또 열정적으로 자릴 지킨 주인공이 있다. 바로 올해 9월, 영광의 10주년을 맞은 ‘클럽에반스’가 그 주인공이다. 지난 9월

20일부터 10월 1일까지 무려 12일 동안 펼쳐진 10주년 기념공연은 전제덕밴드, 말로밴드, 서영도일렉트릭밴드 등 기존의 유명 밴드들을 비롯해 라벤타나, Crystal Rain 등 클럽에반스의 레이블인 <에반스뮤직> 소속 뮤지션들도 대거 참여하며 가을밤을 수놓았다. 그 뜨거운 재즈의 열기가 아직 가시지 않은 11월 초의 어느 밤, ‘클럽에반스’를 찾았다. 흔히 ‘홍대’를 생각하면 자연스럽게 ‘밤의 문화’가 떠오른다. 그것은

미국 안에서도 이런 새로운 변화가 일고 있다고 한다. 즉 재즈라는 장르 역시 정체하지 않고 끊임없이 진화하며 스스로 창조적인 가능성을 시험

주로 ‘춤’과 ‘록’이 지배하는 문화다. 하지만 홍대의 밤을 수놓는 또

중인데, 홍대 재즈의 메카인 에반스도 이를 위해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선배 연주자를 긴장시킬 만한 실력파 신인 뮤지션들 발굴에 열을

다른 장르는 바로 ‘재즈’다. 클럽에반스가 태동한 2001년 무렵의

올리는 것이다.

홍대는 그야말로 재즈의 불모지였으나, 현재 ‘클럽팜’ 등 세 곳의

한편 이와 같은 의지의 연장선에 있는 게 클럽에반스의 레이블인 <에반스뮤직>이다. 특히 여기에 소속된 ‘라벤타나La Ventana’의 경우,

재즈공연장이 더 생겨났다. 즉 에반스는 홍대란 지역이 장르적

‘한국의 그래미상’을 표방하는 제8회 ‘2011 한국대중음악상’ 시상식에서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크로스오버음반상’을 수상했다.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활기를 불어넣은 일등공신이라 할 수

크로스오버재즈(탱고재즈)를 하는 라벤타나와 함께, 애시드재즈의 Crystal Rain, 일렉트로닉힙합재즈를 구사하는 쿠마파크Kuma Park 등

있다. 그리고 그 ‘활기’는 젊은 연주자들의 에너지로부터 나온다.

에반스뮤직은 여러 장르의 재즈를 아우른다. 재즈뿐 아니라 펑크록 중심의 ‘슈퍼8비트’나 어쿠스틱 사운드를 표방하는 ‘수상한 커튼’도 소속되어

클럽에반스는 대학로의 ‘천년동안도’나 이태원의 ‘올댓재즈’에 비해

있는 만큼 <에반스뮤직> 또한 ‘다양성’을 향해 활짝 열린 공간임을 알 수 있다. 레이블과 녹음실을 동시에 운영하며 질 높은 음악들을 꾸준히

상당히 ‘젊은’ 편인데, 이는 에반스가 ‘신인등용문’의 역할을 도맡고

앨범으로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 음악의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크리에이티브한 젊은 연주자들은 이곳을 발판삼아 꿈을 펼친다.

있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는 그들의 꿈의 현장을 직접 목격하는 일만 남았다. 사실 재즈는 장르 특성상 ‘연주자’ 중심의 음악이다. 그런 재즈를 더욱 적극적으로

“매년 실용음악과 학생들을 포함해 많은 신진 연주자들이 발생한다.

즐기기 위해선 무엇보다 ‘라이브’로 듣는 경험이 중요하다. 현장감을 충분히 느끼며 연주자와 관객은 서로 에너지를 교류하고 눈빛을 교환한다.

그런데 정작 이들이 설 수 있는 무대는 지극히 한정적이다. 실력이

이는 마치 ‘무언의 대화’와 같다.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단지 경력부족으로 연주할 기회조차 얻지

물론 재즈를 ‘난해한 비주류 음악’이라고 생각하는 편견도 여전히 남아 있다. 여러 매체들에 비친 재즈는 ‘상류층이 향유하는 고급문화’의 인상도

못하는 상황이 안타까웠다. 그래서 본격적으로 보석 같은 신인 발굴

준다. 그러나 알다시피 재즈는 흑인들이 시작한 서민적인 음악이다. 재즈도 다른 음악과 마찬가지로 듣다보면 좋아지는, 일종의 ‘편안함’을

프로젝트를 하기로 했고, 그 결과 ‘에반스플레이어’가 탄생했다”고

선사한다. 무조건 어렵다고 밀쳐둘 것이 아니라 일단 한 번 가벼운 마음으로 들어보자. 재즈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을 위해 클럽에반스의

레오 실장은 말한다.

주말은 초보자들도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대중적인 재즈를 선보인다. 또 연인들이 주로 찾는 일요일의 경우, 보컬재즈 중심의 ‘ 달달한 곡’들이

에반스플레이어 프로젝트는 3개월에 한 번씩 메인스트림

연주된다. 누구든지 쉽게 다가설 수 있고, 매일매일 다른 연주자가 들려주는 다양한 음악이 흐르는 공간, 에반스. 날마다 색색의 재즈꽃을 피우는

재즈키드를 정통재즈 연주자로 양성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장르의

이곳에서 가을밤의 꿈을 꾸는 건 어떨지. 클럽에반스 Tel. 02-337-8361 Web www.clubevans.com

H

글 | 이제하(객원에디터)

영역을 넓히기 위해 다채로운 장르의 재즈를 선보이는 연주자들을 위한 ‘보물찾기 프로젝트’도 있다. 현재 불규칙한 이 프로젝트 역시

또한 매주 월요일에는 ‘슈퍼잼데이’가 열린다. 신인 연주자들끼리

재즈인의, 재즈인에 의한, 재즈인을 위한 패밀리 에반스패밀리EVANS FAMILY

자유롭게 잼 공연을 펼치는 자리다. 9시부터 시작되는 1부 공연은

YG패밀리를 능가하는 엄청난 패밀리가 탄생했다. 바로 클럽에반스・에반스뮤직을 아우르는 신개념의 커뮤니티인 ‘에반스패밀리’가 그것.

