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coreacourier no.18

Page 1

THE

대한민국 유일의 무료 영자신문

COREA COURIER

Weekly News Tabloid THE COREA COURIER 코리아쿠리어 (No.18) 2013.06.10. ~ 2013.06.16. Contact Info. 02-6080-6139 www.coreacourier.com

The First & Only Free English Newspaper

Aleki Django performs Celeste Tango with a partner at the Latin American Festival which took place at the Seongbuk Stream Fountain Square on June 8.

[The Corea Courier]

By Lee Seung-kon Photographs taken by Lee Eui-kon

Despite the scorching* weather, hundreds gathered at the Latin American Festival held at the Seongbuk Stream Fountain Square* on June 8. 2011년부터 개최하기 시작한 라틴아메리카 페스티벌에 올해에도 더운 날씨에 굴하지 않고 많은 인파가 모였다. ▶8면에 계속

▶more on page 8


2 Politics & Society

(No.18) 2013.06.10 ~ 2013.06.16

THE COREA COURIER

Comfort women’s testimonies translated for the first time 시민 번역가들, 일본군 위안부 증언 영어로 세계에 알린다 자발적 지원... 체계적 번역은 처음 By Seok Joo-hee

An English testimony* record made by victims of Japanese comfort women* is to be released to notify the world of the victimization of comfort women. It is the first organized English translation of such records. The meeting consisting of four civic activists*, has been translating testimonies of comfort women into English since last December. The translations started in order to arouse atten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the Japanese wartime comfort women issue. They argue that

English records are necessary to convey the experience of comfort women effectively. Several testimonies have been translated in full length and also arrange the life and experience of comfort women. They were recently funded by the Korea Human Rights Foundation. They are also working on writings of veterans* of those days and researching specific words used on the spot. It is not only for precise selection of vocabulary, but also for delivering the victims’ voices and expressions.

Finished work is to be released on a website, in cooperation with related institutions. There are efforts to have the work published as well. Park Hye-ran, one of the translators, said “The translation will bring people’s attention to sexual violence* in wars, which is also happening all over the world even today.” She also mentioned that those who would like to participate are welcome.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경험을 전 세계에 알릴 수 있 도록 증언을 영어로 옮긴 기록물이 나온다. 보고서 작성을 위 한 부분발췌번역이 아니라 증언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 한 영문 번역 시도는 처음이다. 국내 전문번역가와 원어민 에디터 등 시민활동가 4명으로 이뤄진 '번역활동가 모임'은 지난해 12월부터 위안부 피해자 증언 영문번역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3일 밝혔다. 수요시위 등 일본군 위안부 문제 관련 자원활동을 하면서 만난 이들은 위안부 문제를 국제사회에 알리려면 피해자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전하는 영문 기록물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아 번역을 시작했다. 이들은 피해자 등록을 시작한 1991년 이후 녹취•수집된 234명의 증언 가운데 지금까지 6명의 증언 전문을 번역했고 30명의 생애와 경험을 요약 정리했다. 1차 목표는 위안부 피 해자 10명의 증언 전문을 영어로 옮기는 것이다. 번역활동가 모임은 지난 3월 이 작업과 관련해 한국인권재단의 '인권홀 씨기금'의 지원을 받았다. 당시 참전 군인들의 수기, 현장에서 쓰였던 용어 등에 대해

서도 작업 중이다. 번역 시 적확한 용어 선택뿐 아니라 화자 의 어조, 뉘앙스를 그대로 살리는데 주력하고 있다. 결과물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학 연구센터 등 필요한 기관과 공유해 웹사이트에 올리기로 했다. 책 출간을 위해 현재 영미권 출판사와 협의 중이다. 번역가 박혜란씨는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전쟁 성폭력을 다시 드러내고 조명하는 작업이 될 것"이라며 "뜻 을 같이하는 분이 있다면 함께 작업하고 싶다"고 말했다.

*testimony: 증언

*comfort women: 위안부

*civic activist: 시민활동가

jpp224@naver.com

*veteran: 참전군인

*sexual violence: 성폭력

Rise of the Sirutteok dance 광주 클럽 유행 시루떡춤, "목과 머리 반복해 끄덕이면 끝" By Yang Ji-yun

The ‘Sirutteok’ dance that was featured on ‘Hello Counselor’ is becoming the hottest trend. On June 3, the story of Sul Sang-woon was introduced. He was worried about his friends who love to go clubbing. “It is a problem that my friends love clubs too much” he said. “One of them was fired one month after he got his job, because he went clubbing for a whole week. My other friend dropped out of

school.” He also complained* that he “spends around 200,000 to 300,000 won per month to pay for their meals and taxi fees.” At the studio, Sul’s friends showed the Sirutteok dance, which is a big trend in Gwangju, South Jeolla Province. The dance is performed by nodding one’s neck and head repeatedly. People can blow whistles and stretch their arms. It is considered simple,

but has addictive* features* that make the dance attractive*. After watching the Sirutteok dance, netizens commented that “It is perfect the dance after a night of drinking.” Some claimed that “It reminds [them] of commercials* that show rice cakes after some drinks.” Most agreed that “[it’s] a weird dance.”

KBS2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에 나온 ‘시루떡춤’이 연일 화제다. 지난 3일 안녕하세요에는 친구들이 클럽에 가는 것을 좋아해 고민이라는 설상운씨의 사연이 소개됐다. 그는 “친구들이 하도 클럽을 좋아해서 문제”라며 “한 친구는 일주일 내내 클럽에 가서 취직 한 달 만에 회사에서 해고되고

한 명은 학교를 자퇴했다”고 고백했다. 이어 설씨는 절친한 친구들에게 “밥값과 택시비를 대느라 한 달에 20~30만원을 쓴다”고 토로했다. 이날 설씨의 친구들은 전라도 광주에서 유행이라는 일명 ‘시 루떡춤’을 스튜디오에서 공개했다. 공개된 시루떡춤은 목과 머리를 반복해 끄덕이면 된다. 호루

라기를 불거나 손을 뻗기도 한다. 단순하지만 묘한 중독성이 있어 매력이 있다. 시루떡춤을 접한 네티즌은 “술 마시고 추면 딱 맞겠다”, “음 주 후 버스에서 떡이 되는 광고가 생각난다”, “별 춤 다있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complain: 불평하다, 불만을 토로하다

*addictive: 중독성 있는

*feature: 특징

helena93@hanmail.net

*attractive: 매력적인

*commercial: 광고


THE COREA COURIER

Politics & Society

(No.18) 2013.06.10 ~ 2013.06.16

3

Working overtime causing office workers to quit 사표 던지고 싶은 이유 1위 '야근, 초과근무, 동료와의 마찰' By Seok Joo-hee

A woman is stressed from working overtime.

[The Women's News]

Working overtime is the top reason why office workers want to resign*. Survey results of Eduwill and Job Korea in May show that 1,121 employees felt impulses* to resign. 94.6% of respondents (1060 employees) felt such impulses, the biggest reason being overtime work. 37.2% wanted to resign due to trouble with

colleagues, 20.8% being envious of their coworkers having higher salaries and 20.1% because of receiving poor evaluations for their performance. 33.6% of those respondents were not able to resign because of financial issues and 32.7% due to difficulty finding better jobs.

직장인들이 사표 던지고 싶은 이유에 대해 "야근과 초 과 근무 때문"이라고 대답했다. 월간 인재경영과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5월 1121명 직 장인을 대상으로 '직장인 사직서 제출 충동경험'에 관 해 설문 조사를 벌인 결과를 밝혔다. 응답자 중 1060명 (94.6%) ‘직장 생활 중 사표를 던지고 싶은 충동을 느껴 봤다’고 응답했다. 이어 사표를 던지고 싶은 이유로는 과중한 업무로 야

근이나 초과근무 할 때(37.3%), 상사, 동료와 마찰이 있 을 때(37.2%), 나보다 동료가 더 많은 연봉을 받을 때 (20.8%), 인사고과 시즌에 내 능력을 제대로 평가 받지 못했을 때(20.1%) 순으로 꼽았다. 그럼에도 직장을 그만두지 못하는 이유로는 당장 들어 갈 카드값과 생활비 때문(33.6%), 더 좋은 이직 조건을 탐색하기 위해(32.7%) 순으로 답했다.

*resign: 사직

sumin6327@gmail.com

*impulse: 충동

Occupy Turkey protest 터키 반정부 시위, 세계 곳곳에서 지지 잇따라

By Yoon Hae-jin

Protests in Turkey, which were originally against government plans to redevelop Gezi Park, have grown to demanding for the resignation* of Prime Minister* Erdogan. Many groups supporting the protesters have increased around the world.

