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리: 리서치
조주리 엮음
Edited by Juri Cho
research, re: researched
리서치, 리: 리서치
1
research, re: researched
목차
4
전시소개
7
I. 은평 뉴타운의 기억 1. 강홍구 2. 작업소개
14
3. 향후 연구 키워드 * 붙임 -‘강홍구의 사진과 돌의 무의식’
18
II. 필드노트: 자생하는 식물, 장식된 식물 1. 김준 2. 작업소개
25 31
3. 향후 연구 키워드 * 붙임 - ‘요원, 김준의 다섯 특명’ III. 시네도키 2016 1. 나현 2. 작업소개 3. 향후 연구 키워드
2
4
Introduction
7
I. Memories of Enpyeong New Town 1. Kang Hong-Goo 2. Work Description
14
3. Future Research Keywords * appendix - Photography of Kang HongGoo and the Unconsciousness of Rocks
18
II. Field Notes: Native Plants, Decorated Plants 1. Kim Joon 2. Work Description
25
3. Future Research Keywords * appendix- Agent, Kim Joon’s Five Missions
31
III. Synecdoche 2016 1. Na Hyun 2. Work Description
Table of contents
3. Future Research Keywords
38
45 49
54 69
IV. LSP(Love Soap Project)
76
VII. 사이키델릭에 관한 기록들
1. 신제현
1. 인주첸
2. 작업소개
2. 작업소개
3. 향후 연구 키워드 * 붙임 ‘신제현의 인지부조화와와 대응 매뉴얼’
3. 향후 연구 키워드 * 붙임 - ‘인주첸에 관한 기록들’
V. 조용한 태양의 해
84 89
VIII. 비밀 공부
1. 오톨리스 그룹
1. 컴파니
2. 작업소개
2. 작업소개
3. 향후 연구 키워드 * 붙임 - 4개의 연구제안서
98
3. 향후 연구 키워드 * 붙임1 ‘함께하는 모양새’
100
* 붙임2 ‘여행자들’
VI. 일시합의기업 1. ETC
104
전시연계 프로그램
106
참고 문헌
110
감사의 글
2. 작업소개 3. 향후 연구 키워드
3
76 38
IV. LSP(Love Soap Project) 1. Shin Jehyun
2. Work Description
2. Work Description 45
3. Future Research Keywords * appendix - Shin Jehyun’s Cognitive Dissonance and His Counter Manual
VII. Notes on Psychedelics 1. Yin-Ju Chen
84
3. Future Research Keywords * appendix – Notes on Yin-Ju Chen
89
VIII. Secret Studies 1. Company
49
V. In the Year of the Quiet Sun
2. Work Description
1. The Otolith Group
54 69
3. Future Research Keywords
2. Work Description
98
* appendix 1 Shape of Being Together
3. Future Research Keywords
100
* appendix 2 Travelers
104
Public Programs
106
Bibliography
110
Acknowledgement
* appendix – four proposals VI. Enterprise of Temporary Consensus 1. ETC 2. Work Description 3. Future Research Keywords
전시소개 research, re: researched 조주리
동시대 미술에서 다수의 작가와 기획자들에게 ‘리서치’란 상당히 혼란스러운 용어다. 많은 경우 단순한 정보의 탐색과 축적, 약간의 재조직화를 ‘리서치’로 오인하고 있다. 사실과 현상에 대한 관찰은 어느 분야에서건 중요한 출발지점이다. 그러나 단순한 자료수집과 기술적 분류에 그친다면 그뿐이다. 같은 시선에서, 데이터의 정교함이나 방법론상의 정합성과는 별개로, 정보의 수집과 진실에 대한 추적 그 자체를 리서치라 부를 수는 없다. 그것은 아마도 실증적 데이터를 찾거나, 작가의 입맛에 필요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일반적 활동에 가까울 것이다. 그렇다면, 리서치란 무엇인가? 사전적 정의를 신뢰하는 사람들에 의하면, 리서치란 인류의 지식과 문화, 사회 전 영역에서의 지식을 증대하기 위해 수행하는 창의적, 체계적 활동이며, 이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적용 가능성이 확장되어야 한다. 연구방법론 서적에서 리서치는 인간이 갖고 있는 무지함의 경계를 넓히고 다른 사람들이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용했을 해결방법이 타당한지 확인해 나가기 위해 기울이는 체계적인 노력 속에서 문제를 해결해가는 방식이라
4
The term ‘Research’ is a source of confusion for many creators and curators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art. It is often misconstrued simply as basic investigation, accumulation and organization of data. Observing the truth and phenomenon is an important first step to any field. However, stopping there leaves it exactly where it is: simple data filing, and mechanical sorting. Likewise, collecting data and investigating the truth cannot in and of itself be considered research, even with the accompaniment of data precision, and method backed by robust logic. Rather, it may be more accurate to say these activities are general data collection, or selective rearrangement conforming to the artist’s intentions.
Juri Cho
research, re: researched Introduction
Then, what is research? According to those who put their trust in the dictionary definition, research is the creative, systematic act of broadening knowledge in all fields including culture and society. It must also bear the potential for new application based on such knowledge. In research methodology literature, research is defined as a way of broadening the horizon of human ignorance, and a problem solving
기술된다. 여러 정의가 교차하는 부분만을 도려내자면 결국 리서치란 사고의 방식이다.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위해 새로운 통찰력을 발견해내고 새로운 의미를 드러내기 위한 총체적 과정 속에서 수집된 데이터가 유의미해지도록 축적된 사실을 들여다보는 방식이다. 그런데, 리서치라는 일반의 용어가 미술의 영역에 진입하면서 앞서의 개념적 혼란과 오용은 더욱 가중된다. 일부는 연구기반의 작업을 하나의 경향성 정도로 치부하며 미술의 지나친 비 미술화, 장기 프로제트화에 대한 우려를 표하기도 하고, 또 다른 누군가는 단순한 수집조사 활동을 고유한 리서치 방법론으로 과잉 선전하기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번 전시에서는 이와 같은 모순적 상황과 작가들이 처한 현실적 제약을 의식하면서, 소위 ‘예술가의 조사연구’라는 것이 성립되기 위해서 어떤 전제가 작동해야 하는지, 작가마다 구사하는 리서치의 방식과 전개과정을 어떤 관점에서 파악할 것인지, 일반적 조사연구와 구분되는 예술적 리서치에 대해 어떠한 가치부여와 입체적 독해를 해나갈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확장해 나가고자 한다.
현재, 예술가의 조사연구는 어떠한 양태로 존재하며 어느 수준까지 진행되었을까. 전시는 리서치 기반의 예술작품이라는 용어가 지시하는 활동에 대한 의구심과 함께 발전가능성을 비평적으로 지지하면서, 리서치 기반 미술에 대한 환대와 유행이라는 최근 현상을 재조사 (reresearch) 하려고 한다. 이를 통해 연구조사를 기반으로 한 작업의 특성과 한계, 가능성 모두를 함께 고민할 수 있는 진지한 장을 조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전시에는 5-10년 이상의 조사연구에 기반한 중장기 프로젝트를 진행해 오고 있는 여덟 팀의 작가를 초청한다. 완결된 작업과 진행중인 작업을 함께 배치하여 조사 연구 기반의 작업이 구상되고 실행되는 전 과정에서 적용되는 고유한 리서치 방법론과 연구자적 태도, 작품 읽기에 도움이 되는 입체적 해제 등을 시각화하여 보여줄 계획이다. 예술가의 조사연구 과정이 작품 창작과 이후 문화적 축적에 있어 기실 얼마나 핵심적인 예비과정이자 전제조건인지, 또한 유의미한 중간 단계의 결과물로서 생산/소비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으로서의 전시는
5
method used while systematically attempting to verify the validity of another’s solution to their own issue. Thus, to isolate the definition that rings true to all domains, research is a mode of thinking. It is a manner of looking into accumulated truths in a way that gives meaning to a collection of information, while discovering new insight on unsolved issues and divulging new meaning. However, as this general term entered the art world, its misuse and surrounding conceptual confusion becomes exacerbated. Some dismiss researchbased work as a trend, showing concern for tendencies to lean towards long-term projects and over anti-aestheticization, while others overvalue simple acts of finding data as unique methodologies. Therefore, keeping such contradictory circumstances and realistic limitations the artists face in mind, the aim of this exhibition is to expand upon the issues of: What preconceptions are required for artists to carry out “true” research? In what perspective should each research methods and processes be understood? How should artistic research - differentiated
from general research practices - be valued and comprehended in a multi-dimensional way? How much, and to what form has artist research currently evolved? The exhibition aims to question yet support the acts that research-based art prompts and to reresearch the current fad of, and high regard for research-based art from a critical stance. With this, the ultimate goal is to organize a platform on which to deliberate over the characteristics,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research-based art. Eight artist groups who have carried out 5~10 years or more of mid to long term research-based projects are invited to this exhibition. Both their complete and on-going projects are displayed to illustrate the unique research methodologies and mode of approach for conception, execution, and multidimensional annotation that may aid in understanding the works. The gravity of the artist’s research as a preliminary
리서치라는 일반용어가 미술의 영역 내부에 착종되면서 생겨난 개념적 혼란과 오용에 대한 반성적 시도이다. 더불어 리서치를 전시의 형태로 옮기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개별 전략과 새로운 시각화에 대한 모험이기도 하다. 따라서 전시에서 조명하고자 하는 지점은 작품에 대한 해제나 작가론적 규정이기보다 작업이 구상되고 실행되는 전 과정에서 적용되는 고유한 리서치 방법론과 태도에 의거한 질적 분류와 재맥락화 작업이다. <리서치, 리:리서치>전에 초대된 여덟 팀은 저마다의 문제의식과 방법론 창안을 통해 쉽사리 종결되지 않을 연구 과제들을 풀어나가고 있다. 전시는 각각의 단서들로부터 출발해 작가들의 셀프-리서치, 협력 연구자들의 크로스-리서치, 큐레이터의 메타-리서치로 교직해 나간다.
6
step in creating artwork, and accumulating cultural legacy thereafter; and the possibility of artistic research being produced and consumed as meaningful intermediary products are some of the issues the exhibition aims to explore. In doing so, the conceptual confusion and misuse of the term ‘research’ that ensued from the general term permeating into the contemporary art world can be re-examined. Furthermore, it is also an attempt to discover new visualization strategies that is required for converting research content into actual exhibition format. Therefore, the focus is not artistic definition or clarification of the works but rather, the qualitative categorization and re-contextualization based on unique research methodologies and attitudes applied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es of conception and execution of the works. The eight artist groups that are invited to the exhibition, <research, re:researched> delve into each of their issues that will not be easily resolved, by
problematizing ideas and creating unique research methodologies. The exhibition starts with individual clues which interweaves with the artists’ selfresearch, collaborating researchers’ cross-research, and curator’s meta-research.
I. 은평 뉴타운의 기억
7
I. Memories of Eunpyeong New Town
1. 강홍구
- 연구 주제 도시(재)개발, 장소성의 상실, 인간 존재
강홍구는 2001년 새로 이사한 동네를 어슬렁거리며 탐색하기 시작하였다. 그럴 의도도 계획도 없었으나, 재개발로 인한 주거지의 풍경변화를 담은 사진들은
- 작업 키워드 뉴타운, 이주, 빈집, 발견된, 버려진 오브제
어느덧 도시 재개발 과정, 그리고 은평 뉴타운에 대한 어떤 기록이 되었다.
- 방법론 일상적 관찰, 사진기록, 오브제 수집, 맵핑, 텍스트 쓰기
8
1. Kang Hong-Goo Since 2001, Kang Hong-Goo started to wander around the town where he then had just moved into. Without any intention or design, his photography depicting the change of the landscape caused by the redevelopment has now become a certain documentation about the Eunpyeong New Town and the process of the urban redevelopment.
- Research Theme urbanization, placelessness, human being - Current Issues new town, migration, uninhabited house, found(abandoned) object - Methodology observation, photographic record, gathering abandoned objects, mapping, text writing
2. 작품 설명
3. 향후 연구 키워드
〈은평 뉴타운의 기억〉, 2016
신안, 돌아다님, 폐촌, 미세 플라스틱 등
도시에서의 철거와 이주의 문제를 카메라 프레임에 담아 온 강홍구는 이번 전시에서 사진 기록 대신에 기록의 파편들이라 할 수 있는 오브제를 선보인다. 주민들이 떠난 자리에 흔하게 버려지는 자개농의 편린들과 개인의 추억이 담긴 물건들은 무너져버린 장소성과 함께 작가의 일상적인 수집과정과 동선을 반추하는 단서가 된다.
9
2. Work Description Memories of Eunpyeong New Town, 2016 Kang Hong-goo, who captures slum demolition sites and the issue of displaced residents in his photography, now showcases an array of objects that are embodiments of fragmented memories instead of the usual photographic records. The discarded pieces of mother of pearl furniture and other objects that hold personal stories, that are commonly strewn about in abandoned neighborhoods invite the viewers to ponder upon the hints of a broken sense of locale, and to trace Kang's collection processes and routs.
3. Future Research Keywords Shinan, wandering, ruined towns, microplastics, etc.
1
10
2
1 골목, 디지털 프린트, 125×207(mm), 2009 Alley, digital print, 2009 2, 3, 4 “은평 뉴타운의 기억” 설치 전경 “Memories of Eunpyeong New Town” Installation View
11
3
4
12
13
강홍구의 사진과 돌의 무의식*
소재주의적으로 접근하자면 강홍구 작업에서 지배적인 이미지는 ‘집’처럼 보인다. 그것이 확장되어 마을과 도시, 문명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런데, 지난 십여 년 동안 축적된 여러 작업들을 구성하는 더 근본적인 배경이 되는 이미지는, 나에게는 ‘돌’로 그려진다. 지방에서 신도시로, 이곳 저곳 빈번하게 삶의 거처를 옮겨온 나에게 돌은 지질학적 분류에 따른 것이라기 보다 북한산의 독바위와 같은 ‘자연물’이기도 하고 현대적 건물의 파사드를 이루는 대리석같은 번쩍거리는 건축적 ‘재료’기도 하고, 변두리 주택가 특유의 회색조 경관을 이루는 시멘트나 벽돌 같은 ‘자재’이기도 하다. 어떤 면에서는 집도 길도, 산도 모두 돌인 셈이다. 그러니까 돌은 어떤 물성의 교집합이기 보다, 이 세계를 구성하는 가장 견고하고 거대한 합집합 덩어리다. 2000년 이후 강홍구 작가의 사진을 모아놓은 카탈로그를 보면서 참으로 다양한 모양새와 질감을 지닌 돌들로부터 그것들의 무의식적 에너지와 마주하는 느낌을 받게 되었다. ‘무의식’이란 다분히 정신분석적 표현이고 따라서 인간중심적인 개념이지만, 자연에 내재된 무의식에
14
The dominant images in Kang Hong Goo’s works in terms of subject matter appear to be ‘houses,’ which would aggregate to constitute villages, cities and civilizations. Personally, ‘rocks’ loom larger as the principal contextual image in his decade plus work. For someone who has frequently moved from provinces to new towns, and between Korea and overseas, rocks resist simply falling under a geological category. Rather, they become a part of ‘nature’ in the likes of the protruding boulder along the Bukhan Mountain ridge; or architectural ‘material’ conveyed by the gleaming marble façade of a modern high-rise; or building ‘blocks’ in the forms of bricks and cement that render the ashen landscape of a typical suburban residential district. In a certain sense, houses, roads and mountains are all essentially rocks; thus, rather than being a mere crossing of properties, rocks collectively embody the entire world as the most enduring and colossal lump.
Photography of Kang Hong-Goo and the Unconsciousness of Rocks*
When I leaf through Kang’s catalogue of photographs taken since 2000, I come in contact with the unconscious energy as it were, from rocks of
감응하는 것인 나 홀로 경험해본 감정선은 아닐 것이다.
잔여물로, 산업 폐기물로 흝어져 있다. 강홍구 사진 속의
바위나 동굴이 나를 응시한다는 초현실적 느낌, 녹슨
돌들은 특정한 의도에서 비롯된 사진적 전략과 미술적
철근이 볼품없이 튀어나온 콘크리트 덩어리가 발산하는
장치를 통해 가공되고 변형되었지만, 대체로 그 안에서
촉각적 권태로움, 포크레인에 가루가 되어버린 불광동
무심하게 배경으로 깔려 있거나 귀퉁이에 잠복되어 있다
뒷산과 마주선 아파트 경관이 대치하면서 만들어내는
이따끔씩 그 자신의 무의식을 통해 심기를 툭 건드린다.
시각적 비루함. 흔히 생명력이 없다고 간주되는 돌의
물론 나는 지난 수 세기 동안 전지구적으로 진행되어온
자연석 변성과 마모, 그리고 굴삭과 분쇄와 같은 물리적
도시화 과정을 전면 부정하는 생태 근본주의자거나,
과정에 개입된 기계 문명의 흔적 속에서 그 어떤
자연의 신묘한 힘을 추앙하는 오컬트주의자는
애니미즘적 에테르가 전혀 없다고 한다면, 그것은 퍽
더더욱 아니다. 사진 이미지에 대한 비평적 관점 혹은
건조한 논리다.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예술적 담론구성과는 결이 다른 소재를 통해 그 동안 축적되어온 강홍구의 이미지 사전을
그러니까 이 모두는 우리의 무의식이 투사된 감정이고
편집, 구성해 보면 좋겠다는 소박한 아이디어에 기껏
해석이긴 하지만, 강홍구가 오랜 시간, 여러 장소들을
머물러 있는 정도이다.
돌며 부단히 채집해온 이미지 더미들이 발산하는 자연물/인공물로서의 돌의 무의식, 그것이 전달하는
작업에 대한 비평적 텍스트들은 당신 스스로에 의해,
미묘한 시그널을 무시할 수는 없다. 한 때 옹골한
그리고 명성있는 기획자와 이론가들에 의해 넘칠 정도의
밀도로 우뚝 섰던 돌은 도시문명을 일으키고 들과 강을
분량으로 생산되어 왔기에, 그것들보다 적확한 표현을
지지하는 쐐기였지만, 부단히 패이고 깎이고 갈려져 이내
찾아 내거나 참신한 해석을 제시하기도 쉽지 않다.
돌 그 자체의 오롯한 총체성이나 그것이 뿌리박혀 있는
이번 전시에 초청하기 전까지는 개인적으로 이야기를
장소성을 상실하여 우리 앞에 처리해야 할 할 도시의
나눠 볼 일도, 그의 전작을 펼쳐놓고 이번 전시에
15
various shapes and textures. ‘Unconsciousness’ is a psychoanalytic term, which necessarily makes it a human-centered concept; but I believe I’m not alone in sensing a range of emotions stirred by the unconsciousness embedded in nature. Supernatural awe that envelops you when you feel as if a boulder or a cave is staring into your eyes; the tactile ennui emanating from a concrete slab with a rusty steel wire sticking out; the abject juxtaposition of the backyard hills in Bulgwang-dong demolished by a bulldozer with an apartment complex standing erect. When you consider the rocks’ natural variability and the marks of the machine-driven civilization, which entailed a series of physical transformative process including abrasion, excavation, excision, conjugation and pulverization, any logic that denies the animistic ether preserved in rocks, though often regarded as lifeless, would be devoid of imagination. Our own unconsciousness superimposed on rocks may have spawned these feelings and analyses, but the subtle signals of unconsciousness emitted from rocks in their natural and artificial forms – as captured
in the pile of images Kang collected from traversing various locales for long - cannot be simply brushed away. The dense rocks were once chief pillars of ancient civilizations and wedges anchoring fields and rivers. It was the relentless furrowing, paving and cracking that robbed these rocks of their integrity and deep-rooted sense of place, and reduced them to urban residues and industrial wastes harrowingly scattered about. Although the image of rocks have been touched up and modified in line with shooting strategies and artistic techniques to suit specific purposes, they seem in general to sit nonchalantly in the background or lay ambushed in the corner. These rocks occasionally tap at the viewers’ heart through their own unconsciousness. I must stress that I am not an overzealous ecologist who adamantly negates the worldwide urbanization transpiring over a few centuries, nor am I am occultist enthralled to the mystic power of nature. I am merely nursing a humble inclination to design and compile an image compendium out of the cumulative trove of Kang’s photography through a critical perspective on his imageries or keywords from an alternate artistic
필요한 요소를 간파하기 위해 복기하듯 훑어본 적도
맞지 않아 코믹함과 괴이함의 중간에 있던 화강암
없었던 터다. 작가의 방대한 이미지와 텍스트의 더미를
조각들이 도열된 외곽 국도의 풍경만은 유독 선명하게
더듬어가면서 인덱스를 뽑아내고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남아있다. 작가의 일상 속에서 습관처럼 채집된 이
나름의 텍소노미를 구축해 볼 요량이었지만, 생각만큼
이미지들 속에서 나는 돌의 풍경과 질감을 편집증적
쉽지 않았던 듯 하다. 그리고 종국에는 그것이 그리
시선으로 포획한다. 그리고 이내 섬 마을로, 괴물 같은
필요한 작업이었는가 하는 생각도 들었는데, 여하간에
대도시로, 저 먼 세계로 이어지는 풍경의 사슬들을 꿰어
나는 당분간 그의 작업을 따라다니면서 나를 사로잡았던
본다.