기성 연주자들의 무대로 채워지고, 2부 공연부터 본격적인 잼 세션이

올해로 10주년을 맞은 홍대 재즈의 메카 ‘클럽에반스’, 재즈를 넘어서 다채로운 장르의 음악으로 새롭게 도약하는 레이블 ‘에반스뮤직’의

펼쳐진다.

아티스트와 에반스의 음악팬들을 잇는 커뮤니티가 곧 에반스패밀리다. 10년간 3만 명의 회원이 누적된 기존의 사이트가 단순히 공연정보를

에반스는 또한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다양성’의 공간이다. 이곳은

가장 빨리 접하는 통로였다면, 새롭게 거듭난 에반스패밀리를 통해서는 뮤지션과 팬들 간의 소통이 보다 직접적이고 원활해질 것으로 기대되고

정통재즈만을 고집하지 않는다. 퓨전재즈, 펑키재즈, 애시드재즈

있다. ‘FROM EVANS’에선 에반스 소식 및 뉴스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TO EVANS’를 통해 듣고 싶은 커버곡이나 오리지널곡을 신청하면

등 재즈라는 이름의 세분화된 카테고리를 모두 수용하고 이를

‘EVANS TV’에서 업로드된 영상을 즐길 수 있다. 평소 ‘모니터링’이 절실한 뮤지션들은 에반스패밀리로 보다 신랄한 비평을 받을 수 있고, 팬과의

Live Music

앞으로 정기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그는 밝힌다.

적극적으로 소개하려 애쓴다. 편협하게 하나의 장르에만 매몰되지

소통뿐 아니라 타 장르를 하는 음악인과의 교류 또한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아티스트뿐만 아니라 팬들 간에서도 흥미진진한 융합이 기대되는

06

않는 ‘유연함’이야말로 에반스의 강점 중 하나이다. 재즈의 본고장인

에반스패밀리. 오늘은 누구에게 어떤 곡을 신청해볼까?

H

글 | 이제하(객원에디터)

07 2011.11. Vol. 30 홍대앞 로컬 문화 매거진 <스트리트 H>

StH_11_Open&Music_OK.indd 7

2011.11.21 1:18:49 PM


누 구 하 고 도 닮 지 않 은 예 술 서 보 만 의 예 술 박 서 보 화백

‘살아 있는 현대미술’. 박서보 화백의 이름 앞에 즐겨 붙는 말

시놉시스를 보고 홍콩의 한 출판사에서 관심을 보여서 사진과 도록도 챙겨

감격적이었네. ‘오랫동안 기다렸던 예술이 드디어 나왔다. 저 위대한

이다. 지난해 팔순을 넘긴 박화백은 여전히 성산동 부근의 작

보내야 한다고.”

노구치 이사무와 브랑쿠시 이후에 박서보가 나왔다’라고 했었지.”

업실 서보 파운데이션으로 출근을 하며 젊은이 못지않은 작

그의 말마따나 책상 위엔 해외로 보낼, 중국어와 영어로 쓰인 수많은

박화백은 자신의 회화를 ‘미니멀리즘’으로 치부하는 건 잘못 본 것이라고

업량을 과시한다. 한국 현대미술이 걸어온 60년 세월을 오롯

우편물들이 빼곡했다. 그는 컴퓨터를 다루지 못하기 때문에 일일이 손으로

못박는다. 서양의 미니멀리즘이 컨셉트를 드러내는 방편으로 택한

이 몸 안에 담고 있는 그는 여전히 전방에서 활약하는 ‘현역

쓰는 터라 시간이 더 걸린다. 60년 넘게 쉬지 않고 작품활동을 벌여온 그의

단순화라면 자신의 작품은 반복되는 과정을 통해 생각을 비워내고 종국엔

작가’이다.

사무실 안에는 도록이며 자료가 빼곡히 차 있었다.

‘나를 비워내는 과정’을 거친다는 것이다. 그림은 그 결과물에 불과할

박화백은 2002년 영국 테이트갤러리와 2008년 뉴욕 아리리오 갤러리에서

뿐이라는 것이다.

개인전을 열었다. 국내에서는 팔순을 맞은 작년 국제갤러리에서 대규모의

비워내는 과정

여든을 넘긴 박서보 화백의 기백은 여전히 청년 못지않았다. 재작년

개인전을, 그리고 1991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대규모 회고전과

배울수록 우리 것은 무엇일까를 고민하게 되더라고. 동양고전을 보다가

뇌경색으로 쓰러져 신체의 왼쪽이 부자유스럽다지만 하루 10시간 이상씩

2008년 한국구제아트페어KIEAF 개인전과 경기도 미술관(2007년),

깨우쳤지. 담는 거보다 비워내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박화백의 흰 눈썹이

작업에 매달린다. 아침과 저녁만 한 공기의 밥으로 식사를 하고 점심은 늘

샘터화랑(2005년) 등에서 전시회를 열었다. 2007년 싱가포르 미술관의

꼿꼿하게 섰다.

거른다는 그는 아침 10시 경이면 작업실에 나와 일을 본다.

‘코리아페스티벌 한국현대미술전’과 뉴욕에서의 개인전을 통해 그는

그의 작품은 흔히 모노크롬회화라 부르는 분류에 들어간다. 그런데 전기와

해외에서 인정받는 작가로 우뚝 섰다. 특히 뉴욕전 이후 해외에서 그를

후기가 느낌이 다르다. 1989년을 기점으로 후기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은

찾는 러브콜이 부쩍 늘었다고 한다.