The protesters took photos and videos of police suppression* and posted them on social networks, triggering the formation of support groups centered on Turks living overseas. According to foreign reports, the protests, which have been going on

since May 28, spread to around 90 cities in Turkey. Mr. Erdogan has demanded the protests to end, criticizing the EU and the U.S. for using similar methods of suppression on its own citizens.

터키 도심에서 벌어진 '게지 공원 개발 반대' 시위가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총리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 위로 확산된 가운데 세계 곳곳에서 시위대를 지지하는 모임이 형성돼 눈 길을 끌고 있다.

시위대는 경찰의 시위 진압 장면을 사진과 영상으로 찍어 SNS를 통해 알렸고, 세계 곳곳에 퍼져 있는 재외 터키인을 중심으로 지지 모임이 형성 된 것이다. 이번 시위는 터키 정부가 게지

(Gezi) 공원을 없애고 그곳에 대형 쇼 핑몰을 세우려하자 시위대가 공원을 점거하면서 부터 시작됐다. 외신 보 도에 따르면 6일째 진행된 시위는 터 키 내 67개 도시로 확산됐다고 한다.

*resignation 퇴진

Occupy Turkey.

[The Corea Courier]

*prime Minister 총리

hjjy0313@nate.com

*suppression 진압


4

Politics & Society

(No.18) 2013.06.10 ~ 2013.06.16

THE COREA COURIER

Cure for ASD using 3D images 3D화상으로 심장 구멍 치료 병원서... 성공률 거의100%

By Lee Na-young

By using 3D images, cure for Atrial Septal Defects (ASD)* has become possible. ASD is one of the most frequent congenital heart diseases, showing a defect within the interatrial septum*. The interatrial septum is a muscular wall dividing the left and right atria of the heart, ASD being a disease causing blood flow between them. In Japan, one out of 1500 patients have the disease. As it develops,

cardiac arrhythmia* may occur, leading to heart attacks and a stroke. According to the Japanese media, Okiyama Hospital has given treatments to 700 ASD patients since 2005. Most surgeries are done by placing a three millimeter diameter catheter from the bottom of the feet to block the blood flow. However, almost 90% of patients had to surgically open their hearts because of the difficulty to find

the location of each hole without making many holes opened within the atrium. Recently, researchers of the hospital visualized 3D images of inner parts of the heart by putting tubes that release ultrasonic waves from the mouth to throat. This result was developed to catheter treatments that can diagnose locations and sizes of holes from those images. Researchers said that among 27 ASD patients treated this way, 26

patients were successfully cured. Dr. Akagi, who led this treatment, explained, "In the past, the surgery required at least two to three weeks of hospitalization*, but this new treatment is very helpful, because it can help patients avoid overstretching heart-opening surgeries."

3D화상을 이용하여 심방중격결손증(ASD) 카테터 치료가 가능하게 됐다. ASD는 선천성심질환에서 가장 빈도가 높 은 것 중의 하나로 심방중격 난원구부(卵円 口部)에 결손이 있다. 심장의 좌심방과 우심방을 가르는 근육벽 을 심방중격이라고 하는데 출생 때부터 구멍 이 있는 질병이다. 일본에서 약 1500명 당 1명 꼴로 발견되고

있으며 진행되면서 심장마비와 뇌졸중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 부정맥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오카야마 병원에서는 2005년 이후 700명의 ASD 환자에 대해 치 료를 실시했다. 수술은 대부분 직경 약 3mm의 카테터를 발밑에서 넣어 구멍을 막는 방법이 주를 이 루고 있다.

그러나 환자의 약 90%는 심방에 여러 개의 구멍이 열려있는 구멍형으로 가슴을 절개하 지 않은 상태에서 각 구멍의 위치를 파악하 는 것이 어려워 심장을 절개하는 수술을 선 택할 수 밖에 없었다. 최근 이 병원 연구진은 지난 2011년 초음 파를 방출하는 관을 입으로부터 식도에 넣어 심장 내부를 3차원으로 화상화하여 그 이미 지에서 구멍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하게 진단

할 수 카테터 치료법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27명의 ASD 환자를 대상으로 상 기 치료법을 실시하여 1명을 제외한 26명이 성공하는 수확을 거뒀다고 밝혔다. 이 치료법을 주도한 아카기박사는 "과거에 는 통상 2~3주 정도 입원이 필요했으나 새 치료법은 환자에게 부담이 큰 심장절개 수술 을 피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고 설명했다.

*Atrial Septal Defect(ASD): 심방중격 결손증

*interatrial septum: 심방중격

*arrhythmia: 부정맥

sprinay@naver.com

*hospitalization: 입원

Introduction of national compatible transportation cards in November 버스·지하철 등 전국 호환 교통카드 11월 도입

By Han So-young

Public transportation including expressways, KTX trains, subways and buses will be able to be accessible with a single transportation card, excluding intercity buses* starting on the next half of this year. The ‘Promotion of Compatible* Transportation Card Agreement’ was sign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on June 4. Railway, Gyeonggi Province and EB cards are expected to be released in the latter half of this year after going through system supplementation* and tests for two to three months. Maeng Sung-kyu, the Director General for the Comprehensive Transport Policy* of the

Ministry commented that, “This policy will enhance convenience to those who have difficulty paying for expressway fees and railway tickets with current transportation cards that also have restrictions on usage for other districts.”

시외버스를 제외한 버스, 지하철, 고속도로와 KTX 등 전국 의 교통수단들을 통합된 하나의 교통카드로 올해 하반기부 터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지난 4일 국토교통부는 서울역에서 경기도, 철도공사, 도로

공사와 전국호환 교통카드를 도입하는 내용의 '교통카드 전 국호환 추진협약'을 체결했다. 철도ㆍ경기도ㆍ이비카드는 2~3개월간 시스템 보완 및 테 스트를 거쳐 하반기에 카드를 출시할 예정이다.

맹성규 국토부 종합교통정책관은 "그동안 선불교통카드로 는 타 지역 이용 제한 및 고속도로 통행료, 열차표 발매가 불 가해 불편을 겪었던 국민들의 이용 편의가 향상 될 것"이라고 말했다.

*intercity bus: 시외버스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국토교통부

*compatible: 호환성 있는 *complementation: 보완

soyoungtot@hotmail.com

*director general for Comprehensive Transport Policy: 국토부 종합교통정책관

Talks renewed with Pyongyang

남북한 회담 재개

By Hwang Yoon

Gatewa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 eSeoulpost]

Government-level talks were held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officials on Sunday at Panmunjom, the first in years. A meeting will be held on Wednesday through the inter-Korean ministerial level at the request of the unification* minister, Ryoo Kihl-jae. Pyongyang first issued the proposal for talks

on Thursday, saying “The venue* of the talks and the date for their opening can be set to the convenience of the south side.” Officials quickly accepted the offer, stating they have been seeking talks “continuously” on Kaesong since the North shut it down. The North expressed appreciation for the response on Friday.

Pyongyang reconnected a hotline on Friday that it had severed amid* recent tensions caused by its long-range rocket launch in December and an underground nuclear test in February. The talks are signs of improvement of relations with the North that have been strained in the past yoony0705@gmail.com few months.

지난 일요일 판문점에서 정부차원의 남북한간의 담화가 있 었다. 이는 몇 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오는 수요일, 류길재 통일부장관의 요청에 의해 양국간 부 처차원의 회담이 있을 예정이다. 회담 요청을 처음 제시한 것은 북측이다. 남한의 편의에 맞

춰 장소와 시간을 정하겠다는 입장을 취했다. 이에 남측 관계자들은 개성공단 폐쇄 이후 대화를 지속적 으로 시도했었다는 입장을 밝히며 요청에 신속히 응했다. 북 측은 이를 환영하는 태도를 보였다. 금요일 북한은 최근 양국간 고도된 긴장에 의해 단절했던

직통 전화를 다시 연결했다. 이는 그 동안 단절되었던 양국간 관계 회복에 대한 청신호 이다.

*unification: 통일

*venue: 장소

*amid: 가운데에


THE COREA COURIER

Business & Economy

(No.18) 2013.06.10 ~ 2013.06.16

5

Property management necessary, but unaffordable 직장인 99.3% "제태크 필요하지만 적은 수입으로 너무 어렵다" By Kim Hong-ik

재테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장 큰 이유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해서 기타 다양한 경험을 하기 위해서 자아실현을 위해서 저금리시대, 자산을 잘 불리기 위해서 가족들을 위해서 비상시를 대비해서 인생의 행복을 위해서 고령화 시대에 노후보장이 필요해서 넉넉하고 여유로운 생활을 위해서 0%

10%

Why people believe property management is necessary.