자연의 무의식과 그것을 포획하여 배치한 작가의 시선, 혹은 그것과 상관없이 존재하는 돌이 발신하는 에너지에 대해서 간혹 고민해 보려고 한다. 물론 이러한 관심사는 비단 강홍구의 작업에만 머무는 것은 아니겠지만.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지난 봄 작가의 작업실에서 보았던, 이러저런 이유로 전시에는 소개되지 않았던 작업들이 담겨 있었던 폴더들 몇몇을 떠올려본다. 여태까지 잔상으로 남아 있는 이미지들이라면 작가의 고향인 신안의 풍경, 그리고 아마도 벽제 인근에 있을 법한 주문형 석재 조형물 작업장의 모습들이다. 탁하디 탁한 회색톤 시멘트로 마감한 신안 부둣가의 축대와 권태롭던 마을의 모습이 기억난다. 그리고 어딘지 비율이
16
discourse on gentrification. Given the wealth of critical assessment of his works by the artist himself and prominent gallery directors and theorists, it would be challenging to attempt a more precise and sophisticated portrayal or add fresh insight. I never had the chance to talk to the artist in person before the exhibit nor to peruse his early work to identify the defining elements for the sake of this show. I simply set out to build a working taxonomy by tracing vast images and texts, extracting indices and analyzing his modus operandi, which proved harder than anticipated. Ultimately, I came to wonder whether such work was called for in the first place. At any rate, I intend to closely follow his work for the time being and mull over the unconsciousness of nature that mesmerized me, the artist’s keen eyes that seized and laid it across canvas, as well as the sheer energy wafting out of the oblivious rocks, though I reckon such interest would go beyond Kang’s works.
Circling back, I jog my memory of coming across several folders at his studio last spring, containing various pieces excluded from this exhibit for one reason or another. Images that linger in my head are of the artist’s hometown Sinan and the madeto-order stone sculpture studio, similar to ones you could expect to find near Byeokje where a cluster of tombstone-producing studios are located. I also recall the stretch of quayside pavement covered in stuffy gray cement and the hamlet in doldrums. The outskirt highway lined up with granite pieces in particular – whose disproportionality teetered between the comical and absurd - is quite deeply etched in my memory. I compulsively seek out the sceneries and texture of rocks in the image piles Kang routinely assembled in his daily life. Then I let my imagination take flight, jumping from a small island hamlet to a megalpolis, then further leap on to span the globe, weaving an intricate web of landscapes.
* 글 조주리, 번역 김지영
17
* Written by Juri Cho, Translated by Jiyoung Kim
II. 필드 노트: 자생하는 식물, 장식된 식물
18
II. Field Notes: Native Plants, Decorated Plants
1. 김준 www.kimjoon.de
- 연구 주제 장소성: 지형 지질, 정보, 도시 생태, 역사적 특수성, 비물질적 신호
최근 몇년간 한국(서울, 인천), 영국(런던), 독일(베를린), 호주(시드니)등 국내외 레지던시 활동을 기점으로 체류한 특정지역(장소)의 역사성이나 현상들을 소리로 채집,
- 작업 키워드 도시공간과 식물의 관계, 자생식물과 장식된 식물
전환하여 설치미술로 선보이는 작업들을 해오고 있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와 호주 아시아링크의 지원으로 시드니에 체류하며 도시공간과 식물에 대한
- 방법론 인문지리적 필드 리서치, 공감각적 사운드 스케이프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조사 중이다.
19
1. Kim Joon www.kimjoon.de Whilst living a nomadic life in Seoul, London, Berlin and Sydney, Kim Joon has been recently focusing on presenting multiple forms of art installation in which he converted from the specific historicity and daily phenomena on site to the auditory arrangements. Currently, he is staying at residence in art of Sydney, which is co-organized by Goyang residency run by MMCA(Museum o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and Asialink, Australia, where he is doing an artistic survey on urban space and botanical lives in it.
- Research Theme sense of place, topographic and geological information, urban ecology, historical specificity, urban ecology, invisible/inaudible signals - Current Issues relation of urban space and flora, native plants and decorated/decorating plants - Methodology anthropogeographical field research, soundscape based on multisensory data and its analysis
2. 작품 설명
3. 향후 연구 키워드
〈필드노트: 자생하는 식물, 장식된 식물〉, 2016
식물에 대한 후속연구 진행, 음향생태학 구축
전시가 진행되는 동안 호주의 한 레지던스에 가 있는 김준은 낯선 환경에서 매일 기록하고 분석한 자료들을 필드노트의 형태로 작성하여 전시장에 설치된 팩스로 전송한다. 호주에서 채집하고 배치한 식물에 대한 표본자료는 항공우편으로, 매일 축적되는 사운드와 지형/ 지질정보를 담은 매핑은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 연동된다.
20
2. Work Description Field Notes: Native Plants, Decorated Plants, 2016 Kim Joon, who stayed in the artist residency program in Australia gathers a field log by collect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on the unfamiliar Australian wildlife. He updates the log every day for the duration of this exhibition via facsimile that is set up on the exhibition site. The displayed Australian plant specimens are sent from Australia via airmail, while the audial, topographical and geographical mappings are recorded and directly uploaded to the internet in real time.
3. Future Research Keywords Further Study on Botanical research, Acoustic Ecology
1
21
1 장식된 식물, 혼합 매체, 가변 사이즈, 2016 Decorated Plants, mixed media, dimensions variable, 2016 2 자생하는 식물, 혼합 매체, 가변 사이즈, 2016 Native Plants, mixed media, dimensions variable, 2016
2
3
4
22
3 자생하는 식물, 혼합 매체, 가변 사이즈, 2016 Native Plants, mixed media, dimensions variable, 2016 4 건조된 식물(화석) 혼합 매체, 가변 사이즈, 2016 Dried Plants(Fossil), mixed media, dimensions variable, 2016 5, 6, 7 “필드노트: 자생하는 식물, 장식된 식물” 설치 전경, 2016 “Field Notes: Native Plants, Decorated Plants”, Installation View, 2016
soundcloud.com/user-731810042
5
23
6
24
7
요원, 김준의 다섯 특명들*
김준은 소속없는 요원인데 하는 일이 꽤 다양한 바쁜 이다. 그를 요원이라고 하는 것은 일반적인 직업으로서 ‘작가’ 혹은 ‘예술가’ 라고 부르는 것이 부적절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어딘지 의심스러운 일들을 해나가는 품새가 특수한 임무를 수행하는 에이전트처럼 보이기도 해서다. 동도 트기 전 깊은 새벽, 집을 빠져나와 고요한 산사로 향하는 가붓한 발걸음이나 알 수 없는 전자장비를 들고 외진 건물이나 터널 벽 따위를 훑어 내리는 잰 손길, 적잖은 물품들이 적재된 앙다문 소형차, 무엇보다 강퍅한 듯 바지런한, 안경 너머 눈빛이 딱 그렇다. 그밖에 무엇에 쓰이는지 짐작하기 어려운 부품 더미들과 눈에 띄지 않는 행색, 용인에서 을지로를 거쳐 고양까지 넘나드는 일일 동선. 그러니, 세 가지 정도의 몽타쥬로 압축되겠다. 1.간첩, 2. 출장AS맨, 3. 비밀요원. 물론 그는 남파 간첩도, 전파사 아저씨도, 국정원 요원도 아니다. 다만 조금 다른 활동들로 꽉찬 하루를 보내는 작가다. 다르다는 것의 기준점은 무엇일까. ‘미디어
25
Based on autonomous investigation and research, artist Kim Joon executes his work in several phases that include routine exploration and observation followed by measurement and experimentation. Topology or geophysics methodologies are adopted as tools to collect and analyze multilayered data ranging from electromagnetic signals, geographic components, acoustics, and vibrations to frictions. Such harvested data is then modified, processed and realigned to suit varying purposes. Contemplating upon Kim’s works for the past few years allows one to extract a few overlapping factors despite seemingly divergent, albeit to slight degrees, messages and delivery methods of each piece. The daily mission established on his own terms – not instructions issued from another - consists of five steps which connects and rotates in succession.
Mission 1. Sensing signals: Healthy suspicion Agent Kim Joon’s Five Missions*
Acquiring a knack for suspicion is an essential first
아트’, 더 좁혀 들자면 ‘장소특정적 사운드 작업’ 유형으로
조금씩 상이해 보이지만 몇 가지 공통의 요소를 추출해
분류되는 김준의 활동 방식과 태도는 크게 보아 두
볼 수 있을 것 같다. 누군가를 통해 지령을 하달받는
가지 기준선에서 벗어나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나는
대신 스스로 부과한 일상의 특명은 다섯 단계로 나뉘어
‘예술가’라는 신화로부터의 이탈이며, 다른 또 하나는
연계되고 순환한다.
오브제로 고착된 ‘작품’으로부터의 탈주다. 물론 김준 역시 피할 길 없이 전시 마감과 주어진 공간, 예산에 맞추어 작업을 공급하는 성실형 작가이다. 그럼에도 그가 전개해
특명1. 징후의 포착: 잘 의심하기
나가고 있는 프로덕션 과정의 이면을 들여다보면 ‘자율적 프랙티스’ 나 ‘조사연구활동’이라고 하는 편이 적절할
작가에게 있어 ‘잘 의심하기’는 꼭 필요한 첫 단계
것이다.
특명이다. 다음 단계인 ‘지속적 관찰’로 가기 위한 전초전이기 때문인데, 이 점에서 김준의 의심능력은
자율적 조사연구활동에 기반한 김준의 작업은 일상적
탁월한 수준이다. 이때의 의심이란 무턱대고 대상을
탐색과 관찰, 측정과 실험 등 여러 단계를 거쳐 실행된다.
불신하는 까칠함이나 음모론은 아니다. 그것은 합리적
특정한 장소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층위의 데이터-
호기심에 가까운 것이어야 한다. 일상의 미세한
전자기적 시그널, 지질학적 구성, 어쿠스틱스, 진동, 마찰
징후들을 포착하는 훈련은 표면으로 돌출된 정보의
등 - 를 채집하고 분석하는 틀로서 위상학topology이나
과잉을 걷어내고 바로 그 아래 은폐된 정보의 레이어를
지구물리학geophysics 와 같은 방법론이 채택되고,
도해하려는 노력을 수반한다. 보이는 게 다가 아니며,
그렇게 수확한 데이터는 다시금 용도에 맞게 변형,
물론 들리는 것도 다는 아니라는 인지적 의심과 함께 내가
가공되어 재배치된다. 지난 몇 년간 김준이 보여주었던
보고 들은 것이 과연 정확한 것일까 하는 주체에 대한
작업들을 떠올려보면 각각의 메시지와 전달 방식은
근원적 의심에서 ‘문제화’의 능력은 배양된다.
26
step for artists, since it serves as a precursor to the next step, sustained observation. Kim has an exceptional flair for constructive doubt - a far cry from indiscriminate distrust or conspiracy theories in kinship with sensible curiosity. Training one’s eyes to alight on the subtle signs in everyday life entails an effort to remove the surfeit of information to illustrate the layers of covert information. Cognitive doubt that nudges one to recognize that what one sees and hears is only part of the whole, coupled with deepseated skepticism towards the accuracy of the sight and sound one encounter nurtures the ability to problematize.
Mission 2. Habit of observation: Glimpsing under the veil Suspicious signals are objectively processed through sustained observation and evolve into a research question in due course. Observation must be an ingrained habit. Moreover, one must be armed with an editorial perspective so to speak towards the
world. Strenuous observation of everything visible is somehow thick-headed and moreover, impractical. Thus, objects that snag the special agent’s eyes are perhaps things that are buried, shoved to the corner, faded with time and lulled to the abyss of darkness and oblivion. The sites Kim chose to observe include, a once garbage dump turned into a park, temples and churches at dawn, city’s coal plants and undersea tunnel, old subway station dating back a century as well as thin niche of a building or an underground space. Meanwhile, viewers come to realize that location specificity embodied in his work lacks aesthetic consciousness springing from topophilia - special attachments to certain places - or romantic nostalgia as spatial representations of specific locales. In its stead, a journalistic approach that peers into the skein of temporal and spatial elements and vitality of heterogeneous information found in anchored space represented as locations, prevails through the disciplined practice of observation.
특명2. 관찰의 습관: 가려진 것 들여보기
저널리즘적 자세가 지배적이다.
의심의 징후들은 지속적 관찰을 통해 객관화 과정을 거치고 이윽고 리서치 문제로 발전한다. 관찰은 몸에
특명 3. 측정의 기술: 끈질기고 정확하게 재기
밴 것이라야 한다. 그리고 세계에 대한 일종의 편집적 시각을 장착해야 한다. 보이는 모든 것을 열심히 관찰하는
2013년 기계비평가 이영준이 김준의 작업에 대해서 쓴
일은 어째 좀 미련스럽거니와 가능치도 않다. 그런
텍스트 ‘예술, 창조하지 말고 측정하자’는 여지껏 읽어본
점에서 요원의 시선을 잡아채는 관찰거리는 아무래도,
중 가장 비전형적인 작가론으로 각인되어 있다. 물론
땅 속으로 묻힌 것, 구석으로 밀쳐진 것, 시간 속에
저자의 독특한 글쓰기와 사유방식에 기인하는 측면이
바랜 것, 어둠과 망각의 심연으로 잠재워진 것들이
있겠지만, 작가의 작업 방식에 정확하게 대응하여
아닐까. 그가 관찰지로 대면했던 곳들의 장소성을 살펴
탄생된 ‘예술-측정론’이 아닐까. 예술의 죽음을 선언하듯
보면, 한 때 쓰레기장이었던 공원, 새벽의 절과 교회,
“이제는 측정만이 예술이라고 해야 할 것 같다”라고 한
도심의 화력발전소와 해저터널, 한 세기 전에 건설된
과격한 언술은, 동의하기는 어렵지만 곱씹어 볼 가치가
옛 지하철역, 건물의 얕은 벽감이나 지하공간 같은
있다. 사람들에게 가공된 측정치를 서비스하는 친절한
곳이었다. 한편, 김준의 작업에 내재된 장소특정성에는
예술가 대신 인터페이스의 맨얼굴을 통해 대지와 기계의
토포필리아topophilia, 즉 특정한 장소에 대한 애착에서
울림을 직정하게 노출하는 측정가로서의 예술가. 김준은
비롯된 미의식이나 낭만적 노스탤지어로서의 공간적
독일에서의 삶을 정리하고 한국으로 돌아온 지난 몇년 간
표상이 부재함을 깨닫게 된다. 오히려 ‘장소’로 표상되는
다양한 작업을 통해 측정의 결과를 ‘그대로’ 드러내는 방식
정박된 공간 내에 엉켜있는 시공간성, 불균질한 정보의
외에도 그가 관찰하고 조사한 값들의 다양한 변주들을
에너지를 ‘관찰’이라는 수행적 과정을 통해 들여다보려는
생산해 내고 있다.
27
Mission 3. Measurement technique: Gauging with tenacity and precision <Art, Measure Rather Than Create> written by a machine-critique Young-jun Lee in 2013 on Kim’s work is by far the most unconventional theory on an artist I’ve come across to date. This may be ascribed to the idiosyncratic writing and thinking process of the author, but the text could very well be an art measurement theory that nails down the essence of the artist’s critical perspective and production modes. Yet, the radical statement, ‘perhaps measurement alone can be called art nowadays’ that seems to declare the death of art, is worth dwelling upon. In lieu of a generous artist serving processed measured values to the viewers, the measurer artist emerges who forthrightly exposes the echoes of the earth and machine through the naked interface. But living in Korea for several years upon leaving behind his life in Germany, Kim is creating diverse variations of values he has observed and researched in addition to laying bare the unadulterated results of measurement arising from his wide-ranging works.
Mission 4. Art of conversion: rendering the invisible audible and the inaudible visible Sound is probably the most crucial element in Kim’s work as he conveys invisible and inaudible information by converting them into sound. Simple devices like metal detectors and contact microphones seize electromagnetic signals, which are then recorded and amplified as sound. Kim doesn’t amass and measure these sounds in certain settings in the city to embody the location’s enormity or the city’s grandeur. Instead, he aims to analyze the details of the urban noise, capturing granular details that slip through unnoticed by human senses, to restore space in holistic forms and further pose questions.
Mission 5. Display Solution: Going beyond response, bridging The artist’s work under the subtitle, ‘Native Plants, Decorated Plants’ feels to have changed in certain
특명 4. 전환의 예술: 안보이는 것 들리게 하기-
“곧 사라져버릴 일상의 불안정한 신호체계에 대한 시각적
안들리는 것 보이게 하기
표상representation이자, 보이지 않지만 일상을 지배하고 있는 강력한 파동에 대한 물리적 육화embodiment”라고
요원에게 있어 아무래도 소리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언급하였다.
할 수 있다. 보이지도 들리지도 않는 정보를 대체로 ‘사운드’의 형태로 전환하여 전달하기 때문이다. 전자기적
소리로 육화된 여러 시그널들이 엉켜있는 가운데
신호는 금속탐지기와 컨택트 마이크와 같은 간단한
살아있는 녹색 식물이 외려 생경해 보였던 작업은, 식물학
장치를 통해 채집되고, 다시 사운드의 형태로 녹음,
연구와 닮아 있는 이번 전시의 프리퀄(prequel) 격이다.
증폭된다. 김준이 도시의 특정 장소에서 수집하고 측정한
그리고 이번의 조사작업을 통해 그러모은 정보들은
소리는 그곳의 광대함이나 도시의 위대함을 표상하기
시퀄(sequel), 즉 다음 전시에서 보다 정교한 속편으로
위함이 아니다. 도시에서 방출된 소음의 디테일들을
연결될 것이다.
분석하고자 하는 것인데, 사람들의 감각으로는 포획되지 않는 이 미세한 디테일을 놓치지 않음으로써 공간을 입체적으로 복원하고, 나아가 질문을 던지고자
특명 5. 전람의 솔루션: 대응 너머 협응
하는 것이다. 2014년 가을, 도심의 한 대형 건물의 틈생공간에서 한달 가량 식물을 키웠던 <Unsound
전시에 참여하기로 결정하고 난 바로 며칠 후, 호주의
growing> 프로젝트 역시 이러한 태도에서 확장하여
레지던스 행이 뒤늦게 확정되어 김준 작가와 나는 그
이해할 수 있다. 건축 공간 안팎에서 생성되는 전기적,
황망한 상황 자체를 전시의 조건으로 받아들이기로 했다.
물리적 에너지의 흐름과 식물 생장간의 영향 관계를
전시준비와 설치를 위해 많은 것을 논의해야 하는 석
시청각적 형질로 드러낸 시도에 대하여 비평가 안소연은
달 간 작가는 시드니에 있을 것이고, 전시 중반 경에야
28
aspects compared to his earlier works. The current project posits that plants as nature itself, selected and arranged by man to become an integral part of our daily surroundings are samples of historic and cultural heritage. It then launches into an investigation of the city space and the arrangement of plants within. Addressing the relation between city space and plants from a humanistic geographical angle appears to have enhanced the features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 vis-à-vis his previous works, which foregrounded music as the centerpiece. The minor data items that render a sense of place will be meticulously categorized and consolidated into the near future. Keywords will turn into sentences, which will then build into a page of note that will pile up to a research book, whose thickness will increase in tandem with the density of its contents. Ultimately, the pieces of evidence gleaned from his investigative research endeavors will become creative fodder and transform into art programs that constitute time and space.
The word exhibition, which means having multiple items laid out for show, or the so called ‘display solution’ is a unique technique an artist will continuously hone. Trotting out a wide mélange of items would enrich the show but chip away at exclusivity, whereas revealing a select few would create an aura of mystique but may appear abstruse; striking a balance is indeed often elusive. Thus, the artist is still finding his way to locating the sweet spot to bridge his materials and works, as well as his works and exhibitions.
돌아오는 공식 일정을 피할 길 없었다.
실로 자연 그 자체인 식물이야말로 인공적인 선택과 배치를 통해 현재까지 삶의 환경을 구성하는 역사문화적
문제상황에 대한 대응책은 간단했다. 새로운 환경
유산의 표본임을 전제로, 도시공간과 그 안에서의 식물의
속에서 작가는 위에서 언급한 단계를 거쳐 자신이 정한
배치를 조사하는 작업이다. 도시공간과 식물의 관계를
연구주제와 방법론, 일정관리를 기반으로 그날 그날
인문지리적 시각에서 다루고 있어 사운드를 정중앙에
탐방하고 수집한 자료들을 필드노트의 형식을 빌어
놓았던 기존 작업보다 다학제적 리서치의 면모가 확장된
작성한다. 설치대리인 격인 기획자는 이메일과 팩스,
듯 하다.
