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 02-751-5114 고객센터 : 1588-3600
서울
-10/-1℃ 인천
-9/0℃ ▶날씨
박 “노 정부 문 “박, MB 박 “노 정부 때 집값 · 양극화 가장 심각” www.joongang.ca
제2759호
발행인 김 소 영 대표 604-544-5155 팩스 778-397-8288
사상 첫 ‘재외 대선’ 관심 높았다
투표율 70% 넘겨
박 “출총제, 참여정부 때 약속 해
문 “박, MB정부 민생파탄에문공동책임” “박근혜 줄푸세, MB정부 부자
밴쿠버 73.61% … 총선보다 두 배가량 늘어
대선 D - 8 2차 TV토론
유권자 열기 확인 … 19일 전국 투표율 관심 대통령 선거 사상 처음으로 재외 유권자 가 참여한 18대 대선의 재외국민 투표율이 70%를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재외국민 투표 마지막 날인 11일 오전 7시(이하 한국 시간) 현재 전체 재외 유권자 222,389명 중 154,953명이 투표를 마쳐 투표율 69.7%를 기 록하고 있다. 이처럼 투표율이 높아진 것은 2~3명의 후 보에게 관심이 집중되는 대선이라는 특수성 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투표가 마감된 주밴쿠버총영사관 투표소 에서도 전체 재외 유권자 4,407명 중 3,244 명이 투표에 참여해 최종 투표율 73.61% 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4월 총선 당시 밴 쿠버지역 투표율 37%보다 두 배 가량 높 아진 것이다. 토론토와 몬트리올 등 캐나다 기타 지역 은 물론 미주지역 전체적으로 봐도 투표율 상승 추세는 뚜렷했다. 11일 오전 7시 현재 미주지역에서는 전체 재외 유권자 73,528명 중 50,332명이 투표해
새누리당 박근혜, 민주통합당 문재인
68.5%의 투표율을 보이고 있다. 같은 시각 토론토는 74.4%, 몬트리올은 77.0%의 투표 율을 각각 기록 중이다. 중앙선관위는 “현재 추세대로 11일 정오에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 총영사관의 마지막 투표가 종료되면 투표율이 70%를 넘길 것” 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재외국민 투표율이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서 오는 19일 실시되는 대선 전국투 표율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 4월 총선 당시 재외국민 투표율은 45.7%, 전국 투표율은 이보다 높은 54.3%를 기록했었다. 전문가들은 이번 대선의 전국투표율이 대 선 사상 최저 투표율을 기록했던 지난 2007 년의 62.9%보다는 높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재외국민 투표함은 봉인된 뒤 오는 16일 오후까지 한국으로 옮겨져 전국 251개 시· 군·구 선관위로 발송된다. 개표는 대선 투 표일인 19일 오후 6시 이후에 국내 투표함 의 개표와 함께 진행된다. 조민우 기자 mwj42@joongang.ca
연방 기술직 이민 세부규정 확정 제이슨 케니(Jason Kenney) 연방 이민장관은 10일(월) 기술직 이민(FSTC : Federal Skilled Trades Class) 세부규정을 발표하고, 내년 1월 2일부터 시행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날 이민부 발표에 따르면, 새로 도입되는 FSTC 카테고리를 통해 받아들일 이민자는 3 천명 정도다. FSTC는 전문인력(Skilled worker) 이민과는 달리 기본수준의 언어능력만 증
한국과 캐나다, 우정을 맺다 >> A3 더 쉬워진 기술 이민 제도 >> A4 충무로 1억 관객 시대의 힘은 캐릭터 >> B3
명하면 신청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단, 이민 신청 전 이민부가 정해 놓은 ‘NOC B’(National Occupational Classification B)에 속하는 직종에서 2년 이상 경력이 있어야 하 고, 캐나다 잡오퍼(Job-offer)를 받아야 한다. FSTC 세부규정이 발표됨에 따라 연방 이민 부가 계획했던 이민제도의 전면적인 개편작업 이 일단락 됐다. 연방 이민부는 지난 8월 전문인력 이민 신청 시 ▶언어점수 기준 강화와 비중 확대 ▶ 나이 만점 기준 하향 조정과 비중 확대 등을 내용 으로 하는 이민제도 변경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어 지난 10월 말에는 경험이민의 신청 조 건을 기존 2년 이상(풀타임 기준) 근무 경력에 관계기사 >> A4 서 1년 이상으로 완화했다.