The biggest reason why people believe property management is necessary 1. Better human relations* 2. Other 3. A variety of new experiences 4. Self-satisfaction 5. Increase in wealth 6. Family benefits 7. Emergency situations 8. Happiness of life 9. Financial security in old age. 10. Financially adequate and relaxed life.

20%

30%

40%

[The Women's News]

Most office workers believe in the need for property management*, pe r ha ps due to the ir limited income. A survey regarding the necessity* of property management was done on 852 office workers, 99.3% replying that it was necessary. The biggest reason was ‘for a financially adequate* and relaxed life’ (38.8%). Other reasons were ‘financial security during old age’ (21.2%), ‘happiness of life’ (10.6%), ‘emergency situations’ (10.3%), ‘family

benefits’ (7.4%) and ‘increase in wealth’ (5.4%).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up to 94.1% of respondents had difficulty in getting property management. ‘Small income’ (53.5%) was the main reason and ‘difficulties in acquiring good information (32.9%) and in reducing consumption (30.9%)’, and ‘fear of failure in investment’ (15.1%) were other setbacks. Nine out of ten (86.9%) office workers

were receiving property management, its costs settling around 770,000 won per month, an amount equal to about 36% of the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The most common type of property management was found to be ‘savings* in the form of deposits* and installment savings*’ (73.9%) while its most common purpose was to ‘save up for marriage funds’ (27.4%). bigplus1@hanmail.net

로 집계되었다. 이는 월급 등의 수입 대비 (10.3%), ‘가족들을 위해서’(7.4%), ‘저금 월급을 받았다고 좋아한 것도 잠시 계획 평균 36% 수준이었다. 금액을 세부적으 리시대, 자산을 잘 불리기 위해서’(5.4%) 성 없이 쓰다 보면 어느새 통장 잔고가 바 로 살펴보면, ‘30~60만원 미만’(20.4%), 등이 뒤를 이었다. 닥난 것을 볼 수 있다. 그래서일까. 직장인 ‘60~90만원 미만’(19.2%), ‘10~30만원 미 하지만 막상 재테크에 대해서는 무려 대부분은 돈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만’(18.4%), ‘90~120만원 미만’(17.7%), 94.1%가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것으로 나타났다. ‘120~150만원 미만’(9.2%) 등의 순이었 나타났다. ‘적은 수입으로 투자 어려움’ 취업포털 사람인(대표 이정근)이 직장인 다. (53.5%, 복수응답)이 가장 큰 이유로 꼽 852명을 대상으로 제태크의 필요성에 대 가장 많이 투자하고 있는 재테크 유형은 았다. 뒤이어 ‘좋은 정보 습득이 어려움’ 해 질문한 결과 99.3%가 ‘필요하다’고 응 ‘예금, 적금 등 저축’이 73.9%로 1위를 차 (32.9%), ‘소비를 줄이기 어려움’(30.9%), 답했다고 밝혔다. 지했다. 재테크 목적으로는 ‘결혼자금 마 ‘열심히 해도 돈이 잘 안 모임’(24.2%), 재테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장 련’(27.4%)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투자 실패의 부담감이 큼’(15.1%) 등이 큰 이유는 ‘넉넉하고 여유로운 생활을 위 있었다. 해서’(38.8%)였다. ‘고령화 시대에 노후 10명 중 9명(86.9%)이 재테크를 하고 있 보장이 필요해서’(21.2%), ‘인생의 행복 었으며, 월 평균 운용 금액은 77만원으 을 위해서’(10.6%), ‘비상시를 대비해서’ *human relations: 인간관계 *necessity: 필요성 *savings: 저축 *installment saving: 적금 *property management: 제태크 *adequate: 넉넉한, 충분한 *deposits: 예금

Chairman of CJ takes responsibility for slush fund scandal By Hwang Yoon

비자금 의혹 CJ그룹 이재현 회장, "암담하다. 책임져야 한다면 책임 지겠다"

CJ Group chairman Lee JayHyun has sent an apology email to all employees on allegations of the slush fund scandal. “I am regretful and cannot deny my distress” Lee wrote. “I will take full responsibility.”

He also wrote “It is all of you, who come to work every day, attend meetings, move around and create our products and contents.” He emphasized*, “Do not be shaken by the current situation. You cannot let it damage your dreams and working

environment.” It was followed by, “I will take measures to maintain growth and development for all executives and staff members and CJ itself.” Prosecutors raided Lee’s Seoul home in Namdaemun Road, Jung

District on May 21 with a search and seizure warrant*. Lee may be summoned for further investigation if prosecutors find any evidence of vice-president Shin’s deep involvement in the slush fund accounts overseas. yoony0705@gmail.com

비자금 조성 의혹을 받고있는 CJ그룹 이재현 회장이 사죄의 뜻을 담아 전직원에게 이메일 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장은 3일 CJ그룹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사태에 대해 “안타깝고 참담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며 “책임져야 할 부분이 있다면 제

가 책임을 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 회장은 “매일 출근을 하고, 회의를 하고, 현장을 누 비며 우리 제품과 콘텐츠를 만들어가고 있는 것은 직원 여러분”이라며 “이번 사태로 흔들 려서는 안되고 꿈과 일터가 상처 나서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CJ와 임직원 여러분들의 성장이 지속 될 수 있도록 모든 조치를 다할 것”이라며 사 죄의 뜻을 전했다. 앞서 검찰은 지난달 21일 서울 중구 남대문 로 CJ본사 등에 이어 29일에는 이 회장의 장 충동 집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해외 비자

금 조성에 깊숙이 관여한 것으로 지목된 신 모 부사장을 이르면 이번주 조사한 뒤 이재 현 CJ 회장 소환 조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emphasized: 강조했다 *search and seizure warrant: 압수수색영장


6

Entertainment

(No.18) 2013.06.10 ~ 2013.06.16

THE COREA COURIER

PSY’s Gentleman reaches 400 million 월드스타 싸이 '젠틀맨' 유튜브에서 4억, '강남스타일'은 16억

PSY's Gentleman music video.

[The Women's News]

지난 4월13일 세계에 공개된 '젠틀맨'은 유튜브에서 현재 약 4억210만 조회수를 기록 중이다. 이는 55일 만에 세운 기록이다. 지난해 7월15일 발표된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가 85일 만인 10월8일 4억건을 돌파한 것과 비교하면 약 1.5배 이상 빠른 속도다. '강남스타일'의 뮤직비디오는 조회수 16억4000만건 을 기록하며 유튜브에서 역대 가장 많이 본 영상 1위

를 차지했다. 지난 7일 싸이는 러시아 모스크바 올림피이스키 스타 디움서 열린 'MUZ-TV 뮤직 어워드'에 참석했다. 그 리고 8일 영국 방송사 ITV 오디션 프로그램 '브리튼 스 갓 탤런트 시즌7' 결선 축하 무대에도 올랐다. '젠틀맨'은 6월15일자 빌보드 싱글차트 '핫100'에서 56위를 차지했다고 한다.

‘Gentleman’ has set a new record of around 402.1 million views within 55 days since the music video was uploaded on Youtube. Around 1.5 times faster than ‘Gangnam Style,’ the latter reached over 400 million views within 85 days since July 15 last year, ‘Gangnam Style’ hit Youtube’s all-time record for number of views with 1.64

billion hits. PSY has recently attended the ‘MUZ-TV Music Awards’ held in Moscow’s Olympic (Olimpiyskiy) Stadium and the final stage ceremony on ITV’s ‘Britain’s Got Talent’ on June 7 and 8, respectively. ‘Gentleman’ is currently ranked 56th on Billboard Singles’ Hot 100 as of June 15. yoony0705@gmail.com

*respectively: 각자, 각각

A blushing Yoo Jae-suk after a phone call with his wife 유재석 아내 나경은과 전화통화, '경은아 한 마디에 여심 사르르' By Hwang Yoon

Yoo Jae-suk being embarrassed over a phone call to his newscaster wife, Na Kyung-eun was broadcasted. A special episode of ‘Infinite Challenge’ named ‘Minority Report,’ was on air on June 8, capturing other members’ behaviors based on their given missions.