항공우편으로 그 자료들을 수령하여 전시현장에 그것들을
장소성을 구성하는 데이터들의 소항목들은 당분간
배치하기로 한다. 그렇게, 겨울철 시드니 현장에서 보내온
정교하게 나뉘고 통합될 것이다. 키워드는 문장으로,
여러 사진과 텍스트 자료 더미들은 폭염이 한창이던
문장들은 낱장의 노트로, 필드 노트들은 리서치 북이
을지로의 전시 사무소로 보내지고, 다시 우정국 전시
되어 두께와 함께 밀도를 채워 나갈 것이다. 궁극적으로
현장으로 이동되었다. 필드 노트는 종이문서뿐만 아니라
이러한 연구조사활동의 증거물들은 창작의 소재가 되고,
실물사진, 건조된 식물 표본과 밀봉된 지질 자료, 사운드
시공간을 구성하는 예술적 프로그램이 된다.
클라우드로 구성된다. 작가의 탐색과 간단한 정리가 끝난 늦은 오후, 블루 마운틴에서 전송한 팩스는 필드 노트를
여러 가지를 벌여 놓고 본다는 뜻의 전람(展覽), 즉 전시의
뱉어내며 전시장 공간을 잠시 진동시킨다.
솔루션이라는 것은 작가가 만들어가는 특별한 기술이다. 많이 늘어 놓으면 풍부해지나 특별해 보이지 않고, 조금만
‘자생하는 식물, 장식된 식물’(Native Plants, Decorated
내놓으면 신비하지만 알기가 어렵기 때문에 적정선을
Plants)이라는 부제를 단 이번 작업을 기존작업들과
찾는 것이 어렵다. 그래서 작가는 자료와 작품, 작품과
나란히 놓고 보면 어딘가 좀 달라졌음을 느끼게 된다.
전시간의 협응協應 지점을 여전히 찾아가는 단계에 있다.
29
* Written by Juri Cho, Translated by Jiyoung Kim * 2014 Joon Kim’s solo exhibition Preface in <The Phenomenon of 37.570127,126.878608> partially revised in September, 2016
간첩 같기도 전파사 아저씨 같기도. 혹은 비밀요원도
* 글 조주리, 번역 김지영
같기도 한 동시대 작가들의 모습을 김준에 투영해 보았다. 김준의 아이덴티티는 측정 예술가나 데이터를
* 2014년 김준 개인전 <The Phenomenon
캐내러 지하로 내려가는 광부의 모습만은 아니다. 스스로
of 37.570127,126.878608>에 쓴 서문을
의미있는 지령을 생산하며 움직이는 요원, 김준의 다음
2016년 9월 부분 수정함.
작전을 지켜보자.
30
III. 시네도키 2016
31
III. Synecdoche 2016
1. 나현 www.na-hyun.com 1970년 대한민국에서 태어난 나현은 다양한 문화권과
- 연구 주제 누락 은폐된 역사, 문명과 민족사 안에 깃든 혼동과 혼돈 - 작업 키워드
국가들의 역사적인 사건들과 관련된 작업을 해왔다.
1980년대, 신자유주의, 실종된 계급, 반복/병렬되는
그의 작품은 인류와 자연이 폭력에 노출된 곳으로부터
역사문제
시작되어, 각양각색의 존재나 관점에 대한 다양성을 호소한다. 부분적으로는 과학적이면서 부분적으로 창의적이기도 한 그의 연구와 표현의 과정들은 역사는
- 방법론 작가적 도큐먼트 작업, 탐사 여행, 협력 연구
불변의 절대 진리가 아니며 이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는 그의 역사관에 기반을 둔다. 결과적으로 그의 작업은 역사를 또 다른 관점으로 해석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준다.
32
1. Na Hyun www.na-hyun.com Born in 1970, South Korea, Na Hyun brings historical events from various countries and regions into his works. Beginning at the point where the human race and the nature are exposed to the violence, his works call for variety of existence and views. Partly scientific and partly creative, his research and expression is based on his view on history that it is never an absolute and incontrovertible truth, and it can be reset by the standpoint. In conclusion, his works make rooms for re-interpreting the history from the new point of view.
- Research Theme deleted or concealed history, hybridity and chaos in civilization and ethnicity - Current Issues 80’s, neoliberalism, disappeared social class, recurring/paralleled history - Methodology artistic documentation, investigative trip, collaborative research
2. 작품 설명
3. 향후 연구 키워드
〈시네도키 2016〉
기록, 신화, 화산..
역사적 아카이브의 수집과 작가적 해석에 바탕을 둔 설치 작업을 주로 선보여온 나현은 올해 준비 중인 두 가지 프로젝트, 「사랑의 유람선」과 시첩 「비해당소상팔경」의 리서치 과정을 담은 자료와 문서, 답사 사진 등을 우정국 내부의 옛 금고 안에 설치한다. 1442년의 예술적 기록에 대한 해석과 1980년 실종된 일군의 무리에 대한 추적이 2016년, 사실과 상상을 오가며 진행된다.
33
2. Work Description Synecdoche 2016 Na Hyun who compiles a historical archive, and creates installations based on its artistic analysis now uncovers the research material, revealing the processes and field exploration snapshots of two projects that are in progress – the Cruise of Love and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or Bihaedang Sosang Palgyeong) – in the old post office safe. Analyzing artistic records from 1442, and tracking a group of people who disappeared in 1980, are works that bounce between the reality and imagination of 2016.
3. Future Research Keywords documentation, mythology, volcano.
34
1
35
2
36
3
1 폭발-세인트 헬렌, 1980.05.18., 혼합 매체, 가변 사이즈, 2016 Eruption- St Helens, May 18,1980, mixed media, dimensions variable, 2016 2 폭발-세인트 헬렌, 1980.05.18., 혼합 매체, 가변 사이즈, 2016 Eruption- St Helens, May 18,1980, mixed media, dimensions variable, 2016 3, 4, 5 “시네도키 2016” 설치 전경, 2016 “Synecdoche 2016” Installation View, 2016
4
37
5
IV. LSP(Love Soap Project)
38
IV. LSP(Love Soap Project)
1. 신제현 www.shinjaehyun.com
- 연구 주제 공시성, 정치문화적 권력과 집단 헤게모니, 개인이 겪는 일상의 부조리와 아이러니
신제현은 한국 사회에서 개인들이 흔히 겪는 사건들로부터 아이러니와 부조리함을 발견하고, 그것의 후면에서 작동하는 사회문화적 권력의 문제들을 더듬어
- 작업 키워드 위생산업과 독성화학물질, 비누, 정액
나간다. 일상의 사소한 문제들로부터 시작된 리서치가 장기화 되고 복잡해 짐에 따라 그 과정은 사진과 영상, 출판, 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매체로 변주되며
- 방법론 자가제조실험과 매뉴얼 제작, 오픈 소스와 DIY 워크샵
한꺼번에 응집되기도 한다. 가장 최근에는 개인용 포르노그라피를 제작하거나, 지역에서 발견한 물리적 요소들을 이용해 악기를 만드는 워크숍 형식의 작업들을 해오고 있다.
39
1. Shin Jehyun www.shinjaehyun.com Shin Jehyun has been working on diverse longterm projects which deal with ironic situations and absurdity each individual experiences within a political structure and cultural hegemony. Starting from daily problems, the research process gets prolonged and complicated. Consequently, his practices are widened to the multiple installations ranging from film, photography, independent publications to the performance. For the recent years, he has produced a personal pornography and run a public workshop in which he taught the musical instrument making out of local resources.
- Research Theme synchronicity, political structure and cultural hegemony, human absurdity and irony - Current Issues hygiene industry, toxic chemistry, soap, sperm - Methodology self-manufacturing, re-writing of manual, open source and DIY workshop
2. 작품 설명
3. 향후 연구 키워드
〈LSP, Love Soap Project〉, 2016
피, 모유, 샴푸, 가습기살균제
신제현은 연구조사형 작업의 출발점이 된 대학시절의 비누 프로젝트를 10년이 지난 지금 현재 시점으로 소환한다. 다국적 기업과 학계의 공모형 은폐를 떠올리게 하는 위생산업의 대항마로 작가는 엉뚱한 DIY 비누 제조 매뉴얼로 회귀한다. 흰색으로 탈각된 공간 안에서 남성 정액을 원재료로 한 천연비누의 제조와 판매, 워크숍을 진행한다.
40
2. Work Description LSP, Love Soap Project, 2016 Shin Jehyun’s soap project that he carried out during his undergraduate school years, marks the start of his research-based art career, and is now summoned to this exhibition, after 10 years. The personal hygiene industry which is reminiscent of the cover-ups carried out by multinational corporations, hand in hand with the academic world in the form of competitions, is challenged, ironically, with a handmade soap manual. Shin crafts and sells all-natural soap made with human semen, and also carries out a soapmaking workshop in a whitewashed venue.
3. Future Research Keywords blood, mother’s milk, shampoo, humidifier germicides
41
1
42
2
43
3
1 Plunge Soap Project 2007 안내문, 잉크젯프린트, 210×297(mm), 2007 Plunge Soap Project 2007 brochure, Inkjet Print, 210×297(mm), 2007 2 Love Soap Project 2016 안내문,잉크젯프린트, 210×297(mm), 2016 Love Soap Project 2016 brochure, Inkjet Print, 210×297(mm), 2016 3, 4, 5 “LSP” 설치 전경, 2016 “LSP” Installation View, 2016
4
44
5
신제현의 인지부조화와 대응 매뉴얼*
요 몇년간 옆에서 지켜 본 신제현은 그러니까, 일상의 음모론자다. 어느 자리에서건 대화를 할 때마다 진지하게 눈을 뻐끔거리면서 구체적 수치를 들이밀면서 내가 들은 것, 알고 있는 것과는 다른 차원의 정보를 주곤하는데, 그게 진짜인지 아닌지 의심하면 왠지 미안한 맘이 드는 것이다. 그래서 그 자리에서는 대체로 설득당하고 마는데 가끔은 집에 돌아가 생각해보면 석연치 않은 대목도 있다. 그가 음모를 제기하는 대상도 퍽 다양하다. 7년이 넘도록 썩지 않는 비누의 실체라든지 피자를 영어로 주문하면 할인이 된다는 기막힌 사실, 상가임대차보호법의 입법예고 향방, 예술공모전 심사의 통계적 접근, 여성 큐레이터들의 건강 실태까지.. 도대체 어디서 그런 정보들을 수집하고 조사하는지도 사실 신기할 따름이다. 신제현이 일상에 숨어있는 자그마한 부조리와 왜곡된 정보에 눈이 밝은 것은 예술가 특유의 관찰력이 덕분이겠지만, 기본적으로 의심이 많기 때문이다. 그의 리서치는 체화된 의심에서 출발한다. 그런 점에서 신제현은 이 세상에 존재하는 메뉴얼들을 믿지 않는다. 각종 요강, 성분표, 약관 따위를 아마 믿을 수가 없을
45
Shin Jehyun’s cognitive dissonance and his counter manual*
After standing over him and watching what Shin Jehyun was doing for several years, I think that he would be a daily conspiracist. Every time he talks to anyone at any place, he always gave them information different from what they already knew while blinking his eyes in all seriousness and giving the specific figures. And every time they have a doubt on whether this information is really true or not, they are sorry for no reason. For this reason, after all, on the spot they were persuaded by him, but when returning home, what he was saying doesn't quite make sense to them again. He constructed a lot of conspiracy theories around a wide variety of targets. For example, there are the actual state of soap which do not decay for more than seven years, the surprising fact that we could get a discount for the price of pizza when ordering in English, the legislative direction of the Commercial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the statistical approach on the screenings of the art contests, and even the health status of the female curators. It’s truly amazing where on earth he collects and investigates such information.
것이다. 그런것들이야 말로 그의 ‘인지부조화’를 자극하는
사후적으로 재구성된다. 그렇게 모순과 역설, 부조리와
왜곡, 조작된 정보의 집합체이기 때문이다. 그것이
불합리는 어느 곳에나 일정한 질량으로 편재하게 된다.
객관적인 언어의 외피를 두르고 있을 수록 더욱 그럴 것이다.
겉으로는 평안해 보이는 일상에서 끝없이 발생하는 모순적 감정, 즉 인지부조화에 대처하는 신제현의
‘인지부조화(cognitive dissonance)’란 말 그대로 사람들의
작가적 대응책은, 투사적 아티스트나 액티시비스트의
신념과 신념, 또는 신념과 실제로 보는 것 사이에
그것과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 시스템에 맞서는 대신,
일관성이 결여될 때 발생한다. 인지부조화 이론에 따르면,
모순적인 체제 그 안으로 잠입하여 공범자연 하거나,
사람들은 자신의 인지체계와 실제로 경험하며 체득한
적당한 정보를 내주는 대신 더 큰 정보를 캐내는 얄미운
사실 사이의 격차에서 심리적 불균형을 느끼게 된다.
타입인데, 이를 통해 인간군상의 행동변화를 관찰하려고
그리고 바로 그 간극을 없애기 위해 자신의 인지체계든
하는 것이 주된 이유일 것이다. 그렇지만, 만일 신제현이
정보든 둘 중에 하나를 변화시킴으로써 일치점을
그저 의심과 관찰만을 반복하는 데 그친다면, 그것은
찾아내려고 한다. 굳이 심리학 이론을 언급하지 않더라도,
참 싱거운 일일테다. 의심의 종착은 결국 믿음이다.
대체로 그것이 인간이 가진 습성이고 우리가 세상에
의심하는 행위 자체가 재차 확인하고 믿음으로 돌아 가기
대처하는 방식이다. 가령, 우리가 맞딱뜨린 상황에서
위한 선행단계인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의심은 중요한
이끌어낸 합리적 결론이라는 것이 기존에 고수해온
덕목이다.
신념이나 정보와 정면으로 배치될 때, 새롭지만 불편한 정보를 채택하기 보다는 부조리하더라도 자신이 편안함을
자신의 기존 관념과 새롭게 수정된 관념, 나와 타인이
느끼는 기존의 사고 회로로 돌아가려고 한다. 잘못된
가진 정보의 비대칭, 좌우파 미디어가 조종하는 정보의
해석과 부조리한 선택이 재생산되고, 불가피한 일이라고
편차 사이에서, 신제현은 우리 사회가 집단적으로
46
The reason that he knows much of the small irregularities and distorted information hidden in the daily life is thanks to the powers of observation peculiar to the artists, but nevertheless, that's fundamentally because he looks upon everything with suspicious eyes. His research starts from an embodied suspicion. In that sense, he doesn't believe in the manuals which exist in this world. I think he could not believe all sorts of the outlines, the ingredients labels and the terms and conditions, so on. That's because such things are the collection of the distorted and fabricated information stirring up his 'cognitive dissonance'. The more such things are covered with an objective language, the more distorted and fabricated the information is. 'Cognitive dissonance' is literally occurred when lacking inconsistency between one belief and the other belief of the same people, or what they believe and what they are really seeing. According to 'cognitive dissonance' theory, people feel the psychological imbalance from the gap between their cognitive systems and something that they
experience and grasp. And to get rid of the chasm, they try to find a common ground by changing one of the two, either their cognitive systems or their information. Even without using a psychological theory, we can fully understand that this is generally a human habit and the way we deal with the world. For example, when a rational conclusion which we draw from a situation we face goes directly against the traditional beliefs and information, people usually rather get back to the unreasonable but comfortable old habits of thought than choose the new but uncomfortable information. Consequently, this reproduces the false interpretation and absurd choice, and these results are reconstituted as the unavoidable consequences afterwards. In this way, the contradictions and paradoxes, the absurdities and irrationalities are omnipresent with a certain amount everywhere. As an artist, his countermeasure against the contradictory feelings occurring endlessly in a seemingly everyday life in peace, namely, cognitive dissonance seems to be far from a militant artist, or activist. Instead of resisting against the system, he is a nasty type of infiltrating
경험하고 있는 인지부조화를 가속화 시키는 방향으로
작가는 역설적으로 ‘정액질’이라는 애브젝트(abject)
자꾸만 엇박자를 내며, 썩 유쾌하지 않은 매뉴얼들을
한 물질을 통해 건강과 순수함을 회복시켜나가는
생산해 내고 있다.
전략을 취한다. 모순에 대한 모순적 대응이 참 영리하게 느껴진다. 1등급에서 10등급까지의 정액을 확보해 나가기
예컨데, LSP라고 재명명된, 남성정액을 원료로 한 비누
위해 거쳤을 무수한 어려움을 그저 ‘리서치’라는 용어로
제작 메뉴얼이 그렇고(2007, plunge soap project),
일축하기엔 무척이나 수행적이며 실천적인 연구 과정이
마리화나를 둘러싼 정신분열적 영상 콜라쥬(2010,
아닐 수 없다.
마리를 찾아서)가 또한 그렇다. 여성의 욕망 충족을 위한 맞춤형 포르노그라피 제작 방법론은 물론이고, 지역에서
우리 사회가 만들어 낸 매뉴얼에 대한 매뉴얼적 대응은
버려진 폐자재로 악기를 만드는 제작 워크숍(Arin Project,
신제현이 찾아낸 비평적 놀이이고, 나름의 액티비즘
2011)도 크게 보아, 익숙하지만 어딘가 잘못되었다고
솔루션이지 싶다. 이를 통해 우리 사회의 구성원이기도
생각되는 관념에 대한 해체를 구체적인 솔루션으로
한 그 스스로가 뼈저리게 겪고 있는 인지부조화를
치환해내는, 작가의 메뉴얼 작업이라고 해석된다.
감소시키기 보다는 오히려 그 차이를 더 강화하고 비틀어 안온한 일상을 구성하는 불온한 요소들을 모조리
이번 전시에 거의 10여년 전 작업인 LSP를 소환하자고
의심하게 하려하는 것은 아닐까? 하고 나 역시 신제현의
제안한 당시는 이른바 옥시 사태가 한창이었다. 다국적
음모론을 음모론적으로 구성해 본다. 결국 음모론을
기업의 위생 산업과 학계, 관료제가 삼각공모한 이 끔찍한
상대할 수 있는 것은 오직 더 센 음모론 뿐이므로.
재앙을 목도하면서, 어쩐지 과거의 비누 작업이 지금에 와서 비평적 의미를 부활시키는 것만 같았다. 청결함의 상징인 비누에 엄폐된 비-위생과 오염의 기의를 읽어낸
47
into the contradictory system and pretending to be an accomplice, or giving some information and then taking much more information, and I think that's mainly because he wants to watch the behavioral change of people by using this. However, just only if he repeats the suspicion and observation, well, it would be insipid. After all, this suspicion is heading toward a belief. The behavior of suspecting something itself is a predecessor to reaffirm a belief and get back to that. In that sense, a suspicion is a critical virtue. Between his previously held view and the newly modified view, on the asymmetry of information which I and the other have, and on the deviations of information which the left and right media manipulate, he is producing the pretty unpleasant manuals, while over and over again hitting off beat in the direction of accelerating the cognitive dissonance which our society is experiencing collectively. Here are examples of such things: the production manual for the soap using the male sperm as a raw material, later renamed as LSP (2007, plunge soap
project), and the schizophrenic image collage on the marijuana (2010, Finding MARI). In addition, not only methodology for producing the customized pornography satisfying the women's sexual desire, but also the workshop for making the abandoned waste resources in that area into the musical instruments broadly speaking, could be translated as his manual work which replaces the work of dismantling the familiar but wrong ideas with a concrete solution. At the time he suggested to summon the LSP work that was made 10 years ago in this exhibition again, we were there at the height of the so-called Oxy scandal. On witnessing this terrible catastrophe that is the result of the triangular complicity among the multinational sanitary goods industry, academia and bureaucracy, it seems that the past soap work now restores the critical meaning. The artist who reads the signified like insanitation and contamination hidden in the symbol of cleanliness, namely, a soap chooses the strategy for restoring the health and pureness ironically by the medium
* 글 조주리, 번역 문명주
48
of the abject material, 'semen quality'. I think that his strategy for responding to the contradiction by using a contradiction is really smart. It must be really practical, performative research process which can't dismiss the inevitable difficulties for him to collect the sperms from grade 1 to grade 10 as just the term, 'research'. I think that his counter manual to the manual that our society made seems to be a critical play and his own activism solution which he found in the end. Based on this, might he totally plant a doubt on the disquieting elements consisting of a quiet, unexciting life rather by strengthening and distorting the cognitive dissonance than by diminishing the difference that he who is a member of our society, is painfully suffering at first hand? In this way, I also tried to reconstruct his conspiracy theory in a conspiratorial way. Well, that's because I think that ultimately only more powerful conspiracy theory can deal with a conspiracy theory.
* Written by Juri Cho, Translated by Moon Myeongjoo
V. 조용한 태양의 해
49
V. In the Year of the Quiet Sun
1. 오톨리스 그룹 otolithgroup.org 오톨리스 그룹은 2002년 안잘리카 사가와 코도 에슌에 의해 결성되어 런던을 중심으로 활동 중이다. 이들은 전시를 목적으로 무빙이미지, 아카이브 자료, 음파와
- 연구 주제 인종,계급, 젠더, 테크놀로지를 포함한 동시대 시각 문화, 미래-과거 역사연구의 재현방식 - 작업 키워드 SF, 아프리카와 트리컨티넬탈리즘, 우표 정치학, 소외
청각에 대해 탐구한다. 이들의 작업은 연구를 기반으로 하며 특히 확장된 형식 실험 안에 환경, 사건, 역사를
- 방법론
바라보려는 한 방법으로서 에세이 영화에 집중한다.