한지를 쓰는 것이다. 두 달 동안 한지를 물에 적셔서 담가놓고 그 적신

“할 일이 너무 많아. 내후년엔 국립베를린현대미술관에서 대규모 개인전을 열기로 해서 그 준비가 한창이야. 해외에서 온 관계자들과 미팅을 해야 해. 아직 공표하기엔 이르지만 우리 현대미술에 엄청난

“뉴욕 전시 때 영국의 한 방송국이 나와 인터뷰한 후 웹사이트를 만들어 내

상징적인 사건이 될 거 같아. 또 싱가포르의 교포가 쓴 내 영문 자서전

작품과 인터뷰를 모아서 소개했는데 그 반향이 엄청났어. 그중 한 댓글이

StH_11_ThinkTalk_OK.indd 8

“서양의 현대미술을

한지를 캔버스에 여러 장 바른 후 뭉툭한 연필로 계속 그어대면 골이 생긴다, 이를 반복하는 것이다. 이른바 ‘묘법描法’ 시리즈다.

2011.11.21 1:20:6 PM


정지연이 만난 사람 22

박화백은 한지를 쓰는 이유에 대해 “내 작업은 한지가 자기 신체를 드러내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종국엔 한지는 물감과 합일을 하게 되지만, 그 매개점이 되는 선과 선 사이, 즉 골을 중요하게 봐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시종일관 당당한 자세와 어조로 “다른 작가와 다른, 박서보만의 것을 보여줘 왔기 때문에 날 주목하는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치던 박화백은 “예술이란 작게는 개인의 경험을 전달하는 것이지만 크게는 시대의 산물 아니야? 너무 빠르고 너무 쉽게 변하는 21세기 디지털의 시대에 현대인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를 예술은 감당하고 치유해줘야 한다고 생각해. 내 작품은 현대인들의 불안을 ‘흡착지’처럼 빨아들여 고요하게 만들어준다네”라고 조용하게 말했다. 그것이 바로 서양이 지금 박서보를 주목하는 이유라는 것이다. “이제까지의 미술은 그림 속에 잔뜩 작가의 소리를 집어넣어놨어. 그것도 일종의 폭력이라고. 예전엔 감상자들이 기꺼이 그걸 받아들였지만 이젠 달라. 스트레스로 전지구가 정신병동이 되어가는 디지털의 시대에 예술이 할 역할을 고민해야 하지 않을까.” 박서보는 1931년 경북 예천에서 태어나 1954년 홍익대 회화과를 졸업하고, 1962년부터 1997년까지 홍대 미대 회화과 교수, 1986년부터

1990년까지 미대학장을 역임했다. 그는 ‘한국현대미술의 현신’이지만 또한 홍대가 세계 속의 미대로 나아가는 기틀을 만든 주인공으로 꼽힌다. 그래서 퇴임한 지 오래이지만 지금도 그는 제자들로부터 “학장님”으로 불린다.

예술은 치유

대학교 4학년 때 고루한 화단에 대항하여 ‘반국전

운동’을 펼쳤을 만큼 앞서갔던 박서보는 홍대 교수로 임용된 후에도

홍대 정문 앞의 아파트 있던 자리가 당시엔 미성소주 공장이었거든.

그러나 박화백은 작품을 내놓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국내 화랑 중 그의

‘담임제’ 교실에 맞서 학생들이 교수를 택할 수 있는 ‘교실제’를 주장해

놀이터 부근 매운탕집에서 음식을 배달시켜서 학생들이랑 자주 소주를

작품을 보유하고 있는 곳은 손꼽을 정도. 침체된 국내 미술시장이 제값을

파란을 일으켰다. 이 일로 학교에서 미운털이 박혀 내쳐졌다가 3년

마셨지.”

쳐주기 전에는 절대 헐값에 작품을 넘기지 않겠다는 것이다.

후 다시 홍대에 복직했다. ‘고집 센 풍운아’ 박서보는 보수적인 학교

크고작은 사건과 홍대에 “징글징글하다”고 애증을 드러내면서도

측과 크고 작은 마찰을 빚었지만 그가 미술대학 학장을 맡았던 4년은

박화백은 홍대 미대의 발전을 위한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아마 홍대

싶다는 콜렉터의 문의를 전하면 내가 도록이나 작품 이미지를 전달해요.

예술학과, 판화과가 신설되는 등 그 어느 때보다 홍대 미대가 눈부시게

재단이 사학재단 중 재정이 탄탄하기로 첫손에 꼽힐 걸. 그런 건 잘했다고

고르라고 말이지. 난 안 팔 거야. 갤러리에 죽 그림을 걸어두면 값어치가

발전한 시기였다.

보지만 이젠 학교 이미지를 위해 투자를 좀 했으면 좋겠어. 특히 미대를

떨어진다고.” 그러면서 그는 중국시장을 언급했다. “아뜰리에가 그렇게

발전시켜야 홍대가 크는 법이라고.”

큰데 작품이 없는 거야. 작품이 있으면

주장했지. 박사과정을 만들자니까 당시에 다들 그러대. ‘미술에 박사가

박서보 미술재단이 있는 서보 파운데이션 건물은 성산동에 위치해

그림값 떨어진다고 하대. 열심히 그림만

어딨느냐?’고. 파리 제8대학부터 온갖 자료를 만들어서 겨우 설득했다고.”

있다. 노출 콘크리트와 합판으로 마감한 검정색 상자형의 외관은 다른

그려도 모자랄 판에 그게 무슨 생각이야. 중국 유명 평론가가 내 작업실을

재미난 일화가 하나 있다. 판화과를 신설할 당시, 비싼 판화과의 프레스를

건물들을 압도하며, 마치 박서보의 작품을 보는 듯 강한 정체성을

보고 그랬어. 박서보는 동양인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해봤다고.

사려면 고가의 돈이 들 것을 우려할까봐 서류상에 ‘프레스 있음’이라고

드러낸다.

중국작가들이 날 제일 닮고 싶어한다는 말도 했지.”