Noh Hong-chul foresaw that Yoo was going visit the other members’ homes for the mission, and informed* them to hide away from their homes. Gil then called Yoo’s wife, Yoo surprised and embarrassed by the phone call. Yoo exclaimed “Hang up Kyung-eun!” and forcibly hung up the

phone. Yoo blushed during the broadcast, evoking laughter among the audience. People who saw the broadcast commented that “Calling his wife by her name makes me feel tingly*.” Others said “They’re still like newlyweds.”

유재석이 방송 촬영 중 아내 나경은과의 전화연결에 당황 한 기색을 보였다. 8일 방송된 '무한도전'에서는 '마이너리티 리포트' 특집차 하루동안 다른 멤버들의 행동을 예측하는 미션이 주어졌다.

이에 노홍철은 다른 멤버들의 집을 방문한다는 예언을 해 각자 집으로 전화해 집이 아닌 곳으로 피신하라고 전했다. 이때 길은 유재석의 아내 나경은 아나운서에게 전화연결을 했고 유재석은 나경은과의 전화연결에 당황해 한 것. 유재석 은 "경은아. 전화 끊어"라고 외치며 전화를 강제로 끊게했다.

방송 도중 갑작스런 전화연결에 얼굴이 빨개진 유재석은 시 청자들의 웃음을 자아냈다. 한편 나경은과의 전화연결 방송을 본 네티즌들은 “아내 이 름을 경은이라고 부르다니 설레였다” "여전히 신혼같아”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The Corea Courier

코리아쿠리어 영자신문사

서울시 성북구 성북동1가 115-27 404호 TEL. 02-6080-6139 발행인 · 편집인 인쇄인 광고문의

이승곤 현재오 02-6080-6139

2013년 1월 28일 창간. 등록번호 서울,다10564

www.coreacourier.com

*informed: 알렸다

yoony0705@gmail.com

*tingly: 따끔거리는, 얼얼한


THE COREA COURIER

7

Sports

(No.18) 2013.06.10 ~ 2013.06.16

Weekly Weather 10th Monday AM

PM

21

32

11th Tuesday

12th Wednesday

13th Thursday

14th Friday

15th Saturday

16th Sunday

AM

PM

AM

AM

AM

PM

AM

PM

AM

PM

AM

PM

20

24

18

24

18

27

18

30

19

31

19

29

Sourc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출처: 기상청

Son Yeon-jae wins gold at Asian Championships '폭풍 성장' 손연재, 아시아선수권서 첫 금메달 쐈다 By Hwang Yoon

Asian gymnastics has become too small for a star like Son Yeon-jae, who currently ranked sixth in the world. Son won the gold at the 2013 Asian Championships held in Tashkent, Uzbekistan with a total of 72.066 points in all four events. Son being the first Korean gold medalist at the Asian Championships, she beat Jamila Rakhmatova of Uzbekistan by 1.467 points. Son’s victory was expected by experts, especially when they analyzed her performance

as being distinct during the qualifying matches* held on June 5 and 6. Son is a rising star, standing amongst the top gymnasts and winning four medals in a row in the all-season World Cup hosted by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mnastics (IFG)*. “ M y n e x t g o a l i s t o w i n t h e Wo r l d Championships in Ukraine that will be near the end of August” she said confidently to the press.

'한국 리듬체조 간판' 손연재(연세대•세계랭킹 6위) 선수 에게 아시아 무대는 좁았다. 손연재는 7일(이하 한국시각)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 있는 스포트팰리스에서 열린 '2013 리듬체조 아시아선수권 대회' 개인종합 결선서 네 종목 합계 72.066점으로 금메달 을 목에 걸었다. 2위 자밀라 라크마토바(우즈베키스탄)보다 1.467점 앞서 는 기록이며 한국 선수가 아시아선수권대회에서 따낸 최초 의 금메달이다.

손연재의 우승은 예상됐던 결과다. 전문가들은 5~6일 열 린 예선경기에서 다른 선수들과 급이 다른 연기를 선보인 손연재의 우승을 점쳤다. 다가 손연재는 상승세를 타고 있는 선수다. 올 시즌 국제 체조연맹이 주최한 월드컵 대회에서 4회 연속 메달을 따내 며 세계적인 선수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그리고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목표는 8월 말 우크라이나 에서 열리는 세계선수권대회"라고 당당히 말했다.

*qualifying matches: 예선경기 Son Yeon-jae.

yoony0705@gmail.com

*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mnastics (IFG): 국제체조연맹

[The Women's News]

Lee Si-young’s boxing victory disputed 이시영 편파 판정 논란 By Lee Seung-kon

Debate rose over the victory of actress and boxer Lee Si-young in the national boxing team tryouts. Lee said during an interview with KBS2’s ‘Entertainment Weekly’ that “both the opponent and I did our best.” Lee won the match with a score of 2220 against Kim Da-som in the tryout for the 48-kilogram class. Many claim that the actress

was favored* by the referees. She further added that she “always needed to try more. I think that even the disputes on the judgment will be of help in the future.” “I learned a lot from the incident. Since I’m going to stand in the ring again, I’m going to try harder” she said, maintaining her positive* attitude. oksk@coreacourier.com

배우 이시영이 국가대표 선 발전 판정 논란에 휩싸였다. 이시영은 KBS2 ‘연예가중계’ 와의 인터뷰에서 “상대선수도 나도 열심히 했다”고 전했다. 이시영은 김다솜을 여자 48kg급 결승에서 22대 20으로 꺾었다. 많은 이들이 그녀가 심판으로부터 편파 판정을 받 았다고 이의를 제기했다.

이시영은 “난 항상 부족했다. 심판 판정 논란도 내게 도움되 는 일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밝 혔다. 이어서 “배운 게 많았다. 시 합에 또 나가야 한다. 다음에 더 열심히 해야겠다고 생각하 는 계기가 됐다”고 덧붙였다. *favored: 편애받고 있는 *positive: 긍정적인


8

Lifestyle & Culture

Opinion Editorial

(No.18) 2013.06.10 ~ 2013.06.16

THE COREA COURIER

Latin American Festival 라틴 아메리카 축제

By Lee Seung-kon Photographs taken by Lee Eui-kon

Despite the scorching* weather, hundreds gathered at the Latin American Festival held at the Seongbuk Stream Fountain Square* on June 8. Since 2011, the Latin American Festival has become an annual event for promoting Latin American culture through selling food or souvenirs*, while performing Latin music and dance. Mexican, Colombian, Chile, Peruvian and Brazilian food booths were set up alongside the stream, offering exotic* dishes. Wine, sangria, South American beer, lemonade and traditional fruit salad was prepared to quench the thirst of spectators*. Traditional Latin American hats, clothes, instruments, coffee and candy were

put up for sale. Hans-Alexander Kneider, honorary village chief of Seongbuk Global Village Center, officiated* at the event. Participating at the opening ceremony were Seongbuk borough mayor Kim Young-bae, as well as ambassadors from Brazil, Colombia and Germany. At the opening ceremony, Kim said “I wish for this event to be a place where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can become friends.” Following the opening ceremony were performances of tango, Latin music and Peruvian traditional instruments. A Latin dance contest was held to induc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crowd.

2011년부터 개최하기 시작한 라틴아메리카 페스티벌 에 올해에도 더운 날씨에 굴하지 않고 많은 인파가 모였 다. 이번 축제일정은 낮 12시부터 오후 8시까지 진행되었 으며, 라틴아메리카 음식 체험, 라틴아메리카 민속공연, 라틴 베스트 댄서 대회 등 다양한 먹거리와 이색 행사가 진행되어 뜨거운 열기를 더했다. 라틴아메리카 음식 체 험 부스에서는 멕시코, 콜롬비아, 칠레, 페루, 브라질 등 에서의 인기 먹거리들이 판매되었고, 음료로 와인, 샹그 리아, 남미 맥주, 레몬에이드, 전통 화채 등을 판매하였 다. 뿐만 아니라, 라틴아메리카 특산품 전통 모자, 의상, 악기, 커피, 사탕 등의 물품들을 전시 판매하기도 했다.

공연행사는 한스 알렉산더 크나이더(Hans-Alexander Kneider) 성북글로벌빌리지센터 명예동장이 사회를 봤 고, 김영배 성북구청장을 비롯한, 주한 브라질 대사, 콜롬 비아 대사 등 남미국가 출신 외교관과 독일 대사 부부 등 도 자리를 함께하여 개막식을 열었다. 김영배 성북구청 장은 개막식에서 “(이번 행사가) 우리 지구가 친구가 되 는 자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라고 연설을 했다. 개막 식이 끝나고는 탱고 공연, 페루 전통악기, 라틴음악 공연, 라틴댄스 콘테스트 등의 무대가 분위기를 달구었다.