문화고고학과 대안적 지식 생산 : 오디오, 필름,
또한 국내외 유수의 미술관, 갤러리, 비엔날레, 재단 등
아카이브의 작가적 재구성, 출판과 기획 이론화 작업
여러 다른 단체에서 의뢰를 받아 연구를 수행하면서 설치미술을 제작하고 출판물을 발행해 오고 있다.
50
1. The Otolith Group otolithgroup.org The Otolith Group was founded in 2002 and consists of Anjalika Sagar and Kodwo Eshun who live and work in London. During their longstanding collaboration The Otolith Group have drawn from a wide range of resources and materials. They explore the moving image, the archive, the sonic and the aural within the gallery context. The work is research based and in particular has focused on the essay film as a form that seeks to look at conditions, events and histories in their most expanded form.
- Research Theme contemporary visual cultural of the race, class, gender and technology issues, future-past history research and its representation - Current Issues SF, African issues and tricontinentalism, politics of postage stamps, alienation - Methodology cultural archeology and alternative knowledge production: artistic re-arrangement and disorientation(time, space, perspective), publication and curation, theorization
2. 작품 설명
3. 향후 연구 키워드
〈조용한 태양의 해〉, 2013
벵갈의 아트 스쿨, 교육학자로서의 타고르
이번 전시에서는 치밀한 역사연구와 독특한 오디오비주얼 감각이 돋보이는 오톨리스 그룹의 2013년 작, 「조용한 태양의 해」를 젊은 시각문화연구자들이 작품으로부터 발견해 낸 각자의 연구단서들과 함께 보여준다. 이러한 병치는 원작의 의미가 새롭게 소비되고 리서치가 이동/ 확장하는 가능성을 파생시킨다.
51
2. Work Description In the Year of the Quiet Sun, 2013 Exhaustive historical study and unique audiovisual flair of The Otolith Group can be seen in their work titled In the Year of the Quiet Sun from 2013, which is displayed with each of the visual cultural researchers’ research ideas excavated from this work. This parallel display point to possibilities for new forms of consuming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as well as the potential for moving into a new, wider research territory.
3. Future Research Keywords Art School in Bengal, West India, Pedagogy and Tagor
1
52
2
3
53
1 “조용한 태양의 해” 스틸컷, 1958 년의 가나 우표들, 2013 Still from “In the Year of the Quiet Sun”, Postage stamps in 1958, Ghana, 2013 2 “조용한 태양의 해” 스틸컷, 1962 년의 가나 우표들, 2013 Still from “In the Year of the Quiet Sun”, Postage stamps in 1962, Ghana, 2013 3 “조용한 태양의 해” 설치 전경, 2016 “In the Year of the Quiet Sun”, Installation View, 2016
연구제안* “국제정일태양관측년(IQSY)에 일어났던 일들”
문제의식과 연구 관심사 지난 2016년 6월11일부터 9월6일까지 진행된 나의 리서치는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일련의 역사적 사건들을 실뜨기 하듯 직조해내는 오톨리스 그룹의 작업 방식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특히 과학사적 사건을 소재로 SF적인 내러티브를 구성해내는 이들의 리서치 아이디어에서 착안하여 작품 말미에 미궁의 실마리처럼 던져지는 1964년의 ‘조용한 태양의 해 / In the year of the quiet sun’ 의 역사적 기록들을 리서치하고 이 사건이 그들의 작품에서 작용하는 은유적 장치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한다. ‘조용한 태양의 해 In the year of the quiet sun’ 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태양은 11년을 주기(Solar Cycle)로 흑점의 증감을 반복하는데 (*흑점이란 태양 주변을 배회하는 자기장의 흐름에 따라 주변의 온도가 떨어져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이는 것을 말한다. ) 이 흑점의 활동이 활발한 시기를 극대기(Solar Maximum) 반대를 극소기 (Solar Minimum)라고 하며 ‘조용한 태양의 해(quiet
54
Abstract The research carried out from June 11th to September 6th 2016 started with a keen interest in the working process of the Otolith Group, which at first glance appears as if unrelated historical facts are strung and woven together like a loose game of cat’s cradle. Thus, based on the Group’s research idea of building a science fiction-like narrative using the historical events in the field of science, the aim of my research is to delve into the historical facts behind In the Year of the Quiet Sun, 1964 that is handed out at the conclusion of the work like a clue in a labyrinth, and deliberate over the metaphoric devices that take effect in their work.
research proposal “Events in International Years of Quiet Sun”
Key words Solar Minimum, IQSY, National union
sun)’는 흑점의 활동이 감소하는 극소기에 해당한다. 극대기(Solar Maximum)에는 태양을 둘러싼 전리가스인
우주과학자들이 대거 참여한 기념비적인 프로젝트로
코로나 방출, 자기장 변화 등을 통해 오로라, 전파
협력을 자축하듯 우표, 엽서, 패넌트 등 의 기념품을
교란현상, 위성통신장애, GPS 수신장애, 인공위성피복
대대적으로 발행 한다.
기록되며 태양을 중심으로 추 끝에 매달린 지구공동체의
등을 일으키게 되며, 최근에는 극대기에 태어난 사람의 수명이 극소기에 태어난 사람보다 5년 이 짧다는
한국에서는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교수인 권녕대 위원장을
흥미로운 결과물이 발표 되기도 하였다. 반대로
주축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서울과 제주도 두 곳에서
태양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극소기(Solar Minimum)에는
기상, 지자기, 태양활동, 우주선의 4개의 분야에 걸쳐
이런 장애들에서 자유롭기 때문에 보다 공격적인 우주 및
관측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물인 “IQSY Reports In
지질학 연구가 가능해 진다.
Korea’와 학술원 논문집 “서울과 제주도에서의 지자기 및 우주선 강도의 일변화”는 온라인상으로는 데이터를 구할
프랑스 파리에 소재를 두고 있는 국제학술연합회의
수는 없었고 앞으로 이어질 추가 리서치를 통해 업데이트
(IQSU- International Council for Science)는 1964년-1965년을 국제정일태양관측년 (IQSY-
하고자 한다.
International Years of Quiet Sun)으로 공표하였는데 이는 태양의 활동이 가장 적은 때(극소기 Solar Minimum) 에
오톨리스 그룹의 ‘조용한 태양의 해/In the year of the
세계 여러 나라가 공동 협력하여 지구 물리학의 종합적인
quiet sun’ 영상의 주요 골조는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걸친 (영국 식민지로부터) 아프리카 가나의 독립과정과
현상을 관측하는 프로젝트였다. 하지만 마치 ‘조용한
신생독립국의 탄생을 다루고 있다. 작가는 영상의 말미에
태양의 해’ 라는 이름에 대한 반어적 응답처럼 미국, 영국,
태양이라는 절대 권력에 대항하여 태양 탐사라는 공동의
일본, 가나를 비롯한 70 여 개 국의 물리학자, 지질학자,
목적을 향하여 조직된 국가적 연합(National Union)의
55
모습을 병치하여 저항할 수 없는 거대 힘에 대항한
* 연구제안서 작성 박나혜(Nahye Park)
전환점의 미약한 시작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부산출생, 음악 미술 영화 소설 댄스 영어 잘하는 법에 관심이 많으며 여기저기 기웃거리고 있다.
키워드 태양극소기, 국제정일태양관측년, 국가적연합
56
연구제안* “Trans-mission: 이석에서 귓바퀴로” - 리서치에서 프로덕션으로의 이행
문제의식 이번 전시에 오톨리스 그룹의 작업을 초대한 나는 초청작인 < In the year of the Quiet Sun>의 엔딩 크레딧에 소개된 다국적 프로덕션과 아카이브 제공기관에 대한 정보를 유심히 살펴보게 된다. 이미 여러 차례 전시를 통해 소개된 작품이니만큼 필름에 관한 비평적 분석, 즉 냉전시기 태양탐사 리서치를 기념하는 우표발행의 정치학과 판아프리카니즘(Pan-Africanism)과 트리 컨티넨탈리즘(Tri Continentalism)의 이슈에 대한 시청각적 서사의 방식, 각각 가나와 인도의 가계도에서 파생되는 개인의 기억을 인류사적 서사로 전환시키는
코도 에슌과 안잘리카 사가의 리서치가 가진 탁월함에
대해서, 나로서는 기존의 유려한 텍스트에 덧댈 주석조차 쓰기 힘들다. 연구자로서 관심이 가는 부분은 그들의 아티스틱 리서치가 문화적 프로덕션으로 이행되는 과정에 있다. 엔딩 크레딧을 잠시 정지시켜 놓고 보면, 베를린 소재의 세계문화의 집(Haus der Kulturen der Welt)**과, 네덜란드
57
Abstract The Otolith Group appoints themselves as the “otoliths”, the stones inside the inner ear used for sensing balance. Tracking the development trajectory of their work, which initiated as personal research to become public visual cultural heritage is equivalent to grazing through the prerequisites to the creation of research-based artwork as well as the significant currents of the art world. Having seen this project, I find myself pondering upon the process of independent critical deliberation, transforming and transmitting into public visual culture and its practical possibilities, without the cooperation of the international biennales, art institutions, and influential star curators who generate and put to action the large scale, long term co- commission works.
research proposal
Therefore, the following issues will be dealt with in more depth:
“Trans-mission: from otolith to auricle” - transition from research to production
1. The cooperation system, background, political support and such are tracked and recorded in
위트레흐트의 카스코(CASCO)***, 노르웨이의 베르겐
예술 씬의 특수한 모의가 필요하다. 또한 작가 차원의
쿤스트할(Bergen Kunsthall)이 공동으로 커미션 진행을
편집증적인 이미지 수집에서 나아가 공공 아카이브의
했고, 오톨리스 그룹의 웹 페이지 상의 정보에 따르면
원활한 사용권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개인 예술가의
한국의 아트선재가 협력, 몬드리안 재단이 돈줄을 댔다.
열정이나 부지런함 이상으로, 공동 프로덕션에 대한
그리고 아마도 그 배후에 오톨리스 멤버들의 모국
경험적 축적과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리라는 가늠 또한
기관인 영국의 문화예술위원회 (Arts Council England),
해보게 된다.
더 넓게는 EU(European Union) 문화프로그램이라는 거대 우산이 씌워져 있음을 어렵지 않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오톨리스 그룹의 필름 프로덕션에 연계된 저명한
연구문제
아티스트들과 기술적 협력자들, 이미 세계적 큐레이터 반열에 오른 기획자들의 이름으로 수 놓인 크레딧을 통해
내이 안의 평형기관인 ‘이석’임을 자임하는 오톨리스
이 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사방으로 교직된 국제
그룹의 작업이 개인의 리서치를 뚫고 나와 공공의
미술계의 인맥도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시각문화 유산으로 발전되는 과정을 추적해 보는 일은 조사연구 기반의 작업이 생성될 수 있는 전제조건과 최근
삼십여분 남짓의 이 짤막한 에세이 필름은 오톨리스
미술계의 중요한 판도를 더듬어 보는 일이기도 하다.
그룹이 가진 광대한 지적 관심사와 아티스틱 리서치
대규모 장기-협력 미션을 창출하고 움직여 나가는 국제적
공력이 빛을 발한 결정체다. 그러나 한 개인의 관심사에서
비엔날레와 미술기관, 영향력 있는 스타 큐레이터의 공조
비롯된 연구물이 공공의 가치를 획득한 문화적
바깥에서, 자율적 문제의식이 공공의 시각문화로 이행
프로덕션으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차원의 문화정책과
/전송trans-mission 되는 과정과 실제 가능성을 이 작업을
범 유럽적 연구공조, 예술창작 기금이 모이고 흩어지는
통해서 새삼 고민해 보게 되는 것이다.
58
diagram form, and any areas lacking in substance will be supplemented through literature based research, and corresponding with the related personnel by writing back and forth. 2. However research will go beyond simple fact confirmation, to objectively depict the ambivalent thoughts surrounding artwork production including: positive elements such as assessment on the socio-cultural contribution through art production, and the unique approach and reception of the artists’ research that is set apart from the academic research methodologies; negative elements such as knowledge-based power that branches from a network of art world elites – supported by the unwitting but unmistakably existent art cartel that is met with resentment; and the despair welling from a complete loss of research sense (in the Korean context), and the absence of any support.
Key words artistic research, cultural production, cocommissioned work, arts funding & cultural partnership
따라서 아래와 같은 문제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접근해
키워드
보고자 한다. 예술적 연구, 문화 생산, 공동 커미션 작업, 예술기금과 1. 각국 예술 기관사이의 공조 체계와 협력 배경, 정책적
문화협력
지원 등을 추적하여 다이어그램으로 구성해 보고, 부족한 부분은 문헌연구와 관계자 서신교환을 통해 사실 확인, 보완해 나감. 2. 단순한 사실 관계 확인에 그치지 않고, 작업 프로덕션을 둘러싸고 있는 양가적 소회들: 긍정적으로는 예술 프로덕션의 사회문화적 기여와 학계의 연구방식과는 차별되는 독창적 연구와 수용에 대한 평가, 부정적으로는 엘리트적 예술관계망에서 파생되는 지식권력, 이를 뒷받침하는 비가시적 예술 카르텔에 대한 해부, 그리고 (국내환경에서) 리서치 감각의 총체적 상실과 협력 부재 현상에 대해 구조적으로 파악하고, 객관화된 시선으로 서술할 것.
59
* 연구제안서 작성 조주리
*** 카스코(CASCO-Office for Art, Design
이번 전시의 기획자이자 연구자, 이십대에
and Theory)는 네덜란드 위트레흐트에
심리학과 미술사를 공부하였고, 삼십대에는
위치한 '예술, 디자인 그리고 이론을 위한'
문화정책과 디자인역사문화를 공부했다.
공간으로, 이론과 실천을 넘나드는 전시,
대체로 상황에 맞게 아이덴티티를
출판, 토론, 워크샵, 퍼포먼스 등 다양한
변경하면서 일을 공부처럼, 공부를 일처럼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디렉터인 최빛나를
하고 지낸다.
중심으로 <대가사혁명> (The Grand Domestic Revolution) 프로젝트 등 공동
** 베를린 세계문화의 집은 세계문화예술을
연구와 출판, 전시가 연계된 프로그램들을
독일 내에 소개하는 역할을 맡는 중추적 예술
생산해 왔다. cascoprojects.org
기관으로,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문화를 다룬 문화 프로그램을 생산해 나가고 있다. 시각예술과 필름 분과의 책임 큐레이터인 안젤름 프랑케(Anselm Franke)가 이곳을 주축으로 하여 각국의 예술기관과 협력하여 다양한 지식생산형 전시와 커미션 작업들을 선보이고 있다. www.hkw.de
60
연구제안* “반복되는 감상일지”
문제의식 오톨리스 그룹의 작업을 직접 다루기 이전에, 어떤 권위에 호소하지 않고도 무리 없이 납득할 수 있는 동시대 시각문화의 두 가지 전제를 상기해보자. 하나, 텍스트 혹은 이미지는 수신자의 맥락이나 참조점에 따라 다르게 읽힌다. 둘, 동시대 미술이 조직하고 생산해내는 내러티브는 더 이상 선형적이지 않다. 이 두 전제들을 조합하여 전시장 안에 진입하여 오톨리스 그룹의 <In the Year of the Quiet Sun>을 마주한 한 관객의 입장을 생각해보자. 그/녀는 어두컴컴한 전시장에 들어선다. 눈이 어둠에 익숙해지자 발을 옮겨 한 영상 앞에 선다. 출처를 명확히 알 수 없는 파운드 푸티지들과 시공간을 구체적으로 짚어내기 힘든 장면들이 때로는 순식간에 지나가고 때로는 지난하게 이어진다. 이처럼 오톨리스 그룹의 작업은 중첩된 맥락과 푸티지의 비선형적 조합으로 인해 관객에게 흥미롭게 다가오는 동시에 곤란한 상황을 연출한다. 무엇을 얼마나 알아야 이 작업을 충분히 읽을 수 있을까? 이 작업의 주제와 이를
61
Point of Departure Before getting to the works of The Otolith Group, let us remind ourselves of two premises recognized without trouble in contemporary visual cultures without relying on any discursive authority. One, a text or an image is rea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text or references of the receiver. Two, narratives produced in contemporary art field is no longer linear. Now, let us consider an audience facing The Otolith Group's In the Year of the Quiet Sun in a gallery, with these premises in mind. She enters a dim-lit gallery. As her eyes adjust to the dark, she moves her feet and stands in front of a screen. Found-footages with unfamiliar sources that are hard to pinpoint its time and space pass by. At times in a flash, and at others, rather tediously.
research proposal* “A Journal Reiterated”
The Otolith Group's works stage a situation that attracts the audience while troubling them with a densely superimposed context and non-linear combination of footages. How should one know to sufficiently read this video? Is misreading the only
둘러싼 맥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관객이라면 이 작업을
관객들을 길러내는 임무를 부여 받았고, 관객들의 검색
필히 오독할 수 밖에 없는가? 그렇다면 관객은 이 작업을
및 공유 능력에 기대어 작업과 관련한 정보의 파편들은
제대로 읽기 위해서 부지런히 사전지식을 탑재해야
이 순간에도 증식되고 있다. 그렇다면 반대 방향으로
하는가? 이처럼 정보 전달에 충실한 다큐멘터리나 감각
균형을 맞추어 다시 질문해본다. 작업을 마주하는 관객이
혹은 미감만을 내세운 영상이 아닌 그 사이 어딘가에
작업과 관련한 배경지식을 숙지하고 있지 못하다면
위치한 리서치 기반 작업은 관객에게 무언가를 요청하고
어떨까? 더 나아가서, 영상작업과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듯하다. 영상 작업을 앞에 두고 어둠 한 가운데서
있는 지정학적인 역학에 대한 배경을 인지하지 않기로
핸드아웃에 코를 박고 다급히 힌트를 찾는 모습은 이제
(스스로도 모르게) 선택해버린다면 어떨까? 이미지와
전시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 되었다. 앞서 언급한
감각이 의미로 도달하기 위해서는 각 수신자의 서로
두 가지의 일반적인 조건들에 하나의 특수한 상황, 즉
다른 맥락을 통과해야 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일
오톨리스 그룹의 작업이 밀도 있는 리서치를 기반으로
수 있는 바이다. 하지만 이를 바탕으로 두 가지 관점이
하고 있다는 점이 더해질 때, 관객들은 무겁지만 애매한
갈라진다. 각자의 이질적인 참조점을 동질적으로
책임감을 체감하며 스스로의 태도를 설정해야 한다. 다시
다듬어야 한다는 생각과 맥락에 대한 합의가 작품 이해의
말해, 리서치의 레이어들이 겹쳐진 작업 앞에서 관객은
필수적인 조건이 아니라는 생각. <감상일지>에서는
얼마나 알고, 얼마나 읽을 것인지에 대한 의식적 혹은
후자의 관점을 기반으로 <In the Year of the Quiet Sun>를
무의식적 선택을 내려야 하는 것이다.
조명해보려 한다.
이제까지 이러한 선택은 관객들로 하여금 특정 작업에 대한 맥락을 충분히 숙지하는 방향으로 유도되어 왔다. 작은 글씨의 핸드아웃들과 월텍스트는 박식한
62
option for an audience who lacks the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matter and the surrounding context of this work? Then should the audience be equipped with prior knowledge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it? As such, research based works placed somewhere between a documentary that faithfully delivers information and a video work that accentuates sensational experience seem to be demanding something more from the audience. A scene where an audience has her nose in the handout in the dark, in urgent search for the slightest hint in front of the screen is frequently spotted nowadays. When dealing with a densely researchbased works of The Otolith Group with the general premises outlined in the beginning, the audience has to set up one's attitude with heavy yet ambiguous responsibility. In other words, in face of a work with layers of research, the audience has to make a conscious or unconscious choice on how much to know and read. To this point, the audience has been led to be sufficiently informed of the context of a certain work
of art. Hand-outs with text in fine print and wall text are assigned a mission to produce well-informed audience. And fragments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work are multiplying even at this moment from the constant browsing and sharing. If this is the case, let us ponder upon a few questions from another direction. What if the audience is not as well-informed as expected of them? Furthermore, what happens when the audience (unknowingly) choose to overlook the background of the geopolitical dynamics directly related to the video? One could easily swallow that an image or sensation needs to pass through the different context of each receiver in order to reach a certain meaning. Yet there lies two perspectives from this point. One is that the heterogeneous references need to be processed so that it would be more homogeneous and the other is that a consent on the understanding of the work's context is not a mandatory condition in understanding the work. Based on the latter perspective, "A Journal" attempts to tackle In the Year of the Quiet Sun.
연구방법
3) 영상을 보는 동시에 메모를 하고, 영상을 감상한 후 24시간 내에 이를 정리하여 문서로 남긴다.
<감상일지>는 오톨리스 그룹의 영상 앞에서 사전 지식은 없으나 성실한 관객의 감상평을 구현한 것이다. 이는
4) 3)의 과정을 보충하기 위해 영상을 한 차례 더 볼 수
밀도 높은 리서치 기반 작업 앞에 선 조금은 무력한,
있다.