“시각디자인과 공업디자인과로 산업디자인학과를 분리하자는 것도 내가

일종의 ‘꼼수’를 부린 것. 인가가 난 후에 프레스 구입비를 청구하자

“나는 국내 시장엔 절대 작품을 팔지 않아. 갤러리에서 작품을 사고

작품부자

건축가 이현재가 1997년

박화백은 달변이다. 듣고 있노라면 그의 놀라울 만한 자신감에 압도될

설계한 이 건물은 내부

정도다. 그런 그에게 마지막으로 “어떤 아티스트로 기억되고 싶으냐”는

학장님 시절

몰랐다’고 시침을 뚝 뗐다는 것이다.

공간에 충분한 여백을 둔 것이 특징이다. 1층은 2층까지 뚫어 충분한

질문을 던졌다. 박서보 화백은 트레이드마크나 다름 없는 알 굵은 반지를

괄괄하고 굽히지 않는 성격 때문에 트러블도 있었지만 호쾌한 행보를

작업공간을 마련했으며, 뚫린 둘레에 침실과 사무실 등을 설치했다.

낀 손을 잠시 볼에 갖다댄 채 생각에 잠겼다. 그리고 이렇게 답했다.

보인 그를 좋아하는 이도 많았다. 특히 서교동에 ‘끄세주 화랑’을

박화백은 자신의 자화상 사진 세 점을 대형 프린트해서 1층 아뜰리에

“남들하고 전혀 달랐던 작가로 기억되고 싶네. 나는 남하고 달라지기 위해

경영하며 박서보 소품전을 기획하기도 했던 한 사업가는 당시 구청을

주변의 벽에 나란히 걸어두어 강렬한 포인트를 주었다. 또한 2층에서

그림을 그리거든. 옛날 홍익대 교수 시절, 제자들이 볼 수 있도록 작업실

찾아가 피카소거리를 ‘박서보거리’로 하자는 제안도 했단다. “우리에겐

내려다보는 아뜰리에의 모습은 곳곳에 놓인 페인트와 어지러이 흩어진

입구에 세 가지를 적어둔 말이 있어. 첫째 절대로 스승을 닮지 마라,

오늘날의 홍대를 만든 박서보가 있지 않소!”라는 주장은 현실화되지

바닥의 물감 자국이 어우려져 그야말로 한 폭의 추상화를 보는 듯하다.

역사에 부채의식을 갖지 말아라, 그리고 동료들끼리 닮지 말라고. 그림은

못했지만 그의 영향력을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또한 2층에서 바라보니 비닐을 씌운 채 차곡차곡 세워져 있는 대형

나의 수신修身이야. 수신하고 남은 결과물 이상 아무것도 아니지. 남과

62년부터 한 번도 홍대 부근을 떠나본 일이 없는 박화백은 그 옛날 홍대

작품들이 죽 보인다. 10호부터 1,000호까지, ‘드로잉만 해도 1,000

똑같을 봐에야 뭐하러 그러느냔 말인가.”

부근을 “배추밭, 호박밭이 가득했지”라고 회고했다. “비 올 땐 ‘마누라는

점이 넘고 다 합하면 셀 수 없을 정도’라는 그의 말마따나 작품의 양이

없어도 되지만 장화는 필수’라고 할 정도로 질척거리는 비포장도로였어.

어마어마하다.

H

글・사진 | 정지연

Think & Talk

난색을 표하는 재단에 대고 ‘박학장’은 ‘그게 그렇게 고물인지는 나도

08 09 2011.11. Vol. 30 홍대앞 로컬 문화 매거진 <스트리트 H>

StH_11_ThinkTalk_OK.indd 9

2011.11.21 1:20:29 PM


StH가 주목한 곳

“길게 봐야죠. 단기간에 승부가 날 건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문턱 없는 공간을 꿈꾼다

L o u n g e

그래서 조급해 하지 말자고 스태프들과 서로 다독입니다. 공간 대관 자체로 수익이 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해야죠. 그때까지는

A

부가사업을 병행하면서 운영이 매끄럽도록 해야죠.” 그러기 위해서는 대관에 대한 인식 자체가 바뀌어야 할 것 같다. 공연이나 전시 같은 거창한 것만이 아니라 스포츠중계 단체관람, 동네 반상회 같은 소소한 것들에도 대관하는, 그야말로 문턱 없는 공간이 됐을 때야 비로소 수익구조 창출도, 라운지에이를 시작한

홍대에 마을회관이 생긴다면 어떨까? 음악 연습실을 개조한

의의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일반인들의 사용이 많아져야 한다는

Lounge A(라운지에이)는 프로젝트 스페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각에 아티스트나 인디밴드 등 위주의 대관이 되지 않도록

곳이다. 이 네모난 공간에서는 인디밴드 공연, 동호회 모임, 면접에

조절하는 편이라고.

대비한 뷰티 클래스, 랩 강의, 그리고 회사 워크숍도 열린다.

라운지에이에는 소규모 공연이 가능한 무대와 회의를 위한 큰

50명을 수용할 수 있는 133㎡의 공간. 팩스와 프린터는 기본이고

테이블이 마련되어 있다. 음악 연습실을 개조한 곳이기에 작은

빔프로젝트 같은 영상장비와 빵빵한 음향장비에 노래방 기기까지

방으로 이루어진 연습실도 4개나 된다. 필요와 용도에 따라 공연장,

구비되어 있어 누구나 무엇이든 생각한 것을 그대로 펼칠 수 있는

전시장, 강의실, 회의실 그리고 놀이터로 변신이 가능하다. 1년이

장소를 대여하는 곳이 라운지에이다.

지나고 다양한 이야기가 쌓이면 책으로 묶고 싶다는 이은화 씨의

기획자이자 대표인 이은화 씨를 포함한 20대 4명이 똘똘 뭉쳐

업체하고만 진행해야 한다는 룰이 있는 것도 아니다. 짜장면을

바람대로 이곳이 홍대앞을 상징하는 문화공간으로 오래오래

‘많은 사람들이 와서 제대로 놀다가는 공간’을 만들었다. 이은화

시키는 것도 얼마든지 콜, 주류 반입도 콜이란다.

남아주기를.