*Seongbuk Stream Fountain Square: 성북천 분수마루 *scorching: 맹렬한 더위 *souvenir: 기념품

oksk@coreacourier.com

*exotic: 이국적인 *spectator: 관객 *officiate: 사회보다

People of all age groups gathered around the Seongbuk Fountain Square for the Latin American Festival.

Political figures endorsed the Latin American Festival.

[The Corea Courier]

Aleki Django performed tango with a partner.

[The Corea Courier]

*induce: 이끌어내다

[The Corea Courier] Spectators gathered around the Seongbuk Fountain Square.

[The Corea Courier]


THE COREA COURIER

Lifestyle & Culture

(No.18) 2013.06.10 ~ 2013.06.16

9

Like mother, like daughter? A look into the movie ‘Holly’ 운명적으로 엮인 여자들의 이야기, 영화 ‘홀리’

From the left, Jung Ae-yeon, Minah and Shin Yi came to the preview for the movie 'Holly.'

By Lee Seung-kon

Meet Wan-yi. She’s the daughter of Holly, who works at a USFK* military camp town nightclub. She isn’t ashamed at all when her friends call her mother a ‘foreigner’s whore (양공주).’ Thanks to growing up under her rather childish mother, Wan-yi is much more mature than other kids around her age. One day, world renowned ballerina Su-jin appears in front of Holly and Wan-yi. She has originally taken advantage of being adopted* by foreigners by betraying Holly when they were both orphans. Su-jin offers to teach Wan-yi ballet out of guilt*. However, Holly goes all-out* in rejecting Su-jin’s offer. She does not want Wan-yi to become a lowly* dancer like herself. 완이는 미군 기지촌 클럽에서 댄서로 일하는 홀리의 딸이다. 그녀는 친구들이 미군 클럽에서 춤추는 엄마를 양공주라 놀리며 따돌리지만, 결코 엄마를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철이 덜 든 엄마와 함께 생활하느라 일찍 철이 들어버린 탓이다. 어느 날 세계적인 발레리나 수진이 모녀 앞에 나타난다. 수진은 홀리 와 함께 고아로 자랐지만, 홀리를 배신하고 혼자 외국으로 입양되어 세 계적인 발레리나로 성공한 여자다. 수진은 홀리에 대한 사죄의 의미로 완이에게 발레를 가르쳐주겠다고 제안한다. 하지만 자신과 같이 하찮

*USFK: 주한미군 (United States Forces Korea) *adopt: 입양

[The Corea Courier]

Meanwhile, Wan-yi starts becoming more familiar with the world of ballet. She simply can’t understand why her mother is so against her learning it. As time passes, Holly and Wan-yi’s relationship gets worse. Holly thinks Su-jin is to blame for all this, and starts despising* her more and more. Directed by Park Byung-hwan, ‘Holly’ stars Shin Yi as the lead actress. Minah of girl group ‘Girl’s Day’ makes her first attempt at acting in a film by playing the role of Wan-yi, a gifted child at dancing who is frustrated that Holly and Su-jin each have different plans for her in mind. Jung Ae-yeon stars as Su-jin, a world renowned ballerina who is tormented by the guilt of having betrayed Holly to become successful.

oksk@coreacourier.com Minah and Shin Yi are close both on and off stage. [The Corea Courier]

은 춤꾼으로 살게 하고 싶지 않은 홀리는 완이의 발레 수업을 완강히 반대한다. 한편 발레에 막 입문하기 시작한 완이는 엄마가 왜 그토록 발레를 반대하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시간이 갈수록 홀리와 완이의 관계는 악화된다. 홀리는 이 모든 것이 수진의 탓이라고 여기며 그녀를 더욱 미워하게 되는데…… 박병화 감독의 ‘홀리’에 신이가 주연으로 출연한다. 걸그룹 ‘걸스데 이’의 민아가 완이 역을, 그리고 정애연이 수진 역을 맡는다.

*guilt: 죄책감 *all-out: 전면적인

*lowly: 저급한 *despise: 경멸하다

*torment: 고뇌 Director Park Byung-hwan.

[The Corea Courier]


10

Lifestyle & Culture

(No.18) 2013.06.10 ~ 2013.06.16

THE COREA COURIER

Column

vol.15 보나파이드 뮤직 By Travis Bonafide

Wut it do Wut it do! This is your weekly Bonafide. I just got LASIK the other day, and it hurt quite a bit for a couple of hours, but the next day a whole new world was presented to me. I didn’t have to stumble my way to find my glasses, nor did I have to decide whether I was going to wear my contacts or not. Literally, I could see clearer. This made me remind of the earlier days when I started to listen to Hip-Hop. My first memorable encounter with Hip-Hop was when I went back to the States in 2002. I was in a boarding school during that time, so having a bunch of teenagers in a dorm gives you a versatile experience. This is when I first heard the song, ‘Cleaning Out My Closet’ by Eminem. 안녕하십니까? 보나파이드 입니다. 이번주에 라식수술을 하게되었는데요, 몇시간동안의 고통을 참고견디니 정말 신세계가 펼쳐지더군요. 아침에 일어나서 안경찾느라 침대주위를 더듬거리지도 않고, 오늘은 렌즈를낄까 안경을낄까 고민할필요도 없었어서 너무 좋았습니 다, 마치 세상에 눈을 다시 뜬것처럼 말이죠. 그러다 보니, 예전에 처음에 힙합의 눈을 뜬것 이 떠올라 이번주 주제로 정하기로 했습니다. 제가 2002년도에 다시 미국으로 가게되었을 때 기숙학교를 다니게 되었습니다. 기숙사에 있다보면 정말 다채로운 사람들과 같이 생활 을 하게되는데요, 그해에 에미넴의 “Cleaning Out My Closet”을 처음 듣게 되었습니다.

First, I was just hooked to the chorus part, since it was easy to sing along, but listening to it several times made me catch some phrases from the lyrics. It was the first song that I actually took my time to look up the lyrics online and I was shocked. The song was negative and violent, but it carried so much emotion that it felt like I was seeing a movie or reading a book about someone’s hardship in life. The more amazing part is how the lyrics and rhymes are put together. It was so smooth and gave great emphasis on what Eminem was trying to convey. Hip-Hop wasn’t that familiar to me, since I had a hard time understanding what the rappers were saying. However, Eminem had a coherent pronunciation and a less colloquial choice of diction that made this possible for me. After listening to almost all of Eminem’s songs, I expanded my Hip-Hop playlist to a point where I am able to share it with other people. It brings me happiness when the songs I introduce can inspire other people. This week’s playlist is like the LASIK of my musical eye, the songs that never gets old and the songs that made me addicted to this genre. Enjoy. 처음엔 단순히 후렴부분이 따라부르기 쉬워서 듣게 되었는데, 듣다보니 조금씩 가사가 귀 에 들리기 시작하는것입니다. 그래서 호기심에 가사를 찾아서 같이 듣고나서 정말 경악을 금치못했습니다. 노래 자체는 어둡고 폭력적이기도하나, 감정이 너무나 잘실려서 마치 영 화또는 책을 읽는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또한 가사들과 라임들이 조화를 너무 잘이루어 져 머릿속에 그림이 저절로 그려지더군요. 사실 처음 힙합과 거리가 멀수밖에 없었던것은 언어의 장벽도 있고 은어나 비속어를 사용하다보면 알아듣기가 쉽지않은데요, 에미넴은 발 음도 정확하게 하고 말도 꼬아 쓰지않아 처음에 듣게 되었던것같습니다. 에미넴의 전앨범 을 듣게된이후에 조금씩 조금씩 다른 랩퍼들의 노래를 듣다보니 어느새 매니아가 되어있는 제 모습을 발견하였습니다. 이제는 이노래들을 여러분과 지인들과 함께 나눌수있다는것또 한 저에겐 큰 기쁨입니다. 저의 음악의눈에 라식같은 존재였던 노래 몇개를 추천합니다. 그 럼 좋은 한주 보내십시오.