하지만 그만큼 용감한 관객으로서 작업을 마주한 일지가 될 것이다. 일반적인 관람 환경과 다른 점이 있다면,
이 글을 쓰는 시점에는 <In the Year of the Quiet Sun>가
전시장이 아닌 노트북 스크린으로 작업을 본다는 점과
전시장에 어떻게 설치될 것인지 알 수 없다. 사실 지금
이를 반복해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시점에는 이 글이 전시장에 놓이게 될지도 장담할 수
영상을 보는 것은 물론 전시장에서 보는 것과는
없다. 하지만 다행히도 (혹은 불행히도) 관객이 영상과
총체적으로 다른 경험을 구성할 것이다. 다만 본 일지의
이 텍스트를 함께 볼 수 있다면, 그/녀는 그 앞에서
의도에 맞게 이 환경을 활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룰을
어떤 태도를 취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스스로에게 설정하기로 했다.
오로지 영상에만 집중할 것인지, 영상과 텍스트를 함께 볼 것인지, 아니면 텍스트만을 읽을 것인지. 물론
1) 이 글을 마무리하고 <In the Year of the Quiet Sun>을
이 선택지들 사이에 수많은 다른 태도들이 가능하다.
처음으로 본다. 영상을 보기 앞서 사전 정보를 검색하거나
그러니 <감상일지>는 작업에서 직접 읽어낼 수
관련한 글을 읽지 않는다.
있는 것만 보겠다는 선택을 표명하는 동시에 또 다른 태도들을 선택할 수 있는 지점으로 작동하게 될 것이다.
2) 영상을 재생하면, 중간에 정지하거나 되돌리기를 하지
이 시도는 <In the Year of the Quiet Sun>이 외부의
않고 끝까지 본다.
텍스트 없이 자체적으로 소통이 된다는 것을 드러내게
63
Research Methodology "A Journal" is an attempt to realize a review of a faithful audience who stands in front of a work of The Otolith Group without prior knowledge. It will be an account of an encounter from an audience who may be helpless to some extent yet still daring. What sets apart this attempt from a conventional setting would be that I will be watching the video from a laptop instead of in the gallery and that I get to watch it repeatedly at my will. Watching the video in this setting would certainly provide an experience different from one from a gallery. I have laid out a step-by-step guide in order to put this environment into use according to this journal's objective. 1) After finishing up this very text, watch In the Year of the Quiet Sun for the first time. Do not search for prior knowledge or read any of the related text before watching it. 2) Once played, do not pause or rewind the video.
3) Take memos while watching and organize it into a document within 24 hours after finishing the screening. 4) In order to complement the step 3), you may watch the video once more. At this point, I do not know how In the Year of the Quiet Sun will be installed in the gallery. I am not even sure if this text will make it to the gallery. If fortunately, or unfortunately for that matter, the audience gets to encounter the video with this text, she would have to decide make a choice. Focus only on the video, or watch it alongside the text, or read the text only. Surely, infinite options between them are possible. Consequently, "A Journal" is a demonstration of a choice to read as much as is shown while operating as another point of departure into other possible attitudes. Would this attempt demonstrate that In the Year of the Quiet Sun is sufficient in itself to reach the audience without exterior sources of information? Could this lead to an extended interpretation? Or would a less than impressive outcome reveal my
될까? 더 확장적인 해석으로 나아갈 수 있을까? 아니면
* 연구제안서 작성 유지원
형편없는 결과물을 통해 나의 상식이 볼품 없다는 것을
유지원은 대학에서 미학을 전공했고 한
폭로해버리고는 이제까지의 관행이 전부 일리가 있었다는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시각 언어에서
점을 증명해주게 될까? 한번 지켜보도록 하자.
문자언어로 옮기는 작업에 관심이 있다. 지난 몇 년간 전시 및 도록 제작 코디네이터 및 통/번역가로 활동해왔고 미술에 대한 글을
키워드
써왔다.
<In the Year of the Quiet Sun>, 관객(수용자), 작품 감상과 (컨)텍스트
64
lack of general knowledge and confirm that the conventional practices have a reason enough to survive? We'll see in due time.
Key words In the Year of the Quiet Sun, audience, appreciation and (con)text
* Written and translated by Yu Jiwon. She studied aesthetics in college. She is interested in translating a text from one language to another, and engaging the visual with text. For the past few years, she has worked as coordinator of exhibitions/publications and translator as well as a reviewer/writer on art.
연구제안*
관객에게 기쁨보다는 두통을 안겨 주는 ‘불친절한’ 미술 작품을 만드는 예술가들의 일일이 나열하기 조차
오톨리스 어휘록: 현상을 이론으로 전환시키는 말들
힘든 기나긴 리스트 중에서도 오톨리스 그룹은 그 불가해성(不可解性)으로 따지자면 틀림없이 순위권에 들 것이다. 예술가가 오로지 작품으로써만 이야기하는 시대는 이미 끝난 지 오래고, 작품의 이해를 조금이나마 돕기 위해 작가 혹은 기획자가 덧붙인 말은 감상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것이 되었다. 오톨리스 그룹의 작품을 많은 이들이 그토록 난해하게 느끼는 이유는 작품 내재적인 소재의 특이성이나 표현의 파격성 때문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난해함을 해소하고자 읽은 추가 설명에 등장하는 용어의 생경함 때문이기도 하다. 많은 경우, 그들이 자신의 작품을 설명하기 위해 채택한 단어는 1.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새로 만든 말 이거나, 2. 아주 좁은 커뮤니티에서, 그 중에서도 아주 소수의 사람들에 의해서만 사용되던 말 이기 때문이다. 개중에는 조어의 뿌리를 분석해 보면 쉬이 의미를 짐작할 수 있는 것들도 있지만, 대개는 그 각각의 뿌리조차 생소해서 사전의 도움
65
Abstract Undoubtedly, the Otolith Group is one of the most unintelligible artists in today’s art world where countless artists offer the audience more headache than pleasure with surly expressions and recondite messages.
research proposal* The Otolith Glossary: Languages that transforms phenomena to theories
The reason why people feel such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Otolith Group’s works is not only because of the exceptionality of the way they are presented, but also due to the unfamiliarity of the language the artists – or curators - uses to explain their works. In many cases, the words or phrases selected to describe their works are 1. newly coined by the artist in order to match the context of the work or, 2. utilized in the limited size of the community, by the only limited number of people. There are some terms whose meaning can be easily understood when conducting a simple etymological research, but most of them are so unknown that you have to use dictionary to even get just the hint of them.
없이는 힌트조차 얻기 힘들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오톨리스 그룹의 작업 안팎에 등장하는 어휘들을 목록화하고, 둘째, 그 어휘들의 기원을
인터넷 문화의 발달로 쉴 새없이 신조어가 쏟아져 나오는
추적하고, 셋째, 각각의 어휘들과 그것이 쓰인 작업
오늘날에도, 우리는 여전히 어떤 ‘이론적인’ 용어를
사이의 맥락을 분석함으로써 오톨리스 그룹의 작업에서
만들고 그것을 하나의 공고한 개념으로 고착시키는 것은
이러한 어휘들이 담당하고 있는 역할을 파악하고,
학계의 고유한 권한이라 생각해버리곤 한다. 그렇게
더 나아가 예술가의 작업과 그것을 둘러싼 말들이
학계에서 만들어진 용어 중 극히 일부는 천계에서
만들어내는 여러 가지 관계의 유형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내려와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쓰이게 되지만, 대다수는
한다.
‘전문성’이라는 높은 벽 안에 갇혀 소수에게만 전설처럼 전해져 내려오는 사어로 남는다. 이들이 관객과의 소통 가능성이 차단될 위험을 무릅쓰고서라도 자신의 작품과 해설에 낯선 용어들을 등장시키는 것은 단순히 예술가이기 이전에 오래도록 강의와 연구에 매진해 온 학자로서의 정체성이 자연스레 작업에도 발현된 것뿐일까? 아니면, ‘현상’으로써의 작업을 하는 것은 예술가들이지만 그것을 보편적인 ‘이론’으로 만드는 것은 늘 비평가 혹은 학자들의 몫이었던 오랜 분업구조에 딴지를 걸고자 하는 것일까?
66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is going to make the list of the words and phrases that exist inside and outside of the art world of the Otolith Group, track down the origin of the terms and analyze the links between each language and the work they appeared in. By doing so,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ole of those languages in the context of the works of the Otolith group and furthermore, to expand the scope of our thinking about the various relations between the work of the artist and the language surround them.
appendix) 오톨리스 어휘록의 예 Examples of the Otolith Glossary
* 연구제안서 작성 최정원 독인지 득인지 모를 호기심 때문에 이런저런 일들에 발을 담그고, 이곳저곳을 기웃거리며
1. Archaeopsychic (Otolith I, 2003) 2. Indophilia (Be silent, for the ears of the god are
살아왔다. 맥락 없이 산재해 있는 수많은
everywhere, 2006)
‘말’이다. 너와 나를 이어주기도, 갈라놓기도
3. Transidiomatic suppleness (Be silent, for the ears of the god are everywhere, 2006)
하는 말의 기원과 쓰임, 그것이 낳는 오해에
관심사 중에서 가장 오래 이어져 온 것이
관심이 많다.
4. Afrofuturism (Hydra Decapita, 2010) 5. Hydropolitics - Hydroaesthetics (I See Infinite Distance Between Any Point and Another, 2012) 6. Anthropocene (Medium Earth, 2013) 7. Tricontinentalism (In the Year of the Quiet Sun, 2013) 8. Pan-Africanism (In the Year of the Quiet Sun, 2013) 9. UIQ (Infra-quark Universe) (In Search of UIQ, 2014) 10. Optical Water Syndrome (From Left to Night, 2015)
67
** 대표적인 것이 ‘왼쪽에서 밤으로(From
*** 이번 전시에 소개된 ‘In the Year of
Left to Night, 2015)’의 작품 해설에
the Quiet Sun(2013)’에 직접 등장하는
등장하는 Optical Water Syndrome이다.
Pan-Africanism(범아프리카주의)이나
구글에서 큰 따옴표 안에 이 어구를 넣고
Tricontinentalism(삼대륙주의), 오톨리스
검색하면 오로지 하나의 검색 결과만이
그룹의 첫 번째 에세이 영화인 ‘Otolith
나오는데, 바로 오톨리스 그룹의 멤버인
68
I(2003)’의 해설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코도 에슌이 화이트채플 갤러리에서 동명의
‘Archaeopsychic(고고심리학적인)’ 등의
제목 아래 발표한 내용에 대한 소개이다.
단어가 이에 해당한다. 오톨리스 그룹이
(www.whitechapelgallery.org/wp-content/
처음 만들어낸 것은 아니지만 각 분야의
uploads/2014/12/Artists-Moving-Image-
전문가나 특별한 관심을 가진 사람이 아니면
Conference-Speaker-Abstracts.pdf)
일상적으로 접하기 힘든 용어들이다.
VI. 일시합의기업
69
VI. Enterprise of Temporary Consensus
1. ETC theetc.blogspot.jp ETC는 자유롭게 도시를 여행하며 곳곳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는 일시적 조직체이다. 이샘,
- 연구 주제 도시, 장소, 사람, 관계, 역사, 이야기 - 작업 키워드 가상적 오피스, 예술가의 사회적 위치
전보경, 진나래 세 작가는 걷기, 우연한 마주침, 지역 전문가의 이야기,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리서치 등을
- 방법론: 협력 연구
통해 도시에 귀를 기울이며 도시 및 지역과 가시적/
이야기와 정보수집, 사회시스템 패러디, 자가출판,
비가시적, 직접적/간접적 소통, 관계 맺기를 시도한다.
투어프로그램, 퍼포먼스
70
1. ETC theetc.blogspot.jp ETC is an arts collective(Saem Lee, Bokyng Jun, Narae Jin) that aims to research happenings at various places in cities by exploring cities freely. We gets the inspiration from walking, coincidence meetings, stories from local people, and historical research on sites. We listens to the cities so that We can do visible/invisible, direct/indirect communication as well as make relationships with the cities and regions.
- Research Theme urbanization, place, human, relation, narrative - Current Issues operating the virtual office, artists’ social status - Methodology peer research: collecting narratives, parady on economic and social entities, self-publishing, organizing tour program, performance
2. 작품 설명
3. 향후 연구 키워드
〈일시합의기업〉, 2016
ETC(이샘, 전보경, 진나래)는 도시, 삶, 일상의 현상에서 벌어지는 이야기와 정보를 수집하여 전체적이고 지역적인
이샘, 전보경, 진나래 세 작가들의 컬렉티브 인 ETC는
사회 정치 경제 문화적 문제와 연결하여 이해하고자 하며
우리 사회의 ‘기타등등’의 문제들을 구체적인 현실로
도시/장소/사람/관계/역사/이야기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끌어들여 장소, 인물, 역사에 대한 적극적인 리서치를
예술적 수행, 공연, 전시, 출판 등의 방법으로 작업을
작품으로 치환해왔다. 이번 전시에서는 전시장 안에
진행하였다. 재정비를 위해 휴업 중이다.
가상의 오피스를 마련하여 그 간의 작업과정들을 소개하며 공간 안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한다.
71
2. Work Description Enterprise of Temporary Consensus, 2016 3. Future Research Keywords Exhaustive historical study and unique audiovisual flair of The Otolith Group can be seen in their work titled In the Year of the Quiet Sun from 2013, which is displayed with each of the visual cultural researchers’ research ideas excavated from this work. This parallel display point to possibilities for new forms of consuming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as well as the potential for moving into a new, wider research territory.
ETC has collected stories and information from city, life and daily events while trying to understand them in connection with social,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issues in general and local scale. With keywords of city, place, people, relation, history and narrative, ETC has worked with various methods such as artistic performance, exhibition, and publishing. Now under temporary shutdown
1
72
2
3
73
4
1 “낙원가족 서비스” 스틸컷, 퍼포먼스, 2013 Still from “Nakhon Family Service”, performance, 2013 2 “도시 신사 A씨의 일일 #3” 스틸컷, 퍼포먼스, 2014 Still from “A Day of Mr. A #3”, performance, 2013 3 “낙원가족 서비스” 스틸컷, 퍼포먼스, 2013 Still from “Nakhon Family Service”, performance, 2013 4 “If you dream it: ○□★△×”, 안내 관광 퍼포먼스, 2012 “If you dream it: ○□★△×”, Tour Project, 2012 5, 6, 7 “일시 합의 기업” 설치 전경, 2016 “Enterprise of Temporary Consensus”, Installation View, 2016
74
5
6
75
7
VII. 사이키델릭에 관한 기록들
76
VII. Notes on Psychedelics
1. 인주첸 www.yinjuchen.com
- 연구 주제 사회권력과 전체주의적 폭력, 집단사고와 (무)의식, 우주와 인간 행동
인주첸은 영상을 중심으로 사진, 설치, 드로잉을 포함하는 다양한 매체로 작업을 해왔다. 최근 몇 년 간 그녀는 인간 사회에서 권력의 기능, 민족주의, 인종차별, 전체주의,
- 작업 키워드 유사과학, 의과학, 사이키델릭, DMT(환각물질)
집단 사고 혹은 집단 (무)의식에 집중해 왔다. 인주첸의 최근 프로젝트는 인간 행동과 우주와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 방법론 문헌연구와 인터뷰, 다학제적 서베이를 통한 아카이브 구축
77
1. Yin-Ju Chen (陳瀅如) www.yinjuchen.com Yin-Ju Chen's primary medium is video, but her works also includes photos, installations and drawings. In the past few years she has focused on the function of power in human society, nationalism, racism, totalitarianism, collective thinking or collective (un)conscious. Her recent projects also engage in the relations between cosmos and human behavior.
- Research Theme social power and totalitarian violence, collective thinking and (un)consciousness, cosmos and human behavior. - Current Issues pseudoscience, medical science, psychedelic, DMT - Methodology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 multi-disciplinary survey
2. 작품 설명
3. 향후 연구 키워드
〈사이키델릭에 관한 기록들〉, 2015/2016
우주의 두 체계(천동설과 지동설)에 관한 논의들과 우주의 질서, 역경(易經)
민족주의와 전체주의, 인종차별에서 유사과학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주제에 관심을 기울여 온 대만 작가 인주첸은 이번 전시에서 ‘사이키델릭’에 대한 자신의 연구를 아카이브 형태로 소개한다. 플라톤의 국가론에서부터 아마존 샤먼과의 인터뷰에 이르는 광범위한 레퍼런스는 철학과 종교. 의과학과 생물학, 문학과 컬트문화로 교직된, 한 개인의 집념 어린 연구 과정을 보여준다.
78
2. Work Description Notes on Psychedelics, 2015/2016 Yin-Ju Chen a Taiwanese artist who shows interest in a wide variety of themes including nationalism, totalitarianism, racism, and pseudoscience, exposes her research on the “psychedelics” in the form of an archive. A wide range of references – from Plato's The Republic, to an interview with an Amazonian shaman – provide insight into an individual's resilient research methodology that weaves together, philosophy and religion, medical science and biology, literature and cult culture.
3. Future Research Keywords A dialogue concerning the two chief world systems (Geocentrism and Heliocentrism), Iching, the order of the universe
1
79
2
정신분열
고도각성
조증
흥분제
예시
공포 / 분노
지 속 불안
고통
향락
80
기면
각 성
긴장
억제제
예시
우울증
정신분열
저도각성 무의
변성의식 상태의 두 차원
정신분열
황홀, 탈흔
시 : 암페타민, 코카인 다행증
흥분
쾌락
지속
81
이완 대마
평정
시: 알코올, 바르비탈
케타민
지극한 행복
수면
의식
3
4
82
1 데카르트의 시각, 잉크젯 프린트, 210×283(mm), 2016 Cartesian Vision, Inkjet Print, 210×283(mm), 2016 2 우주의 머리, 알루미늄 평판 인쇄, 500×320(mm), 2016 Universal Heads, mounted on aluminum plate, 500×320(mm), 2016 3 변성의식상태의 두 차원, 알루미늄 평판 인쇄, 460×340(mm), 2016 Two Dimensions of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mounted on aluminum plate, 460×340(mm), 2016 4, 5, 6 “사이키델릭에 관한 기록들” 전시 전경, 2016 “Notes on Psychedelics” Installation View, 2016
83
5
6
인주 첸에 관한 기록들*
1. 인천공항 1층의 도착 라운지에서 인주첸을 기다리던 나는 무척 경직되어 있었다. 몇 달 동안 꽤나 다정한 이메일을 주고 받은 사이긴 하지만, 직접 만나는 것은 처음이었다.1 이메일로 만난 인주는 무척 친절하고 또 체계적인 사람이었다. 리서치 아카이브를 설치하는 작업이라 보여줄 ‘오브제’의 목록은 길었지만 우리에게 주어진 설치 시간은 하루뿐이기에, 그녀는 우리가 보내준 도면을 바탕으로 계획을 세우고, 제작 및 설치 가이드라인을 꼼꼼하게 작성해서 보내주었다. 작가를 직접 만날 수 없는 상황에서 그 가이드라인은 반드시 지켜야만 할, 거의 법전과도 같은 것이었다. 전시 경험이 별로 없는 나에게는 그 가이드라인에서 이탈할 용기도, 융통성도 없었다. 수 개월에 걸쳐 준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막상 전시 개막을 눈앞에 두니 예상치 못한 변수들이 툭툭 튀어나왔고, 결국 지시 사항을 완벽하게 지킬 수 없는 것들이 생겨났다. 게이트 앞에 우두커니 선 나는 숙제로 내 준 문제를
84
1. While waiting for Yin-Ju Chen at the arrival lounge of Incheon airport, I was pretty much tensed up.
Notes on Yin-Ju Chen*
Although we had exchanged friendly e-mails for months, it was my first time to meet her in person. Yin-Ju seemed to be a kind and organized person in the e-mails. Despite the long lists of objects planned to be seen in the show, we only had one and a half day for the installation. In order to cope with this situation in the most efficient way, she sent us a meticulously planned and elegantly organized guideline for the production and installation. 1,500 km apart in Seoul and Taipei, the luxury of immediate communication was not allowed to us. Lacking experience in exhibition, I treated this guideline as if it were the Bible. I didn’t have neither courage nor flexibility to even slightly stray from the guideline. As the exhibition date approaches, unexpected variables and obstacles came out and kept me from following the instructions on the “Bible”. Standing around in front of the gate, I felt like a student who is sitting in
반 밖에 풀지 못한 채로 검사를 기다리는 학생이 된
상황에서 나는 반은 자발적으로, 반은 어쩔 수 없이
기분이었다. 오전부터 바쁘게 움직이느라 밥 한 끼 제대로
<사이키델릭에 관한 기록들>의 상당 부분을 맡아서
먹지 못해 텅 빈 위장이 콕콕 쑤셔왔다.
번역했다. 샤먼 돈 로베르토와의 인터뷰, 테드에서
마침내, 캐리어와 상자로 가득 찬 카트의 행렬 속에서
문’, 위키피디아에서 찾은 환각물질에 대한 쪽글들과
금지된 그레이엄 핸콕의 강연, 올더스 헉슬리의 ‘인식의 인주가 모습을 드러냈다.
정신과 의사가 그린 변성의식상태 그래프… 지금에서야 고백하지만 처음 번역할 자료들을 받았을 때 나는 살짝 겁에 질렸다. 직접적으로 어떤 의도를 표방하지는
2.