2012년 12월 11일 화요일
“토론 잘했다” … 1차보다 박 오르고 문은 내려 중앙일보 조사연구팀이 10일 오후 8시부터 진 행된 제18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2차 토론회 에 대해 긴급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새누 리당 박근혜 후보가 잘했다는 응답이 40.2%,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가 잘했다는 응답이 28.1%, 통합진보당 이정희 후보가 잘했다는 응답이 18.0%였다. '비슷하다' 5.1%, '모름·무응 답'은 8.6%였다. 지난 4일 실시된 1차 TV 토론 평가에선 박 후보 36.0%, 문 후보 29.2%, 이 후보 19.2%로 조사됐었다. 1차 TV토론과 비교해 문 후보가 잘했다는 응답은 1.1%포인트 줄었고, 박 후보
가 잘했다는 응답은 4.2%포인트 올랐다. 지지율에서 문 후보가 우세한 2030세대에 선 문 후보가 잘했다는 평가가 더 높았고(20 대 47.5%, 30대 39.7%), 박 후보가 우세한 5060 세대에선 박 후보가 잘했다는 평가가 더 높게 나타났다(50대 51.4%, 60대 이상 56.8%). 이번 조사의 표본은 유선전화 RDD 방식으 로 가구에 전화를 건 뒤 TV토론을 시청하고 있는 가구원 중 연령이 가장 낮은 한 명을 선 정하는 방식으로 뽑았다. 최대 허용 오차범위 는 무작위를 전제로 할 경우 95% 신뢰수준에 서 ±3.9%포인트, 응답률은 38.6%였다.
새누리당 박근혜,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통령 대통령10일(한국 후보가시간) 10일경제 밤 분야 중앙선관위 후보가 2차 TV토 산하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최 론에서 서로 ‘민생파탄 책임론’을 제기하며 정 면 특히 문 후보는 1차 토론 때존 로충돌했다. 진행된 경제분야 두 번째 TV토론 재감이 약했다는 지적에 따라‘민생파탄 이날 박 후보에 에서 서로 상대방에게 책 대해 적극적인 공세를 취했다. 두 후보는 노 임론’을 제기하며 정면 충돌했다. 무현·이명박 정부의 실정 책임, 경제민주화 등 박 후보는 문 후보에게 “양극화와 에서 팽팽한 대립각을 세웠다. 중산층 붕괴가 가장“양극화와 심했던 게 노무 박 후보는 문 후보에게 중산층 붕 현 정부 “중산층 비율이“ 괴가 가장 때였다”며 심했던 게 노무현 정부 때”라며 중산층 비율이 69%에서 63%로 가계부채· 줄었고, 가계 69%에서 63%로 줄었고, 부채·부동산·대학등록금이 급등했으며 성장 부동산·대학등록금이 급등했으며 률은 세계 평균에도 못 미쳤는데 문 후보의 성장률은 세계 평균에도 못 미쳤는 정책은 실패한 노무현 정부 정책과 다르지 않 데 문 후보의 정책은 실패한 노무현 다”고 비판했다. 이에 문 후보는 “참여정부가 정부 정책과 크게2007년 다르지 않은 것같 민생을 못 챙긴 것은 대선 때 심판 받 다”고지금은 비판했다. 후보는 “참 았고, 이명박 이에 정부의문 민생파탄에 대해 새누리당이 받을못 차례”라고 반박했다. 여정부가 심판 민생을 챙긴 것은 이미 문 후보는 반대로 후보에게 “이명박 정부 2007년 대선 때박 심판받았고, 지금은 의 민생파탄은 참여정부 때보다 심해졌다”며 2012년 대선이기 때문에 이명박 정 “박 후보는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과 부자 부의 민생파탄에 대해 새누리당이 감세, 물가급등, 가계부채 증가에 공동책임이 심판받을따졌다. 차례”라고 반박했다. 없느냐”고 박 후보는 “공동책임을 말 문 후보는 반대로 박매번 후보에게 하는데 지난 5년또 동안 야당에서 무슨 일 만 있으면 ‘박근혜가 답하라’고 한 건 기억이 “이명박 정부의 민생파탄은 참여정 안 나나”라고 맞받았다. 부 때보다 훨씬 심해졌다”며 “박 후 두 후보는 경제민주화 실현 방안을 놓고서 도 후보는 박 후보에게 “ 공방을 TV토론벌였다. 전문은문joongang.co.kr에 기존 순환출자 해소 주장에 대해 돈이 들어 간다고 반대하는데, 부담은 재벌총수가 지는 것이고, 주식을 처분한 기업엔 돈이 들어오는 것이라 그 돈을 투자에 활용할 수 있다”고 지 적했다. 이에 박 후보는 “기존 순환출자를 해 소하려면 미래성장동력 투자에 쓸 수 있는 돈 을 지분 유지하기 위해 쓸 수밖에 없고, 경영 권이 약해지면 기업이 외국자본에 넘어갈 수 있다”고 답했다. 문 후보는 “박 후보가 주장하는 ‘줄푸세’는 재벌 세금 줄여주고 규제 풀어주자는 이명박 정부의 부자감세 정책과 뭐가 다르냐”고 비판 했고, 박 후보는 “불합리한 규제를 푸는 것과 법질서를 세우는 것도 경제민주화와 배치되는 것이 아니다”고 했다. 김정하 기자 wormhole@joongang.co.kr
보는 이 부자 감 가에 공 박 후보 난 5년 만 있으 건 기억 두 후 놓고서 는박후 주장에 하는데 이고, 주 어오는 할수있 는 “기 래성장 지분 유 경영권 에 넘어 박 후 분리청 등문 약은 참 키지 못 지 못했 고 물었 명박 정 문에 1 이상 증 침범하 문 후 제벌 세 이명박 가 다르 는 “불 서를 세 되는 것
김정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