대표는 “공간을 통으로 대여하는 곳을 만들고 싶었다. 음식물 반입도

이제 오픈 한 지 한 달째. 이은화 씨를 비롯해 라운지에이의

자유롭고, 공간 내 시설은 모두 이용할 수 있어 공간 사용에 제약이

스태프들이 인근의 모든 가게에 홍보 리플렛을 돌렸고 회사와 단체

없는 그런 곳을 만들고 싶어 시작했다”고 밝힌다.

등 수백 군데에 안내 메일과 전화를 돌리며 발로 뛰었다. 그결과

실제로 라운지에이는 단독 대관이 원칙인 것만 제외하면 그 어떤

11월에는 주말 예약이 모두 찼다. 땀으로 이룬 성과다. 3개월의

규제나 제약도 없다. 홈페이지에 플러스 서비스로 명시된 케이터링

예비기간을 두었던 터라 생각보다 빠른 출발이 가능해진 셈이다.

서비스는 오벤또, 타코벨, 만복국수 등 홍대 인근 가게를 일일이

레이스는 시작되었고 이제 오래 뛰기만 남았다.

찾아다니며 배달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공을 들인 덕분. 사용자의

오래 뛰기. 라운지에이를 한번 이용해본 사람들이라면 너도나도

편의를 위해서 그만큼 신경을 썼다. 그렇다고 해서 반드시 명기된

걱정하는 부분이라고 한다. 수익구조에 대해 묻지 않을 수 없었다.

H

글Ⅰ김영미 객원에디터

Add. 서울시 마포구 합정동 412-14 B1 Tel. 02-335-1202 Web www.loungea.co.kr Price 모든 대관은 팀당 단독 대관. 평일(월~목) 5시 이전, 10인 기준 시간당 20,000원 주중(일~목) 5시 이후, 20인 기준 12시까지 200,000원 주말(금~토) 20인 기준 12시까지 250,000원

동네 마실 나가다

귀에 착 감기는 아날로그 감성

L P

L O V E

Eat & Drink

아주 어릴 적에 본 적이 있다. 음악을 좋아하던 삼촌 방에 놓여 있던

“보통 외국에 나가서 사장님이 직접 구입해오십니다. 딜러를 만나기도

턴테이블과 LP를. 몇 번 들어본 적이 있다. 대학교 앞 지하 술집에서

하고 레코드 페어나 숍에서 구입해서 배로 보내죠.” LP LOVE의 오랜

자욱한 담배연기에 섞여 흐르던 선율을. 그 외에는 LP에 대한 추억이

손님이었다가 직원이 된 유지환 씨는 말한다. 유씨 역시 외상값이 많아

없다. 중학교 입학 선물로 받았던 워크맨, 첫 아르바이트비를 모아 산

일하게 되었다고 농담반 섞어 말할 정도로 LP광이다.

CDP를 거쳐 이제는 MP3 플레이어도 귀찮아 스마트폰을 통해 노래를

LP 구입시 기준이 궁금했다. 나라마다 좋아하는 음악의 취향이 다르기

듣는 우리 세대에게 LP는 낯설다.

때문에 그에 맞는 앨범을 구입해온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발라드

세상은 점점 스마트해지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우리는 정작 접해본

같은 애절한 음악이 인기가 많지만 김대윤 대표는 “내 귀에 좋은

적 없는 과거의 아날로그 감성을 그리워한다. 느리게 회전하는

음악만 소개한다”는 원칙을 세워두고 있다고. 김대표에게 추천 음악을

턴테이블에 얹힌 판 위로 바늘이 슥슥 긁히는 소음이 더해진 LP

알려달라고 하니 대뜸 날아온 답변은 엉뚱하게도 “안 듣는 게 좋다”란

음악을 듣고 싶어한다. 그 바람 때문일까. 사라진 줄로만 알았던

말이다. 듣는 순간 인생이 바뀌지만 돈이 되는 건 없고 돈만 든다는

LP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LP매장도 늘었고 곧 레코드 페어도 열릴

게 이유다. 그래도 정 듣고 싶다면 자신의 귀에 좋은 노래를 들으라고

예정이다.

조언한다. 그러다 보면 귀를 개발할 수 있단다. 같은 음악을 다양하게

최근 동교동에 문을 연 LP LOVE는 본래 명동에서 20년 넘게 운영되던

해석한 노래를 들어보는 것도 귀를 개발하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곳이다. 공기 좋고 쾌적한 장소로 이전하고 싶어서 찾은 곳이

“요즘 사람들은 편하게 듣는 법만 찾죠. 이제는 CD도 듣지 않아요. 그건

동교동이었다고 한다. 빨간 지붕과 원목으로 꾸며진 매장 안에는 1만

개인에게 손해입니다. 더 이상 앨범을 사지 않는 대중들이 많아지면

장 넘는 LP가 팝은 뮤지션별로, 클래식은 심포니, 관현악, 바이올린,

제작자는 돈 되는 노래만 만들어 들려줄 뿐이죠.” 김대윤 대표의

첼로, 피아노 등 소장르별로 잘 분류되어 있다. 창고에 보관하고 있는

지적이다. LP는 듣지도 말고, 모으지도 말라면서도 그의 목소리엔

LP도 수천 장이라고 하니 그 수가 어마어마하다. 라이선스 앨범도

애정이 가득하다.

있지만 각 나라에서 발매한 원판이 주를 이룬다. 어떻게 이처럼 많은

w듣다 보니 이런 의심도 든다. 혹시 세상의 모든 LP를 자신들만

앨범을 한자리에 모을 수 있었던 걸까.

즐기려는 꼼수는 아닐까 하는.

StH_11_Eat&Food_OK.indd 10

H

글Ⅰ임은선 객원에디터

Add. 서울시 마포구 동교동 201-41 Tel. 02-318-8255 Open 12:00~20:00 Web www.LPLOVE.com

2011.11.21 1:21:50 PM


이야기가 있는 먹거리 04

만화 <심야식당> 속 카레

단 순 히 시 간 이

차 가 운 것 이 아 닌 숙 성 시 켜 주 는 맛

び 2호점

가끔씩 입맛이 떨어질 때면 어린 시절 어머니가 냄비 가득 끓여서 온가족이 둘러 앉아 먹던 카레라이스가 생각난다.