않았어도 각각의 자료들이 가리키는 방향이 하나 같이 사회에서 금기시되는 어떤 것을 향하고 있었기
- 너 정말로 DMT 해봤어?
때문이었다. 생전 처음 보는 말이 나오길래 포털 사이트에 검색했더니, 다짜고짜 “당신 곁에 우리가 있어요!” 라는
영어로 하는 대화는 격의 없이 친근한 느낌이라, 한글로
위로인지 경고인지 모를 문구가 튀어나오며 친절하게
번역하면 꼭 반말이어야 할 것만 같다. 그 덕분인지 몇
마약류 중독자 무료 치료 병원을 안내해 주는 해프닝도
마디를 나누었을 뿐인데 긴장한 마음은 온데간데 없이
있었다.
흐물흐물 풀어져 버렸다. 호텔로 향하는 공항 버스 안에서 나는 인주를 만나면 제일 먼저 물어보고 싶었던 질문을
하지만 번역을 하면서 하나 둘 씩 공부를 해나가다
다짜고짜 던지고 말았다.
보니, 인주가 말하려는 것이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마약’과는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녀가 이
적은 인력과 한정된 예산으로 전시를 준비해야 하는
작품에서 다루는 ‘사이키델릭’의 근간이 되는 DMT는
85
the classroom with only half-finished homework. Finally, Yin-Ju came into my sight between the queue of travelers with huge suitcases.
2. - Have you really consumed DMT before? Thanks to the personality of the language, conversation in English feels much more casual and intimate than in Korean. After a few words, I became completely relaxed with her. In the bus to the hotel, I dropped the question that I kept in my mind for months for this moment. With limited resources, I – half willingly, half reluctantly – translated the large portion of the texts from “Notes on Psychedelics”. Interview with Shaman Don Roberto, Graham Hancock’s banned TED talk, The Doors of Perception by Aldous Huxley, Wikipedia articles about psychedelic chemicals, chart of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by a psychiatrist, and so on. Now I confess: I was little frightened when first receiving the texts for translation. Because, nonetheless no clear intention was manifested, each material seemed to be heading to a certain direction where the society considers to be “taboos”. Once, there was an interesting occasion while translating the texts. When I entered an unfamiliar vocabulary to the search engine, a message popped up and kindly guided me to the lists of free clinics for drug addicts. The translating process was also a learning process for me. I learned that what Yin-Ju is trying to tell is totally different from so-called “drugs”. DMT, the essence of “Psychedelic” in this project, is a substance produced in the pineal gland which is located in our brain. While we are awake, a certain hormone prohibits DMT from working so that we can maintain our daily routine without having hallucinations. In the rainforest of Amazon, the natives have consumed ‘100% organic’ brew containing DMT to occasionally alter their consciousness for thousands of years. Less than a century is passed
우리 뇌의 송과샘이라는 부위에서 생성되는 물질이며,
믿을 수밖에 없었어.
깨어 있는 동안에는 그것의 활동을 억제하는 호르몬이 분비되어 우리가 환각에 빠지지 않고 일상 생활을 차질
의식과 신체의 분리는 DMT를 복용했을 때 공통적으로
없이 이어나갈 수 있게 한다. 아마존의 원주민들은 이미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이다. 그래서 그녀는 비록 직접
수 천 년간 DMT 성분이 든 ‘100% 유기농’ 음료를 통해
DMT를 접해보진 않았지만, 그 경험담을 읽었을 때
이따금 의식을 전환해 왔으며, 우리가 그것을 위해 약물로
조금의 의심도 없이 그것을 사실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고
지정해서 법으로 금지한 것은 채 한 세기도 지나지
한다. The Cube Project Space에서 처음 약물에 대한
않았다. 무지의 베일이 걷히자 두려움이 사그라든 자리에
작업을 의뢰 받았을 때, 인주는 헤로인이나 코카인 같은
호기심이 자라났다. 도대체 정신과 의사가, 역사학자가,
전형적인 마약에 집중했다. 그러나 아무리 자료를 뒤지고
또 세기의 작가가 직접 경험했다는 저 DMT 라는 것의
아이디어를 짜내 보아도 도무지 ‘삘’이 꽂히지 않았다.
실체는 무엇일까?
과연 이걸로 전시를 할 수 있을까 괴로워하던 찰나, 우연히 예전에 읽은 서구의 식민화가 남미 원주민의 샤머니즘에 미친 영향에 대한 책이 떠올랐다. 거기에는
3.
‘페요테2’라는 향 정신성 선인장에 대한 구절이 있었고, 그 묘사는 몇 년 전의 자신의 경험과 무척 유사했다. 그렇게
- 아니, DMT는 안 했어. 그치만 그런 경험을 해본 적은
짝이 맞는 열쇠를 찾고 나니, 나머지는 일사천리로 진행이
있어. 몇 년 전에, 내가 개인적으로 힘든 시기를 겪고
되었다.
있었을 때야. 어느 날 새벽인가, 까무룩 잠이 들었는데 눈을 떠 보니 자고 있는 내 모습이 보이는 거야. 너무
인주는 이 때의 경험을 이야기하면서 인간의 머리로는
생생해서, 꿈이 아니라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이라고
이해할 수 없는 우주의 원리가 자신을 그쪽으로 이끌어
86
since we first banned DMT as a harmful drug in the law. Once the veil of ignorance is removed, curiosity replaced fear. What on earth is the truth about DMT that was experienced by a psychiatrist, a historian, and the writer of the century?
research and planning never seemed to be paid back. In the middle of the agony, Yin-Ju recalled a book that she had read several years ago. In the book, there was a description about a cactus called Peyote, which was oddly similar to her own experience. Once she found the right key, everything else was progressed with lightning speed.
3. - No, I never did DMT. But I have a similar experience. A few years ago, I was going through a rough phase of my life. One night I came to bed, totally exhausted. When I opened my eyes, I saw myself sleeping! It was so real that I had no choice but to believe that this is not a dream. It was actually happening. Separation of body and mind is a common symptom of DMT. Therefore, despite the fact that she had never actually consumed it, she could accept the stories of DMT experience as a fact without a doubt. When first commissioned a project about drugs from the Cube Project Space, Yin-Ju focused on typical drugs like heroin or cocaine. However, months of
I remember that she used a phrase similar to “universal plan” when talking about her experience. According to her, something bigger than human, such as “universe”, had led her to certain direction and helped her complete the project. Although I have known her only a few days, it sounds just like her to me. Every expression she uses, the way that she tells her story, everything was so “her”. Yin-Ju as I know is a person who does her best under all conditions, and let the universe deal with others outside her boundary. It was the same with this exhibition: we started with a delicately designed plan; however, when the installation actually started, nothing was even close to our expectation. Yin-Ju surprised me with extreme calmness and flexibility in front of
간 것 같았다는 표현을 썼다. 비록 만난 지는 얼마 되지
전시에 익숙하지 않은 관객들은 물론, 미술 전시의 문법에
않았지만, 그 말을 듣자마자 나도 모르게 ‘인주 답다’는
익숙한 관객마저도 일말의 당혹감을 느낄 수도 있다. 일견
생각이 들었다.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지만, 그 밖의
과격해 보이는 메시지와 단정하게 정돈된 자료들 사이의
것은 우주가 이끄는 대로 이끌려 가는 것. 사실은 이번
간극에서 혼란스러움은 오롯이 관객의 몫이다.
전시도 그랬다. 처음에는 나를 숨막히게 한 논리정연하고 군더더기 없이 정리된 가이드라인에서 출발했지만,
인주는 우리에게 어느 것도 강요하지 않는다. 다만 예의
뚜껑을 열어놓고 보니 어느 것 하나 그대로 흘러가는 것이
그 차분한 음성으로 우리에게 질문을 던진다. 당신이 지금
없었다. 예상치 못한 상황과 우연들이 도처에서 우리를
이토록 생경하게 느끼는 환각 물질들이, 이미 우리 신체의
기다리고 있었고, 그녀는 놀라울 만큼 유연하게 대처했다.
일부가 되어버린 기계 문명이 나타나기 훨씬 이전부터
그녀는 이 작업에서는 우리가 그토록 신봉하는 논리와
인류와 함께해온 것을 아느냐고. 단어 하나에 족히
체계라는 것도 결국에는 그보다 훨씬 오래되고 한없이
스무 글자는 되는 의사들의 전문 용어는 과학적이라고
원형에 가까운 어떤 것을 담아내기 위한 하나의 수단에
치켜세우면서, 수 천년 간 이어져 내려온 샤머니즘과
불과하다는 것을 무척이나 잘 알고 있었다.
그것이 보여주는 의식의 또 다른 차원에 대해서는 ‘의사과학(pseudoscience)’라 비난하면서 덮어놓고 의심부터 하는 모순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있냐고.
4. 물론 <사이키델릭에 관한 기록들>을 관람하는 누구나가 뇌 모형과 관음상, 정황상 무척 의심스러운 약병3, 글자가
이 질문을 들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대개는 당혹감을
빼곡한 종이가 벽지처럼 붙어 있는 작은 방에서 심장
해결하는 가장 쉬운 방법으로 외면을 택할 것이다. 혹자는
소리처럼 낮게 울리는 북소리를 듣고 있자면 아카이브 형
메시지는 뒤로 하고 흰 종이 위를 흐르는 검은 글자들
87
countless coincidences and accidents we met on the way. She seemed like a person who understands that the logic and system we almost blindly believe in is only a tool to incarnate a certain thing that is much older and closer to an archetype in this project.
4. Hearing the heart-beating sound of the drum in the room full of a model of the human brain, a small sculpture of Guanyin, suspicious medicine bottles, and images from the universe, the audiences might feel some kind of embarrassment. Facing the gap between seemingly radical message and neatly organized materials, how to accept this environment is totally up to the audiences.
the adulation toward the incomprehensible jargons of the doctors and the disregard for the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that has been continued over thousands of years as pseudoscience? Of course, not every audience can hear these questions. Most of the people would choose to turn away as a coping mechanism for embarrassment. Some would rather be distracted by the vivid colors from the photography of universe, or roll up their sleeves to find the hidden source of the sound. There is no right or wrong answer. Just as much as this project is relied upon the coincidence planned by the universe, how far and clearly the voice of the artist could reach is also upon the cosmic flow.
◎ Yin-Ju does not force us anything. Instead, she left us with a few questions. Do you know that these unfamiliar psychedelic substances have much longer history with human race than the modern civilization? Have you ever think about the discrepancy between
- You’re such a typical Libra! Although it might be unnecessary, I’d like to add a piece of conversation I had with her. Anyway, this is
가운데 화려한 색채를 자랑하는 우주의 성운 사진에
사건들이 일어났을 당시의 천궁도(별자리 지도)에
눈을 빼앗기거나, 숨겨둔 소리의 진원지를 찾아 방안을
대한 연구 아카이브인 <와해도>를 선보였다. 왜 하필
탐색하는 것으로 관심을 돌릴 것이다. 거기에는 정답도,
별자리였을까, 하는 궁금증은 그녀를 만난 지 20분도 안
오답도 없다. 이 프로젝트를 만드는 과정이 우주가 계획해
되어 풀렸다. 그녀는 내게 별자리가 뭐냐고 물어보았는데,
놓은 우연에 기댄 딱 그 만큼, 작가의 목소리가 얼마나
마치 안부로 밥은 먹었냐고 묻는 것처럼 일상적인
관객에게 가 닿을 수 있는 지도 우연에, 운명에 맡기는
어투였다. 그만큼, 인주에게는 점성술도, 천궁도도 아주
것이다.
먼 옛날의 것이 아니라 자신의 지금, 여기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그런 사람이니까 이런 작업도 할 수 있는 것이다. 작가 스스로가 작품의 각주가 되는 일관성을 ◎
목격하는 것은 꽤나 유쾌한 일이다.
- 너는 정말 전형적인 천칭자리구나! 사족이지만, 내게 무척이나 인상 깊었던 그녀와의 대화 한 조각을 꼭 덧붙이고 싶다. 이건 어디까지나 ‘인주 첸’에 대한 기록이므로. 내가 예술가 인주 첸을 처음 알게 된 것은 아시아문화의 전당의 <신화와 근대, 비껴서다>라는 전시에서였다. 여기에서 그녀는 20세기에 아시아에서 일어난 대량학살
* 글과 번역 최정원
88
still a note on ‘Yin-Ju Chen’. It was at the exhibition called <Interrupted Survey: Fractured Modern Mythologies> at Asia Culture Center that I first came to know the artist YinJu Chen. In the show, she exhibited “Liquidation Maps”, a research archive installation that links political genocides and massacres in recent Asian history with horoscope charts from astrology. Why horoscope? Less than 20 minutes after I met her, the mystery was solved. She asked me what horoscope I am, and the tone was so natural that it sounded almost like saying hello. To her, astrology and horoscope charts are not some relics from the ancient past. Rather, they are important factors that consists of her here and now. This is pretty much the explanation for why she can do what she does. It is certainly a pleasure to witness a consistency between the artist and the work.
* written and translated by Choi Jungwon
VIII. 비밀 공부
89
VIII. Secret Studies
1. 컴파니 www.com-pa-ny.com
- 연구 주제 디자인의 특수성에서 발견되는 보편적 가치
www.salakauppa.fi - 작업 키워드 COMPANY는 아무 송과 요한 울린이 행복한 삶을
전통 디자인의 현대적 재생산, 문화적 연결성,
살아가기 위해 세운 디자인 회사(會社)이다. 세계 곳곳을
비밀과 행복
돌아다니며 행복의 비밀을 파헤치는 두 사람은 종종 사립 탐정이나, 비밀 가게의 판매원으로 활약한다.
- 방법론 문화적 맵핑, 셀프 아카이빙, 일시적 정주와 현지화를 통한 리서치 기반의 협력 프로덕션
90
- Research Theme universal value detected from vernacular design 1. Company www.com-pa-ny.com www.salakauppa.fi
- Current Issues reproduction of traditional design, cultural connectivity, secret, happiness
COMPANY is Aamu Song and Johan Olin's Design workshop, looking for good life that often lead them to become a detective agency or sales person at Kiosk of their own Salakauppa.
- Methodology cultural mapping, self-archiving, research based co-production through temporary residence and localization
2. 작품 설명
3. 향후 연구 키워드
〈비밀 공부〉, 2016
“지금 우리는 몇몇의 나라의 비밀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어떤 나라는 이미 여행도 다녀오고, 편지를
아무 송과 요한 울린 두 사람으로 이루어진 디자인
교환하고 있고, 어떤 나라들은 아직 꿈속에 있습니다.
듀오 컴파니는 2006년 핀란드를 시작으로 여러 나라를
다음 나라를 결정하는 일은 그 전의 나라가 자연스럽게
돌아다니며 그 나라의 역사를 공부하고, 장인들을
알려줍니다. 앞으로 하게 될 리서치의 키워드라면 종교
만나고, 공장을 방문하면서 그곳의 ‘비밀’을 공부해왔다.
건축과 믿음입니다.”
비밀 공부를 시작한 지 10년이 되는 해를 기념하며, 이번 전시에서는 그동안 시크릿 시리즈를 통해 제작된 오브제들과 리서치 자료들을 조화롭게 병치시킴으로써 비밀들 사이의 관계망과 흐름들을 총체적으로 되짚어 본다.
91
2. Work Description Secret Studies, 2016 Amu Song, and Johan Olin are a design duo called the COMPANY that travels to various countries to study their history, meet craftsmen, and visit factories, discovering their “secrets,” beginning with Finland, in 2006. The objets created as a part of this project, and the research materials are unveiled congruously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crets and the overall flow of their journey so far.
3. Future Research Keywords “As an on-going project, we are studying several countries for continuous secret project. Some are already quite far, and some are just mere dream. Previous country tell us where to go next. We just let it flow where to next. Our future research keywords would be religious architecture and belief.”
92
WHERE WERE WE IN 2006–2016?
HOW MANY DAYS IN EACH SECRET COUNTRY?
_____ 2016 / Days abroad: 51 days (Japan, Italy, Korea, Austria, Denmark, US, Serbia) ________ 2015 / Days abroad: 75 days (Japan, Korea, Morocco, Sweden, Russia, Estonia, Denmark, Austria) _________ 2014 / Days abroad: 86 days (Japan, U.S., Korea, Bulgaria, Russia, Estonia) ____________ 2013 / Days abroad: 124 days (Russia, Estonia, Bulgaria, U.S., Sweden) _____________ 2012 / Days abroad: 134 days (Russia, U.S., Korea, Japan, Sweden, Norway, Estonia, France) ____________ 2011 / Days abroad: 119 days (Korea, Iceland, Sweden, UK, Norway, Germany, New Zealand, Estonia, Russia) ________ 2010 / Days abroad: 84 days (Norway, Sweden, Belgium, Korea, England, Holland, New Zealand, Russia) _______ 2009 / Days abroad: 68 days (Norway, Korea, Italy, Iceland, Belgium, England, Japan, New Zealand, China) ______ 2008 / Days abroad: 58 days (Korea, Germany, Italy, Vietnam, Norway, Latvia) ___________ 2007 / Days abroad: 112 days (Korea, Sweden, Japan, North-Korea) __________ 2006 / Days abroad: 101 days (Germany, U.S., France, Korea, Thailand, Holland, Belgium, England, Sweden)
.......... .......... .......... .......... .......... .......... .......... .......... .......... .......... .......... .......... .......... .......... .......... .......... .......... .......... .......... .......... .......... .......... .......... ..........
SECRE
Secrets of Finland 200+ days (since we live in Finland it’s a bit hard to calculate) .......... .......... .......... .......... .......... .......... .......... .......... .......... .......... .......... .......... .......... .......... .......... .......... .......... .......... .......... .......... .......... .......... .......... .... Secrets of Russia (mainly between 2012-2013)
234 days
.......... .......... .......... .......... .......... .......... .......... .......... Secrets of Japan (2014-2016)
80 days
.......... .......... .......... .......... .......... .......... .......... .......... .......... ........ Secrets of Korea (2007-2008)
98 days
.......... .......... .......... .......... ... Secrets of Estonia (2013-2014)
43 days
.......... .......... ... Secrets of Belgium (2009-2010)
23 days
FINLAN
Sitting in tr buses for a us a car to Secrets of F car finally b we are back busses.
1
COUNTRY?
SECRET TRANSPORTATION MODES IN EACH COUNTRY
........ .......... ........ .......... ........ ..........
Train Bus Car Airplane Bike Boat Walk Metro
days ulate)
........ .......... ........ .......... ........ ....
ays
........ ..........
s
........ ..........
s
93
s
s
FINLAND
RUSSIA
JAPAN
KOREA
ESTONIA
BELGIUM
Sitting in trains and buses for a year, we got us a car to reach more Secrets of Finland. The car finally broke and now we are back in trains and busses.
We spent hundreds of hours in trains. Often over night. The Russian train stations are as impressive as are their metro stations.
In this mountaneous land of islands all means of transport was needed.And our exhibition place Aomori Museum of Art was just a bike ride from the hotel.
We collaborated with a couple of makers in the vast Seoul metropolitan area and so ended up sitting daily for hours metro.
Estoniaâ&#x20AC;&#x2122;s is just 80 km south of Finland and is best reached by a ferry (1,5 hours from Helsinki to Tallin).
A country where one town merges into the next and everything is within an hour ride.
2
COMPANY EXHIBITIONS 2000–2016
COMPANY IDENTITY CRISIS 2000–2016
Solo show q Group show r 2016 rrrrrrrrr
2016
2015 qq rrrrrr
2015
2014 rrrrrrr
2014
2013 qqq rrrrrrrrr
2013
2012 rrrrrrrrrr
Company Company 2011 Business Business qqq rrrrrrrrr Chart 2010 Chart 2010
2010 q q q Turnover r rTurnover rrrrrrrr
2012
Group show Group showshow SoloSolo show
Logo development Logo development
2010
2010 2010
2009
2008 Fun Fun q q q q r+++++++++++++ r r r r r r r2010 rr
2009 2009
2008
+++++++++++++ 2010 +++++++++++++ 2009 +++++++++++++ 2009
2008 2008
FundFund
2007 2007
2006 ++ 2010 2010 q q r++ rr rrrrrrrrr ++++++++++ 2009 ++++++++++ 2009
2005 q q r r rExhibitions rrrrrrrrr Exhibitions +++++++++++++ 2010 2004 +++++++++++++ 2010 +++++++++++ 2009 q q q +++++++++++ 2009
2003 qq 2002 – 2001 q 2000 –
Travel Travel +++++++++++ 2010 +++++++++++ 2010 ++++++++++ 2009 ++++++++++ 2009
2007
2005 2005 2004 2004 2003 2003 2002 2002 2001 2001
This sing came around the time of Secrets of Korea.
2007 2007
First Secrets of Finland collection and our sign.
2006 2006
This couple sign came along. It was inspired by an early Eames logo.
2005 2004
We had this idea of changing the logo each year.
2004 2004
2003 2002
First COMPANY logo and also the look of our new web site.
2003 2003
2001 2000 2000
2000
1 979 max visits per day
New togetherness version introduced in 2011.
