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eekly News Tabloid THE COREA COURIER
대한민국 유일의 무료 영자신문
코리아쿠리어
COREA COURIER
(No.16) 2013.05.27. ~ 2013.06.02. Contact Info. 02-6080-6139 www.coreacourier.com
The First & Only Free English Newspaper
Flea market freedom
파리 날리지 않는 벼룩시장
By Lee Seung-kon Pictures taken by Hong Kyung-gu
Flea markets in Korea are frequented by people from various age groups and backgrounds.
Customers scavenge for bargains.
[The Corea Courier]
A frugal* side to the world’s largest economy, the U.S., is garage sales. Garage sales are a part of American culture for the purpose of selling used goods at affordable prices. Recently in South Korea, flea markets, similar to garage sales, are becoming popular. Most Korean flea markets bring together sellers to hold flea markets at specific locations once a week or all through the month. Apart from buying and selling items, people also come for sightseeing.
Young artists display their handicraft*, some of which is also for sale. Famous flea markets have very high competition for people to be selected as sellers. They have transformed into cultural icons, frequented by people. Garage sales represent thrifty* lifestyles in America. Flea markets in Korea, on the other hand, have evolved beyond that; it is a place for cultural exchange.
세계 제일의 경제대국 미국에서 검소한 모습 중 하나가 중고 장터 (garage sale)이다. 중고장터에서는 여러 가지 생활 물 품을 처분목적으로 자신의 차고 앞 에서 파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은 미국에서 일상화된 문화이다. 몇 년 전부터 한국에서도 중고장터와 비 슷한 벼룩시장(flea market)이 큰 유행을 타고 있다. 한국형 벼룩시장 은 판매할 중고 물건이 많은 판매자 를 모집하여 한 달이나 한 주에 한 번씩 특정 장소에서 벼룩시장을 개
최 하는 형태가 많다. 더불어 물건 판매뿐만 아니라 다양한 볼거리나 재능 있는 예술가들의 수공예 작품 들도 만날 수 있다. 유명한 벼룩시 장들은 판매자로 뽑히기 위한 경쟁 률도 치열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문 화 아이콘으로 발전하여 인산인해 로 발 디딜 틈이 없을 정도이다. 미 국에서는 중고장터가 검소한 문화 의 일면을 나타내지만, 한국에서의 벼룩시장은 문화교류의 장으로 성 장하고 있다.
*frugal: 검소한 [The Corea Courier] *handicraft: 수공예품
Assorted items and handicraft are displayed at a vendor.
oksk@coreacourier.com
*thrifty: 알뜰한
[The Corea Cour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