아비꼬

큼직큼직하게 썰어진 야채가 가득한 카레를 뜨거운 밥 위에 한 국자씩 담아 올리면 피어오르는 김과 함께 코끝을 행복하게

오사카식 카레. 잘게 썬 아삭한 대파와 구운 마늘후레이 크가 기본 제공된다. 5가지 매운단계가 있는데 1단계도 꽤나 맵게 느껴진다. 밥과 소스 무료 추가.

간지르던 카레향. 왠지 당시의 유행 TV 만화영화 <신밧드의 모험> 속의 신밧드와 향신료를 떠올리게 만들곤 했다.

서교동 356-34 / 02-323-0167 / 기본카레라이스 5,000원

카레라이스는 어쩌면 내게는 최초의 이국적인 음식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이후로 친구 생일상에도 등장했고 선배들과 산에 올라 코펠에 끓여서 둘러 앉아 즐겁게 먹던 것도 카레였다. 퍽퍽한 군대생활에서도 카레라면 무조건 반가웠다. 그만큼 나뿐만 아니라 모두가 즐기는 ‘국민음식’이라 일컬을 만한 것 중 하나가 카레였다. 카레는 그 유래에 대해 다양한 설이 있지만 오늘날 우리가 즐겨 먹는 형태의 카레는 메이지시대에 영국에서 일본으로 건너가 발전하였고 국내에는 한일합방 시기에 들어오게 되었다고 한다. 70년대 이후 오뚜기에서 분말형 카레를 보급하면서 인기 메뉴로 정착하였다. 야채를 볶다가 물 또는 육수를 붓고 분말을 풀어 넣기만 하면 되는 간단한 요리법 때문에도 사랑받았다. 가끔 주말이면 느즈막하게 일어나 허기진 배를 달랠 메뉴를 찾다가 전날 푸짐하게 끓여 먹고 남은 카레가 차갑게 식은 채로 냄비에 적당히 남아 있는 것을 발견할 때만큼 기쁠 때도 없다. 코끼리표 보온 밥통에서 따스한 밥을 퍼담고 그 위에 다시 데우지 않은, 절대로 데우면 안 되는 차가운 카레를 얹어 먹는 즐거움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자랑할 만큼 화려한 식사는 아니지만 소소하고도 나름의 깊은 맛을 주는 혼자만의 메뉴다.

델리 DELHI

혼자이니 거창하게 차릴 필요도 없고 그렇다고 라면처럼 인스턴트도 아닌 나름의 요리(?)란 말이다. 차가운 소스와 따스한 밥의 조화는 내가 좋아하는 궁합이다. 차가운 국에 따스한 밥도 좋다. 어쩌면 그 반대도 좋다. 뜨거운 국물에 차가운 밥도 좋다. 이렇게 은밀한 즐거움인 차가운 카레에 대한 만화가 있다. 2008년부터 국내에 번역 발간되기 시작한 만화 <심야식당>이다.

당근, 감자가 들어간 보편적인 느낌의 카레. 80년대 말 압구정동에서 명성을 날렸던 델리가 본점이라고 한다. 예전의 맛을 떠올리기엔 다소 흐릿하다. 4가지 매운단계 선택. 밥과 소스 무료 추가. 서교동 338-39 / 02-3141-7535 / 야채카레 6,000원

아베 야로라는 작가가 그린 이 만화는 묘한 매력이 있다. 못 그린 그림은 아니지만 멋지지도 않은 그림체로 그려나가는 이 만화는 스토리에 그 매력이 있다. 그 매력 때문에 결국 그림체조차도 매력있게 보인다. 신주쿠의 변두리(아마도 골덴가이 부근인 듯)의 조그만 식당. 메뉴도 적고 여는 시간도 느즈막하다. 대신 이른 아침까지 영업을 하고 메뉴에 없는 것도 주문을 받으면 재료가 허락하는 안에서 만들어준다. 얼굴에 칼자국이 있는 마스터는 뭔가 사연이 있어 보이지만 만화는 마스터의 사연보다는 식사를 하러오는 손님들의 사연을 따라 전개된다. 손님들도 멋지지 않다. 늙은 게이바 사장, 야쿠자, 다이어트에 실패만 하는 여자, 노처녀 3인방 등등. 신주쿠의 대로변의 화려한 네온사인보다는 외진 뒷골목이 편안한 인물들이다. 별 볼일 없는 인물들의 이야기와 음식이 절묘하게 버무려진다. 현재 국내에 7권까지 나와 있는 이 시리즈의 첫권. 그 중에서 두 번째 메뉴가 바로 ‘어제의 카레’다.

카레오 KAREO

아베 야로의 장점은 이야기 흐름이 완만하고 여백이 많다는 것과 지문처럼 들어가는 마스터의 말이 정말로 주옥 같다는 것이다. 감성을 자극하는 카피는 작가가 광고대행사에서 일하다 나이 마흔이 되어서 데뷰를 한 덕분인지도 모른다. 에피소드는 이렇다. 전날 가게에서 팔고 남은 카레를 먹던 마스터를 본 손님이 자기도 달라고 한다. 그러자 뒤이어 들어온 손님들도 차가운 카레를 달라고 한다. 그것을 작가는 만화의 중간에 이렇게 표현했다. “카레는 대단하다. 남이 먹는 것을 보면

카나자와식 카레. 잘게 썬 양배추를 듬뿍 얹어 나온다. 카레의 소스색이 다른 곳에 비해 쵸콜릿색에 가까울 정도로 진하다. 2가지 매운단계 선택. 차가운 스테인리스 그릇에 수저도 없이 포크로만 먹는 재주가 필요하다. 창전동 6-129 / 02-517-9922 / 카레오 4,500원

왠지 먹고 싶어지니까…”. “방금 만든 카레보다 하룻밤 재워둔 카레가 더 좋다는 사람이 꽤 있다. 나도 그렇긴 하지만.” 아~! 나뿐 아니라 일본에도 그런 사람이 꽤나 있구나 하는 생각에 괜시리 반가운 웃음이 지어지는 순간이었다. 일본 요리만화의 주류만큼 화려한 음식은 없지만 인생과 어우러지는 메뉴는 정말 감칠맛 나게 그려진다. 만화 속 카레는 시중에서 파는 카레국물에 야채가 많이 들어간 이른바 집카레라고 묘사된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홍대앞 일본식 카레에는 건더기가 없다. 별도로 야채카레를 시켜야 한다. 색도 노랗지 않다. 그래서 난 그저 촌스럽게 오뚜기 카레에 양파, 당근, 감자를 썰어넣고 갖은 해물과 함께 끓인 집카레가 좋다.