2008– 2008–
2006
2006 2006
Company www2000 Company www figures 2010 figures 2010 TOTAL_VISITS_2010 www.com-pa-ny.com TOTAL_VISITS_2010 www.com-pa-ny.com 104 088 visitors per year, 674 visits per 104 8 088 visitors per month, year, 1 979 per day 8 674 visitsmax per visits month,
We used this one after spending too much time in Russia.
Company Company Identity IdentityCrisis Crisis 2003–2010 2003–2010
2009 +++++++++++ 2009 +++++++++++ 2009 qqq rrrrrrrrr
2007 qq rrrrrrr
This one we designed for our new packages and product certificates.
Company Company Exhibitions Exhibitions 2011 2000–2010 2000–2010
+++++++++ +++++++++ 20102010
94
We mainly use this togetherness sign. It goes well together with our friend manufacturers logos.
2000
pre-Company: ’etsivätoimisto pre-Company: Mansikka ja Vadelma’ ’etsivätoimisto Mansikka ja Vadelma’
BEST_SEARCH_STRINGS (what people were actually BEST_SEARCH_STRINGS googling up to (what peoplewhen were ended actually www.com-pa-ny.com): googling when ended up to Kalakauppa, body fitted gay, www.com-pa-ny.com): african american father, Kalakauppa, body fitted gay, daughter dancing, design african american father, mad, picasso chairs, daughter dancing, design sari big size, merikarvia. mad, picasso chairs,
TOP_NATIONS_2010 1. Unknown (24%) TOP_NATIONS_2010 Finland (24%) (19%) 1. 2. Unknown US (7%) 2. 3. Finland (19%) (2%) 3. 4. USItaly (7%) Netherlands (2%) 4. 5. Italy (2%) 6. Belgium, 5. NetherlandsDenmark, (2%) France, Germany, Japan, 6. Belgium, Denmark, Iceland, SwedenJapan, (1,5%) France, Germany,
sari big size, merikarvia.
Iceland, Sweden (1,5%)
Before we chose the name COMPANY our plan was to call us ’Detective Agency Strawberry and Raspberry’ (tsivätoimisto Mansikka ja Vadelma).
3
G N SO
G N SO
U
Since 2012
Since 2012
S ET CR SE G N SO U M AA
y.0co7m n0 G .a-2 meNs-pt S coSO
U M AA
C
S
|S
SE
IGHETER
ML HE |S
IGHETER
ML HE
SU
OMEN SALAT
C
C SE
2013
TS
C
S
RE
TS
OF BE L
2008
BY COMPANY (AAMU SONG & JOHAN OLIN)
by Since 2010
since 2008
G M
est.
RE
est.
IU
COMPANY est.
RE
SE
2013
est.
G
N SO
U M AA
I S A L A D US
EE
ST
I S A L A D US
ED
ST
SU
EE
ED
S
ST
y.0co7m .a-2n0 mes-pt S co
U M AA
SE S C
EE
2013
2013
S
S
S
OMEN SALAT
OMEN SALAT est.
est. G N
SO
U
M
M
AA
S
RE
COMPANY
CS
|S
SE
G N SO
ED
OF FINLAND / SUOMEN SALAT www.com-pa-ny.com / since 2007
IN
T S O F KO
TOP SECRETS I S A L A D US
SE
IGHETER
ELSINGFO |H R
SU
EE
C
––– OF NORTHE
–
OL
RE
T S O F KO
A
SE
A
IA
EC
RE
––– SeIn 2008 we––– did OF a project JA SNORTHERN crets of Vietnam with local PmakET A ers around CR Ho Chi Minh City.N
AN
N
EC
H
Secrets of Finland colСFirst И ЕКР Е Тlogo. О С С И Aname Ы РOriginal S Election I CRE S SFinland. T SSecrets n O F R Uof m uwas Top Oli S on oh a n g CO J Y M PA N
N
JO
Aa
TS OF ESTO
ST
SU
I SALNADU SUTOME SALSAETD EES
AT
OMEN SALAT
RE
EE
AA
COMPANY
ML
Since 2012
U M AA
COMPANY
ED
SE
y.0co7m .a-2n0 mes-pt S co
СЕ ИИ К SE Р Е Т Ы Р О С С IA CRE T S O F R U S S lin mu O S on an g CO M P A N Y Joh
– 2015 –
TS OF ESTO
EC
COMPANY
y.0co7m .a-2n0 mes-pt S co
Aa
IA
This was the other half of t. esKorea Secrets of sign. We origi2012the project ’Made nally named in Korea’.
COMPANY
S
COMPANY
M
SU
G
es t . 2 0 12
FIN TS OXF SALAKAUPPA COMPANY R E t . 2 00 L A N 7 2008. es around EC logo first
PANY
I S A L A D US
HE
COMPANY
EL
IU
RE
TS
D
S
S
ST
y.0co7m .a-2n0 mes-pt S co
ELSINGFO |H R
EE
S y n0 tt..a-220.10c3o7m mess-p co e SS
AT
IN
OL
S
S
AN
2013
ELSINGFO |H R
H
est.
AT
OM E N S A L A SUCOMPANY T
I S A L A D US
ED
y.0co7m .a-2n0 mes-pt S co
L
OMEN SALAT S
SA
2013
COMPANY
SINGIN
95 w. s a l a ka u p p a . f i
ST
I S A L A D US
ED
est.
J
M EL |H
Project Secrets of Central Finland made in 2010.
2008
TS OF FI N R E t . 2 00 L A N 7 es
RE
b si
ww
JO
E
D
EC
Opening hours: Wed-Fri 14-19 Sat 12-18
A S OF BEL N G –
Salakauppa / Secret Shop opens in autumn 2008 and becomes the permanent home for all O ofFthe B Secrets.
A
Secrets of Finland (est. 2007)
EC
by
Since 2010
С Р S O
SALAKAUPPA Postikatu 1 00100 Helsinki www.salakauppa.fi
P
T RE
M
AL
Opening hours: Wed-Fri 14-19 Sat 12-18
E
– 2015 –
M
SALAKAUPPA Postikatu 1 00100 Helsinki www.salakauppa.fi
CR
w. s a l a ka u p p a . f i
est.
IN
IU
KI
A IU| H E L S I N G I N S
SE
ww
COMPANY
Secrets of Korea (est. 2007)
IN
IN
EC
N
IA
E
CR
OL
OL
T S O F KO RE R
AN
AN
MPPAAN CCOOM NYY
OF EST ETS O
since 2012
2008
T S OF H E L S
––– OF ––– Salakauppa roof top Jneon A sign. TSNORTHERN
G
N
RE
Opening hours: Wed-Fri 14-19 Sat 12-18
KI
H
SI
СЕ ИИ К S E Р ЕeТs Ы Р О С С I A C R E t. 200 8 U S S Aa TS OF R n mu Oli S on an g CO M P A N Y Joh
est.
Our original Secrets of Russia sign. (shop = magazin)
O F KO TS01F 2 BE R RES2O EC T S O F H E L L E
R EECR E T
since 2012 JO H
СЕ ИИ К SE Р Е Т Ы Р О С С IA CRE T S O F R U S S lin mu O S on an g CO M P A N Y Joh
EC
SALAKAUPPA Postikatu 1 00100 Helsinki www.salakauppa.fi
IU
JO
DIA
СЕКРЕТЫ РОССИИ /
Secrets of Belgium SECRETS OF RUSSIA (est. 2010) by COMPANY
OF RUSSIA
since 2008
es t .
KFF FIN TS OSFOO RE REETTS ORESTLOA N EC ECCR est. 2007E E
BY COMPANY (AAMU SONG & JOHAN OLIN) by COMPANY
OF FINLAND / SUOMEN SALAT www.com-pa-ny.com / since 2007
– 2015 –
– 2015 –
by Since 2010
Aa
S
SNORTHERN JA СЕКРЕТЫ PA РОССИИ / N – SECRETS
L
–
EC
RE
SA
N
2008
––– OF –––
T RE
OF TS IN BELG
T S OF H E L S
SINGIN
since 2012
TOP SECRETS
2 0 12
PA
RE
EL |H
OMPANY
JA SNORTHERN es t .
EC
KI
MC
S
EC
T RE
RE
СЕКРЕТЫ
est.
SHOP
l nO
Secrets of Helsinki in РОССИИ / 2012. This project looked SECRETS into the manufacturing OF RUSSIA still left inside Helsinki by COMPANY city borders.
–
– 2015 –
T S O F KO
N
AN
RE
WORK
A
IAIU
EC
Joh a
C O M PA N Y
g
PA
OL IN
OL IN
S on
SNORTHERN JA
SE
OH
AN
СЕ ИИ К SE Р Е Т Ы Р О С С IA CRE T S O F R U S S lin mu O S on an g CO M P A N Y Joh
A
COMPANY
by Since 2010
COMPANY
ON
D
OF EST
BY COMPANY Secrets ofSONG Russia (AAMU & JOHAN OLIN) (est. 2012)
w. s a l a ka u p p a . f i
ETS
E
––– OF –––
es t . O F F S I NL 12 0T 2E C R e s t . 2 0 07 A N
since 2008
Aa
IA
R EC
by 2008
ww
COMPANY
OF FINLAND / SUOMEN SALAT www.com-pa-ny.com / since 2007
H
N
D
e s t . 2 0 07
A
w. s a l a ka u p p a . f i
TOP SECRETS
mu
Since 2010
est.
ET
COMPANY CR
In 2015 we opened a new shop x office (work x shop) and started using this (bit boring) COMPANY X SALAKAUPPA logo СЕ ИИ К SE Р Е Т Ы Р О С С IA CRE Aa T S O F R U S S in
TS OFF EST RET S O B EO LNG ECR E
E
(AAMU SONG & JOHAN OLIN) since 2008
LA
T S O F KO R
ww
w. s a l a ka u p p a . f i
EC
OF FIN
RE
Secrets of Estonia (est. 2013) BY COMPANY
COMPANY
ww
FINLAND / SUOMEN SALAT ww.com-pa-ny.com / since 2007
TS RE
EC
N
IA
TOP SECRETS
СЕ ИИ К SE Р Е Т Ы Р О С С IA CRE T S O F R U S S lin mu O S on an g CO M P A N Y Joh
––– OF –––
es t . 2 0 12
JO – 2015 COMP–AN Y
COMPANY
TS OF ESTO
JA TSNORTHERN S O F F I N L PA R E RET AN N E C E C e s t . 2 0 07 – D
D
RE
S
Secrets of Japan (est. 2015)
Aa
& SECRET SIDE STORIES ––– OF –––
es t . 2 0 12
TS OF F I NL AN RE 20 E C e s t . 07
EC
w. s a l a ka u p p a . f i
w. s a l a ka u p p a . f i
ww
ww
SECRET SIGNS 2007–2015
2008
4
OF
96
5
1, 2, 3, 4 비밀 그래프들, 잉크젯 프린트, 210×297(mm), 2016 Secret graphs, Inkjet Print, 210×297(mm), 2016 5, 6, 7 “비밀 공부 2016” 설치 전경, 2016 “Secret Studies 2016” Installation View, 2016
6
97
7
함께하는 모양새*
컴파니는 Amu Song과 Johan Olin이 함께하는 아티스트 그룹으로 지역의 문화, 전통적인 제작공정, 그 공정을 몸으로 기억하는 사람들의 리서치를 기반으로 하는 작품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컴파니의 작품은 핀란드, 러시아, 에스토니아, 일본, 한국 등에서 오랜시간 축적해온 각 지역의 비밀을 캐어내 컴파니의 방식으로 만들고 그린 기록물이다. 컴파니는 협업에 대해 함께 춤을 추는 것이라는 언급을 한 적이 있다. 나는 러시아에서의 작업이 뚜렷이 인상에 남아서 그런지 그들의 작업을 생각할 때마다 음악에 맞추어 폴카를 추며 어깨동무를 하고는 한 박자 돌고, 그 다음 박자에 맞추어 어디로 갈까 눈을 반짝이고 발을 구르는 모습이 떠오른다. 박자를 맞추어 여럿이 빙글빙글 돌다 둥글게 엮어진 몸짓들 가운데에서 비밀의 상자가 하나씩 밖으로 던져지면 밖에 둘러앉은 관객은(나는) 달려가 그 상자를 주워 두근대며 풀어보는 것이다. 협업의 과정이 결결이 드러나는 상자 속의 작품을 손으로 매만지며 그들의 여정을 따라가고 있으면 ‘이처럼 각각의
98
As an artist group that consist of Amu Song and Johan Olin, Company has continued creative works based on local culture, traditional manufacturing process and research on people who carried on traditional production skills through experiences. Company’s works are compilation of disclosed and re-assembled secrets of countries such as Finland, Russia, Estonia, Japan, Korea. Company once mentioned that “corporation is like dancing together.” Their work reminds me of Russian polka that a group of people dance to the tune, putting their arms around with others’ shoulders and glistening their eyes with joyful beat. In the middle of dance, the secretive box popped out from dancing crowd and then the audience (I) run into the box, solving the mystery with curiosity.
Form of being together*
While touching the box that reveals the layers of corporation and tracing their journey, I became curious about: what is the most important feature in creating something when people who have such different characteristics are working together? How
특징이 뚜렷한 사람들이 모여 무언가를 생산하는데
다듬어 가장 예쁜 형태로 살며시 포개어 앞에 내어놓는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함께한 결과물인데 컴파니의
그 마음이 너무나 명쾌하게 보이는 작품이다.
색이 일관된 진하기로 드러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나는 이 작품이 컴파니가 예술을 하는 태도를 가장
‘제작과정에의 비밀은 도대체 무엇일까.’ 가 무척이나
친절하게 설명한다고 생각한다. 컴파니의 비밀 상자를
궁금해진다. 이것이 그토록 궁금한 이유는 아마도 이것에
풀어볼 때마다 나도 이렇게 살아야지 싶다. 두근두근하고
대한 답이 나의 삶에서 너와 나의 관계를 만들어가는
오손도손하는 마음으로. 춤을 추는 것처럼.
것과 그 관계가 생산해내는 무언가에도 가까이 닿아있기 때문일 것이다. 컴파니의 이야기, 작업과정, 작품의 결을 통해 느껴지는 것은 ‘이들이 과정에 공을 들이는 것. 느리고 천천히 성실하게 관찰하고 상대방의 리듬에 맞추어 다가가는 것. 함께 움직이기 위해 상대방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지켜주는 것. 원하는 결과를 공유하기 위해 말과 몸을 총동원 하는 것. 함께하는 시간을 계속해서 축적하는 것’ 이다. Dance Shoes는 아이가 어른의 발등에 발바닥을 포갠 채 손을 마주잡고 춤을 출 수 있도록 만든 빨간 신발이다. 이것은 지금 마주하는 너에게 가장 주고 싶은 것을 다듬고
* 글 양유진, 번역 양유정, 감수 김지현
99
is it possible that the products made by Company have consistency even though they are results of the collaboration with diverse partners? What is the secret of their working process?’ The reason why I came up with these questions is that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are closely related to what makes the relationship between you and I, and the results from the relationship. Company’s story, working process and the results reveal how much effort they put into process; how diligent and careful they are when making observations and following the rhythm of others; how they protect others’ personal space in order to move harmoniously with others; how they use both verbal and non-verbal language in order to share the desired results with their foreign partners; and finally, how they are accumulating the time spending together. ‘Dance shoes’ is a pair of red shoes that helps children to dance with adults by stepping on their bigger partners’ feet and holding their hands. It
* Written by Yujin Yang, Translated by Yoojung Yang, Proof-read by Jihyun Kim
clearly shows the heart of Company’s work: a desire to give you the best. In order to achieve this, they keep trimming and trimming until the present reaches the perfect shape they dreamed of. I believe that this work most kindly explains the Company’s attitude toward art. Whenever I open the Company’s secret boxes, they make me want to live a life with bouncing hearts and harmonious minds, like a dancer.
여행자들*
컴파니의 작업을 처음 접한 것은 2007년 겨울, 지금은 없어진 쌈지 스튜디오에서의 프레젠테이션 자리였던 걸로 기억된다. 이상스러울 정도로 그날의 실내 정경이나 사람들이 조곤거리던 저녁의 분위기 같은 것들이 선명하게 남아있다. 그날 아무송과 요한 울린의 작업 설명은 천진할 정도로 그 어떤 꾸밈이나 클리셰가 없어 성긴 듯 했지만, 작업의도와 리서치, 제작과정, 결과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이 더없이 논리적이고 명쾌하게 다가왔다. 앞으로 펼쳐지게 될 기나긴 여정의 시작점을 지켜보는 듯 가벼운 흥분과 설렘이 일었다. 어쩌면 그들 작업에 스며든 지적인 유머감각과 인간적인 따스함, 소장욕구를 자극하는 상업적 센스, 핀란드라는 (당시로선) 상상계의 이미지가 한데 뭉쳐지면서 생겨나는 풍부한 감각이 대단히 치밀하고 명민한 계산 끝에 나온 것은 아니었을까 그런 직관적 의심을 시작하게 된 첫 순간이었던 것 같다.
100
Travelers*
The first encounter of COMPANY’s works was at a presentation in 2007 at the now gone Ssamzie Studio. Peculiarly, everything about that night is etched in my memory - the indoor scenery, the sound of people murmuring... Amu song, and Johan Olin’s presentation was void of any pretenses or clichés to the point of being extremely innocent, giving a casual quality about their work. However their intents, overall research processes, and production, leading up to the final product could not be more logical and clear. It was an exciting and thrilling experience, as if hearing the first whistles of a train embarking on a long, long journey. That was probably when my suspicions began, that their intuitive design, full of intelligent humor; human warmth; commercial genius that triggers the urge to own; the image of Finland that is of the imaginary order (a decade ago in Korea,) very well be the results of meticulous calculations.
비밀은 비밀이 아닌 것이 아닌 것
작동하게 된다.
그렇게 정해진 수순인 양 나는 컴파니가 양산한 숱한 덕후 가운데 한 명으로, 그들의 삶을 구독해 나가기
컴파니 익스프레스,
시작했다. 거대한 트래블로그나 다름없는 그들의 비밀
비밀들이 연결되어 나가는 탐사의 여정
없는 비밀공간, 홈페이지(www.com-pa-ny.com)에 들러 종종 새로운 디자인 프로젝트와 깨알같이 작성된 연감과,
이렇듯, 비밀 프로젝트는 비밀원정대가 각국의 비기들을
하다못해 실현되지 못한 프로젝트까지 챙겨가며 정독하게
탐사하고 해체해내는 고전적 서사 구조를 취하는
되었음은 물론이다. 통칭 시크릿 시리즈로 알려진
듯하면서도, 한편 스스로 과제를 부여하고 그것을
컴파니의 비밀탐사 경로는 핀란드를 시작으로 러시아와
성취해 나가는 현대적 여행자의 루트를 건설해 나간다.
에스토니아, 벨기에, 한국과 일본까지 확장되어 역동적인
(은하철도에 올라 각 행성을 돌며 기나긴 우주여행을 했던
선을 그려 나가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각 지역에서 캐낸,
철이가 문득 떠올랐음은, 나의 과도한 만화적 상상력이
‘비밀’이라고 강조하는 그들의 작업들을 통해 오랫동안
덧입혀진 결과일지 모르겠다.) 그렇지만 신화나 만화의
비밀이 아니었지만, 지금에 와보니 소중한 비밀이었다는
구조와 달리, 흥미로운 대목은 비밀여행의 종점이
새삼스러운 깨달음을 얻는다. 혹은 그런 것도 비밀인가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현재 어느 만큼 와있는 지, 그리고
싶어 들여다보니 그리 아는 것이 없었다는 황망함도
‘비밀들의 비밀’을 따라가며 간취해 내고자 하는 것이
교차한다. 이제, 조심스레 해독되어 우리 앞에 시각적으로
무엇인지 쉽게 알 수는 없다는 점이다. 어쩌면 출발했던
펼쳐진 비밀들의 유산을 수호하고 새로운 시선으로
베이스캠프를 떠나와 단계마다의 성장을 이룬 후
그것들을 재구성할 가능성을 부여받게 된다. 비로소,
되돌아가는 귀향서사와 달리 이들의 오디세이가 일정치
비밀은 은폐되거나 봉인되지 않고 현대적 오픈 소스로서
않은 속도와 방향으로 흘러가게 되리라는 점이야말로
101
secret = ~(~secret), A secret is a non-non-secret And so began my habit of following their lives as one of the many addicts of their work. I occasionally visited their homepage (www.com-pa-ny.com) - their secret space with no secrets - as if it were my job, searching for new design projects and reading every word of their charming almanacs down to snooping into the projects that could not quite be realized. The COMPANY’s secret adventures, or what are simply known as the Secret Series stretches across the globe, drawing a dynamic line starting from Finland all the way to Russia, Estonia, Belgium, South Korea and Japan. The duo insists that their work that are uncovered in each region are “secrets” which have not been deemed so for a long time. But we learn through their eyes that they were indeed precious secrets. Or other times I am absolutely bewildered on encountering something that surely could not be a secret, only to find myself knowing nothing about. Now that the secret heritages are carefully deciphered and uncovered before us in visual media,
we finally are given the opportunity to protect and recompose them in a new light. At long last, secrets are no longer sealed or tucked away, but fully disclosed as modern open sources.