Weekly playlist Vol. 15 Cleaning Out My Closet – Eminem This song was released in 2002, and unlike his previous humorous songs like ’Without Me,’ it was a serious dark song about his childhood and family relations. His tone of voice conveys great emphasis on his agony and struggle. Still one of my favorite lyrics of the genius, ‘Slim Shady.’ 2002년도에 발행되, 그 전의 우스꽝스러운 노래와 대비되는 어둡고 감정적인 노래로 에미넴의 자라온환 경과 가족관계를 이야기 하고있습니다. 지금까지의 에미넴의 모든 노래중에 제가 손꼽는 최고의 가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Rather Be Ya N.I.G.G.A – 2 Pac Included in the album, ’All Eyez on Me.’ Released by Death Row Records in 1996, later crowned to be nine time multi-platinum by 1998. Probably the most renowned album of 2Pac. This is my personal favorite in the album over the other famous songs like ‘California Love’ and ’How Do U Want It.’ 1996년 “All Eyez on Me”라는 앨범의 수록곡입 니다. 이앨범은 1998년즈 음엔 9번의 플래티넘을 수 상하였는데, 여러 명곡이 많으나 저의 가장 아련한 추억과 사랑을 받은 노래 입니다.

Shook Ones Part II – Mobb Deep Hip-Hop duo from Queensbridge, New York. Prodigy and Havoc made this single in 1995, and is praised

Travis Bonafide

to be one of the most classic HipHop songs of all time. They sold over 3 million copies of records and was in the ’Top 50 Greatest HipHop songs of all time’ of Rolling Stone Magazine. The instrumental and phrase was used in the movie, 8 Mile, by Eminem in his last battle with ’papa doc.’ Remember, “There ain’t no such thing as half way crooks!” Prodigy랑 Havoc이 만든 뉴욕 퀸스의 힙 합듀오. 이들은 1995년 에 이노래를 발행하면서 300만이상의 앨범이 팔 렸고, 롤링스톤즈잡지에 역대의 50대 힙합노래중 하나로도 선정되었습니 다. 이노래의 MR은 에미 넴의 영화 “8mile”의 마지막 랩배틀의 배경 음악으로 쓰여졌고, 에미넴또한 이노래의 일 부를 랩하면서 이 노래의 인기를 다시 실감 하게 해주었습니다. notorious.tk@hotmail.com


THE COREA COURIER Opinion Editorial

Lifestyle & Culture

(No.18) 2013.06.10 ~ 2013.06.16

11

Cyworld or Facebook: what is your choice? 싸이월드와 페이스북, 당신의 선택은?

By Yoo E-yeol

At the end of the 2000’s, Korea encountered the ‘Cyworld hysteria.’ For us who were accustomed to online chatting and web browsing, Cyworld, which was providing us with personal space and so called, ‘friend request*’ was a wholly different world. The category of ‘public’ and ‘friends’ emerged. It was the new space that came out, only for me and friends who are interconnected with me. After 2010, the Cyworld hysteria was swept away by the late-coming ‘Facebook typhoon.’ This somewhat similar, but different social network from the U.S. has become popular among people even until now. Even though I was also the one of the people that moved to Facebook from Cyworld, it was only because most people moved. In this backdrop, I want to state three main reasons why Cyworld is better than Facebook. First, Cyworld has provided us with authentic individual space. If you upload something on Facebook, all writings, pictures and videos go on to every registered friend’s space called the ‘news feed.’ We are sharing contents to people regardless of their interests towards us. We click meaningless ‘likes’ and it spreads out significantly. Also, when you are writing to certain individuals or leaving comments, everything is unconsciously shared. This is not the thing that we wanted or expected in the first place. In contrast, if we upload writings on Cyworld, only the people that visit the page may check it out. If you leave comments on a visitor’s book, you are able to designate the status as ‘public’ or ‘private,’ which is not naturally shared with others. Rather than just leaving a

2000년대 후반, 한국은 ‘싸이월드 광풍’을 맞이하게 된다. 채팅창과 인터넷 검색에만 익숙해있던 우리에게 자신만의 공간을 제공함과 소위 ‘일촌 맺기’라는 방식으로 구성된 싸 이월드는 새로운 세상이었다. ‘전체공개’와 ‘일촌공개’라는 카테고리가 생겼으며 자기자신과 일촌이 되어있는 친구들만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긴 것이었다. 2010년이 지나며, 싸 이월드 광풍은 뒤늦은 페이스 북 태풍에 휩쓸린다. 뭔가 비슷 하면서도 다른 이 미국에서 온 SNS는 지금까지도 사람들이 가장 많이 애용하고 있다. 필자 또한 싸이월드에서 페이스북 으로 옮겨온 사람 중 한 명이지만 그 이유는 단순히 사람들이 후자로 모두 넘어가 버렸다는 이유에서였다. 이에 우리가 잊 고 있는 싸이월드가 페이스북보다 나은 3가지 이유를 서술하 고자 한다. 첫째, 싸이월드가 실질적인 자기만의 공간을 제공했었다. 페이스북에 뭔가를 올리면 개인이 친구로 등록되어 있는 모 든 사람의 ‘뉴스피드’라는 공간에 그 글, 사진 또는 영상이 올 라간다. 자신에게 관심이 있든 없든 그 사람들은 우리가 올 린 컨텐츠를 자연스럽게 공유하게 된다. 아무 의미 없는 ‘좋 아요’를 누르게 되며 그 내용들은 일파만파 퍼진다. 또한, 누 군가에게 개인적인 글을 남길 때도 댓글을 남길 때도 모든 게 공유된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에게 글을 보여준다는 게 애초 에 우리가 원했던 것이 아닐 수도 있다. 대조적으로, 싸이월 드에서는 글을 올리면 자신의 페이지에 들어온 사람만이 확 인을 할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방명록을 남기면 공개 또는 비공개를 설정할 수 있었으며 자연스럽게 남들에게 공유되 *friend request: 싸이월드의 ‘일촌’

comment to passing writings, I miss the days when people came to individual pages thinking of me. Second, Cyworld has a main page and your own music. Facebook does not have a main page. We have lost space where we could reveal our everyday emotions. We must write down something to publicize our emotions and even those writings are swept by other people’s numerous writings. In other words, it feels like a shared house rather than just my own house. Sometimes it could feel like something is not yet organized properly. On Cyworld, own private space exists where we could express. Through banners, backgrounds and words we are able to reveal ourselves without censorship. Also, Facebook does not have music. Cyworld does have music called BGM (Background music). In our memories, there remains the days when we could listen to great music and new music through friend’s pages that we have found out by chance. Personally, it is still a mystery for me that Facebook does not have a BGM. Third, Cyworld does have the ‘friend name’ category, which is to designate the relationship. But it is really simple to add a friend on Facebook. If related people come up, you can simply push the ‘add a friend’ category, and if the counterpart agrees, the two become friends. But, it does not matter how close you are with that certain person. In one sense, it can only be a filing up of meaningless personal connections. The consecutive* relationships, which seem close

지 않았다. 그냥 우연히 지나가며 올라온 글에 다는 댓글보다 는 실질적으로 나를 생각하며 찾아와 한마디를 던져주던 그 시절이 가끔은 그립다. 둘째, 싸이월드는 메인 페이지가 있었으며 자신만의 음악 이 있었다. 페이스북에는 메인 페이지가 없다. 우리가 오늘 하루 느끼고 있는 감정을 드러낼 수 있는 페이지가 없는 것이 다. 내가 느끼고 있는 기분은 꼭 글로 써서 표현을 해야 하며 그마저 많은 글들에 휩쓸려 금방 사라져버린다. 자신의 집이 라는 느낌보다는 많은 사람들이 같이 쓰는 집 같은 기분이 드 는 것이다. 어찌 보면 약간 정리가 안된다는 생각이 들 때도 있다. 싸이월드에는 자신만의 공간이 있었고 그 안에 메인 글 에 자신을 나타낼 수 있었으며 감정을 표현할 수 있었다. 배 너나 배경 그리고 글귀들은 자신이 현재 느끼고 있는 그런 모 습들을 여과 없이 드러내줬다. 또한, 페이스북에는 음악이 없다. 싸이월드에는 BGM이라고 하는 음악이 있었다. 다소 밋밋할 수 있는 자신만의 홈페이지에 음악의 존재여부는 굉 장히 새로운 느낌을 준다. 우연히 찾은 친구의 페이지에서 들 려오던 좋은 노래, 새로운 노래를 알게 되던 것도 싸이월드 시대에 우리가 기억하는 추억의 일부이다. 개인적으로, 페이 스북에 BGM기능이 없단 건 솔직히 아직까지도 미스터리다. 셋째, 싸이월드는 서로를 규정짓는 ‘일촌명’이 있었다. 페 이스북에서 친구를 추가하는 건 정말 단순하다. 연관되는 사 람들이 뜨면 단순히 ‘친구 추가’란 버튼을 누르고 상대방의 동의 아래 친구가 된다. 하지만, 서로가 어느 정도 아는 사이 든 말든 그건 아무 의미가 없다. 어떻게 보면 의미 없는 인맥