H

글・사진 | 장성환

파쿠모리 パク森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에 비해 기억에 남는 여운이 없다. 감자는 따로 삶아서 나중에 카레에 넣은 듯 감자 속까지 양념이 배지 않아서 따로 노는 맛이다.

편집자주_국내외 영화, 드라마 또는 만화 등에 등장하는 음식 관련 에피소드들과 홍대앞 음식들을 함께 살펴보는 즐거운 이야기가 있는 먹거리 탐험. 맛에 대한 평가는 지극히 개인적임.

Food with Story

서교동 411-15 / 02-322-5001 / 야채카레 6,500원

제목 심야식당 작가 아베 야로 번역 조은정 출판 미우

10 11 2011.11. Vol. 30 홍대앞 로컬 문화 매거진 <스트리트 H>

StH_11_Eat&Food_OK.indd 11

2011.11.21 1:22:33 PM


Book

Movie

Exhibition

청춘의 사운드

고양이춤

시 간 의 울 림 Resonace

of Time

청춘이 희망이 아니라 때로 무기력이고

차 밑에서 나는 고양이 소리에 가슴이

화려한 색감과 생동감

절망일 때, 음악은 그 상실을 어루만지는

쿵하고 떨려 길을 걷다가 멈춰 서버린

넘치는 초록빛을

가장 따뜻한 위안일터. “오로지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아마도 이

바탕으로 의도적

음악으로만 위안 받던 날들은 우리 생애

다큐멘터리를 외면하기란 쉽지 않을

연출과 스토리텔링을

가장 파릇했던 청춘의 시기였다”라고

것이다.

결합시켜 왔던 박형근

말문을 연 대중음악평론가 차우진은 이내

<고양이춤>은 길고양이와 함께한 두

작가가 전작들과

“노래는 언젠가 끝나기 마련이고, 우리는

남자의 사랑스런 기록이다. 길고양이의

전혀 다른 작품을

머뭇거리길 멈추고 집으로 돌아가야 한다. 그게 룰이다”라고 쓴다.

이야기를 다룬 베스트셀러 <안녕, 고양이는 고마웠어요>를 쓴 이용한

선보인다. 한 장소에 갇힌 듯한 무한한 시간성에 천착하는 것이다.

이 책은 1999년부터 꾸준히 따뜻하고 진솔한 음악비평을 써온

시인과 윤기형 감독이 합심하여 가슴 훈훈한 영상을 만들어냈다.

이번에 선보이는 ‘Layers’ 시리즈는 작가가 2003년부터 찍어온

차우진이 펴낸 음악에세이다. 이장혁, 브로콜리너마저, 장기하,

도심의 쓰레기를 먹어 염분 때문에 몸이 붓고, 로드킬의 위험을

영국 남부 이스트본과 동부 노폭의 해안지대의 절벽과 해안선을

브라운 아이드 걸즈와 얄개들, 하헌진과 노라조에 이르기까지 30여

상시 안고 살면서도 편견 때문에 인간과 함께 이 길에서 살도록

소재로 한 작품이다. 퇴적된 플랑크톤과 화석의 잔재는 마치 흰

가수들의 노래와 가사를 통해 때론 열정이고 때론 잉여 그 자체인

허락받지 못하는 길고양이들. 영화는 깜냥이, 희봉이, 잠보, 예삐,

절벽과 초록의 이끼처럼 우리의 눈을 사로잡는다. 아울러 제주도

우리 시대 젊음이 서 있는 지점을 세밀하게 포착해낸다. 깊은 울림을

코봉이, 호순이 등 저마다 개성을 지닌 사랑스러운 길고양의 삶을

해안선의 화산석과 검은 해안선을 담아낸 ‘On the Edge’는 무대

가진 인디음악뿐만 아니라 걸그룹이나 아이돌의 노래까지 아울러,

통해 그들의 생태와 생존법에 대해 보여준다. 서울환경영화제,

뒤 가림막처럼 깊은 어둠을 응시한다. 마지막으로 ‘Forbidden

그야말로 2000년대 한국 대중음악의 ‘총출동 콘서트장’에라도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인디다큐페스티벌, DMZ다큐멘터리

Forest’ 연작은 사람의 출입을 절대로 허락하지 않을 듯한 기세로

온 느낌이다.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을 ‘청춘의 코드’로 어떻게

영화제에서 호평받은 <고양이춤>은 애묘인뿐만 아니라 반려동물과

엉켜진 나무들이 가득한 ‘금기의 숲’을 보여준다. 작가의 시각을 통해

해석했는지 비교해 가며 읽어보면 더욱 기억에 남을 것이다.

함께하는 우리 모두가 봐야 할 영화다.

관객들은 우리 모두가 찰나의 순간을 사는 작고 연약한 존재임을

차우진, 책읽는수요일, 13,000원

11월 17일 개봉, 상상마당 시네마.

깨닫게 된다. 11월 3~27일. 갤러리 잔다리.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은 한때 LP 판매량 세계 10위권에 들던

마지막으로 12월 17일 홍대 사운드홀릭에서는 버스킹 밴드로

도시였다. LP 그리고 CD는 지금 우리 곁의 수많은 가수, 뮤지션들을

유명한 ‘일단은 준석이들’과 몽구스, 가을방학, 수상한 커튼,

키워낸 영혼의 자양분이었다. 크라잉넛의 김인수는 이렇게 말한다.