COMPANY Express, Research Exploration linking Secrets At first glance, the secret project complies with the classic narrative of a secret expedition exploring and deconstructing secrets of each locale. However they are also building a modern travelers’ route by giving themselves assignments and completing them. The image of Hoshino Tetsuro(known to Korean fans as Cheol Yi) journeying through space exploring exotic planets aboard the Galaxy Express suddenly flashing through my mind may be attributable to my overactive imagination. However unlike mythologies and science fiction, Aamu and Johan’s journey is all the more exciting. How much they have traveled so far, their final destination, and what they aim to see by tracking the “secret of secrets” remain a mystery.
앞으로의 계속 여정을 지켜보게 만드는 요인이지 않을까.
그런 점에서 컴파니의 일상과 여행은 팽팽하게 연결된 대극점 사이를 왕복하는 움직임과도 같다. 지역의
컴파니의 디자인 여행은 새로운 곳으로의 잠입과
디자인과 코스모폴리턴 디자인 사이, 장인의 수공예
일시적 정주를 통해 리서치와 생산이 밀착되도록 하는
전통과 동시대의 제조공정의 속도차, 상업적인 외양을
핵심적인 방법론이다. 지난 10여년 간 지속되어 온
취한 작은 상점 Salakauppa와 그 안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과정은 그들의 작업세계를 힘차게 밀고 나가는
실험적인 해프닝의 틈에서 두 명이 만들어 나가는 작은
동력이며, 개별적 리서치가 전체의 여정으로 연결되도록
회사, 컴파니는 부지런히 진자 운동을 하며 그 사이의
설계된 프로세스 디자인 그 자체로 여겨진다. 여행 중에
거리를 좁혔다 늘렸다 한다. 그렇게 특수함은 보편의
외부인의 시선으로 새롭게 발견되는 버내큘러 디자인의
가치로 연결되고, 보편은 특수한 모양새에 깃든다.
가치와 감각적 흡수는 그 자체로 새삼스러울 것 없는 일이 되어 버렸다. 그러나 디자인 리서치와 프로덕션이 여행이라는 말과 결부될 때, 디자이너가 사유할 수 있는
두 번 째 10년을 기대하며
의미의 폭과 생산의 결은 그보다 훨씬 입체적이어야 하며, 동시대의 감수성을 담아야 한다. 애초에 하나의 디자인/
핀란드의 비밀을 기점으로 시작된 컴파니 익스프레스는,
디자이너(이)가 고정된 장소와 시간, 지적 내력을 바탕으로
지난 10년간 육로와 해로를 달리며 꽤 여러 간이역을
배태되었을지라도, 디자이너의 인문지리적 상상력을
거쳐오며 다양한 비밀들을 발굴, 재생산 해왔다. 비밀들이
바탕으로 구체적 삶의 현장과 밀착된 조사연구가
공개되는 플랫폼도 다양했다. 미술관 전시와 디자인 페어,
이루어진다면, 디자인 여행은 비로소 ‘출장’이나 ‘탐방’과는
공공 디자인, 헬싱키의 상점과 온라인 숍을 통해 비밀의
다른 차원의, 생산적인 삶의 ‘여정’으로 전환된다.
산물들이 이동해왔고,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소비되었다. 그 과정에서 현실적인 이유로 공식프로젝트로 발전하지
102
Perhaps the COMPANY’s journey garners such unwavering attention because their odyssey flows with inconsistent speed and direction, unlike those who leave their basecamp, and return after maturing each step of the way. The COMPANY adopts a design journey method that tightly adheres research with production by infiltrating and momentarily settling in new locations. This process that is maintained for the past 10 years is the driver that fuels the group’s work and is considered as process design itself, devised in a way that allows individual researches to be cohered to the whole journey. Newly re-discovering values of vernacular design with the eyes of a foreigner and intuitively absorbing them is no longer an unfamiliar method. However, when ‘design research’ and ‘production’ is associated with ‘journey’ the scope of meaning and production the designer can claim must be much more dynamic, while embodying the contemporary sensibilities. A design or designer may have originated from a certain time, space, and inherited knowledge. However when research
is carried out based on the designers’ human geographical imagination in an in-depth manner on the elements of everyday life, then design journey is elevated to a ‘journey’ of a productive life, one that is on a whole new level compared to ‘business trip’ or ‘investigation’. Therefore, the COMPANY’s daily lives and travel are like moving back and forth between two tightly linked opposite points: between the regional and cosmopolitan design; between the different production speed of traditional handcrafting mastery and contemporary product manufacturing; between the commercial outer appearance of a small shop called Salakauppa, and a small business run by two people surrounded by experimental happenings. The COMPANY swings back and forth like a pendulum between two points reducing and stretch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points. And so, unique features are linked to universal values while universal features take on the shape of unique values.
못하고 아이디어 스케치나 프로토타입으로만 남은 경우도
* 글 조주리, 번역 김정윤
더러 있을 것이다. 어쩌면 잠복해 있던 아이디어는 훗날 우연히 다른 형질과 쓸모로 소생하게 될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니, 나는 그들의 두 번 째 십 년 프로그램이 지치지 않고 계속되기를 소망하게 된다. 익숙한 풍경과 정형화된 사고방식으로부터의 탈피, 닿아본 적 없는 먼 곳을 향한 응시와 탐사의 과정을 지켜보고 싶기에. 여행하는 디자인과, 디자인하는 여행이 자유롭게 자리를 맞바꾸고 합일되는 순간을 이들의 비밀원정대의 궤도 안에서 목격하고 싶기에.
103
Looking forward to the next 10 years
* Written by Juri Cho, Translated by Jeongyoon Kim
For the past 10 years, the COMPANY Express passed through quite a number of way stations after making its virgin departure from the Secrets of Finland, racing across land and sea routes, uncovering and reproducing various secrets on its way. These secrets were revealed on diverse platforms including art gallery exhibitions, design fairs, and public design. A smörgåsbord of secret products passed through the flagship store based in Helsinki, each consumed in different ways. There may be ideas, sketches, or prototypes that are left incomplete due to practical reasons during their quest. Perhaps someday, these dormant ideas may be revived for other uses in different forms. And so, I hope the COMPANY perseveres with their project into the next 10 years, because I want to witness their process of escaping from familiar landscapes and standardized ways of thinking, to stare into and explore the faraway lands they have never visited. I want to experience the moment when travel design, and design travel seamlessly shift into
one another and become one in the hands of the fellowship of secrets.
전시 연계 프로그램
104 104
Public Programs
2016. 9. 3(Sat)
5 – 6pm
아티스트 토크 1 Artist Talk 1
컴퍼니(아무 송 & 요한 울린) Company(Amu Song & Johan Olin) 비밀의 비밀들 Secrets of the Secret
6:40 – 7pm
퍼포먼스 Performance
신제현 퍼포먼스, 강홍구 협력 Performance by Shin Jehyun, collaborated with Kang Hong-Goo 뉴타운 레코드 파티 New Town Record Party with Djing (JY CHO)
7 – 8pm
오프닝 파티 Opening Party
탈영역 우정국 2층 Post Territory Ujeongguk 2nd Floor
2016. 9. 4(Sun)
5 – 6pm
아티스트 토크 2 Artist Talk 2
인주첸 Yin-Ju Chen 사이키델릭에 관한 기록들 Notes on Psychedelics
2016. 9. 10(Sat)
5 – 6pm
아티스트 토크 3 Artist Talk 3
ETC + 강홍구 Kang Hong-Goo 올드타운, 뉴 리서치 Old Town, New Research
2016. 9. 17(Sat)
2 – 5pm
워크숍 시리즈 1 Workshop Series 1
김준 Kim Joon 광흥창 사운드 노트 Gwangheungchang Sound Notes
105 2016. 9. 18(Sun)
2 – 3pm
아티스트 토크 4 Artist Talk 4
신제현 Shin Jehyun LSP 프로젝트의 10년과 다가올 연구과제들 10 years of LSP projects and future research tasks
3 – 4pm
워크숍 시리즈 2 Workshop Series 2
신제현 Shin Jehyun 사랑의 비누제조실 Love Soap Laboratory
2016. 9. 22(Thu)
7 – 8pm
영상연구모임 참여자들의 크로스 토크 Film Research Group Cross Talk Session
네 가지 시선과 단서들 Four Gazes and Clues * 오톨리스 그룹의 “In the year of the quiet Sun” 사전 관람자 대상 * For viewers of “In the year of the quiet sun” by the Otolith Group.
2016. 9. 24(Sat)
5:30 – 6pm
디자이너 토크 Designer Talk
물질과 비물질 waterain 디자인 리서치와 프로덕션, 물질과 비물질 사이 Design Research and Production: between the material and the non-material
6 – 8pm
리서치북 론칭 기념 및 폐막 파티 Research Book Launching & Closing Party
D.C, 끝날 때 되돌아가는 리서치 D.C, Research that goes back when it ends
참고문헌
106 106
Bibliography
전시팀 - 『오큘로001: 오디오비주얼 리서치, 지식과 감각 사이에서』, 미디어버스, 2016 - Fentz, Christine & McGuirk, Tom (eds.), Artistic Research: Strategies for Embodiment, Aarhus University Press, 2015 - Hannula, Mika; Suoranta, Juha; Vadén, Tere, Artistic Research Methodology: Narrative, Power and the Public, Peter Lang Publishing Inc., 2014 - Holly, Michael Ann & Smith, Mr. Marquard (eds.), What Is Research in the Visual Arts?: Obsession, Archive, Encounter, Clark Art Institute, 2009 - Rhedding-Jones, Jeanette, What Is Research?:
나현 - 고토 카츠/노무라 마사타카, 곽형준 역, 『크툴루신화대사전』, 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2013. - 조정환, 『공통도시』, 갈무리, 2010. - 아사다 아키라, 이정우 역, 『구조주의와 포스트구조주의』, 1995
Methodological Practices and New Approaches, Universitetsforlaget, 2005
107
강홍구 - C. 레비-스트로스, 박옥줄 역, 『슬픈 열대』, 한울사, 1998 - 미셸 푸코, 이정우 역, 『지식의 계보학』 , 민음사, 2000 - 박영선, 「기억과 상상, 그 사이에서: 사진아카이브의 미학적 가능성을 탐색하는 작가들」, 『과학의 지평』 48호, 고등과학원, 2013 (http://www.kias.re.kr/ etc_img/bbs_file/KN_2013_48/KN_2013_48_28.pdf)
신제현 - 린 마굴리스/도리언 세이건, 김영 역, 『생명이란 무엇인가』, 리수, 2016 - 머레이 쉐이퍼, 한명호/오양기 역, 『사운드 스케이프 – 세계의 조율』, 그물코, 2008. - 스티븐 미슨, 김명주 역, 『노래하는 네안데르탈인』, 뿌리와이파리, 2008
김준 사운드 스케이프 - “Invisible Places / Sounding Cities: sound, urbanism and sense of place”, Proceeding Book, 2014 - O'Callaghan, Casey, Sounds: A Philosophical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 Berlin Place(sonic-places.dock-berlin.de/?lp_lang_pref=en&page_id=6) - Chris Watson(chriswatson.net/category/downloads/) - Christina Kubish: electrical walks(www.christinakubisch.de/en/works/electrical_walks) - Five Places(143.117.78.104/soundsofthecity/?page_id=1174) - Janet Cardiff: Audio walks(www.cardiffmiller.com/artworks/walks/#) - Max Colson(www.maxcolson.com/hide-and-seek/photographs/) - Max Neuhaus(www.max-neuhaus.info/soundworks/) - The Sonic Arts Research Centre(www.sarc.qub.ac.uk/)
108
도시 연구: 시드니와 블루마운틴의 식물 - The Australian Acoustical Society (www.acoustics.asn.au/joomla/) - Australasian Acoustical Societies' Conference (www.acoustics2016.com.au/index.php) - Australian National Botanic Gardens and Centre for Australian National Biodiversity Research (anbg.gov.au/banksia/index.html) - Birds - Identification of Australian Birds -Sydney and Blue Mountains Bird Species(www.survival.org.au/birds.php) - The Garden Palace in the Royal Botanical Gardens (www.visitsydneyaustralia.com.au/garden-palace.html) - A Gathering of Flowers: the florilegium collection (sydneylivingmuseums.com.au/stories/gathering-flowersflorilegium-collection) - The Historical Atlas of Sydney (www.photosau.com.au/CoSMaps/scripts/home.asp) - Lost Gardens of Sydney(www.booktopia.com.au/lost-gardens-of-sydney-colleen-morris/ prod9781876991296.html) - Sound in Space: Adventures in Australian Sound Art (mca.com.au/collection/exhibition/76-sound-in-space/) - 호주의 식물 (호주 관광청, www.australia.com/ko-kr/facts/plants.html)
인주첸
오톨리스 그룹 - Eshun, Kodwo, More Brilliant Than the Sun: Adventures in Sonic Fiction, Quartet Books, 1999 - Eshun, Kodwo and Sagar, Anjalika, The Ghosts of Songs: The Film Art of the Black Audio Film Collective, Liverpool University Press, 2007 - Eshun, Kodwo and Sagar, Anjalika, The Otolith Group: World 3, Bergen Kunsthall/Casco - Office For Art,
- Aldous Huxley, The Doors of Perception, 1954 - Plato, Republic, BC380 - Rene Decartes, Discours de la Méthode, 1637 - Strassman, Rick, DMT: The Spirit Molecule: A Doctor's Revolutionary Research into the Biology of Near-Death and Mystical Experiences, Park Street Press, 2001
Design And Theory, 2015 - Eshun, Kodwo and Sagar, Anjalika, The Otolith Group: A Long Time Between Suns, Sternberg Press, 2009
109
ETC - “10~20년 후의 미래도시: 중견 샐러리맨의 쾌적한 하루 생활”, 「매일경제」, 1971. 1. 23 하루생활” - 박태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1934 - 발터 벤야민, 조형준 역, 『아케이드 프로젝트 1,2』 , 새물결, 2005/2006
컴파니 - Yanagi, Soetsu and Leach, Bernard, The Unknown Craftsman: A Japanese Insight into Beauty, Kodansha USA, 2013 - 니코스 카잔차키스, 오숙은 역, 『러시아 기행』, 열린책들, 2008
감사노트
채 무르익지 않은 전시 아이디어에 선뜻 참여를 약조해 주시고, 단계 단계마다 멋진 아이디어를 공유해 주시고 실행하신 참여 작가들 - 강홍구, 김준, 나현, 신제현, 이티씨(진나래, 이샘, 전보경), 인주첸, 오톨리스 그룹, 컴파니(아무송, 요한 울린)에게 감사드립니다. 이틀이라는 짧은 시간 안에 작가들의 초인적인 노력과 사전준비로 차질없이 설치를 마칠 수 있었습니다. 봄부터 가을까지, 웃음 소리가 끊이지 않고 즐겁게 조잘대며 전시를 진행할 수 있었던 것은 박나혜, 최정원님의 헌신적인 노력 덕분인데, 예산운영에서부터 작품 프로덕션, 번역과 텍스트 편집, 설치까지 그들의 손길이 거치지 않은 곳이 없습니다. 또한 협력 연구자라는 이름으로, 제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거나 부담스러워 했던 어떤 부분을 함께 챙기고 고민해 준 양정선, 유지원, 양유진님께도 고맙습니다. 같이 하는 즐거움이 무척 컸습니다. 더불어, 멀리 떨어진 작가님을 대신해서 발벗고 나서 설치를 도와준 이병찬, 김윤정 작가님, 설치와 기술적
110
First of all, we appreciate to the artists – Kang HongGoo, Kim Joon, Na Hyun, Shin Jehyun, ETC(Narae Jin, Saem Lee, Bokyung Jun), Yin-Ju Chen, the Otolith Group and Company (Amu Song, Johan Olin) – who more than willingly promised to participate in then unripe ideas. Thanks to their tireless effort, this exhibition could happen. From spring to fall, the preparation period was filled with joy and laugher, and it was all due to Nahye Park and Jungwon Choi. From budget operation to production, translation, text editing and installation, there is no place in this exhibition untouched by them. We would like to express our deepest gratitude to collaborative researchers - Yujin Yang, Jungsun Yang, and Jiwon Yu - who shared the burden in our shoulders. It was a great pleasure to work with you.
Acknowledgement
We cannot say thank you enough to Byungchan Lee and Yunjung Kim for helping us with installation, and Jung min Son for his expertise in technical
문제 전반을 해결해주신 손정민님, 제작에 도움 준 김민영과 친구들, 한결같은 맘으로 전시설치를 도와준 임선영님, 번역자 김정윤, 김지영님, 오프닝 날 발벗고 도와준 박정현 님. 모두에게 고맙다는 말이 부족할 것 같습니다. 언제나 원하는 바를 찰떡같이 알아듣고 좋은 디자인으로 전시의 결을 살려주신 디자인 팀 물질과 비물질의 김종소리, 황은정님. 썩 괜찮은 호흡이었던 것 같습니다.
탈영역 우정국 관계자 분들도 고맙습니다. 전시에 적합한 공간이었고, 여러 모로 배려해 주셨습니다. 늘 조용한 발걸음으로 왔다 꽤 긴 시간 작품을 둘러보고 가시는 관람객들과 며칠 단위로 이어지는 토크와 워크숍에 발걸음해주셨던 진취적 관람객들에게도 마지막 고마움을 전합니다.
바쁜 가운데 전시 운영에 도움이 되는 여러 지침을 주신 광주비엔날레 안미희 팀장님과 여유 잃지 않도록 기운 넣어주신 김현주 선생님, 연구의 의미와 무게에 대해서 늘 긴장감을 갖도록 해주신 김민수 지도 교수님께도 감사 전합니다. 마음 속에 있던 작은 아디이어가 실제 전시로 발전하게 된 것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시각예술창작산실 사업에 선정되었기 때문입니다. 원활한 기금집행과 전시운영에 도움을 주고 계신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시각예술부의 김영일 과장님과 정해영 부장님 고맙습니다.
111
issues, Lori Kim and her friends for space design and wooden works, Sunyoung Lim for her consistent support, Jeongyoon Kim and Jiyoung Kim for translation, and adorable Junghyun Park for helping catering in opening reception. Beautiful posters, brochures and other graphic elements were all designed by Jongsori Kim and Eunjung Hwang, from the designer duo Waterain. We were truly blessed to have you. Despite the intense schedule, Mi-hee Ahn, the head of policy planning department of Gwangu biennale shared various tactics for better management. I cannot thank you enough for fruitful advices. And also, I am thankful for Hyunju Kim’s encouragement. Finally, I would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to my academic director, Min-soo Kim, who kept me tensed up about the meaning and weight of research. The initial idea could be realized into actual exhibition thanks to Arts council Korea’s funding as known as creative lab for visual arts. Young-il Kim, the manager
of visual arts department and Hae-young Jung, the head of visual arts department of Arts council Korea gave a great deal of support for smooth reception of grant and exhibition management. We are grateful for the manager and staffs at post territory Ujeongguk, who considered much for this exhibition and the space fitted into our concept. Last but not least, we deliver our sincere gratitude to audiences who watched the show for a long time with meditative eyes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various programs including artist’ talks and workshops.
리서치, 리:리서치
기획
조주리(a proposal)
전시진행 및 프로그램 협력
박나혜 최정원
연구협력
양유진 양정선 유지원
제작협력
김민영 임선영
설치협력
이병찬, 김윤정
기술 솔루션
손정민(Route 254)
텍스트 작성
조주리, 최정원, 박나혜, 유지원, 양유진
아카이브와 자막, 에세이 번역
조주리, 최정원, 김정윤, 김지영, 양유정, 문명주
자막협력
국립현대미술관 필름 앤 비디오 분과,
발행일 2016.9.24 발행처
김은희 학예연구사 공간협력
탈영역 우정국
디자인
물질과 비물질
인쇄
동신인쇄
문의
reresearched@gmail.com
물질과 비물질 (waterain.kr)
이 도서의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시도서목록(CIP)은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홈페이지(seoji.nl.go.kr)와 국가자료공동목록시스템(www.nl.go.kr/kolisnet)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IP제어번호: CIP2016022548
ISBN 979-11-87576-01-3 (03600)
후원 Sponsor
₩13,000
이 책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화예술진흥기금을 보조받아 발간 되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9.24
Curator Curatorial Assistant Collaborative Researcher Local Fabrication Technical Solution Text Writing
Published by waterain (waterain.kr)
Juri CHO Nahye Park, Jungwon Choi Yujin Yang, Jungsun Yang, Jiwon Yu Lori Minyoung Kim, Sun Young Lim Jung Min Son(Route 254)
Space Management Cooperation Design Print
Juri Cho, Jungwon Choi, Nahye Park, Jiwon Yu, Yujin Yang Juri Cho, Jungwon Choi, Jeongyoon Kim, Jiyoung Kim, Yoojung Yang, Myeongjoo Moon MMCA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Film and Video, Curator Kim Eun-Hee Post Territory Ujeongguk Waterain Dongsin Print
Inquiry
reresearched@gmail.com
Archive, Subtitle and Essay Translation Subtitle Cooperation
research, re: researched
시각예술창작산실 사업
물질과 비물질 water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