*consecutive: 연속적인

*excessive: 지나친, 과도한

on the internet, are unfamiliar when meeting in real life. How about the time when we were using Cyworld? We were able to set the friend name category. It was excessive* for people to acknowledge someone, who is still awkward and unfamiliar, in the name of a friend. When the relationship actually go over that certain line (of familiarity), we start to designate each other with the name or title. It was the time when we could think of other people in the category of the friend name rather than meaningless clicking. In addition, greater thing is that we can change that name when we become closer to a person. Nowadays, when we seem to consider personal relationships lightly, I often think this kind of method was much better. We are on Facebook 24/7. We are gobsmacked with the incessant contents that are posted up. In other words, it seems like people have unconsciously been addicted to these meaningless writings. Frankly speaking, people were addicted to Cyworld in the past, but not this far. What was the real image of social networking that we coveted* for? I think we forget about Cyworld within the world of Facebook. In some ways, doesn’t Cyworld have the original image of the social networking that we have defined? Without the premise that most people use (Facebook), I believe Cyworld is more effective in authentic function and operation. Cyworld or Facebook: what is your choice? yh961407@hotmail.com

들이 쌓이게 되는 것이다. 온라인 상에서는 가까워 보이지만 실제로 만나면 말 한마디 섞지 않는 그런 관계들의 연속 말 이다. 싸이월드를 사용할 때는 어떠했을까? 우리는 서로간의 소위 ‘일촌명’을 설정해야 했다. 둘의 관계가 아직 너무나 어 색하고 익숙하지 않다면 그 사람을 일촌으로 인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던 것이다. 사람간의 관계가 어느 정도의 선을 넘 으면 그 때 서로간의 이름이나 호칭으로 둘 사이를 규정지었 던 것이다. 무의미한 단순클릭보다 일촌명이란 카테고리를 가지고 상대방을 한 번 더 생각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정말 좋았던 것은 그 사람과 가까워지면 그 일촌명을 더 친숙 하게 바꿀 수 있다는 점이었다. 인간관계라는 게 너무나 가볍 게 여겨지고 있는 요즘, 이런 식의 방식이 훨씬 낫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종종 든다. 아침에 눈을 떠 저녁에 다시 잠에 들 때까지 우리는 페이스 북과 함께 한다. 끊임없이 올라오는 컨텐츠들에 휩쓸려 정신 을 못 차리고 있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 우리는 무의미한 그 글들과 영상들에 중독되어 있는 것이다. 분명, 싸이월드에도 많은 사람들이 빠져있었지만 지금 이 정도는 아니었다. 우리 가 진정 원하는 SNS의 모습은 어떤 것이었을까? 페이스북 세계에서 싸이월드의 모습들을 잊고 사는 건 아닌 지 모르겠 다. 어찌 보면, 우리가 정의하고 있던 SNS의 본 모습은 싸이 월드가 가지고 있던 게 아닐까? 사람들이 많이 쓴다는 전제 를 빼고 실질적인 기능과 운영면에서만 생각하면 싸이월드 가 조금 더 효율적이지 않았나 생각한다. 싸이월드와 페이스 북, 당신의 선택은? *coveted: 탐내는


12

Lifestyle & Culture

(No.18) 2013.06.10 ~ 2013.06.16

THE COREA COURIER

Social Explorer Network Small innovations in our lives: transformation of restroom culture 생활 속의 작은 혁신: 변화하는 화장실 문화 Han Sol, Kim Myung-joon, In Soo-hwan

Have any of you male readers been scolded by your mothers because you made a "mess" on the toilet? Personally, I started to pee by sitting down after being scolded a few times by my mom. Just like this, changing personal habits could keep the restroom pleasant. However, it is much more difficult to keeppublic restrooms clean because of one's carelessness in using public facilities, and the limitations in structures of urinals.

further in developing this innovative idea. Out of many service stations in Korea, the Deokpyung service station (near Youngdong Expressway) has a restroom with an interesting device installed in urinals. In one type of urinal, various tropical fish

There is a socially innovative solution that tries to tackle such problems of public restrooms. The solution is a "fly-sticker" that is placed at the center of a urinal. Don't they stimulate your "hunting instinct?” According to the book 'Nudge,' written by Professor Richard H. Thaler, Amsterdam Airport Schipol, Netherlands, has reduced the urine leakage out of urinals by 80% with just this simple idea of fly-stickers.

As we can see from these cases that demonstrate the transformation of the ‘restroom culture,’ innovation starts from small ideas. Are there any recognizable social problems in your surrounding environment? Do not forget that social innovation starts from small ideas with an effort to recognize and solving the problem itself.

Some service stations in Korea even took a step 안녕하세요. 코리아쿠리어 (Corea Courier) 독자 여러분. 여기 계신 남성 여러분들 중 집에서 변기를 더럽힌다는 이 유로 어머님께 야단을 맞으신 적 있으신가요? 저는 집에서 변기문제로 사나운 어머님을 몇 차례 만나 뵌 후로는 앉아서 볼 일을 보는 습관을 들이기 시작했는데요 이처럼 개인의 습 관만 바꾸더라도 집에서는 쾌적한 화장실을 유지할 수 있겠 지요.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소변기가 갖춰져 있는 공용 화장 실의 경우 자신의 소유물이 아니라는 인식에서 오는 부주의 함과 소변기 구조의 한계로 인해 화장실의 쾌적함을 유지하 기가 많이 힘든 것이 사실입니다. 다음과 같은 공공 화장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생한 사회적 혁신이 있습니다! 바로 소변기 중앙에 붙여놓는 파리 스티커인데요. 남자들의 ‘사냥 본능’을 자극하지요? ‘넛지’ 의 저자 리처 탈러 교수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있는 스키

show up on the screen in front of a urinal only when you hit an aiming point located inside the urinal. In another type of urinal, people can enjoy a little video game on the screen. The goal is to knock down the virtual character with your own character by shooting water, and your victory depends on strength and longevity of hitting the aiming point in a urinal. It also keeps the records of your score. I hope readers have a chance to stop by the service station and experience both the cleanliness of the restroom and enjoy the shooting game.

https://www.facebook.com/groups/socialexplorer

폴 공항의 남자 화장실에서 소변기에 파리 모양 스티커를 붙 여놓는 아이디어만으로 소변기 밖으로 새어나가는 소변량을 80%나 줄였다고 이 책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아이디어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화장실 사용문화를 더 욱더 변화시킨 장소가 있다고 합니다~ 바로 휴게소인데요. 그 중 영동고속도로에 있는 덕평자연휴게소 화장실에는 소 변기에 재미있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고 합니다. 소변기 안 쪽에 부착된 조준 점을 명중시키면 앞에 설치된 모니터에서

형형색색의 열대어들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또 다른 소변기 에선 색다른 비디오 게임을 즐길 수 있는데요. 눈앞에 보이는 스크린 상에서 이용객의 캐릭터와 가상 캐릭터가 서로 물을 쏘아 쓰러뜨리는 방식으로 얼마나 오래 그리고 세게 누느냐 에 따라 승패가 결정되고 또 그 기록이 남는다고 하네요. 영 동고속도로를 이용하시게 될 여러분들도 한번 들리셔서 덕 평자연휴게소 화장실의 쾌적함을 누리는 동시에 게임 대결 이라는 색다른 체험을 해보시길 바래요. 이렇게 화장실 문화의 변화를 나타내는 사례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혁신은 작은 아이디어의 발상에서부터 시작됩니 다. 독자 여러분들도 주위에 인지하고 계신 사회적 문제점이 있으신가요? 사회혁신은 그 문제점을 인지하고 바꾸려는 노 력에서부터 나오는 작은 아이디어의 발상으로 시작한다는 사실~ 잊지 않으시길 바래요.


THE COREA COURIER

Screen English

Lifestyle & Culture

(No.18) 2013.06.10 ~ 2013.06.16

13

The Dark Knight (2008) 다크 나이트 ( 2 0 0 8 )

By Lee Seung-kon

Gordon: They'll hunt you. Batman: You'll hunt me. They'll condemn me. Sick the dogs on me. Because that's what needs to happen. Because sometimes the truth isn't good enough. Sometimes, people deserve more. Sometimes people deserve to have their faith rewarded. Gordon's Son: Batman! Batman! Why is he running dad? Gordon: Because we have to chase him. Gordon's Son: He didn't do anything wrong. Gordon: Because he's the hero Gotham deserves.. but not the one it needs right now. So we'll hunt him. Because he can take it. Because he's not a hero. He's a silent guardian. A watchful protector.