하와이 등 실력파 인디밴드들이 대거 출연하는 공연을 준비했다.

“새로 산 음반을 손에 쥐고 적당한

“음반을 구입하여 음악을 듣는다는 건 구시대적인 게 아니라 지극히

티켓가격은 22,000원이며 현매는 25,000원이다.

홈을 찾아 조심스레 커터칼 끝을

정상적인 행위이다. 평생 듣지도 못할 음원을 기가단위로 하드에

조준하는 기분. 혹은 레코드판에

쳐넣고 자랑질하는 사람들이 내가 보기엔 더 비정상이다.”

행여 흠집이라도 날까 숨죽여

포크와 블루스의 거장 이정선, 로다운30의 감동적인 축하공연을

케이스에 넣을 때의 기분. 이걸

위시하여 다채로운 인디 뮤지션들의 공연이 어우러지는 이 특별한

모른다면 우린 영원히 볼 일이

자리가 내년에도 계속되길 바란다. www.recordfair.kr

Fair

제1회 서 울 레 코 드 페 어

서울레코드페어에서. 기필코.” 음악칼럼니스트 김윤하는 이렇게 썼다. 그렇다, 디지털 음원만으로 음악을 들은 세대는 아마도

<스트리트 H>배포처가 되려면? <스트리트 H>는 홍대앞을 대표하는 문화 매거진으로 홍대 부근

없겠지만, 알고 있다면 반가운 인사를 나눌 수 있을 것이다.

Notice

30여 곳에서 무료로 배포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추가로 배포처가

Concert

되고 싶다는 문의가 많아 배포 방법을 변경합니다. <스트리트

이 상 은 단 독 콘 서 트 ‘ S AY Y E S ’ 외

엘피(LP, 레코드)로 음악을 듣는 이 성스러운 기분을 절대 모를

H> 발간과 동시에 문자로 연락을 드리면 <스트리트H>사무실로 직접 방문하셔서 받아가는 시스템입니다. 신규 배포처가 되고자

것이다. LP는 턴테이블 위에 앞면을 걸고 홈에 조심스럽게 바늘을

한국의 대표적 여성 뮤지션으로

하는 분은 이메일 street_h@naver.com이나 전화번호 02-323-

놓아 들은 후 뒷면을 뒤집어 듣는 수고로움만으로도 음악에 거는

꼽히는 이상은의 단독 콘서트가

2569(내선 2008)로 먼저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의 애정을 증명하게 만드는 존재다. 그뿐인가. LP의 커다란 음반

11월 26, 27일 양일간 상상마당

재킷은 그 시대와 문화를 집약해 놓은 ‘예술작품’에 다름없었다.

라이브홀에서 열린다. 14장의

역사 저편으로 사라져버린 듯 싶었으나 결코 그렇지 않은, 음반이

정규앨범을 통해 다양한 음악적

주인공이 되는 축제가 열렸다. 11월 19일 서울 논현동 복합문화공간

실험을 펼쳐온 이상은은 자신의

홍대지역에서만 배포되는

플래툰 쿤스트할레에서 열리는 ‘서울레코드페어’는 디지털 음원이

대표작들을 새롭게 편곡해 선보인다.

관계로 그동안 그외의 지역에

아니라 LP와 CD를 한자리에 모은 축제다. 희귀반, 인디제작반,

미리 팬사이트와 포털 사이트

거주하지만 홍대앞 문화를

아이폰과 아이패드에서 만나세요!

이벤트를 통해 선곡된 신청곡들을 중심으로 선보인다.

알고자 하는 분들이 <스트리트

성황을 이루었다. 특히 전시장 이층에는 한국 가요의 거장이자

또한 11월 26일 악스홀에서는 ‘슈퍼스타 K’ 4강 진출로 화제를 모은

H>를 접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이정선 기타 교실’로 대표되는 통기타 뮤지션들의 스승 이정선의

게이트 플라워즈의 단독공연도 열린다. 게스트 밴드로는 눈뜨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제

전시회와 함께 오리지널 LP의 디자인과 디테일을 그대로 재현한

코베인이 출연해 숨겨진 음악 내공을 맘껏 펼칠 예정이다. 오픈

아이폰과 아이패드만 있으면

LP미니어처를 제작하는 키오브의 전시회가 마련되기도 했다.

1시간 만에 티켓 매진이라는 기록을 세우기도 해 팬들의 원성(?)을

어느 곳에서나 <스트리트 H>를

아날로그 음악에 대한 향수로 외국에선 이미 LP가 제2의 중흥기를

샀던 그들의 공연은 12월 3일 홍대 브이홀 공연으로 이어진다.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애플

맞고 있다고 한다. 미국 음반 판매 집계 시스템 ‘사운드스캔’에

또 같은 날인 11월 26일 올림픽홀 뮤즈 라이브에서는 인디음악 전문

앱스토어에서 ‘MegaVista 매거진’을 검색해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용

따르면 2009년 LP 판매량은 250만 장에 달한다. 1991년 이후 최고

유통사 미러볼 뮤직이 준비하는 ‘미러볼 빅쇼 연말결산’이 열린다.

어플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됩니다. 매달 살아 있는 홍대앞 문화가

기록이다. 2010년에는 280만 장으로 늘었고, 올해도 40% 이상

나비잠, 한음파, 예리밴드, 아이씨사이다, 톡식까지 한자리에 모았다.

실리는 <스트리트 H>! 이제 아이폰과 아이패드에서 만나보세요.

Messenger

수입반, 중고음반 등을 40여 개 음반사와 개인 셀러가 판매하며

2011.11. Vol. 30 홍대앞 로컬 문화 매거진 <스트리트 H>

StH_11_Messenger_OK.indd 12

2011.11.21 1:23:49 PM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