고든: 당신은 쫓기게 될 거야. 배트맨: 당신은 날 쫓게 되겠지. 그리고 사람들은 나를 증오하게 되겠지. 나를 좇 도록 개들을 풀어. 왜냐하면 그래야 하니까. 때로는 진실만으로는 충분하지가 않아. 때로는 사람들이 더 많은 것을 받아야 마땅해. 때로는 사람들이 그들의 믿 음에 대한 보상을 받아야 하지. 제임스: 배트맨! 배트맨! 아빠, 배트맨이 왜 도망가죠? 고든: 왜냐하면 우리가 그를 좇아야 하니까. 제임스: 하지만 그는 잘못한 게 하나도 없잖아요. Watch movie clip by 고든: 왜냐하면 그는 고담에 마땅한 영웅이니까. 하지만 지금은 때가 아니야. 그 scanning the 러니까 우린 그를 좇게 될 거야. 왜냐하면 그는 그것을 견딜 수가 있거든. 그것은 QR code. 그가 영웅이 아니기 때문에 가능하지. 그는 조용한 수호자야. 우릴 지켜보는 보 QR코드를 입력하시면 호자지. 영화장면을 보실 수 그는 바로 다크 나이트. 있습니다.

A Dark Knight.

대한민국의 영어교육은 어휘와 문법, 듣기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그러나 영어를 하나의 언어로써, 문화로써 배우고 싶다면, 교과서 영어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방법을 소개해 드리고자 저희 코리아쿠리어에서 노래 감상을 통해 편한 마음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매주 유명한 팝송의 영자와 한글 가사를 발행합니다.

The Reason

-Hoobastank

I'm not a perfect person There's many things I wish I didn't do 전 완벽한 사람이 아니에요.

제 행동들에 대해 후회한 적도 많아요.

But I continue learning I never meant to do those things to you And so I have to say before I go That I just want you to know

하지만 전 끊임없이 배우고 있어요. 당신에게 그런 일들을 저지르고 싶지 않았어요. 그래서 떠나기 전에 당신에게 말해야겠어요. 당신이 알았으면 좋겠어요.

I've found out a reason for me To change who I used to be A reason to start over new And the reason is you

전 제 자신에 대한 이유를 찾아냈어요. 과거의 저를 바꿀 이유를 말이에요. 다시 새롭게 시작할 이유, 그 이유는 바로 당신이에요.

I'm sorry that I hurt you It's something I must live with everyday And all the pain I put you through I wish that I could take it all away And be the one who catches all your tears That's why I need you to hear 당신에게 상처를 줘서 미안해요. 전 그 죄책감으로 매일을 살아야 해요. 당신이 겪은 고통을 떠안고 말이에요. 전 그 고통을 모두 떠안고 싶어요. 당신의 눈물을 받아주고 싶어요. 그래서 당신이 들어야만 해요.

I've found out a reason for me To change who I used to be A reason to start over new And the reason is You [x4]

더 리즌 -후바스탱크

QR코드를 입력하시면 Youtube영상으로 곡을 음성으로 들으실 수 있습니다. You can listen to the music by scanning the QR code on your smartphone.

전 제 자신에 대한 이유를 찾아냈어요 과거의 저를 바꿀 이유를 말이에요. 다시 새롭게 시작할 이유, 그 이유는 바로 당신이에요. [x4]

I'm not a perfect person I never meant to do those things to you And so I have to say before I go That I just want you to know

전 완벽한 사람이 아니에요. 당신에게 그런 일들을 저지르고 싶지 않았어요. 그래서 떠나기 전에 꼭 당신에게 말해야겠어요. 당신이 알았으면 좋겠어요.

I've found out a reason for me To change who I used to be A reason to start over new And the reason is you 전 제 자신에 대한 이유를 찾았어요. 과거의 저를 바꿀 이유를 말이에요. 다시 새롭게 시작할 이유, 그 이유는 바로 당신이에요.

I've found out a reason to show A side of me you didn't know A reason for all that I do And the reason is you 전 당신에게 보여줄 이유를 찾았어요. 당신이 모르던 저의 모습을 말이에요. 제가 하는 모든 일들에 대한 이유,

그 이유는 바로 당신이에요.


14

Education

(No.18) 2013.06.10 ~ 2013.06.16

THE COREA COURIER

D a y 4

Marc & Albert의 만화로 보는 오늘의 영어회화 표현들 From SELI. page 1

Page 1. 대화 1 준수야 일어나라~ 7시 넘었어~ 이제 일어날 시간이야~! Hey Jun-soo! It’s already pass 7 o’clock! Time to wake up~! 대화 2 으으… 조금만 더 잘 수 있으면 좋겠다… Uh… I wish I could sleep just a little more… (or longer) -아침에 일어날 때의 표현들 alarm goes off 알람이 울리다, turn off the alarm 알람을 끄 다. snooze button 스누즈 버튼 (보통 5분 간격으로 알람이 반복 되 는 버튼) hit the snooze button 스누즈 버튼을 누르다. Fall back to sleep (asleep) 다시 잠들다, doze off 졸다, oversleep 늦잠을 자다. Get out or roll out if the bed 침대에서 나오다. Have a hangover 숙취가 있다. -화장실에서의 표현들 Go to the bathroom 화장실에 가다. Take a shower 샤워를 하다, Brush one’s teeth 이를 닦다, Shave 면도하다, Wash one’s hair or Shampooed and blow dry 머리를 감고 드라이하다. Do one’s hair 머리를 하다, Put on make up 화장을 하다

page 2

page 3

Page 2. 보통 아침엔 일어나기 힘들었는데 기분 좋게 일어나는구나~ Normally, it’s hard to wake up early in the morning, but I got up on the right side of the bed this morning! 대화 1 잘 잤어 아들? 얼른 와서 아침 먹어. Did you have good sleep? Hurry up and have some breakfast. 대화 2 안녕히 주무셨어요? 와우, 토스트에 계란과 베이컨이네요, 잘 먹겠습니다. Did you sleep well? Wow, its toast, egg and bacon. Thanks mom! 대화 3 계란은 역시 반숙. Sunny-side up is the way to go! 대화 4 건강에는 역시 통 곡물 빵이죠. Whole-wheat bread is great for the heart! 아침식사 표현들 Have(eat) breakfast 아침식사를 하다, skip breakfast 아 침식사를 거르다. make toast 토스트를 만들다, spread jam on bread 빵에 잼을 바르다. Cook eggs 계란을 요리하다. (계란요리의 종류: scramble egg- 에그 스크램블, soft boil or hard boil- 삶은 계란, Sunny side- 반숙 계란 프라이, Over easy- 완숙 계란 프 라이) brew coffee 커피를 만들다. do the dishes 설거지를 하다.

Page 3. 대화 1 도시락 싸줄까? 밖에서 사먹는 음식이 몸에 좋지도 않은데. Do you want me to pack (brown bag) your lunch? Fast food isn’t healthy. 대화 2 아니에요 엄마, 이번 주까지만 사먹을게요. No mom, I’ll just buy my lunch until this week. 대화 3 후아 배부르다, 역시 엄마 요리는 언제나 최고! Wow, I’m stuffed (full) to pop (explode, burst at the seams), nothing like (beats) mom’s cooking. 대화 4 회사 가서 아빠 아들인 것 티 내지 말고 열심히 해. Don’t parading around that your father is the CEO. 대화 5 네 엄마, 걱정 마세요. 다녀올게요! I know, don’t have a cow. I’m off to work! Page 3 표현정리 Brown bag: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McDonald 갈색 종이 봉투와 비슷한 모양의 brown bag에 넣어 점심을 가져갑니 다. Stuffed 또는 full: 속이 꽉 찬.. Pop, explode, 또는 burst at the seams: 꽉 차서 터질 것 같은. Nothing like (구어) beats: 그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극강 의.


THE COREA COURIER

(No.18) 2013.06.10 ~ 2013.06.16

Education

15


16

Advertisement

(No.18) 2013.06.10 ~ 2013.06.16

THE COREA COURIER

The Corea Courier shares contents with The Women's News, The eSeoulpost, and Culture Welfare Newspaper. For inquiries regarding content share, e-mail us at tcc@coreacourier.com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